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박민정 ( Min Jeong Park ),성열관 ( Youl Kwan S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Curriculum Inquiry, 교육과정연구에 발표된 논문 799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에 대한 분석결과, 북미에서는 교육과정 이론 탐색,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등 의 연구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교육과정 이론,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등의 영역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연구동향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동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주도 하에 교육과정이 개발되면서 교육과정 학자들이 비중있게 참여하면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온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북미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정책적으로 교사들의 교육과정 결정권이 확대되고 교육과정 재구성이 강조되면서 교사들의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북미에서는 탈실증주의 담론에 대한 연구 비중이 높은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탈실증주의 담론이 활성화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탈실증주의 담론의 교육과정 연구는 인문학, 예술, 사회이론 등에 대한 상당한 이해를 요구하는데, 간학문적, 다학문적 연구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연구풍토를 고려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탈실증주의 담론의 교육과정 연구는 수용, 확산되기에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북미의 경우 질적연구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문헌/이론연구가 가장 많았다. 북미와 우리나라가 공통적으로 연구방법론의 활용이 제한적임을 보여주는데, 이는 교육과정 연구방법론에 대한 학문적 축적과 공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a total of 799 research articles fro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N=305) and Curriculum Inquiry(N=129) from the north America, and Korea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N=365)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areas`` and ``method.``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and each articles in the journals were coded to one of six research areas and one of three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JCS and CI have been most focused on curriculum theorizing, followed by teacher professionalism in curriculum, and then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 however,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theorizing,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curriculum have been relatively popular research topics in curriculum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the prevalence of research rela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low research in a post-positivistic approach to curriculum, and the recent increas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curriculum.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in Korea, several issues were raised as: overuses of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low use of qualitative methods compared to JSC and CI. It suggested that unbalanced uses of methods should be improved further.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 2000년~2011년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최현주(Choi, Hyun Ju),김정원(Kim, Jung W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및 등재 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총 156편의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유아교육과정·지침서 및 활동자료집 분석,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수·수업연구, 유아교육과정 이론, 유아교육과정 연구방법론 등의 순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최근 10년간 이루어진 유아교육과정 연구들의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이었으며, 다음으로 문헌·이론연구와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 등의 순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질적연구방법은 유아교육과정·지침서 및 활동자료집 분석 영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문헌·이론연구방법은 대부분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과 유아교육과정 이론 영역에서 활용되었다. 양적연구방법은 교사의 유아교육과정 전문성 영역, 유아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영역, 교수·수업연구 영역 등의 순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areas' and 'research method' of 156 journal articles published during 2000~2011 peri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and each articles in the journals were coded to one of seven research areas and one of four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areas', early childhoo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have been most focused on curriculum development, followed by content analysi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ctivity book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method' has revealed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most, and then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ere applied the less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ve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The prevalence of research rela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low research in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method, and recent increas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area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qualitative method has been increased recently and literature review method decreased.

      • KCI등재

        지역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이도영,최류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5

