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恭齋 尹斗緖의 繪畵審美 고찰

        김도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조선 후기 海南출신의 恭齋尹斗緖(1668~1715)는 숙종년간 활동한 선비화가로서 조선 중기에서 후기로 교체되는 전환기에 조선 후기 사실주의 회화의 선구자로서 그 초석을 다진 인물이다. 그는 南人의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나 당쟁에 휘말려 출세길을 접고 서화와 학문에 몰두하였다. 조선 후기가 시작되는 18C는 實學이 대두 되고 민족주의에 대한 자각으로 眞景시대가 열린 시기였다. 이러한 때 실학사상을 예술세계에 접목하여 實事求 是的이며 現實改革的심미의식을 발휘하여 서민풍속화 개척, 서양화법의 적용, 사실주의적 기법 추구, 남종문인 화풍 도입 등을 도모하였다. 철저한 學古를 통해 變通을 도모했던 그의 회화관은 學·識의 학문과 工·才기예적 요소를 두루 갖추어야 畵道를 이룰 수 있다는 形神겸용을 강조하였다. 그는 다양한 화목을 두루 섭렵하였는데, 특히 인물화는 以形寫神의 사실주의 표현을 심미 특징으로 한다. 대표작인 「自畵像」은 극사실적 묘사력과 구 도의 혁신성이 탁월하며, 자신의 울분을 비장감있게 傳神寫照한 파격적 실험정신이 돋보인다. 그의 산수화는 형 사적 진경과 신사적 관념을 융합하여 형상으로써 도를 아름답게 구현한 忘適之適한 以形媚道를 이루었다. 한편 개방적 사고로써 다양한 서민 생활을 소재로 삼은 서민풍속화는 以形寫眞의 實得으로 파격을 도모하였는데, 이 는 부패한 권력에 대한 소극적 항거이자 애민정신의 표현이기도 하다. 이후 그의 화풍은 장남 尹德熙, 손자 尹愹 에게 가전되어 전해져 조선 후기 서화예술의 변화와 부흥을 선도하였다. Gongjae Yoon DuSeo(1668~1715), from Haen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scholar-born painter who was active during King Sukjong. He is the person who created the foundation as a pioneer of real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the latter period. He was born in Namin's prestigious family, but he ended his career as part of a partisan fight and immersed himself in painting and learning. 18C, the beginn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 period when Silhak emerged and the Jinkyung era opened with awareness of nationalism. At this time, by incorporating the Silhak thought into the art world, the real reformed aesthetic consciousness was demonstrated to pioneer common people's customs, the application of Western painting methods, the pursuit of realist techniques, and the introduction of Namjongmuninhwa. His view of painting, who thoroughly learned the old things and pursued change, must have both the form and spirit that he can achieve 'HwaDo' only when it has the science of 'learning and knowledge' and the technical elements of 'practice and quality' emphasized. He has worked in a variety of reconciliations. In particular, portrait paintings are characterized by ihyeongsasin's realistic expressions of aesthetics. His masterpiece, 「Self-portrait」, excels in extreme-realistic depiction and innovation in composition, and stands out with an unconventional experimentation spirit that expresses his mind and thoughts in a painting with a sense of resentment. His landscape paintings combine to express the form as it is and mental notions, and beautifully embodied Do as a form, thus achieving ihyeongmido, which reached the level of'joyfulness forgotten even the heart of joy'.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ization of the common people using various common people's lives as the subject of an open-mindedness aimed at gaining the facts of ihyeongsajin, a passive protest against corrupt power and an expression of a spirit of love. Since then, his painting style has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 his eldest son Yoon Deok-hee and his grandson Yoon Yong, leading the change and revival of calligraphy a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문묘일무의 사의적(寫意的) 표현과 간고(簡古)의 미학 연구

