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유하는 영화, 에세이영화 -에세이영화의 이론적 접근을 위한 시론-

        이도훈 ( Lee Do Ho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에세이영화에 관한 이론적 지형을 그리기 위한 시도이다. 문학의 에세이가 그러하듯이 에세이영화의 주요 특징은 장르적 실험, 주관성의 표출, 공적인 영역에의 개입으로 정리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총 세 단계로 나누어서 에세이영화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본다. 우선, 문학적 에세이의 전통과 관련해 게오르그 루카치, 막스 벤제,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글을 검토한다. 이들은 에세이가 실증적인 학문의 전통에 반기를 들면서 저자의 사유를 형상화하는 작업으로 정리했다. 다음으로, 1940년대 에세이영화의 등장에 주목한 일부 비평가, 영화감독들의 논의를 살펴본다. 이들은 에세이영화가 지성의 보고이자 매개물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끝으로 1990년대 이후 에세이 영화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한다. 이 시기를 중심으로 에세이영화의 형식적 층위와 내용적 층위 각각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들이 불거졌다. 이처럼 이 논문은 에세이영화의 전통, 출현, 발전과 관련된 논의들을 단계적으로 검토해나가면서 에세이영화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raw a theoretical ground for essay films. As with literary essays, the main features of essay films can be organized into genre experiments, presentation of subjectivity, and involvement in public domain. The body of this text divided into three steps to explore the main features of the essay films. First, consider Georg Lukacs, Max Bense, and T. W. Adorno’s writings on the tradition of literary essays. They explained the essays that configured author’s thought as they rebelled against the empirical academic tradition. Next, take a look at some of the critics and film directors who drew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1940s essay films. They expected the essay film to be the source and medium of intelligence. Finally, consider the arguments surrounding the definition of an essay film after the 1990s. Around this time, the issues surrounding the formal and content layers of the essay film were raised. As a result, this paper aims to form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ssay movies as it examines the traditions,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essay films in stages.

      • KCI등재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 『박문』을 중심으로

        장만호(Jang Man-ho) 韓國批評文學會 2010 批評文學 Vol.- No.36

        This paper examines 박문(B’akmoon), the first magazine specialized in essay and the spread of essay in Joseon literary world at the end of 1930s through the relation with journalism of those days. Through this,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at as essay was actively written and circulated at the request of commercialized journalism, essay was developed as a literary genre and according to this, literary field changed at the end of 1930s. Various names designating similar type of writing began to be fixed as single name between late 1920s and early 1930s. Hereafter, literary magazines, all-around magazines, newspapers and etc. began to publish essays in full-scale and essays was spreading in 1930s. And the first magazine specialized in essay was born. This magazine was published by well-known publishing company B’akmoon Seogwan. The company published essays mainly and inserted advertisements of their publications in between them. It adapted the way of inserting the advertisements of their books between essays subscribers could easily read. The reason B’akmoon chose essays as its public relations magazine is because it did not take long time to write essay compared to novel, drama or poem. It was easy to ask writers and researchers to write essay and to receive essays from them. Other reason is that since readers could easily access and understand essay, the company could enhance the magazine’s readability and accessibility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essay was very close to advertisements of its publications such as book review, book report, preface, personal criticism, etc in the aspect that materials for and form of essay is free. Essay was most suitable genre when the publishing company wanted to dilute their intention of its advertisements while achieving results of advertising by arranging similar type of writings. Not only P’akmoon but most of media companies of late 1930s preferred and mass-produced essay. The characteristics of essay is in that specialist of academic world, doctor, lawyer and ordinary person could become essayist and thi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authors in literature of those period. Group of specialists with knowledge of their fields, cultured persons with contemplative view on life and culture were incorporated into author group. The expansion of author group necessarily leads to the diversity of contents and materials of writings. This phenomenon could be called as ‘appropriation of culture through literature’. Ultimately, essay of late 1930s was developed with the request of journalism and this leaded to the expansion of author group in literature and changed literary filed of those period.

