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암 진단을 위한 복부CT 검사시 자세 변경에 따른 Air+Water 경구조영제 사용의 유용성

        이득열(Deuk Real Lee),임상묵(Sang Muk Lim),강화원(Hwa Won Gang),유대준(Dae Jun Yoo),김대현(Dae Hyun Kim)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 201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 위암 진단을 위한 복부CT 검사시 경구조영제로서 기존에 사용하던 발포제 2포 대신 발포제 1포와 물을 이용하여 환자의 자세변화에 따른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실험군(Group A)은 2012년 10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위암 진단을 위해 복부 CT를 시행한 총인원 117명(남자:76명,여자:41명)으로 평균연령은 59.7세 였다. 대조군(Group B)은 2012년 7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위암 진단을 위해 복부 CT를 시행한 총인원 100명(남자:66명,여자:34명)으로 평균연령은 61.2세 였다. 검사장비는 Siemens사의 Sensation 16, Defenition, Defenition AS+장비를 사용하였고 위 확장용 경구조영제는 태준제약의 탑발포지(4g)과 물을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은 Group A는 발포제 1포와 물 300ml, Group B는 발포제 2포를 경구조영제로 먹은 후 pre, artery, portal phase는 좌후사위 자세에서 검사하였고 delay phase는 우측와위 자세에서 검사하였다. 두 Group의 위확장정도 비교평가는 10년 이상 경력의 CT전문 방사선사 3명이 PACS를 통해 poor : 1, fair : 2, good : 3, excellent : 4로 평가하였다. 영상의 정성적 평가는 Group B의 위암 판정을 받은 20명을 복부전문 영상의학과 전문의 1명과 위암전문 소화기외과 전문의 1명이 PACS를 통해 후향적으로 물과 공기의 병변과의 대조도 정도를 평가하였고 공기가 좋으면 1, 같으면 2, 물이 좋으면 3으로 3단계로 평가하였다. 결과 : 첫 번째 위확장정도 평가는 Group A에서 poor가 평균 6.3명, fair가 평균 17.7명, good은 49.7명, excellent는 43.3명 이었고 전체평균은 3.11로 나타났다. Group B는 poor가 평균 3명, fair가 평균 14.7명, good은 47.7명, excellent는 34.7명 이었고 전체평균은 3.14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의 차이는 발포제로만 검사한 Group B가 평균 0.03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T-test를 통한 두 그룹의 차이는 없었다. 두 번째 공기와 물의 병변과의 대조도 차이는 공기가 좋은 경우는 8명으로 전체의 40%로 나타났고, 같은경우는 6명, 물이 좋은 경우는 6명으로 각각 30%로 나타났다. 결론 : 경구조영제로 발포제와 물을 동시에 사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은 기존 발포제로만 한 검사와 비교해서 좋은 위확장정도는 유지하면서 좌후사위 자세에서는 antrum에 공기로 채워진 영상과 fundus에는 물이 채워진 영상, 우측와위 자세에서는 antrum에 물이 채워진 영상과 fundus에는 공기가 채워진 영상을 얻을 수 있어서 공기와 물의 조영효과를 동시에 평가 할 수 있어서 환자의 병변을 평가하는데 좀 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It was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a effervescent granule and water instead of two effervescent granules as oral contrast media in Abdomen CT for diagnosis of Gastric cancer according to positional changes. Material and methods : Experimental group subjects (Group A) were 117 patients (76 males and 41 females) who had Abdomen CT for gastric cancer diagnosis from October to December in 2012. Mean age was 59.7. Control group subjects (Group B) were 100 patients (66 males and 34 females) who had Abdomen CT for gastric cancer diagnosis from July to September in 2012. Mean age was 61.2. For the examination, Sensation 16, Defenition, and Defenition AS+ by Siemens were used, and for oral contrast media to expand stomach Top effervescent-G (4g) by Taejoon Pharm and water were used. Group A had a effervescent granule and 300ml water, and Group B had two effervescent granules as oral contrast media. They were examined in LPO position for pre, artery and portal phase and in Rt decubitus position for delay phase. To compare and evaluate the gastric distension level of two groups, 3 CT radiology technologists with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s were asked to evaluate as poor:1, fair:2, good:3, excellent:4. For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images, a Abdominal specialized radiologist and a stomach cancer specialized digestive surgeon evaluated contrast of water and air with lesions on 20 gastric cancer diagnosed patients in Group B retrospectively through PACS. They marked 1 when water was better, 2 when they were equal, and 3 when water was better. Results : In the first gastric distension level test, Group A had 6.3 as poor, 17.7 as fair, 49.7 as good, and 43.3 as excellent, which made the average 3.11. Group B had 3 as poor, 14.7 as fair, 47.7 as good, and 34.7 as excellent, which made the average 3.14. Group B using effervescent granules only showed 0.03 higher results than Group 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rough T-test. Second, in the contrast of water and water with lesions, air was better in 8 subjects (40%), equal was 6 (30%) and water was better in 6 (30%). Conclusion : When using effervescent granule and water at the same time as oral contrast media, it maintained gastric distension level and provided various images such as air-fⅢed antrum and water-fⅢed fundus image at LPO position and water-fⅢed antrum and air-fⅢed fundus image at Rt decubitus position. As it allows evaluating the contrast effects of water and air at the same time, it may help to evaluate lesions of patients better.

