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DEA 및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소매 대리점의 정태적/동태적 효율성 평가

        김명종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회계정보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static/dynamic efficiency of Korean retail stores by utilizing DEA and DEA-WINDOW models and develop the strategies for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inefficient stores. 20 retail stores of a welding Corporation were selected as DMUs and three inputs(number of employees, rental expense, number of item) and two outputs (sales and number of customer) are used for develop the both models to estimate the static/dynamic efficiency. The data is obtained from 20 retail stores over the time period of 3 years from the years 2012 to 2014. The major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A model estimates the static efficiency of 20 retail stores and shows that the primary cause of inefficiency was pure technological efficiency rather than scale efficiency. Second, As the result of the trend and stability analysis of dynamic efficiency by using the DEA-WINDOW, the trend analysis shows that dynamic efficiency over the sample period is on the decline trend and the stability analysis shows that the more efficient DMU seem to have more stable in efficiency changes. 본 연구의 목적은 DEA 및 DEA-WINDOW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소매대리점들의 정태적 효율성과 동태적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 제고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H금속의 20개 소매대리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효율성 측정을 위하여 3개의 투입변수(직원수, 임차료, 상품수)와 2개의 산출변수(매출액, 고객수)를 선정하였다. 데이터는 20개 대리점으로부터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3개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산출지향 DEA 모형을 통하여 20개 대리점의 연도별 정태적 효율성을 측정하였으며, 효율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규모효율성보다는 순수기술효율성에 있음을 분석하였다. 둘째, DEA-WINDOW 모형을 활용하여 동태적 효율성 변동추이를 분석한 결과 분석기간 동안 동태적 효율성이 감소하는 추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효율성의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높을수록 효율성의 변동이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웹기반 효율성 분석시스템 개발

        박만희(Park, Man Hee) 글로벌경영학회 2021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8 No.2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자료포락분석)는 생산함수에 대한 가정 없이 다양한 조직의 효율성을 분석할 수 있는 비모수적 분석기법이다. DEA가 가진 장점으로 인해 지난 40년 동안 효율성 분석 기법으로 꾸준히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DEA 분석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무료 DEA 소프트웨어의 경우 분석모형이 부족하고 R 패키지의 경우 프로그램밍 기법을 학습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양한 DEA 분석모형과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추이분석을 지원하면서 별도의 설치와 환경설정이 필요 없는 웹기반 효율성 분석시스템을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 개의 투입 요소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산출물을 생산하는 조직의 효율성 분석을 지원할 수 있는 웹기반 효율성 분석시스템인 WebDEA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WebDEA 시스템의 주요 특징과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성 점수에 있어서 유일한 순위를 제공할 수 있는 Super Efficiency 모형, Cross Efficiency 모형, Bootstrap DEA 모형을 지원하고, 음수 값을 가지는 데이터의 효율성 분석을 위해 SORM(Semi-Oriented Radial Measure) 모형을 지원한다. 둘째, 시간의 변화에 따른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기능을 제공하고 변화추세를 파악하기 위해서 DEA Window 분석과 Malmquist 생산성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셋째, 데이터 입력과 분석결과 관리 편의를 위해 엑셀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분석결과에 대해서 line, bar, scatter, radar chart 기능과 그래프 저장 기능을 제공한다. 넷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도움말 기능과 반응형 메시지 처리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웹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설치나 환경설정 없이 시스템 이용이 가능하다. DEA 분야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WebDEA를 활용하여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양질의 연구성과가 창출되기를 기대한다.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is a non-parametric analysis method that can analyze the efficiency of various organizations without assumptions about the production function. Due to the advantages of DEA, it has been continuously used as an efficiency analysis technique for the past 40 years, and various DEA analysis softwar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e case of free DEA software, the analysis model is insufficient, and in the case of the R package, there are disadvantages of learning programming techniques. Therefore, it would be very helpful to provide researchers with a web-based efficiency analysis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separate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while supporting various DEA analysis models and analysis of changes i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this work, we develop WebDEA, a web-based efficiency analysis system that can support the efficiency analysis of organizations that produce multiple outputs using multiple input elements. The main features and functions of the WebDEA syste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upports the Super Efficiency model, the Cross Efficiency model, and the Bootstrap DEA model that can provide a unique ranking in the efficiency score, and the SORM (Semi-Oriented Radial Measure) model for the efficiency analysis of data with negative values. Second, DEA Window analysis and Malmquist productivity analysis functions are provided to provid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 functions over time changes and to identify changes. Third, it provides an Excel interface function for data input and analysis result management convenience, and provides line, bar, scatter, radar chart functions and graph storage functions for analysis results. Fourth, it provides a help function and a responsive message processing function to improve the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 Finally, by providing web-based applications, the system can be used without installation or configuration. It is hoped that researchers interested in the field of DEA will use WebDEA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to facilitate research related to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 and create high-quality research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삼각분포를 기반으로 한 가중치 제약 DEA-AR 모형에 대한 연구