      • KCI등재

        ‘렌즈에세이(Lens Essay)’ 글쓰기 특징과 의미-비교과를 중심으로-

        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3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writing method and the actual case studies of ‘Lens Essay’, which is one of the extracurricular subjects and immersion programs, and attempt to reveal the features and meanings. Lens Essay writing is different from foreign college writing curriculum, so it is not in the discourse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research or education on this has rarely been done. Nevertheless, lens essays have elements and advantages that can be fully utilized in Korean college writing education. I also ultimately emphasize that lens essay writing is a useful and effective way to communicate. Furthermore, I suggest how lens essay subject should be opened in college not only as the extracurricular but also as the regular curriculum. Lens essay writing is a kind of figurative writing, but it is a writing that combines emotion and reason(logic) and reveals it through the lens. Lens essays allow to write individual style and creative writing. In particular, it has value and meaning in that it is useful for lowering the boundaries of scholarship to understand other studies and for converging thoughts and writing. In addition, beyond the standardized writing pattern, there is a wide range to write freely. If the lens essay writing method is used in the curriculum, it is recommended for seniors 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basic course of writing rather than freshmen. On the other hand, lens essay can be used not only for writing but also for speaking. I hope that this paper may contribute to the education and research on writing lens essays. 본 논문은 비교과 몰입프로그램 중 하나인, ‘렌즈에세이(Lens Essay)’에 대한글쓰기 방법과 실제 운영했던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특징 및 의미를드러내고자 한 연구이다. 렌즈에세이 글쓰기는 외국의 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달라서, 국내의 대학 글쓰기 교육 담론 안에 들어와 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대한 연구나 교육이 이루어진 경우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렌즈에세이는 한국의대학 글쓰기 교육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요소와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궁극적으로 렌즈에세이 글쓰기가 의사소통에 유용하고 효과적인 한 방법임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대학에서 비교과뿐만 아니라, 교과로서 렌즈에세이 과목을 어떻게 개설해야 하는지 의견도 제시하였다. 렌즈에세이 쓰기는 비유적 글쓰기의 일종이지만 감성과 이성(논리)이 결합되는 글쓰기이고 그것을 렌즈를 통해 드러낸다. 따라서 렌즈에세이를 통해 개성적인 글쓰기, 창의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다. 특히 학문의 경계를 낮추어 타학문을 이해하고 융복합적 사고와 글쓰기를 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의미가있다. 또한 정형화된 글쓰기 패턴을 넘어 자유롭게 글쓰기를 할 수 있는 폭이 넓다. 렌즈에세이 글쓰기 방법을 교과에서 활용한다면 신입생보다는 글쓰기의 기본과정을 배운, 고학년이나 그 과목을 이수한 학생에게 권장한다. 한편 글쓰기뿐만아니라 말하기에서도 렌즈에세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논문을 계기로 렌즈에세이 글쓰기에 대한 교육 및 연구가 확산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정진권의 수필문학론 연구