        To explore the trends of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25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the curriculum guidelin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urriculum’s timing of applic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area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continued to increase since the thesis applied with the sixth curriculum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SSecon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he number of studies dealing with elementary school level was the highest, an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human subjects, the number of studies on teachers was the highest. Third, analyses and comparative studies on curriculum guidelin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had the highest proportion while studies on implementation and reality, development, and design had similar proportions. Studies on theory and concepts were also included. Fourth, literature research accounted for about half of all researches, and qualitative research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recent times. Fifth, the research suggestions raised the issues of the nature and authority of the local curriculum and the regional curriculum’s document system, the contents of its development system and governance,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and support for its implemen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to expand the regional curriculum’s research areas, diversify its research subjects, and review its roles and authority.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지침 관련 학술논문25편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적용 시기, 연구대상,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제언이라는 다섯 가지 기준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제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논문에서 시작하여 최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이르기까지 연구 편수가 지속적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두 번째, 학교급에 따라 분류하면, 초등학교급을 다룬 연구수가 가장 많았고, 인적 대상에 따르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세 번째,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지침에 관한 분석 및 비교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실행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개발 및 설계에 관한 연구가비슷한 편수로 다루어졌으며, 비중은 적으나 이론 및 개념에 관한 연구가 포함되었다. 네 번째, 문헌 연구가 절반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최근 질적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섯 번째, 연구의 제언으로는 지역 교육과정의성격 및 권한, 지역 교육과정 문서 체제, 지역 교육과정 개발체제 및 거버넌스에 관한 내용, 지역 교육과정에 관한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지역 교육과정의 실행지원에 관한 내용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지역 교육과정 관련 연구 영역의 확대, 연구대상의 다양화, 지역 교육과정의 역할 및 권한에 대한 합의 등이 필요함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육과정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 Okhan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과정연구 논문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330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10년 전(2000-2010)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경우 총 59편(18%), 교육과정 이론은 총 65편(20%), 둘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문헌 또는 이론연구가 총 209편(63%)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총 85편(26%), 양적 연구가 총 36편(11%)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과거 10년(2000년~2010년)과 현재 10년(2011년~2020년)을 비교한 연구 동향은 전체 논문 편수는 10년 전총 365편에서 10년 후(2011-2020) 총 330편으로 35편(10%) 감소하였다. 연구주제별로 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분야가 총 64편(52%) 감소하였다. 문헌 및 이론연구의 경우 총 34편(14%)이 감소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경우 총 12편(50%)이 증가하였고, 질적연구의 경우 총 12편(12%) 감소하였다. 향후 교육과정연구 학회지뿐만 아니라 한국통합 교육과정학회, 교육학회 등 인접 학회지와 비교 연구와 더불어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도 있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330 curriculum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and compare these with research trends 10 years ago to stud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by subject for 10 years were 59 articles (18%)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and 65 articles on (20%). Second, in the same 10-year period of the curriculum journal research trends relating to methodology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with 209 articles (63%) on the literature and theoretical studies, 85 articles (26%) involving qualitative studies, and 36 quantitative studies (11%). Third, another research trend emerged when comparing the past 10 years and the current 10 years of the curriculum journal. In the first decade examined, 365 articles were published, whereas 10 years later 330 were, indicating a decrease of 35 (10%).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journals for curriculum research, but also book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comparative studies with adjoining journals such as that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Education.

      • KCI등재

        소크라테스 대화법 관련 교육연구 현황 분석: 2015년-2022년까지

        이지윤,정대련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Socratic Dialogue method,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upcoming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Methods The study involved analyzing 130 scholarly articles and thesis related to the Socratic method in education, published between 2015 and December 2022. Initially, the research classified by the types of studies according to school grades and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ir current state. For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further categorized research types based on content, examining the status of applied subjects, research topics, and the use of literature and models. Results Firstly, the research types were predominantly literature studies. In particular, literature studies were prevalent in joint or elementary and high school-targeted research, while quantitative studies were common for early childhood and qualitative studies for middle school. Secondly, out of 130 studies related to the Socratic method, 72 were classified as basic research, mainly focusing on ‘general education’ and ‘moral’ subjects. In practical research, ‘moral’ and ‘philosophy’ subjects were commonly applied, especially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rdly, upon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models used in the research, basic research most frequently utilized ‘Dialogues’, focusing on educational implications like ‘teaching methods’⋅’teacher's role’⋅‘educational objectives’⋅‘content’. They emphasized educational objectives such as ‘truth-seeking’⋅‘knowledge’⋅‘unity of knowledge and action’⋅‘wisdom’, using key concepts from the ‘Dialogues’ and frequently analyzing the Elenchos method of Socratic dialogue. In practical research, over 50% reported results from conducting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Socratic method since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in anticip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in 2024). It provides foundational research materia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subsequent studi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목적 본 연구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시행을 앞둔 현시점에서 소크라테스 대화법과 관련한 교육 연구 현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두고 있다. 방법 2015년부터 2022년 12월까지 발표된 교육분야의 소크라테스 대화법 관련 학위논문 및 국내 학술지 자료 130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1차적으로 유⋅초⋅중⋅고등학교 학교급에 따라 연구유형을 분석하였다. 2차적으로 연구유형을 연구내용에 따라분류하여 적용 교과 현황, 연구주제, 활용 문헌과 모형들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유형은 전반적으로 문헌연구에 편중되어 있었다. 특히, 공동 또는 초등 및 고등학교 대상 연구들에서 문헌연구의비중이 높았으며, 유아 대상으로는 양적연구가, 중학교 대상으로는 질적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소크라테스 대화법 관련 연구130편 중 72편은 기초연구로 분류되었으며, 주로 ‘교육전반’, ‘도덕’교과에 집중되어 있었다. 실천연구의 경우, ‘도덕’과 ‘철학’ 교과에 주로 적용되고 있었으며, 특히 유아 대상으로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의활용 문헌과 모형을 검토한 결과, 기초연구에서는 「대화편」을 가장 많이 활용하며, 「대화편」의 교육적 함의, 즉 ‘교수방법’, ‘교사상’, ‘교육목적’, ‘교육내용’ 등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었다. 또한「대화편」에 나타난 핵심개념을 활용하여 ‘진리추구’,‘지식’,‘지행합일’,‘지혜’를 교육목적으로 강조하고, 소크라테스 대화 전략 중 엘렌코스(Elenchos)방식을 가장 많이 분석하고 있었다. 실천연구에서는 50% 이상이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실시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2024년)에 앞서, 2015년 교육과정 개정 이래 소크라테스 대화법과 관련된 교육연구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적 연구 자료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광고홍보학 교과과정으로서의 질적자료분석방법: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중심으로