        음상원,안철옥,임호순 한국기업경영학회 2019 기업경영연구 Vol.26 No.2

        This paper propose a DEA-AR model using stochastic weight bounds. The existing DEA-AR study usually constraint the weight in deterministic way, so it limits the evaluate performance with uncertainties inherent in real worl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various DEA-AR models have been developed considering uncertainties, but it has limit that existing DEA-AR models only consider uncertainties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DEA-AR model with statistical constraints on the weights by using triangular distribution and experimented the model by changing the parameters of the model using gas station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he efficiency score using proposed DEA-AR model with efficiency score using existing DEA-AR model when the lower value of the constraint exists at a certain level. 본 연구는 기존의 DEA-AR 모형에 가중치에 통계적인 제약을 가한 새로운 DEA-AR 모형을 제안한다. 기존의 DEA-AR 연구는 가중치를 확정적(deterministic)으로 제약을 가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내포된 현실에서의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고자 불확실성을 고려한 DEA-AR 모형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는 입, 출력 변수의 불확실성만을 고려하는데 그쳤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삼각 분포를 이용하여 가중치에 통계적 변동성을 고려하여 제약을 가한 새로운 DEA-AR 모형을 개발하여 실제 주유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형의 모수를 변경해가면서 모형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약식의 하한값이 일정 수준 유의할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의 결과값과 기존의 DEA-AR 모형의 결과값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DEA-BSC모형을 이용한 지역농협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서병덕,홍동현,한수전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4

        농협중앙회가 지역농협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종합경영성과평가의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지역농협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DEA-BSC 방법에 의한 평가방법을 실증분석하였다. DEA방법을 이용하여 지역농협의 전체적인 효율성을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 등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종합경영성과평가의 결과와는 상당히 다른 결과를 볼 수 있었다. DEA 평가방법이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EA-BSC 방식을 이용하여 지역농협의 평가를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관점, 학습과 성장관점, 재무관점 등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문제점이 발견된 지역농협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DEA-BSC에 의한 평가와 종합경영성과평가를 비교한 결과 두 평가방법에서 상당한 불일치점을 찾을 수 있었다. DEA-BSC 방법에 의한 평가는 지역농협의 비효율성의 원인을 찾아내어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 평가방법에 대한 전향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Based on the financial statements (for the period from 2007 to 2010) of regional NH cooperatives in Gyeonggi-do, this research measured the capabilities (efficiency, profitability from the viewpoint of BSC) of the regional NH cooperatives through efficiency evaluation by DEA method, efficiency evaluation by viewpoint by BSC-DEA metho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iciency based on the four-year averaged figures of the financial statements showed that the number of efficient Nonghyup was 53 (67.9%), and the efficiency rate was 98.32% (variation coefficient:3.79%) and the entire regional NH cooperatives were found to have over-input of about 1.68% in input variable on the averag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and earnings of scale, showed that the number of regional NH cooperatives in the CRS stage was 53 (67.95%), the number of those in the IRS stage was 15.5 (19.87%), and the number of those in the DRS stage was 9.5 (12.18%).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iciency in each viewpoint of DEA model and BSC-DEA model showed that they were found to be nearest to the efficiency(92.24%)of L-P viewpoint(4year-average of the entire efficiency:97.06%), and P-C viewpoint showed in-between difference. The variables of P-C viewpoint such as the number of cooperative members, semi-members, personnel, and capital and the process variables such as selling an dad ministrative expenses, educational support expenses, and fixed assets are presumed to have been adjusted(merger or shutdown)to a certain extent. Meanwhile, C-F viewpoint was found to show the greatest difference among the efficiency of DEA model and BSC-DEA model, showing that the customers of DMU, that is, service providing activities for the members and emi-members of cooperatives make bi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tributing to profit and loss. Finally,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iciency with integrated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NH cooperatives whose efficiency evaluation agreed with the integrated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4-year average was only 48 (61.5%). The reason for this discordance was that the current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depended heavily on non-financial factors. Accordingly, this research discussed the need to introduce new evaluation methods in consideration of current manageri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evaluation methods of business performance of regional NH cooperatives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both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can be considered, and it could be seen that DEAevaluationmethodcouldbeanalternative.