      • 선량감소효과를 위한 저관전압 복부CT의 추적검사에의 적용

        안수현(Su Hyeon Ahn),조인완(In Wan Cho),강성진(Seong Jin Kang),강래욱(Rae Wook Kang),유병헌(Byeong Heon Yoo),김승식(Seung Sik Kim)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06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8 No.1

        Purpose To study the analyse radiation dose, CT number, contrast scale, image quality of the patient who needs periodic follow-up examination by applying abdominal CT using low tube voltage. Materials & Methods To evaluate the image quality of abdomen, radiation dose, CT number and contrast scale follows in change of tube voltag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the patients able to be applied in the clinical analysis and the other group vvere used phantom. Somatom Sensation 16(Siemens, Erlangen, Germany) was used. Twenty patient were selected at random in the group which was applied periodic follow-up examination by CT. In this clinical study, tube current was fixed in 150mA, tube voltage was adjusted according to appropriate value of each examinations and then we measured CTDI values. The measurement of CT number of each organs was performed by setting up a lcm diameter ROI at abdominal organs in the same height of first lumbar vertebra by using images of arterial phase. Quality of the abdominal images were graded into the 3 degrees by two radiologists in consensus. Abdominal shaped acrylic phantom was used in phantom study. Ion chamber was inserted into the holes located on the center and periphery of the phantom, and around there, then scaned, and radiation dose were automatically displayed by the reader which were 80kVp, 100kVp, 120kVp, 140kVp of tube voltage were applied to the phantom(diluted contrast medium with water 1:10 ratio), then the phantom was scanned and a 1cm diameter ROI in the center of the image was measured CT number. Results CTDI value was m decreased in 100kVp by 36%(11.70mGy vs 7.50mGy) in comparison with 120kVp. According to radiologist’ evaluation, there were 17 equivalent, 3 acceptable, 0 unacceptable in the group of 20 subjects. Radiation dose in the phantom study showed decreasing as tube voltage was lowered from 80kVp to 140kVp. Peripheral dose decreased by 38%, and central dose decreased by 41%. CT number showed 1365.9±4.4HU in 80kVp, 1046.1±3.7 in 100kVp, 862.8±3.2HU in 120kVp, 737.5±3.0 in 140kVp. Conclusion By applying the low tube voltage using abdominal CT to the patients who need periodical follow-up examination, the quality of the image is relatively high contrast scale without a lowering of image quality and we can decrease the effect of radiation dose.

