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 편의시설의 세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조철호 경원전문대학 1995 論文集 Vol.17 No.1

        There are two problems in the present conditions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Korea. First, there are a few items in the law. Second, the facilities must be built on the linear-passage. And because of their spatial limits, it is hard to handle in one law. And because they are scattled in several laws, it is hard to put the law in practice. So to solve this problems, We need integrated guidlines. And to make guidelines, We must prepare two kinds of items. The first is standard-items and the second is detailed-items which is need-ed for making and building the facilities. So,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detailed-items which are the basic materials in preparing integrated guidelines of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KCI등재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우인성,황명환,이홍주 한국가스학회 2019 한국가스학회지 Vol.23 No.2

        According to the Laboratory Safety Act, each laboratory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t conduct safety inspections and diagnosis every year or every two years. At present, the relevant guidelines are not clear,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nspection and diagnosis will become ineffective. In the laboratory, there is a pre-risk factor analysis system for hazardous factors, bu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due to lack of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ers, excessive work, etc. For th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safety field using the Delphi technique, we analyzed the following items: 1. Consideration in applying the Lab Safety Act, 2. Consideration in Lab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and 3. Government policy necessary for Lab. safety.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detailed items, we extracted for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current laboratory safety diagnosis and current law. 연구실 안전법 관련규정에 따라 과학기술분야 각 연구실은 매년 혹은 2년마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의무적으로 실시하여야 하지만, 현재는 관련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 점검 및 진단이 부실화될 우려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와 함께 연구실 현장에서는 사전유해인자 위험분석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수행하는 연구활동종사자의 교육 및 이해부족, 과도한 업무 등으로 인해 시행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실 안전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1. 연구실 안전법 적용시 고려할 사항, 2. 연구실 안전 점검 및 정밀 안전 진단시 고려할 사항, 3. 정부부처에 바라는 사항으로 각 항목을 구성하였고, 세부항목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현재 연구실 안전진단 및 현행법상의 문제점과 대안을 도출하였다.

      • 유사성 비교에서 세부항목 설정 기준

        이규대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2016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Vol.12 No.1

        A copyright evaluation is a way to decide a illegal modification between the original product and the suspected product as modification. The evaluation expert do compare both product as the request list from the coptright association. Then he excludes the comparison item as detail to seeking objective result. This detailed comparison item should have a serious concentraion as it hss a sensitivity for the decision.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and illustrated the detailed item as for actual evaluation materials.

      • KCI등재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지역역량강화사업의 세부항목별 중요도에 관한 연구

        고성일 ( Seongil Ko ),임화순 ( Hawsoon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한 분야인 지역역량강화사업에서 행정, 지역주민,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 주체별 세부항목의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업 시행지침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세부항목별 중요도를 AHP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정된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진행되는 특성상 기존 획일화되고 형식적인 사업이 아닌 효율성과 적절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행정 그룹은 최소한의 지원을 통한 사업 진행과 사업 이후 지역의 자립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역주민 그룹은 사업기간 이후 실제 운영에 있어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문가 그룹은 역량강화부분과 지원강화부분 모두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역량강화사업을 추진할 시 형식적이고 획일화된 계획이 아닌 선택과 집중이라는 측면에서 효율적인 예산 분배와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detailed items for each subject for administrative, local residents, and experts in the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s, which are part of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s. Detailed items were derived through project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expert opinion surveys, and the importance of each detailed item was analyzed using the AHP technique. Due to the nature of proceeding within a limited budget, it was intended to ensure efficiency and appropriateness, not existing uniform and formal projec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administrative group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ocal independence after the project and progress through minimal support, and the local residents group demanded support for actual operations after the project period. In addition, the group of experts recognised the importance of both exper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uilding the necessary capacity as well as the further support for sustained prdg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pon implementing the regional competence program, it is concluded that the efficient budget distribution and operation should be the focus of the program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 of the formal and uniformed planning and operation.

      • KCI우수등재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김보일 한국문헌정보학회 201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2 No.1

        기존에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평가지표는 비효율적 배점 구성과 실제 작은도서관 환경과 괴리된 평가항목 및 세부지표 그리고 작은도서관 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가치 미비 등의 측면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피평가자인 작은도서관의 요구를 반영하여 정량평가에 의한 계량적 평가뿐만 아니라 작은도서관의 기본적 목적과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정성적 평가를 포함하는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안)은 평가방법 및 세부지표의 평가척도 다변화를 통해 작은도서관 자체 운영점검과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자기점검을 위한 평가가 되도록 하였다. The small library evaluation index, which was previously developed and is currently in use, needs to be improved because of two major reasons: inefficient allocation of points along with evaluation items and detailed indicator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actual environment of small libraries; and the lack of value as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ies relevant to small librar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smal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index (draft) that includes not only a quantitative evaluation but also a qualitative evaluation that allows the evaluation of the basic purpose and value of small libraries by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small libraries that are being evaluated. The proposed smal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index (draft) was made to be an evaluation for self-inspection that enables small libraries to autonomously conduct operation evaluation and gauge their level by diversifying the evaluation methods and the evaluation scale of detailed indicators.