        장안리 한국PR학회 2022 PR연구 Vol.26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ich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would be more suitable for PR undergraduates and to suggest ways to teach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 with 29 students who have learned either Grounded Theory or Thematic analysis methods in the research methods course. Results Findings show that participants found way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teresting, and became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in the process of applying specific methods. However, they felt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was not easy because they were un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and found the data analysis part particularly challenging. Students perceived Thematic analysis as less challenging than those who learned Grounded theory; and by learning the entire process of research, students ear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which lead to positive experiences in learn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erms of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graduate students, allowing students to practice various methods led to the elimination of prejudice against qualitative research and provided them an opportunity to grow as researchers. Moreover, the findings suggest teaching lesser challenging methods and focusing on repetitive analysis practice to boost confidence in research method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offers what needs to be focused on and the proportion of the course contents that would strengthen what students found most challenging. Implications and topic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sugges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홍보학 전공생들에게 적합한 질적자료분석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 탐색적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9명의 홍보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과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을 각각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질적연구 자체의 특징에서 흥미를 발견하였으며 실제 체험을 통해 연구자로 성장하였고,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 도구로서 객관성 유지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적연구 실습 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낯설음에서 오는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데이터 분석의 어려움을 느꼈다. 연구결과 참여자 들은 주제분석방법의 난이도가 낮다고 인식하였고 연구를 모두 마무리했을 때 성취감, 자신감을 느껴 전반적으로 연구방법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질적연구방법의 교수법에 있어서는 질적연구방법을 실제 사용하게 함으로써 방법론에 대한 편견을 해소시키고 자율적 학습과 실전을 통해 질적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쉬운 분석방법 위주의 지도와 반복적 연습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처음 접하는 홍보학 전공생들이 연구방법론을 배우면서 느꼈던 어려움을 근거로 향후 교수법 측면에 있어 질적방법론 수업에 적절한 내용, 구성, 비중 및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학습 독자에 대한 질적 연구 방법 고찰

        진선희 청람어문교육학회 2006 청람어문교육 Vol.33 No.-

        <초록> 학습독자에 대한 질적 연구 방법 고찰 - 문학 반응을 중심으로 - 진선희 본고는 학습독자의 문학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가 지향해야 할 접근 방법을 몇 가지로 정리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문학 체험 연구의 활성화와 그 연구 결과의 축적 및 문학교육과정의 체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문학교육과정의 설계와 실천의 효율화를 위한 문학 체험 연구 가운데 학습독자의 문학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가 지향해야 할 접근 방법을, 1. 목적 및 주제 인식에 의한 구성적 특성, 2. 자료 수집 방법의 상황맥락 중심성, 3. 자료의 기술 및 분석과 해석의 귀납적 특성. 4. 연구 문제 및 방법 간의 순환성과 발견 지향성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학습독자의 문학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연구의 방법 또한 보다 구체적이고 미세하게 설명되고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문학 체험 연구 수행과 그 결과의 축적에 따라, 그리고 그에 대한 메타적 연구의 활성화를 바탕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on Learning Readers Jin, Sun-hee This dissertation arranged the approaching method that researchers have to pursue in the qualitative research on literary response of learning reader. Based on this, I wish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literary experience, accumulation of the result of the study and systematization of literary education process. Especially, the approaching methods which researchers have to pursue in the qualitative research on literary response of learning reader among the research on literary experience for design of literary education process and efficiency of practice are investigat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1. structural property by objective and recognition of theme, 2. centrality of situational context of method to collect materials, 3. description and analysis of materials and inductive property of interpretation, 4. research issue and circulation between methods and fixed direction of discovery. To ensure the continuous qualitative research on literary response of learning reader, it is required to concretely and minutely explain and discuss the method of research. However, this may be explained more concretely as per performance of research on literary experience and accumulation of the result and on the basis of activation of Meta research for it.