      • KCI등재후보

        CT검사 시 다양한 매개변수와 환자의 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백철오(Cheol-Oh Baek),한만석(Man-Seok Han) 대한방사선과학회 2011 방사선기술과학 Vol.34 No.2

        본 연구는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검사 환자를 대상으로 요인별 불안에 따른 지각과 반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CT검사 환자의 검사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0년 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3개의 대학병원 영상의학과에서 CT검사 환자 26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CT 검사 대상자의 불안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변량 분석으로 독립변수의 CT검사 관련 특성에 따른 CT검사 요인별 불안은 환자의 방사선 노출, CT검사 이유, 질병상태 인지여부, 비용 부담자, 경제적 부담, 충분한 설명, 설명 주체에 따른, 내시경 조직검사 유무, 사전 처치에 따른, CT검사 이전에 따른, CT부작용 경험에 따른, 조영제 부작용에 발생에 따른 요인으로 나뉘어지고 종속변수의 불안 요인은 신체적 요인, 병원종사자 요인, 병원환경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나뉘어 SPSS WIN(ver. 1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T검사 환자의 요인별 불안의 지각과 반응의 정도가 경제부담, 상태불안, 전처치 불안, 방사선 노출 불안, 부작용 불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검사의 전처치와 조영제의 화학적 독성, 부작용에 관한 사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CT검사 환자들의 검사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연구를 기초 자료로 CT검사 환자의 불안정도와 불안요인을 감소 시키기 위해서 중재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CT검사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지하고 사회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perceptions and response degrees of anxiety for each factor, targeting patients for CT test and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factors. It is to provide scientific fundamental data to reduce anxiety by improving awareness of patients about CT test by analyzing relations between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urveyed in self-writing type, targeting 263 patients for CT test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t three University hospitals from July to September, 2010. This survey was executed once b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survey type. The targeting patients for CT test of anxiety will investigate for affect. Anxiety by each CT test variables depending on CT test-related features showed independent variable is Expense Responsibility, Economic burden, Sufficient explain, Explain agent, Endoscope, Biopsy, Pre treatment, Previous experience, CT side effect experience, Side effect of contrast medium and dependent variable is physical, Hospital staff, Hospital environment, Socioeconomic These used statistics program SPSS (ver. 13.0).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awareness of anxiety and response to it in each variable under CT test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burdens, state anxiety, pre-treatment anxiety, exposure anxiety to radiation, and anxiety of side effect. Therefore, pre-treatment before test and pre-training programs on chemical poison of contrast medium and side effect seem to be able to release patients’ anxiety level for CT test. Ways to meditate these anxiety variables and reduce degree of anxiety are needed to be researched more and updated. In addition, impact of patients’ economic burdens on CT test anxiety is required to be recognized and solved in society level.

      • 복부 CT검사에 대하여 CT detector channel 수에 따른 선량 감소율에 대한 연구

        최성민(Seong Min Choi),정성민(Seong Min Chung),김선기(Seon Ki Kim)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1