      • KCI등재

        정량화에 의한 물리적 하천교란 평가기법의 개선과 적용

        최흥식,심규랑,이웅희 한국습지학회 2015 한국습지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물리적 하천교란 평가방법을 개선하고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개선한 교란평가 기법은 정성적 항목을 정량적인 항목으로 제시하고 이의 근거와 평가 산정식을 제시하였고, 이에 상응하는 평가영역 내 점수를 보다 세분화 하고 수리특성과 지형 변화를 수치모의에 의한 결과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개선된 교란평가방법은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정비하천, 도시관류하천, 산지계류하천의 특성을 가지는 6개의 하천에 적용하여 기존의 평가방법과 개선된 평가방법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상서식환경과 하상재료를 제외한 8가지 평가항목은 HEC-RAS 수치모의 결과를 직접 입력하여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정량적 평가방법의 적용 결과 기존의 평가방법보다민감한 평가 결과를 나타냈으나, 전반적으로 기존의 평가방법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어 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has improved the existed physical disturbance evaluation assessment technique in a river and analysed its applicability. The improvements ar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tems instead of qualitative one by providing the background and their evaluation equations, corresponding detailed itemization of evaluation score, and the direct input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geometrical changes by numerical simul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improved disturbance evaluation techniqu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evaluation results of existed and improved techniques have been carried out by applying to the 6 cases of natural, urban, and mountainous streams. Direct input of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of HEC-RAS enables the evaluation simple for 8 evaluation items excluding the items of habitat environment and bottom substrate. The improved disturbance evaluation technique, which evaluates the degree of disturbance sensitively by the quantitative and detailed itemized evaluations, has been confirmed the appropriate applicability by applying to river systems.

      • KCI등재

        간접 인용 표현의 제시 양상

        최은경(Choi, Eun Kyung)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5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간접 인용 표현의 제시 양상에 대한 연구로서 대학부설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출판한 통합교재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을 가르친다는 것은 문법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문법 항목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실제로 한국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인데, 이 과정을 학습자 모어가 아닌 한국어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복잡한 문법의 경우 세부 문법 항목으로 나누어 어느 것부터 먼저 제시하고 어떤 예문으로 제시하느냐가 중요하다. 한국어교육의 초급 후반에서 중급 초반에 반드시 포함되어 있는 문법 항목 중의 하나인 간접 인용 표현의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자 대학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통합교재를 분석하여 각 교재의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간접 인용 표현을 32개의 세부 문법 항목으로 나누어 각 교재에서 제시된 시기와 순서, 특징을 검토하였다. This essay is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covered by integrated textbooks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KLI), attached to six universities in Korea. Teaching grammar in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ourses mean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features and functions of relevant grammar items, not general grammatical knowledge, and actually use Korean colloquially. These courses are usually lectured in Korean. Therefore, for complicated items, it is important to decide whether which details they are divided into and what order examples they are provided through.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grammar items KLI"s integrated textbooks necessarily contain in the late beginning level or the early intermediate level of KSL. This essay analyses the textbooks and arrang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o study the presentation methods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Especially, for such a purpose, this essay divides the Expressions into 32 detailed items and looks through not only levels and orders in which each textbook shows the items but also their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제도의 실무적 개선방안 고찰