      • KCI등재

        DEA-AR 및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효율성 분석

        안은주(Ahn, Eun-Ju),박성민(Park, Sung-Min),김성수(Kim, Sungsu),김채복(Kim, Chae-Bogk) 한국산업경영학회 2019 경영연구 Vol.34 No.4

        지식이 중요시되는 현대사회에서 공공영역의 연구 성과를 기술이전이나 사업화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연구 기관 및 대학연구기관에서의 기술이전 성과 및 효율성을 분석하여 연구기관의 특성별 기술이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KOSIS 국가통계포털에 제시된 산업통상자원부의 「공공기술이전 사업화 현황조사」 및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 보고서」에서 분류된 8개의 연구기관 및 대학의 기관 특성에 따른 기술이전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DEA 및 AHP 모형을 사용하였다. 정량적으로만 평가되던 DEA 분석에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통한 정성적 평가를 추가한 DEA-AR 모 형을 통해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CCR, BCC 및 DEA-AR 모형의 일정시점에서의 분석만 가능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시계열 분석이 가능한 DEA-WINDOW 모형 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된 기관의 특성별 운영 효율성 평가 결과는 비효율적인 기관이 효율성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modern society where knowledge prevails in every area, it is important to create new value by transferring or commercializing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public dom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echnology transfer in public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echnology transf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8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classified in the 「Public 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Status Survey」 presented by KOSIS National Statistical Portal, DEA and AHP models were used. An in-depth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DEA-AR model, in which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surveys for an expert group was added to the DEA analysis, which evaluates only quantitativel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AHP and DEA-AR models can be analyzed only at a certain point in time, the DEA-WINDOW model analysis, which enables a time series analysis, was further performed. The evaluation results for operational efficiency b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stitute could be a foundation for efficiency improvement efforts for inefficient institutions.

      • KCI등재

        DEA 모형을 이용한 한국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 중소기업의 운영 효율성 분석

        안은주,김성수,박성민,김채복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3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SMEs manufacturing broadcast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market is already saturated and has reached maturity and has faced growt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manufacturing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equipment. This study produced analysis results through DEA-CCR, DEA-BCC, and AHP/DEA-AR models that analyze data at a point in time, such as most efficiency analysis studies. In addition, DEA-WINDOW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three years, 2016, 2017 and 2018. Differences in efficiency analysis results by model were provid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existing CCR and BCC models, multiple companies appeared efficiently by reflecting the same weights in all input and outpu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HP/DEA-AR model, which applied expert opinions using AHP as variable weights, resulted in more stringent results. Through the DEA-WINDOW model analysis, results that can determine trends in the long-term concept of changes in stability and efficiency of companies by year were also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iscovering target companies for benchmarking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omestic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equipment manufacturing SMEs operations and to conduct efficient management. 본 연구는 방송 및 무선 통신장비 제조 중소기업들의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통신서비스 시장은 이미포화상태이며 성숙기에 도달하여 성장정체기에 직면했다. 따라서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 중소기업의 경쟁력을강화하기 위해서는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나 이에 대한 운영 효율성 분석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데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효율성 분석 연구는 한 시점에서의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였으나, 본 연구는 기존의 DEA-CCR, DEA-BCC 모형을 통한 분석결과와 AHP/DEA-AR 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2016, 2017, 2018년의 3개년도 자료를 토대로 기업의 동태적 효율성 변화를 분석한 DEA-WINDOW 모형의분석을 모두 진행하고 이에 대한 차이점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CCR, BCC 모형의 경우 모든 투입및 산출변수에 같은 가중치를 반영하여 다수의 기업이 효율적으로 나타났으나, AHP를 활용한 전문가의 의견을토대로 실제 기업 운영의 실정을 반영한 변수 가중치를 적용하자 효율적 기업의 수가 줄어든 엄격한 결과가도출되었다. 더불어 기업별로 벤치마킹 대상과 효율성 증가를 위한 변화가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였다. DEA-WINDOW 모형 분석을 통해 연도별 기업의 안정성과 효율성 변화에 대한 장기적 개념에서의 추세를 판단할수 있는 결과 또한 도출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 중소기업 운영의 효율성 향상을위한 벤치마킹 대상 기업 발굴 및 효율적 경영 수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회귀분석을 이용한 AR 결정 및 지하철 효율성 평가

