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0년대 월간 노동해방문학의 히스테리적 주체 - 정지아의 「동지의 집」을 중심으로 -

        박규준 한민족어문학회 2023 韓民族語文學 Vol.- No.99

        This paper explored the desire of Gang Soon, the central character in Jeong Ji-A’s House of Comrades,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subject with the concept of hysterical subject. Gang Soon changed from an ordinary female worker to a progressive worker, and from am obedient wife to a character who overcame the patriarchal system. This meant that she changed to a new subject that would reject the identification of ideology, not the subject called capitalism and patriarchy, which were the ruling ideologies. This paper analyzed labor literature centered on an active subject such as subject’s desire, choice, and rejection. This deviateds from the existing position of analyzing labor literature as a confrontation between ideologies and viewing characters as passive subject that reflect the ideology. In Jeong Ji-ah’s novel, two stories were overlapped from Gang Soon’s point of view. One was Gang Soon's life as a worker and the other was her life as a wife. Rather than describing the story centered on the event, the story centered on Gang Soon’s own internal conflict and change in desire. The reason Gang Soon alienated herself while submitting to the fantasy of the capitalist symbolic order was because she was also a being of fantasy, like the head of the personnel department. When she broke away from the department head, Gang-soon faced the reality of subject, that is, herself, who always alienated in a state of unfulfilled desire. When she broke away from the department head, Gang Soon’s obedient love became a source of strength during the labor movement. She obediently sacrificed herself in her marriage, keeping the order of her home established by her husband to satisfy her love desire. She found herself doubting herself in a state of unsatisfied desire as a wife. Recognizing the reality of her subject was the starting point to overcome the patriarchal symbolic order. Life as a worker and wife had always been unsatisfying for Gang Soon. In her life, in order to overcome the fantasy that concealed the subject and other’s lacking desire, she must have endless self-acts to face the object of her lacking desire even if it failed. Gang Soon, a hysterical subject as a failed interpellation, was divided and angry in the symbolic order. Her actions led to the failure of efforts of dominant symbolization to integrate division. In the end, Gang Soon’s union activities as a class antagonism constantly generated new symbolization as a repetition of class struggle. Gang Soon acted independently to find her love in the ideological illusion of a patriarchal symbolic order, blocking her and her husband. Her anger at her manager and husband, union activities as a class struggle, and rejection of the patriarchal system made it impossible for her to become an object of enjoyment without the desire of the subject disappearing as she was integrated and symbolized in the dominant symbolic order of capitalism and the patriarchal worl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ilure of these subject and repetition of dissatisfied desires were the behavior of a hysterical subject who discovered new symbolic signs in reality. 본고에서 히스테리적 주체 개념으로 정지아의 「동지의 집」의 중심인물인 아내 강순의 욕망과 새로운 주체 정립 과정을 분석했다. 강순은 평범한 여성노동자에서 선진노동자로, 희생적인 아내에서 가부장제도를 극복하는 인물로 변한다. 이것은 인물이 지배 이데올로기인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 호명된 주체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의 동일시를 거부하는 새로운 주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동안 노동문학을 이데올로기 간의 대립으로 분석하고 인물은 그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수동적 주체로 보는 입장에서 벗어나 주체의 욕망, 주체의 선택과 거부 등과 같이 능동적인 주체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정지아의 「동지의 집」은 두 가지 이야기가 강순의 시점에서 충첩되어 서술되고 있다. 하나는 노동자로서 삶이고 또 하나는 아내로서의 삶이다. 이 이야기는사건 중심으로 서술하기보다 사건에 대한 강순 자신의 내적 갈등과 욕망의 변화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강순이 자본주의 상징질서의 환상에 복종하면서 스스로 자신을 소외하는 것은 자신도 인사과장과 같은 환상의 존재이기 때문이다. 강순은 인사과장에게서 벗어나며 주체의 실체, 즉 항상 소외된 존재이며 욕망이 불만족한 상태인 자신을 대면한다. 강순의 희생적 사랑은 노동운동을 하면서 힘이 되고, 결혼해서 자신을 희생하며 남편이 만들어 놓은 가정의 질서를 지키면서 사랑의 욕망을 충족하려 하였다. 아내로서 불만족한 욕망 상태에서 의심하는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다. 주체의 실체를 자각하는 것이 가부장적 상징질서를 극복하는 출발점이다. 강순의 노동자로서의 삶과 아내로서의 삶은 언제나 충족되지 않은 결여되어 있는 것이며, 주체와 타자의 결여된 욕망을 은폐하고 있는 환상을 넘어서려면 실패할지라도 결여된 욕망의 대상과 대면하려는 끝없는 자신의 행위가 있어야 한다. 실패한 호명으로서 히스테리적 주체인 강순은 상징질서에서 분열하고 분노했다. 그리고 분열을 통합하기 위한 지배적 상징화의 노력들이 실패하게끔 만든다. 결국 계급적 적대로서 강순의 노조활동은 계급투쟁의 반복으로서 끊임없이 새로운 상징화를 발생시킨다. 강순은 자신과 남편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가부장적 상징질서의 이데올로기 환상 속에서 자신의 사랑을 찾기 위한 주체적 행위를 한다. 강순의 인사과장에 대한 분노, 계급투쟁으로서 노조활동, 남편에 대한 분노, 가부장제에 대한 거부는 지배적 상징질서인 자본주의와 가부장적 세계에 통합되어 상징화되어 주체의 욕망이 사라지고 타자의 향유의 대상이 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체의 실패와 불만족한 욕망의 반복은 현실에서 새로운 상징적 징후를 발견하는 히스테리적 주체 행위이다