        목적 Chanel에 따라 같은 검사를 시행하더라도 Chanel 수가 많으면 scan time이 줄고 그에 따라 Dose가 줄어든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hannel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같은 검사에서의 Dose의 경감률을 직접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Rando Phantom 내에 유리 선량계를 삽입하여 Abdomen & Pelvis 부위를 16 Channel인 SOMATOM Sensation 16 장비와 64 Channel인 SOMATOM Definition AS 장비, 64 Dual source SOMATOM Definition, 128 Channel인 SOMATOM Definition AS 장비와 128 Dual source SOMATOM Definition Flash 장비로 모두 Siemens사 장비로 각각 Scan하였다. Scan 후 Rando Phantom에 삽입하였던 유리 선량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scan이 끝난 후 장비에서 display 되어지는 흡수선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유리 선량계에서 측정되어진 수치에서는 전반적으로 장비의 Channel 수가 증가하면 선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Single source 64 Channel 장비의 경우는 오히려 16 Channel 장비보다 선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반면에 장비에서 Display 되어지는 흡수선량의 경우에는 64 Single source 장비가 가장 낮게 표시되었으며 16 Channel 장비가 가장 높게 표시되었으며, Dual source 장비보다 Single source 장비의 선량이 더 낮게 표시되었다. 결론 Channel 수가 많은 장비일수록 동일 검사에서 선량이 적게 사용되어지는 것은 사실이나 Detecter의 구조에 따라서 Dose modulation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Channel 수가 적은 장비가 오히려 선량이 적은 경우도 있으며, 같은 이유로 인해서 Dual source 장비에 비하여 Single source 장비가 오히려 선량이 더 적게 사용되어지는 경우가 있음으로 최신 장비나 Channel이 많은 장비만 선호할 것이 아니라 그 장비의 특성에 맞추어 활용하는 것이 검사 시 선량 감소에 도움이 된다 하겠다. I. Purpose It is commonly known that scan time decreases as the number of detector channels increases even if we perform the same CT protocol. In this paper, we measured decreasing rate of radiation dos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detector channels. II. Material & Methods We inserted glass dosimeters into Rando phantom and scanned its Abdomen & Pelvis part on Siemens’ CT scanners, 16-channel CT(SOMATOM Sensation 16), 64-channel CT(SOMATOM Definition AS), 64-channel DSCT(SOMATOM Definition) and 128-channel CT(SOMATOM Definition Flash). After scanning, we measured radiation dose of the glass dosimeters. Also, we compared absorbed doses displayed on the CT scanners. III. Result When we masured the radiation dose with glass dosimeter, dose decreased as the number of CT scanner’s detector increased. On the ether hand, radiation dose of 64 channel single source CT was higher than that of 16 channel single source CT showed the highest absorbed dose. Also single CT indicated lower dose than Dual source CT. IV. Conclusion It’s fact that radiation dose decrease5 as CT scanner has more detector channels. However, There’s some cases, Indicated dose decrease acording to structure of detector, without dose modulation, less number of detector channels. For the same reason, Single source CT also less dose than dual source CT. therefore, choosing CT equipment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is recommended rather than just seeking brand new ones or many more detector channels.

      • 전산화단층영상에서 조영제와 생리식염수 혼합물의 Metal Artifact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

        정재연(Jae yeon Jung),김경민(Kyeong min Kim),강정훈(Jung hun Kang),이광원(Kwang won Le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6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8 No.2