        홍진표 사법발전재단 2019 사법 Vol.1 No.50

        The Constitution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 for due process and the judicial warrant requirements with respect to searches and seizures of digital evidence so as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In order to realize such provisions, as a rule, only electronic information stored in computers or electronic media that are relevant to the suspected crime explicitly stated in the warrant should be selectively searched and seized at the site of the search and seizure. When digital storage media or their forensic copies are taken to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as an exception, they should be returned within the fixed period set by the warrant. Also, electronic-only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suspected crime should be searched and seized selectively by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In executing warrants, the right to attendance in the process of interested persons should be protected. A detailed list of all confiscated items should be provided, and irrelevant information should be discarded or returned by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This paper proposes practical measures for preventing the acquisition of digital evidenc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concrete search protocol within the request for warrants by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so as to reflect the search protocol in the court's issuance of warrants. Also, in order to uphold due process and the judicial warrant requirements, a warrant should provide the standards and procedure of searches and seizures for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and the interested persons. The warrant should inform them (by providing flowcharts or diagrams) to ensure the right to attendance in the process, to serve a detailed list of all confiscated items and to discard irrelevant information. Hopefully, further discussions and consultations between the court and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will unfol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measures proposed in this paper.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에서 디지털 증거의 특성으로 수사기관의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의 집행과정에서 기본권이 침해될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으므로, 수사기관이 개인과 기업 등의 전자정보를 방대하게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와 그 전자정보를 수집, 확보하기 위해서는 헌법과 형사소송법 등이 규정하고 있는 적법절차와 영장주의가 엄격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헌법과 형사소송법의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 절차 관련 규정의 규범력이 집행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법원이 압수수색영장에 특정하여 기재한 범죄사실과 관련된 전자정보만이 현장에서 선별적으로 압수되어야 하고, 예외적으로 저장매체 내지 그 복제본을 외부로 반출한 경우에는 영장에서 명시한 기한 내에 저장매체를 반환하며, 신속하게 피압수자 등의 참여하에 범죄사실 관련 전자정보에 대한 선별적인 압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전자정보에 대한 선별 압수가 종료한 이후에는 지체없이 선별 압수한 전자정보의 상세목록이 피압수자 등에게 교부되고 무관정보를 폐기하여야 하며, 압수한 전자정보에 대한 적정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법하게 확보한 전자정보를 증거영역에서 철저하게 배제하는 것 못지않게 사전적으로 수사기관과 법원이 서로 협력하여 위법한 압수수색절차를 통해 디지털 증거를 확보할 수 없도록 하는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만들어 운용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실무에서 운용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수사기관은 영장청구서에 디지털 증거에 대한 구체적인 집행계획을 제시하고, 법원은 이러한 집행계획을 반영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법원이 발부하는 영장에는 피압수자가 그 영장에 따른 적법한 집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피압수자에게 실질적인 참여 기회를 보장하고, 피압수자로 하여금 압수절차 종료 이후에 지체없이 압수된 전자정보의 상세목록을 교부받게 하며, 수사기관에게 무관정보를 폐기하고 별건 수사 등에 이용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하되, 수사에 방해를 주지 않는 절차도나 흐름도 또는 도표를 이용해 수사기관 및 피압수자 등에게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준수하여야 할 기준과 절차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전자정보를 위법하게 압수수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안전관리비 세부항목의 특성 분석

        이재현 ( Lee Jae-hyun ),정재욱 ( Jeong Jae-wook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In 2022, construction had a five fold higher accident and fatality rate compared to the overall industry.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requires parties in construction contracts to calculate safety costs followi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uidelines. Understanding safety expense components is vital for evaluating accident prevention costs and planning anti-accident strategies. A study surveyed safety professional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safety management expense components, providing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Survey results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safety management plans, structural safety assurance, and preventing collateral damage.

      • KCI등재

        경매절차에서 현황과 공부가 불일치한 건물의 처리방안

        양지정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4

        In the auction procedure, the drawing or area attached to the building ledger and the real estate register of a building for auction object is often interchanged with other buildings. If this disagreement is not resolved, it is a question of whether the object of the auction is a registered building or a building with the front door mark occupied by the debtor. In this regard, it seems that there has been confusion in the conventional practice, but in recent years, buildings recorded in the registers are often treated as auction objects. However, in most cases, the debtor, who thinks that the building marked on the front door is a registered building, purchases the said building as a specific product and occupies it.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the debtor purchased a separate registered building. If so, under the Korean law system where the public confidence of the registration is not recognized, it is impossible to acquire the ownership of the building recorded in the register on the sole basis of the fact that the transfer of ownership is registered. Accordingly, such registr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substantive relationship and is close to the registration of invalidity of cause. In addition, when the owners of each building, including the debtor, recognize that they own a building that displays the front door they have purchased and occupied, the problem is often solved by simply changing the drawing on the register. Nevertheless, uniformly treating the building in the register as an auction object does not meet the intentions of the parties and causes many problems in the process after the real estate delivery order.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Supreme Court ruling on this, I try to find a desirable solution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at is consistent with both formal elements and substantive legal principles. 경매절차를 진행하다 보면 경매목적물인 건물의 건축물대장과 등기부에 첨부된 도면이나 면적이 다른 건물과 서로 바뀌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불일치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 경매목적물을 등기부상 건물로 할지, 채무자가 점유하고 있는 현관문 표시 건물로 할지가 문제 된다. 이에 관하여 종래 실무에서는 혼선이 있다가, 최근에는 등기부상 건물을 경매목적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채무자는 현관문 표시 건물을 등기부상 건물인 줄 알고 특정물로 매수하여 점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그러한 경우 채무자가 별도의 등기부상 건물을 매수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등기의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는 우리 물권법 체제에서 단지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는 사실만으로는 등기부상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으므로, 그러한 등기는 오히려 실체관계에 부합하지 않는 원인무효의 등기에 가깝다. 뿐만 아니라 채무자를 비롯한 각 건물의 소유자들이 자기가 매수하여 점유하고 있는 현관문 표시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간단히 공부상의 도면만 바꾸어 주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률적으로 공부상 건물을 경매목적물로 하는 것은 당사자들의 의사에도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인도명령 및 이후 과정에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한 대법원판결을 기초로 하여, 형식적인 요소와 함께 실체법적인 법리에도 부합하는 실무적인 관점에서의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