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무장애 전시 콘텐츠 및 서비스에 관한 사례 연구 -「아시아의 표해록」전을 중심으로

        안재연 ( Jaeyeon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시대 강화된 디지털과 온라인 기반 전시에서 무장애(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2019; 2020) 전시에서 시도되었던 무장애 전시 콘텐츠와 서비스이다. 연구방법은 크게 무장애 전시 공간 및 콘텐츠 제작과, 무장애 서비스 둘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점자 체험존을 도입하여 시각장애인의 전시 감상을 도왔다. 둘째, 평면 2D 회화인 「범사도(泛槎圖)」를 디지털 동영상으로 제작, 공감각적인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셋째, 점자 리플렛과 도록 제작, 수어 전시해설 동영상 및 VR 영상 배포, 장애인 관람 서비스, 촉각형 배 모형과 책갈피 문화상품 개발, 오디오북 제작 등과 같은 무장애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표해록」전이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장애인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향후 배리어 프리 전시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는 한 사례로 제시하였다. 제언은 첫째, 디지털 매체와 문화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배리어 프리 전시의 개발 필요성이다. 둘째, 무장애 상호작용성(barrier-free interactivity)에 기반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확장과 재정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arrier-free services in enhanced digital and online-based exhibitions in the pandemic er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barrier-free exhibition content and services that were attempted in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2019; 2020). The research method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barrier-free exhibition zone and content production, and barrier-free servic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Braille experience zone helped the visually impaired to appreciate the exhibition. Second, a flat 2D painting, Beomsado (The Drifting Boat), was produced as a digital video to help the synesthetic appreciation. Third, barrier-free services such as production of Braille leaflets and catalogs, an distribution exhibition videos in sign language and VR video, viewing services for the disabled, tactile ship models and bookmarks, and audio book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tudy, Asian Drifting Records was presented as an example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barrier-free exhibitions by activel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interacting with the disabled. Overall, two conclusion are suggested; first, the need to develop a new barrier-free exhibition that actively reflects the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redefine barrier-free services based on barrier-free interactivity.

      • KCI등재

        문학 전시에서의 디지털 융복합 콘텐츠 연구: 아시아의 표해록 전시를 중심으로

        안재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Digital Convergence Content in the LiteraryExhibition -Centering on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Jaeyeon Ah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ase of convergence exhibi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in literature exhibition. In particular, it is an urgent task to study literature exhibitions using digital media or cultural technology when it is predicted that exhibitions using online platform-based and cutting-edge technologies are the main trend in the post-corona era.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ancient literary genre, “drifting record” is difficult for audiences to understand and has limited access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so digital media and cultural technology are actively employed from the planning stage. As a research method, cases such as the digital Drifting Boat (Beomsado) and e-book production, kiosk and video looping services, online exhibition and VR video production are introduced. As a suggestion, first, as shown above, the exhibition of literature should actively utilize cultural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udience’s syn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fusion of culture, art,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literary exhibition. Key Words: Museum of Literature, Literary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Digital Convergence Content, Synesthetic Experience 문학 전시에서의 디지털 융복합 콘텐츠 연구: 아시아의 표해록 전시를 중심으로안 재 연*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 전시에서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융복합 전시 사례를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플랫폼 기반, 최첨단 기술 활용의 전시가 주요 흐름임을 예측해 볼 때, 디지털 매체나 문화 기술을 활용한 문학 전시 연구는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으로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 전시(2020)를 선정하였다. 고문헌인 표해록은 자료 특성상 관객의 이해가 어렵고 접근도 제한적이어서, 기획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디지털 매체 활용과 문화기술을 채용하였다. 연구 내용과 방법으로는 디지털 「범사도(泛槎圖)」와 e-book 제작, 키오스크와 영상 루핑 서비스, 온라인 전시와 VR 영상 제작 등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제언으로는 첫째, 표해록 전시처럼 문화기술과 디지털 매체를 적극 활용한 문학 전시의 필요성이다. 둘째, 문학 전시에서 문화예술과 과학 기술의 융합을 통해 관객의 오감 체험을 증가시켜야 한다. 핵심어: 문학관, 문학 전시, 아시아의 표해록 전시, 디지털 융복합 콘텐츠, 공감각 체험 □ 접수일: 2022년 2월 28일, 수정일: 2022년 3월 13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사(Researcher, Asia Culture Center, Email: jaeyeon2@korea.kr)

      • 해양 문화 콘텐츠로서의 표해록 전시 구성 방안

        안재연(Ahn, Jae-Ye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07

        Drifting Records(漂海錄) are the unofficial written documents as a concrete and realistic narrative made through informal contact with people of various classes including intellectuals, soldiers, merchants, or fishermen etc. From the 15th to 19th centuries, major drifting records of Asia were produced in China, Japan, Korea, or Vietnam written in the Chinese characters. Howev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content using them is very insufficient. Moreove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how to educate these themes in museums and exhibition program, and how to organize and utilize exhibitions as marine cultural content. This study scrutinizes major drifting records of the 15th and 19th centuries from all over Asia, while organizing exhibition content that shows the reality of various exchanges and history that Asian countries have continued. On the other hand, I visually present one aspect of the pre-modern Asian maritime civilization network through the exhibition content that includes excitement of the ocean experience and customs of the exotic other Asian countries. Lastly, I try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marine cultural content from various angles by investigating and utilizing novels, documentaries, dramas, movies, and plays based on the drifting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