      • 신경숙 소설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 히스테리적 주체의 형성을 중심으로

        김경은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4 No.-

        본고는 신경숙 소설을 정신분석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신경숙의 소설은 결핍과 욕망의 존재인 인간의 근본속성에 대해 그려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여주인공의 히스테리적 심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히스테리자는 아버지를 사랑하며 아버지의 욕망의 대상이 되고자 하나 그것은 금지이기 때문에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결여를 메꾸려 한다. 또한 히스테리적 오이디푸스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은 언제까지나 충족될 수 없는 결핍의 상황을 만들어내는 환상을 가진다. <딸기밭>에서 주인공과 인물들의 관계는 프로이트의 연구에서 ‘도라의 사례’와 유사한 욕망의 구조를 보여준다. ‘나’는 정상적인 오이디푸스과정을 거치지 못한 인물로 욕망의 결핍으로 방황하는 도라의 모습과 겹친다. 나의 욕망은 희미하게 존재조차 잊어버린 아버지의 자리를 채우지 못하고 대신 완벽한 여성성을 향유하는 ‘유’에게로 향한다. ‘유’라는 욕망은 자유롭고 부드러운 여성성이다. 어느 것에도 만족을 구할 수 없고 순수하게 자신으로부터 발생하는 욕망을 가질 수 없던 ‘나’는 사랑에 대한 욕망조차 유를 통해서 얻었던 것이다. <바이올렛>에서 주인공 오산이는 아버지의 존재를 경험한 적이 없기에 상실에 대해 슬퍼하거나 애도할 수조차 없는 인물로 그려진다. 오산이는 동성친구 남애를 통해 아버지에 대한 슬픔이라는 정서를 대신 충족하려고 하지만 그 관계가 깨어지고 성인이 되어서는 금지된 사랑을 꿈꾸는 남애를 동경한다. 소설의 결말에서 <딸기밭>의 주인공이 자신의 과거를 망각하고자 하는 것과 <바이올렛>에서 오산이가 자신의 욕망이 실현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좌절로 자기파괴를 시도하는 것은 히스테리자로서 환상을 유지하는 심리기제가 파국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히스테리적 주체의 상황은 신경숙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소통의 단절, 고독감, 소외된 타자로서의 인물, 주제적 측면에서의 죽음 등과 관계가 있다. 소외되고 타자화되는 인물들의 고통과 방황, 그리고 인물간의 관계들은 정신분석학에서 히스테리자의 전형적인 주체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욕망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고 있었다. 신경숙 소설은 온전히 자기 자신의 욕망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히스테리자의 공허한 내면을 적나라하게 그려내면서 인간의 실존적 불완전함에 대해 돌아보게 한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novels of Shin Gyeong-suk from the psychoanalytical perspective. Examini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er novels in a structural manner is significant when interpreting the organization of desire to produce a sense of internal loss and awareness of absence rather than social implications. In her novels, the author describes the fundamental attributes of humans, who are the entities of deficiency and desire, and shows the hysterical mental structure of female protagonists in the process. Of Freud's researches, the “Dora's Case” presents a desire structure similar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characters and other characters in The Strawberry Field by Shin. “I” have not undergone the normal Oedipus process and resemble Dora who wanders around due to lack of desire. My desire is heavily inclined toward the alternatives to Father, whose faint existence is forgotten by me, or towards “Yu,” a free being who enjoys perfect femininity. The desire called “Yu” represents free and soft femininity. Not being able to get satisfaction with anything and have desire purely deriving from myself, “I” have to develop even the desire for love through “Yu”. The character with hysteria loves his father and tries to be the object of his desire, but he cannot enjoy it first-hand because it is a taboo. He creates a fantasy of making a situation of deficiency that will never be full in order to fill himself with a void up in other ways and maintain his hysterical Oedipus structure.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ose situations around the subject have something to do with severance of communication, solitude, characters as alienated others, and death in the aspect of theme, which make a consistent appearance in Shin’s works. They function as the components of desire showing the typical subject formation process of a figure with hysteria in psychoanalysis.