        박지선 ( Jee Seon Par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1

        문묘일무는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기리는 제사에 봉행하는 춤이다. 이 춤은 공자가 존숭(尊崇)한 성인, 요임금과 순임금이 주고받았다는 ``수수지례(授受之禮)``에서 사상적 배경을 찾으며 육대대무(六代大舞)에 기원을 둔다. 유가사상을 그려내는 문묘일무의 춤사위는 형상보다 정신에 치중하는 사의(寫意)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공자님과 앞선 성인들의 훌륭한 인품을 송축하는 문무의 춤사위는 덕성스럽게, 무사의 씩씩한 기상과 의로운 절개를 치하하는 무무의 춤사위는 위풍당당하게 드러난다. 이처럼 문묘일무는 덕을 밝혀 천지의 조화를 이루는 경지와 맞닿아 있으며, 평화를 기원한다. 춤사위 형상으로 성인의 정신을 그림[以形寫神]으로써 신묘함을 얻어[遷想妙得] 천지인합일(天地人合一)을 염원하는 춤, 이것이 바로 문묘일무이다. 만고불변의 지극한 이러한 뜻은 간략한 형상에 실려 전달된다. 일자일무(一字一舞)의 간결한 춤 형식은 간고(簡古)의 미학으로 나타나며 이 춤의 큰 뜻을 널리 전파하기 적합하였다. 전통춤으로 자리매김한 문묘일무의 사의적 표현과 춤 형식체계의 미적 고찰은 ``옛 것을 익히고 미루어 새것을 안다``는 온고지신의 정신으로, 오늘날의 춤 예술계에 대두되고 있는 소통의 문제를 환기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현재를 위해 근원지를 되돌아보는 이 연구가 오늘을 위한 움직임에 동행하기를 바란다. Munmyo-Ilmu is a dance paying tribute to a ritual memorializing the sages, including Confucius. The dance originates from Yukdae-Daemu of ancient China. The dancing posture of Munmyo-Ilmu focuses on its spirit rather than on the form of the dance, because it depicts Confucian philosophy. As the dance was composed to reflect such deep meaning and philosophy, we say that it uses ``Saeui``-style (spritual) expression. The posture of the Mun-Mu dance, which celebrates Confucius and his preceding prominent saints, represents virtuousness; and the posture of the Mu-Mu dance, which praises the valiant spirit and righteous fidelity of warriors, symbolizes majesty. As such Munmyo-Ilmu, enlightening virtue, reaches a state that evokes harmony of heaven and earth and, furthermore, expresses a prayer for peace. The extreme significance of unchangeable eternity is expressed and communicated to the audience in the form of this simple dance. The one-movement, one-posture style of the brief dancing mode emphasizes the simple aesthetics of ``Gango`` (simplicity & modesty), so the dance is able to impart its essence freely. Today, aesthetic research of Munmyo-Ilmu`s ``Saeui`` (spiritual) style of expression and the dance`s formal Gango system is a good example of a method to inform emerging opinions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through so-called Ongojisin,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 KCI등재

        선비화가 尹德熙·尹愹 父子의 變維的 繪畵審美 고찰

        김도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2

        The three generations of Haenam Yoon, who have been handed down to Gongjae Yoon DuSeo (1668~1715), Yoon DeokHee (1685~1776) and Yoon Yong (1708~1740), were based in Haenam. They had an artistic soul on the stage of Hanyang and succeeded in the art of the family, building a reputation as a family of Seonbi painters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Born as the eldest son of Gongjae and lived at the age of 82, Rakseo learned a variety of studies, calligraphy and painting from his father and Lee Seo. While learning the paintings of the early and mid Joseon period, and accepting the Namjong painting method, he pursued the realism and three-dimensional sense of the subject by adding a Western-style shading method. In particular, he showed outstanding talent in horse paintings and pottery figures, expressing his original 'Beauty that realistically portrays real scenery'. Cheonggo, who was born as the second son of Rakseo and died at the age of 32, was good at Namjong landscape painting using various tree drawing methods. He painted the original Siuido by changing the topical poems, as well as detailed observations and explorations to accurately describe the facts of the object. In addition, 'Beauty showing affection through realistic scenery' was expressed by newly changing and reinterpreting the tendency of home appliances painting to express the spirit as a form beyond the realistic landscape. Rakseo and Cheonggo father and son made a ‘NogUdang’ painting style, drastically changing th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恭齋 尹斗緖(1668~1715)와 駱西 尹德熙(1685~1776), 그리고 靑皐 尹愹(1708~1740)으로 전해져 온 해남윤씨 3대의 화맥과 학문사상은 해남에 본거지를 두었지만, 주로 한양을 무대로 예술혼을 펼쳤고 가법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선비출신 서화 가문으로 명망을 쌓았다. 恭齋의 장남으로 태어나 82세를 살았던 駱西는 친부 및 南人계열 李漵에게서 다양한 학문과 서화를 익혔다. 조선 초·중기 화풍을 섭렵하고 남종화법을 수용하면서 서양식 음영법을 가미하여 대상의 사실성과 입체감을 추구했는데 米法山水, 元末 四大家, 明代 吳派, 董其昌, 淸代 安徽派 등 다양한 화법을 융복합하여 변유적 회화심미를 이루었다. 그는 특히 말 그림과 도석인물화에서 탁월한 재능을 드러냈는데, 博學實得的 가풍에 比德的으로 구현한 독창적 眞景美를 발현하였다. 駱西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32세로 요절한 靑皐는 다양한 樹枝法을 구사한 남종산수화에 능했는데, 물상의 정확한 사실묘사를 위해 세밀한 관찰과 깊은 탐구심, 그리고 화보 화제시의 새로운 詩情을 펼치면서 독창적 구성의 詩意圖를 그렸다. 또한, 가전된 화풍을 변유적으로 재해석하여 眞景을 넘어 以形寫神의 眞情美를 발현하였다. 恭齋를 계승한 駱西와 靑皐 부자의 서민풍속화는 조선 후기 새로운 장로로 자리잡게 되는 등 이들 부자의 변유적 회화심미와 화법은 녹우당 화풍을 이루어 조선 회화풍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한국회화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