      • KCI등재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의 최근 동향: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김래영,김구연,권나영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학교수학 Vol.14 No.3

        본 연구는 방법적 조사 연구로서 최근 10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을 다룬 연구물 124편을 분석함으로써 연구 설계 및 방법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최근 들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과학적·실증적 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과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기보다는 기존 자료를 재정리하거나 객관적 근거 없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연구물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문제, 이론적 배경,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론이라는 구성 요소별로 분석하였을 때도 이들 요소간의 유기적 관계를 통한 연구 설계의 엄밀성, 일관성, 객관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다수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교육과정을 다루는 연구에서 연구 윤리 및 연구 방법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함과 더불어 개선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research design and methods used in research on K-12 mathematics curriculum. By analyzing 124 peer-review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0, we concluded that more rigorous and various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educational research on curriculum. Although increasing scholarly attention has recently been given to systematic empirical studies about this topic, a large proportion of the studies examined in this study appeared to lack either a coherent conceptual framework or a systematic analytic tool or method. More effort needs to be made on improving the rigor of research in terms of research design and methods.

      • KCI등재

        질적연구에 대한 선입견 및 앞으로의 과제: 광고홍보학과 재학생들의 생각 중심으로

        장안리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urses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curriculum and ways in which PR undergraduate students vie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Results Analysis of 1:1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with 23 students using Thematic Analysis show that they have thought of qualitative research as difficult, not objective because it does not use numbers; and not necessary to learn because they were unfamiliar with the particular method. However, after taking the course their perception changed to that of systematic and in-depth. During the learning process students were found forming research questions, choosing topic appropriate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analyzing data challenging. After learning the qualitative research, students viewed it as a functional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ous situations, suggested increasing exposure to PR majors, and offering advance course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 to resolve negative biases towards qualitative research, suggestion for course contents to increase students skills and better prepare them for the field are provided as well as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목적본 연구에서는 광고홍보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질적연구에 대해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수업을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연구방법론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았다. 방법23명의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 및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연구 결과 수업을 듣기전 학생들은 질적연구는 어려운 연구방법, 수치를 사용하지 않아 객관적이지 않는 연구방법, 전혀 모르고 있어 필요하지 않은 방법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업을 들은 후에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방법으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을 배우는 단계에서 학생들은 연구주제와연구질문 설정 및 데이터 분석을 어렵게 느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연구는 활용도 높은 연구방법이기때문에 교과과정에 질적연구방법 학습 기회를 늘리고 심화 과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본연구는 질적연구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질적연구 수업 구성, 실무를 위한 역량 강화방안 및 후속 연구 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학위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한 문화콘텐츠 연구 동향

        윤홍근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7

        본 연구는 신생학문인 문화콘텐츠 분야에 대한 연구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창기 문화콘텐츠학과를 개설한 국내 5개 대학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하는 분야(장르), 연구목적과 방법, 학문적 배경, 교과과정의 연관성 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콘텐츠 분야의 연구는 산업분야의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다양한 장르에 걸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콘텐츠의 연구 목적은 개발소스 제공이나 연구결과 활용에 초점을 맞춘 실용적 목적이 대부분이며, 연구방법은 질적, 양적방법을 혼합한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학문적 배경은 인문학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등 인접학문사이 학제간 융합이 나타났으며, 교과과정은 인문학 기반의 콘텐츠의 개발과 기획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높아 균형 있는 커리큘럼 반영이 요구된다. 따라서 문화콘텐츠가 분과학문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고, 교과과정도 실용적인 수요를 반영하는 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thesis is related with the Meta analysis for the same degree' thesis of local 5 colleges in which the Studies of Cultural Contents being established in initial era to figure out a research trends in newly emerging Cultural contents division. The researching targets of this thesis a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in Cultural contents, those are, the categories, the object and method of research, the educational surrounding, the relationship among every categories in study. In the last analysis, the study for the Cultural contents has been come in sight that it has been executed through a various kind of categories cause of large scales of extent in the industrial divisions. In addition, the object of research in Cultural contents has been connected mainly with a practical purpose focalizing on providing development source and utilizing a researching result as well, also the researching method has adapted the mixed one in quality and quantity. The educational surrounding has been based on mainly Cultural science in which the interdisciplinary has been harmonized such as with Social science etc. and the relationship of research categories has been required for reflection of the equivalent curriculum due to the great of weight in research for the developing and planning of contents basing in Cultural science. Accordingly, if this Cultural contents were to be in a position of divided science, a new methodical development and an adjustment reflecting of practical needs in education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