        허만욱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본고는 이론의 체제와 내용에 대한 미비와 모호성 때문에 문학으로서의 정 체성을 끊임없이 의심받던 수필문학의 비평적 상황을 보다 일찍이 인식하고, 기존 수필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수필을 언어예술의 측면에서 조명하고 나 선 정진권의 수필이론과 한국 현대수필에서의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정진권은 시나 소설과 같이 수필도 ‘언어의 특수한 구조로서의 문학작품’ 이라는 관점에서 그 이론적 특성을 천착하였다. 아울러 체험의 문학 혹은 일인 칭의 문학을 철칙으로 여기던 당시 수필문단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수필의 허구성 도입’을 주장함으로써 적지 않은 파란과 쟁점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그는 수필에서의 삼인칭시점 수용과 동수필(童隨筆)의 창작을 주장하며 수필문학의 창조적 영역 확대를 위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의 저서 『한국현 대수필문학론』은 학문적인 수필이론에 근거한 작품창작과 비평활동이 자리잡 지 못한 1980년대 초반 문학예술로서의 수필의 이론개발을 앞서서 수행했던 주목할 만한 수필이론서다. 이 책은 다른 문학장르에 비해 그 이론이 매우 소략 한 수필문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나아가 영역 확장을 위한 시도를 개진하고 있 으며, 수필론을 연찬하는 연구자의 논문이라면 어김없이 언급될 만큼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동안 우리 수필론은 수필을 창작하고 전공한 논자들에 의해 개진된 본격 담론이기보다는 문학론의 언저리에서 해석된 문장론이나 수사론, 외국의 것을 소개한 단편적 이론에 불과한 실정이었고, 평론 또한 시평이나 소설평의 여기 정도로 썼던 평자들의 비평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수필이 발전하기 위해서 는 이론정립을 위한 연구자들의 논의와 함께, 기준이나 이론에 근거한 바람직 한 평론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격적 혹은 새로운 수필이론이나 평론가의 발굴 이야말로 한국 수필계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중대한 과제의 하나다. 이런 맥락 에서 정진권 수필론의 탐색은 고무적이다. 특히 그의 수필론이 한국 현대수필 의 문제점을 일찍이 파악하고 실제 집필활동을 통해 수필의 틀과 의미를 기술 하고자 했던 자생적 이론이며, 그가 보여준 끊임없는 실험정신의 진폭이 나름 의 체계와 방향을 가지고 수필문학의 영역 확대를 위해 구축되고 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수필의 특성들이 다양한 수필쓰기의 창조력을 구속하는 규제로 작용하고 있 다면 이는 재고되어야 한다. 더욱이 현대는 영역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장르 에 관한 통념이 해체되면서 타 장르와의 융합, 결합, 연합, 제휴가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다. 수필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 가운데 유연성은 이러한 미래문학 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미래문학으로서 수필은 전통적 문법의 파괴와 전도, 고정관념의 탈피에 의한 신선한 문학적 감수성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필 요성과 맞물린다. 이런 점에서 실험수필의 창작은 유효하다. 지금은 탈 경계를 통한 혁신이 요구되는 시대다. 수필작법의 변화는 결국 수필장르의 미래와 정체성을 구심점으로 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협하는 실험은 가치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수필문학 고유의 원리에 의해 실험다운 실험이 이루어질 때, 한국 수필문학의 확고한 위치와 문학적 영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정 진권과 같이 수필문학에 대한 진지한 고민으로 새로운 기법의 전략과 범주를... In this paper, I will highlight the cr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essay, whose literary identity has long been suspect due to the inadequacy and ambiguity of the system and the contents of the theory underpinning it. To this end, I will examine the essay theory of Chung, Jin-Kyon and analyze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for the modern Korean essay. Like poems and novels, the essay also strives to achieve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literary works, i.e., a special structure of language. At the same time, Chung insisted on introducing the fictitious essay, which was placed in front of the essay paragraph at the time when he regarded the literature of experience or the first person as literary. In particular, he proposed a theoretical acceptance of the third-person viewpoint, which expanded the creative genre of the essay. His book “The Contemporary Korean Essay on Literary Theory” proves that he is a remarkable essay theoretician. Its publication preceded the development of the essay as literature in the early 1980s, when the creation of works based on scholarly essays and critical activities was not yet established. This book, compared to other literary genres, ha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ssay literature which is very abbreviated, and is attempting to expand the field, and if it is a researcher’s essay supporting essay theory, All. In the meantime, our scholarship was not a full-fledged discourse developed by writers who created essays. Instead, it was merely a fragmentary theory that introduced sentence theory, rhetoric, and foreign concepts interpreted from the edge of literary theory. Most of the criticism of the writers that I wrote here is. Therefore, in order for the essay to develop, it is necessary for essay writers to seek favorable critiques of their work based on criteria or theory. Likewise, discussions among researchers should lead to establishing theories. These are the important tasks that Korean essayists should pay attention to, in addition to new essay theories and the excavation of earlier critics. In this context, it is encouraging to explore the quest for enthusiasm. In particular, Chung’s essay theory is autonomous; it grappled early with the problem of modern Korean essay and attempted to describe the essay’s frame and meaning through the activity of writing. The breadth of Chung’s experimental spirit is demonstrated by the system and direction of his essay literature.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say restrict the creativity of essay writers, they should be reconsidered. Furthermore, as boundaries between literary categories break down and myths about genres are dismantled, the essay is beginning to fuse, unite, associate, and ally with other genres. Growing flexibility regarding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the essay indicates the possibilities for the essay’s literary future. The literary essay of the future is associated with the necessity of a new literary form, destruction of traditional grammar, evangelism, and the fresh literary sensitivity that results from moving beyond stereotypes. In this respect, the creation of experimental essays is a valid enterprise. Now is the time for writers to innovate through differentiation, and changes in essay writing should look to the future of the genre and its identity. Experiments that threaten this future are worthless. When experimental works are created utilizing this principle of essay literature, then these works will be able to secure themselves a solid position in Korean essay literature. If there is another theorist and expert essayist like Chung Jin-Kyon who will seek out creative strategies and new techniques, we may still have hope for this genre.