        Purpose : Recently, as the society progresses towards population ageing, a number of metallic implant surgeries are being performed. This study is investigating metal artifact reduction method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ontrast medium by combining contrast medium and normal saline for computed tomographic (CT) scan. Subjects and Methods : SOMA TOM SENSATION16(Siemens, Germany) is used for the CT equipment, and the sample, which is the material like titanium used for TKR in orthopedics, is fixed between two normal salines. For the mixture of contrast medium and normal saline, 10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00) + 400cc normal saline, 5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00) + 450cc normal saline, 1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00) + 490cc normal saline, 10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70) + 400cc normal saline, 5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70) + 450cc normal saline, and 1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70) + 490cc normal saline are used. The mixture is placed on top and bottom, and left and right of titanium fixed with normal salines in order, and HU values of CT and standard deviations with respect to 120kVp/250mAs/slice 0.75mm, 1.5mm, 140kVp/250mAs/slice 0.75mm,1.5mm, and 140kVp/350mAs/slice 0.75mm, 1.5mm (tube voltage/tube current/slice thickness) a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HU value obtained by measuring ROI at 1.5cm distance in 12 O clock and 6 O’clock from the center of titanium. Results: When the mixture of 1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00) + 490cc normal saline was used top and bottom, and left and right, and when tube voltage/tube current/ slice thickness was 140kVp/250mAs/slice 0.75mm, HU value of CT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metal artifact were 18/27 and 14/25, respectively, showing the highest reduction. For tube voltage, 140kVp showed higher reduction than 120kVp, and for tube current, 250mAs showed higher reduction than 350mAs. Reduction was shown when the slice thickness was 0.75mm. When the mixture of 10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70) + 400cc normal saline was used in 120kVp/250mAs/slice 1.5mm, reduction measure was the lowest. Conclusion : HU value of metal artifact from CT scan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when the mixture of 10cc contrast medium (concentration of 300) + 490cc normal saline was used in 140kVp/250mAs/slice 0.75mm. Although correction value of HU value shows some large or smal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artifact for each CT scan, the results are all improved in a positive way. Visual identification of CT scan made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scan seemed much bigger, compared to identification of the numerical values. If this study method is applied to the examination of existing metal patients, the quality of image can be improved. 목적 : 최근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금속 인공물 삽입술이 시행되고 있다. 전산화단층영상에서 조영제와 생리식염수를 혼합하여 조영제 농도를 달리해 Metal Artifact 인공물에 대한 감소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T장비는 SOMATOM SENSATION16(Siemens, Germany)를 사용하였고, 정형외과 TKR에 사용되는 Titanium과 같은 재질의 샘플을 생리식염수 2개의 사이에 고정하였으며 혼합물로는 조영제와 생리식염수를 혼합하여 제작한 조영제 농도 300 100cc+생리식염수 400cc, 조영제 농도 300 50cc+생리식염수 450cc, 조영제농도 300 10cc+생리식염수 490cc, 조영제 농도 370 100cc+생리식염수 400cc, 조영제 농도 370 50cc+생리식염수 450cc, 조영제 농도 370 10cc+생리식염수 490cc를 이용하였다, 생리식염수로 고정한 Titanium을 상·하, 좌·우로 혼합물을 순서대로 올려놓고 120kVp/250mAs/slice 0.75mm, 1.5mm, 140kVp/250mAs/slice 0.75mm, 1.5mm, 140kVp/350mAs/slice 0.75mm, 1.5mm, 관전압, 관전류 슬라이스 두께에 따른 CT HU값 및 표준편차를 Titanium 중심부에서 12시 방향과 6시방향의 1.5cm거리에서 ROI를 측정하여 HU값을 비교 측정하였다. 결과 : 혼합물 조영제 농도300 10cc+생리식염수 490cc를 상·하, 좌·우 사용하였을 때와 140kVp/250mAs/slice 0.75mm일 때 Metal Artifact 인공물의 CT HU값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 SD)는 36/36, 27/40으로 감소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전압은 140KvP가 120KvP보다 감소효과가 있었으며, 관전류는 250mAs일때 350mAs보다 감소효과가 있었다. slice두께는 0.75mm일 때 감소효과가 있었다. 조영제 농도 370 100cc+생리식염수 400cc, 120KvP/250mAs/slice 1.5mm 일 때 감소효과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결론 : 혼합물 조영제 농도 300 10cc+생리식염수 490cc, 140KvP/250mAs/slice 0.75mm일 때 Metal Artifact 인공물의 CT HU값의 감소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영상의 Artifact 앙에 따라 HU값 보정치는 크고 작은 차이를 보이지만, 결과는 모두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육안으로 CT 영상을 확인할 때 영상의 질 차이가 수치상으로 느끼는 것보다 훨씬 크게 느껴졌다. 기존의 Metal 환자 검사 시 본 연구방법으로 적용을 한다면 Image Quality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Thoracic Aorta according to the Use of Contrast Medium in Computed Tomography

        박상훈(Sang-hoon Park),백일화(Il-hwa Baek),박재연(Jae-yeon Park),구혜정(Hae-jung Koo),김동환(Dong-hwan Kim),주영철(Young-Cheol Joo)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2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5 No.1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은 대동맥 박리, 협착 또는 동맥류 형성이 있는 환자의 평가를 위해 인정되고 널리 사용되는 절차가 되었다. CT에서 대동맥의 크기의 정확한 평가는 동맥류를 감지하고 치료 방법을 결정을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CT의 이러한 중추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CT 검사가 실제 흉부 대동맥의 크기를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는지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다.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흉부 대동맥 직경이 40 ㎜가 넘으면 흉부 대동맥 확장 소견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준이 비 조영 CT와 조영 CT에서 차이를 보이면 판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 조영과 조영 다중 검출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에서 흉부 대동맥 직경 측정을 통해 직경의 평균값과 차이를 제시하고, 성별, 연령별, 장비에 따라 그 값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Computed tomography imaging has become a recognized and widely used procedure for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aortic dissection, stenosis or aneurysm. In CT, an accurate assessment of the size of the aorta plays a key role in detecting the aneurysm and determining how to treat it. However, despite this pivotal role of CT, there is little data on how accurately a CT scan measures the size of the actual thoracic aorta. Specialists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have determined that if the diameter of the thoracic aorta is greater than 40 ㎜, there is a finding of thoracic aortic dilatation, but if these criteria differ from non-contrast CT and Contrast CT, the determination may be difficult, and research is needed.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average value and difference in diameter measurement of the thoracic aorta in non-contrast and contrast multi-detection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to see how the value varies with gender, age, and vendor.