        심광식,김재윤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6

        We analysis the efficiency of Korean rail transit corporations using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 as an optimized hydraulic model evaluating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DMU) operated with the same goal evaluates efficiency with input variables and output variables of DMU.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implemented to acquire the dependence of the variables after choosing candidates for input and output variable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hands-on workers from rail transit corporations and experts to choose optimized input and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earnings from transportation, operating skills and the number of vehicles are chosen as the variables. There are CCR model and BCC model in DEA model. DEA-AR model confining the extent of weight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which basic model has. DEA-AR(R) model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suggested as a new model confining the weights in this thesis can be applied in case of multiple inputs and single output variables and can also be used when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variables exists. The methods to designate the extent of AR is to set the weights in accordance with influence on output variables of input variables by using regression coefficient produced a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coefficient determination. Regression coefficien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to indicate how much the alteration per unit of the relevant independent variables affects that of the dependent variables whe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are fixed. Therefore, the ratio(regression coefficient ratio) among regression coefficients in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can be regarded as the ratio of relative influence on dependent variable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The value of efficiency of DEA-AR model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veloped in this research and the value of efficiency of DEA-AR model using AHP which is a method confining the weights have been compared to verify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As a resul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s over 0.958 and the results of Mann-Whitney test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verage efficiency. AR designation method newly used in this research to measure efficiency of subway operating agencies as a method confining the weight of DEA-AR model can also induce appealing results because DEA-AR(R) model and DEA-AR(AHP) model show similar results. To verify DEA-AR(R) model in this thesis, evaluations on the efficiency of the subway operating agencies in 6 major cities in the nation have been made and the results show that Seoul Metro and other subway operating agencies connecting metropolitan areas are relatively efficient. They indicate that policies focused on transferring and connecting routes between subway lines and other public transportations as an alternative to augment the amount of output elements by using limited input elements need to be established first. They also show that more improvements can be made through a moderate level of input increases because most subway operating agencies make increasing scale earnings. The results of analysis of efficiency suggested in research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ubway operating agencies in the nation attempting to obtain the rise in efficiency. 본 논문은 DEA 모형을 사용하여 2006년부터 2008년의 3개년 동안 국내 지하철 운영기관 6곳의 효율성을 비교․평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DEA-AR(R) 모형은 다중투입과 단일산출변수일 경우 적용가능하며, 변수 간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할 경우 사용할 수 있다. AR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로 제시된 회귀계수와 회귀결정계수 값을 이용하여 투입변수들의 산출변수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DEA-AR(R) 모형의 효율성 값은 기존의 가중치 제약을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던 AHP를 이용한 DEA-AR 모형의 효율성 값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EA-AR(R) 모형과 DEA-AR(AHP) 모형은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 지하철 운영기관의 효율성 측정을 위해 새롭게 사용한 AR 지정방법도 DEA-AR 모형의 가중치 제약을 하는 한 방법으로서 설득력 있는 결과를 도출한다고 할 수 있다. DEA-AR(R)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국내 6개 대도시 지하철 운영기관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서울메트로 등 수도권과 연계된 지하철 운영기관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정된 투입요소를 이용하여 산출요소의 양을 늘리기 위한 좋은 대안으로 지하철 노선 및 다른 대중교통 수단과의 환승 및 연계 노선 강화 정책을 우선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철운영기관 대부분이 체증규모수익인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수준의 투입증가를 통해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 제시된 효율성 분석결과는 효율성 상승을 도모하는 국내 지하철 운영기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