      • KCI등재

        예비 교사들의 과학 논술 쓰기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김미경 韓國生物敎育學會 2011 생물교육 Vol.3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riting a scientific essay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writing a scientific essay. Nine pre-service teachers majored in biolog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practiced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making a essay question, correcting a essay, making the concept map, analysis of problem situations, and wrote scientific essays individually. These essays were analyzed to search for the effect of writing a scientific essay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writing a scientific essay depending on teaching methods, and then elaborated i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findings suggested that writing a scientific essay was a helpful method for enhancing creativity as well as writing ability. The writing itself stimulated thinking, especially influenced creative thinking, which was linked to scientific thinking. And the teaching methods influenced differently writing a scientific essay. This means that many kinds of teaching methods are needed to teach writing a essay. After the experiences of writing a scientific essay, pre-service teachers had a positive understanding writing a essay, but they still had difficulty in writing a integrated scientific essay.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limit essay topics in biology to science-technology and society, bio-ethics, because they thought that controversial issues were appropriated to essay topics.

      • 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의 수필 쓰기 교육의 방향성

        김현정(Kim Hyeon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에서의 수필 쓰기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필이 국문학과 대학 글쓰기 분야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수필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수필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현재, 국내 출판문화계의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수필이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그동안 국문학 분야에서의 수필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로 인해,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수필 쓰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수필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보다는 성찰을 소재로 한 주제적 접근으로만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 안에서 수필의 특성을 고려한 수필 쓰기 교육 방안으로 세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좋은 수필에 대한 깊이 있는 읽기와 감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대화주의적 접근 방식을통해 수필로 쓸 만한 의미 있는 내용을 발견해 보도록 해야 한다. 셋째, 평생필자로서의 성장을 위해 자신의 글을타인과 공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는 수필의 특성을 고려한 수필 쓰기 교육 방향성을제안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ssay writing education in college writing. For this purpose, the position of the essay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and college writingwas investigated. Then,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n essay writing education plan considering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essa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s publishing culture, the proportion of essays is notsmall. Nevertheless, there have not been many academic studies on essays in the field of Koreanliterature. For this reason, although a lot of essay writing is done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it isoften dealt with only as a thematic approach based on reflection rather than an approachconsider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essays.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essay writing education methods were proposed in considerationof the characteristics of essay writing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First, in-depth reading andappreciation of good essays should be made. Second, a dialogical approach should be used tofind meaningful content to write in essays. Third, the writer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shareessay with others in order to grow as a lifelong writ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found in that it proposed the direction of essay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of essays.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에서의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효과와 의미

        이승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4 리터러시 연구 Vol.- No.8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implications of academic essay writing in writing courses at college. In addition, writing of academic essays i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genre to enable college freshmen to recover their interests in writing and to experience the power of writing. There is no reason to emphasize only logical wiring as academic writing in terms of college writing program, which is one of liberal arts and humanistic education. Academic essay is able to provide cherishable experiences to students in that it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freely and to secure logic required by academic writing. This study is based on experiences of actual classes. Likewise, as for the perception of academic essay, students raised questions first and then listened to the explanations on what difference it has from the logical writing- which was the way to approach the conceptual scope of academic essay. In case of academic essay, "I" (which is excluded form logical writing) can be freely exposed, working as the significant element of academic essay. As a matter of fact, academic essay writing has the conditions which help students overcome 'alienation'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in writing classes, in that the usage of "I" (which is ignored by logical writing) can be considerably meaningful. In other words, the genre properties of academic essay is to show "I" freely, different from logical wiring, which implies irreplaceable methodological conditions required to realize originality and also provides positive experiences because students can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feelings, and emotions can be important materials for writing in the boundary of universality which the writing (a genre) has. It's also true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ir personality and creativity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writing genre to unveil their originality. Meanwhile, when it comes to the actual teaching on how to write academic essay, a teacher essentially needs to take precautions against the exposure to excessive subjectivity to pay attention to academic factors which make a writing public implication.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에서의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효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대학 신입생들이 글쓰기에 흥미를 되찾고 글이 갖고 있는 힘을 경험케 하는 글의 장르로서 학술적 에세이 쓰기를 제안한 글이기도 하다. 인문교양교육의 하나인 대학 글쓰기에서 논증적 글쓰기만이 학술적 글쓰기로서 강조될 필요는 없다. 정서와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면서도 학술적 글쓰기로서의 논리성 역시 담보할 수 있는 글의 장르인 학술적 에세이가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논의는 실제 수업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학술적 에세이의 개념에 관해서도 학생들의 질문에 입각하여 논리적 글쓰기와의 차별성을 설명하는 것에서부터 개념의 범주에 접근하였다. 학술적 에세이에서는 논증적(논리적) 글쓰기에서 배제되었던 <나>를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논증적 글쓰기에서 배제되었던 <나>의 활용이 글쓰기 과정에서 유의미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에세이는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소외를 넘어설 수 있는 조건을 갖고 있기도 하다. 요컨대 학술적 에세이의 장르적 조건은 논증적 글쓰기와 다르게 <나>의 드러냄의 자유로움에 있는 것으로 이것은 <독창성>을 이끌 수 있는 대체불가능성의 방법적 조건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글이라는 장르가 갖고 있는 보편성의 장 안에서 자신의 경험과, 감정, 정서 등이 글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 경험의 장을 제공한다. 독창성이 드러날 수 있는 글의 장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개성과 창의성 역시 계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실제 지도법에서 과도한 주관성에 대한 노출의 경계 및 공공적 의미를 갖게 하는 학술적 요소에 대해서는 교수자의 성실한 점검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