      • Temporal bone CT 검사에서 Ultra algorithm 적용시 algorithm의 특성과 영상의 화질평가

        최재운(Jae Woon Choi),이기백(Ki Back Lee)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 2015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7 No.2

        목적 : 높은 공간분해능을 요구하는 Temporal bone CT 검사에서 새로운 Ultra algorithm을 적용하여 기존의 bone plus, edge algorithm과 비교평가해 algorithm의 특성을 파악하고 Temporal bone CT 검사시 Ultra algorithm의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 내원하여 Temporal bone CT를 시행한 환자 30명에 동일한 temporal bone CT porotocol에 bone plus, edge, ultra algorithm을 적용하고 FBP와 ASIR30%의 재구성방식을 통해 6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ACR phantom 실험에서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환자 데이터를 이용해 soft tissue와 bone 2부분에 ROI를 설정하여 영상을 분석하였다. 해상력 측정을 위해 ACR phantom 데이터를 이용해 LSF를 이용한 MTF50%, MTF10%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평가 하였다. 결과 : bone plus algorithm을 대조군으로 환자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oft tissue에서 SD값이 ultra algorithm은 FBP와 ASIR30% 모두 bone plus algorithm과 차이가 없었다. edge algorithm 은 SD값이 FBP와 ASIR30% 각각 28.78%, 34.63% 증가했다. bone에서 SD값이 ultra algorithm은 FBP와 ASIR30% 가각 18.88%, 19.78% 증가했고, edge algorithm은 FBP와 ASIR30% 각각 10%, 9.1% 감소했다. 공간분해능과 선예도 측정결과 bone plus, edge, ultra algorithm의 MTF50% 값은 FBP에서 각각 4.28, 0.62, 5.64였고, ASIR30%는 4.39, -3.77, 6.17이었다. MTF10%값은 FBP에서 6.50, 5.85, 10.01이었고, ASIR30%는 6.91, 5.74, 21.98이었다. 측정결과 ultra algorithm의 공간분해능과 선예도가 가장 좋았다. 결론 : Ultra algorithm은 기존의 bone plus, edge algorithm과 비교했을 때 저주파영역의 노이즈 증가없이 고주파영역만 강조하면서 영상의 화질 또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 Temporal bone CT검사에서 ultra algorithm은 bone plus algorithm과 비교하여 적절히 사용한다면 매우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 To find out the usefulness ultra algorithm in temporal bone CT which requires high spatial resoultion by comparing ultra with conventional bone plus and edge algorithm. Materials and Methods : Temporal bone CT imgaes of 30 patients were reconstructed by 6 type 3 different algorithms(bone plus, edge, and ultra algorithm) and 2 different reconstruction techniques (FBP and ASIR30%). ACR pahntom was scanned and acquired images were reconstructed by same way. We set the ROIS on soft tissue and bone of paitent’s CT images and analyzed the images. We also evaluated spatial resolution using LSF by measuring MTF 50% and MTF 10% of ACR phantom images. Result : bone plus algorithm was in the conrtol group for analysis of patient data. In SD of soft tissu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ultra and bone plus algorithms. SD increased by 28.78% and34.63% in FBP and ASIR 30% images of edge algorithm, respectively. in case of bone, images of ultra algorithm showed increased SD by 18.88% and 19.78% in FBP and ASIR 30%, repectively, whilethose of edge algorithm showed decreased SD by 10% and 9.1% in FBP and ASIR 30%. As a result of spatial resolution and sharpness, the value of MTF 50% was 4.28, 0.62 and 5.64 in FBP images and 4.39, -3.77 and 6.17 in ASIR 30% images for bone plus, edge and ultra algorithm, respectively. The value of MTF 10% was 6.50. 5.85 and 10.01 in FBP images and 6.91, 5.74 and 21.98 in ASIR 30% images for bone plus, edge and ultra algorithm, respectively. Spatial resolution and sharpness of ultra algorithm showed thr best. conclusion : Ultra algorithm emphasizes high-frequency without increase of low-frequency noise and shows considered to be usefulexcellent image qua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bone plus or edge algorithm. Therefore, ultra algorithm is considered useful in clinical temporal bone CT.