        대학생 보고서 작성 학습의 교수자 가이드라인 -소논문 형식의 보고서에 초점을 맞춰

        최준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model of a guideline for instructors that can be referred to” in order for them to effectively teach the information required of their students when it comes to their essay writing. Having done so, we may hope to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overall efficient progress of college students essay writing. By ‘college student essay’ we are referring to a short paper written by a university student, which amounts in length to roughly 5 sheets of A4 paper. The procedure used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is as follows. 1) learn about the definition and types of college student essays, 2) examine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and status of college student essay writing, and 3) present the instructor’s guidelines for the course of college student essay writing. What is necessary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the learning of college student essay writing is as follows: first, a qualitatively distinct essay task should be assigned to learners, based on the cold judgment of the learner's ability to write an essay. Second, in order not to undermine the opinions of the learners, the instructor’s comments on the contents of the essay should be excluded as much as possible, and hie or her feedback should be provid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rmal aspects. Finally, the learner should be encouraged to write and submit a final essay that is better than their original essay, referring to the instructor's feedback. 이 논문의 목적은 실효성 있는 대학생 보고서 작성 학습이 이뤄지기 위해서 ‘참조할 만한 교수자가이드라인의 모델’을 제시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대학 보고서 작성 학습이 전반적으로 명실상부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일조하는 데 있다. 여기서 대학생 보고서란 A4 5매 내외의 분량으로 대학강의에서 작성되는 소논문 형식의 과제를 말한다. 글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보고서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본다. 대학생 보고서 작성 학습의근본 의의와 현황에 대해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보고서 작성 학습이 명실상부하게 진행되도록하는데 ‘참조할 만한 교수자의 가이드라인의 모델’이 질적으로 상이한 세 가지 유형의 보고서에 기초해서 제시된다. 여기서 제시되는 교수자 가이드라인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보고서 작성 역량에대한 냉철한 판단에 기초해서 그에 상응하는 질적으로 구별되는 보고서(요약정리 중심 보고서/느슨한자기견해의 보고서/촘촘한 자기견해의 보고서) 과제를 부여한다. 둘째, 학습자의 주장과 견해가 위축되지 않도록, 내용에 대한 코멘트는 최대한 배제한 채 형식적 측면에 주목해서 피드백을 해준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학습자가 교수자의 피드백을 참조해서 처음 제출한 보고서보다 더 나은 최종 보고서를작성해서 제출하도록 하며, 평점은 단계적 점수를 합산해서 부여한다.

      • KCI등재

        논술 교육의 바른 자리

        이계삼(Lee Gye-sam)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2

        이 논문은 논술 교육의 폐해를 비판하고, 논술고사가 폐지되어야 하는 까닭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필자는 논술 교육은 중등 교육과정에서 시행되는 보편 인문 교양 교육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논술 고사는 상위 30% 학생들의 변별력 확보를 위해 도입되었기 때문에 숱한 반교육적 현상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는 논술 고사 문항을 분석해 보면 알 수 있다. 실제 논술문 작성 과정에서는 단순하고 도식적인 사고가 창의적이고 풍부한 사고보다 더 효과적이다. 문제 유형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이 범하는 작은 실수가 논술문 작성의 큰 방향타를 어긋나게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인생 경험이나 독서 체험, 사회의식을 드러낼 수 있는 레퍼런스를 차단당한 채 작성하는 규격화된 논술문이 학생의 진정한 수준을 드러내지 못한다. 따라서 필자는 논술 고사가 학생들의 인문 교양 형성을 방해하고 있으며, 지적 능력이 아닌 도덕적 덕성으로 ‘교양’의 의미가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논술 고사를 폐지하고 ‘삶을 위한 논술 교육’으로 방향이 전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그 한 예로써 논술 수업 사례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current practice of essay writing education and discuss why the current pattern of essay tests should be abolished. I suggest that essay writing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as a part of the universal liberal arts education. As the current essay test was simply introduced as a way to differentiate the top 30 % of students having academic ability, the practice of essay writing education doesn't match educational purposes, causing a lot of problems. If we analyze the essay test questions, the problems will be revealed clearly. In reality, in the process of essay writing, simple and fixed ways of thinking are more effective than deep and creative ways of thinking. In some cases, minor mistakes made by students not accustomed to the pattern of essay tests may result in the wrong direction of essay writing process. The current essay test also has a definite limitation in that it doesn't reflect students' life and reading experiences or social consciousness, producing standardized and fixed types of essays. Therefore, the current system of essay test doesn't contribute to producing well-educated person and the aim of essay writing education should be to cultivate students' moral virtue, not intellectual ability.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essay writing tests should be abolis hed and redirected toward 'essay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meaningful life'. My own essay writing class will illustrate the point.

      • KCI등재

        논술교육이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영진 ( Young Jin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9 청람어문교육 Vol.39 No.-

        본 연구는 논술교육이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논술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간의 관련성에 대해, 실질적으로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논술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수능 결과에 있어 유의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다양한 이수 방법(목적, 경로 시작시기, 학습횟수, 논술 프로그램 유형 및 내용)에 따라 수능 성적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또한 학생들이 논술과 수능에 대한 어떠한 인식 및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학년도 수능에 응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논술교육 이수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통해 인문계열 학생들이 대입논술고사 준비를 목적으로 사교육 및 공교육을 통해 주 1~2회의 강의 및 첨삭 방식을 통한 지도를 받아 왔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논술교육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 결과에 따르면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은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수능의 전과목에 걸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과목별 최소 13점 이상의 평균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함께 논술교육의 이수방법에 대한 수능 성적의 일원분산분석 결과에 따르면, 목적, 프로그램 유형 및 내용에 대한 수능 성적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논술교육 이수방법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목적과 경로, 시작시기, 학습횟수, 경로와 시작시기, 학습횟수, 프로그램의 유형, 시작시기와 학습횟수, 프로그램의 내용 등에서 상관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흥미로운 점은 목적과 시작시기, 경로와 시작시기, 경로와 프로그램 유형, 시작시기와 프로그램 내용 부분에 대해서는 역상관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의 관계 속에서 주로 중심이 되는 부분은 시작시기인데 이는 시작시기가 언제부터인가가 아니라 얼마만큼 논술교육 이수방법의 요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 집중적으로 수행하느냐가 관건임을 보여주고 있는 자료이다. 논술과 수능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 논술교육은 대체로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논술교육은 특히 수능의 언어 영역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최근 논술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통합교과적 지식`의 습득, 이해분석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에 관련된 부분들이 수능과도 관계가 있음을 고려해볼 때 논술교육을 받는 것이 논술 능력 향상과 더불어, 수능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essay instructions on Korea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KSAT). The main focus is as follows: 1. whether the students who took an essay course show meaningful differences over those who did not 2. whether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essay course make differences in the SAT scores, depending on various methods: aim of essay learning, essay starting time, learning method of essay, type of essay program 3. perceptions and views of students towards the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I carried out a survey of 360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SAT in 2009 to analyze the above three things. After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I analyz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indicate that the students of liberal arts took essay instructions throug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once or twice a week for the S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ll areas of SAT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finished essay courses. The results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 essay instruction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scores. In a correlation analysis on essay instructions, there showed some 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aim of essay learning, essay starting time, learning method of essay, type of essay program. In a survey on cognition of studen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students mentioned that essay instruction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verbal section in the SAT. Given the fact that acquiring the `knowledge of integrated curriculum`, understanding analytical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are related to the SAT, we can see that essay instruc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AT scores as well as improvement on ess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