      • KCI등재

        화합물의 물리적 밀도와 유효원자번호에 대한 CT수 측정

        김종언(Jong Eon Kim)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2

        AAPM CT 성능 팬텀에서 CT수 교정 삽입부의 각 핀과 물에 대응하는 유효원자번호 및 물리적 밀도에 대한 CT수에 관한 자료가 거의 없다. 따라서 자료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AAPM CT 성능 팬텀에서 CT수 교정 삽입부의 각 핀 및 물에 대하여 유효원자번호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효원자번호 및 물리적 밀도에 대한 CT수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AAPM CT 성능 팬텀의 CT수 교정 삽입부에서 각 핀과 물의 유효원자번호 및 물리적 밀도에 관한 CT수의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먼저 각 핀과 물에 대한 유효원자번호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CT스캐너로 CT수 교정 삽입부를 스캔하여 CT슬라이스들을 획득하였다. 중심 CT슬라이스에서 각 핀과 물에 대하여 CT수들을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유효원자번호에 대한 CT수들은 유효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물리적 밀도에 대한 CT수들도 물리적 밀도가 증가할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In the AAPM CT performance phantom, there is little data on the CT number of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physical density corresponding to each peg and water of the CT number calibration insert. Therefore, the necessity of documentation was raised.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effective atomic number for each peg and water of the CT number calibration insert in the AAPM CT performance phantom, and to measure the CT number for the calculated effective atomic number and physical density for comparative analysis.In order to obtain CT number data on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physical density of each peg and water from the CT number calibration insert of the AAPM CT performance phantom, the effective atomic number for each peg and water was first calculated. Then, CT slices were obtained by scanning the CT number calibration with a CT scanner. CT numbers were measured for each peg and water in the central CT slice. As a result, the CT numbers for the effective atomic number showed a nonlinear pattern of repea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as the effective atomic number increased. In addition, the CT numbers for physical density showed a nonlinear pattern of repea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as the physical density increased.

      • KCI등재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a Wireless Signal Device for the Use of Contrast Agent in Computed Tomography

        Ki-Man Hong(홍기만),Myo-Young Jung(정묘영),Young-Hyun Seo(서영현),Jong-Nam Song(송종남)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3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radiologists, as well as the patients, is growing with the increasing use of CT contrast agent side effects and the process of extravasation. In this study,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regarding the wireless signal device after CT examination in patients and radiologists by employing a wireless signal device during a contrast-enhanced CT examination in order to determine its usefulness to the relieve psychological anxiety, such as anxiety and fear, of patients and radiologists when using contrast agents. The use of a wireless signal device was also intended to help radiologists in dealing with the side effects of contrast agents that may occur during a CT examination and preventing extravasation. Patients aged 20 years or older, who visited the C university hospital in Jeonnam province for 4 months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17, were surveyed. A total number of 90 patients (57 males and 33 females),who agreed to the study after CT examination,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Meanwhile, 15 radiologists, who were working at a CT room and had an experience in using a wireless signal device, were surveyed. Patient satisfaction was 6.01±0.88 before the use of a wireless signal device and 8.20±1.06 after use, thereby showing an increased satisfaction after its use. Radiologist satisfaction was 8.46±1.06 after use, thereby not showing a big difference from the mean patient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was high at over 8 points in both groups. The contribution to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the use of a wireless signal device was 8.98±0.65 in patients with prior experience of side effects and 8.00±1.21 in patients without prior experience of side effect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 examination by helping the radiologists in taking immediate action with calling via the wireless signal device and providing the patients and radiologist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by reducing their anxiety. 늘어나는 CT 조영제 주입 검사만큼이나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은 물론 검사자인 방사선사 또한 조영제 부작용과 혈관 외 유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조영증강 CT 검사 시에 무선신호기를 사용하여 조영제 사용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불안감과 두려움 등의 심리적 불안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CT 검사 후에 무선신호기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만족도조사를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무선신호기를 사용함으로써 CT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와 혈관 외 유출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실험대상은 2017년 8월~11월 4개월간 전 남에 소재한 C대학병원을 방문하여 CT를 시행한 20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CT 검사 시행 후 연구에 동의하는 환자 90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그 중 남자 57, 여자 33명이다. 방사선사는 CT실에서 근무하며 무선신호기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무선신호기를 사용 전 환자 만족도는 6.01±0.88, 사용 후 환자 만족도는 8.20±1.06으로 사용 전보다 만족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 후 방사선사 만족도는 8.46±1.06으로 환자만족도 평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두군 모두 만족도가 8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무선신호기 사용에 따른 심리적 안정 기여도는 과거 부작용 유경험자에서 8.98±0.65, 무경험자 8.00±1.2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선신호기의 호출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를 하는 데 도움을 주고 환자와 방사선사에게도 불안감으로부터 심리적 안정을 주어 검사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CT 기종에 따른 CT 수의 변화가 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

        조광환,이석,조삼주,임상욱,허현도,민철기,조병철,김용호,최두호,김은석,권수일,Cho Kwang Hwan,Lee Suk,Cho Sam Ju,Lim Sangwook,Huh Hyun Do,Min Chul Kee,Cho Byung-Chul,Kim Yong Ho,Choi Doo Ho,Kim Eun Seog,Kwon Soo Il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 의학물리 Vol.16 No.4

        CT 기종에 따라서 전자밀도에 대응하는 CT 수의 변화와 치료계획 시 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5종의 CT를 이용하여 전자밀도 교정 팬톰의 영상을 얻어 기종에 따른 CT 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조직등가물질의 밀도에서 CT 수는 ${\pm}2\%$ 내의 차이를 보였으나 밀도가 큰 영역에서는 최대 $9.5\%$의 차이를 나타냈다. CT 수의 변화가 치료계획의 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환자의 흉부 영상을 이용하여 장기별로 선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최대 $0.48\%$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밀도가 큰 물질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를 가정하여 물팬톰에 CT 수가 2,000인 고밀도 물질을 삽입한 팬톰 영상을 치료계획장치에 그려 넣었다. 고밀도 물질 아래 20 cm 깊이에서 선량 계산을 비교한 결과 $2.1\%$의 차이를 보였다. 치료계획 단계에서 선량 불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CT 기종에 따른 CT수와 전자밀도의 정확한 환산이 필요하며, 특히 한 기관에서 여러 종류의 CT를 이용하는 경우 각 CT 별로 전자밀도에 대응하는 CT 수를 입력하고 서로 구별하여 사용하여야한다. 또한 CT수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점검이 요구된다. The CT number corresponds to electron density and its influence on dose calculation was studied. Five kinds of CT scanners were used to obtain Images of electron density calibration phantom (Gammex RMI 467), Then the differences between CT numbers for each scanners were ${\pm}2\%$ In homogeneous medium and $9.5\%$ in high density mediu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T number to dose calculation, patients' thoracic CT images were analyzed. The maximum dose difference was $0.48\%$ for each organ. It acquired the phantom Images inserted high density material in the water phantom. Comparing the doses calculated with CT Images from each CT scanner, the maximum dose difference was $2.1\%$ in 20 cm in depth. The exact density to CT number conversion according to CT scanner is required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dose depends on CT number Especially the each hospital with various CT scanners has to discriminate CT numbers for each CT scanner. Moreover a periodic quality assurance is required for reproducibility of CT num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