      • KCI등재

        1970년대 여성문학 ―여성전업작가의 등장과 다양한 글쓰기 주체의 성장―

        이선옥 ( Sunok Lee ) 한림과학원 2020 개념과 소통 Vol.0 No.26

        1970년대 여성문학을 한 마디로 정의한다면 여성문학이라는 범주와 육체가 그려진 시기라 할 수 있다. 일종의 지도그리기 맵핑(mapping)이 이루어진 시기인 것이다. 아직 성격적 특성이나 정체성이 확립되기 이전이지만 여성전업작가가 등장하고, 중산층 여성을 중심으로 한 여성적 경험의 문학화가 가능해졌으며, 여성적 장르와 매체가 형성된 시기이다. 국가주의적 개발독재는 급속한 남성성 회복을 추구했고, 기계신체 상상력이 헤게모니 남성성이 된 시기이기도 하다. 히스테리 주체와 글 쓰는 여성노동자로 여성문학의 글쓰기 주체가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이러한 국가주의적 가부장제의 급속한 강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 문학제도의 변방인 대중소설장르에서 나타나는 장르적 글쓰기와 페미니즘적 목소리도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 문학제도 안에서 영토를 마련하고자 하는 욕망과 밖으로 밀려난 여성 경험의 목소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음을 인정하는 것, 그리고 그러한 목소리의 이름을 찾아 주는 것이 여성문학사 다시쓰기의 과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1970년대 여성작가의 문학적 특성은 가부장적 문학제도 하에서 경험의 말하기가 불가능한 작가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가면무도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신체로 말하는 신경증적인 히스테리 주체는 언어화되기 어려운 여성의 경험을 신체에 각인시켜 가부장제에 저항하는 여성문학의 한 양식으로 볼 수 있다. 아직은 여성의 경험을 해석할 자기 언어를 가지지 못한 글쓰기 주체들의 문학적 전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산노동에 대거 동원된 여성노동자들은 노동하는 신체라는 여성의 새로운 주체 개념을 보여준다. 문학적으로 미숙한 수기류의 형태이지만 생산소설과 결부되면서도 노동하는 신체의 경험을 결합해내는 성과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여성작가들은 문학제도의 변방에서 대중문학의 영역을 개척하면서 감정적 교류와 경험적 소통의 장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러한 1970년대 여성문학적 징후들이 1980년대에는 페미니즘 문학과 민족민중문학이라는 이념적 진영의 영토로 재영토화된다는 점에서 여성글쓰기 주체는 또 다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During the 1970s, it may be said that the scope and contours of South Korean women’s literature were first roughly defined. Indeed, the work of mapping women’s literature began during this period. Although women’s literature lacked defining characteristics or an identity, this period saw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female writers, and for the first time it became possible to put the experiences of primarily middle-class women into writing. In short, it was a period during which the female genre was formed. The nationalist dictatorship, with its emphasis upon economic development, sought the rapid restoration of masculinity, and during this period the imaginary of the mechanical body emerged as hegemonic masculinity. The establishment of the writing subject in women’s literature arose out of the hysterical subject and the female proletarian writer, and it appears that this process was related to the rapid strengthening of nationalistic patriarchy. For this reason, the feminist voices that appeared in popular novels, which were one method of resisting the male-centric literary system, deserve close attention. We must recognize that women’s desires to make a place for themselves within the literary system and the efforts of marginalized women to speak about their experiences can be manifest in many forms. Indeed, the work of identifying and naming these voices is an important task for rewriting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Women writers of the 1970s can be considered as the hosts of various masquerade balls that took place under a patriarchal literary system in which women were not able to speak of their experiences. In particular, subjects with hysterical neurosis who spoke with their bodies can be seen as a method through which women’s literature resisted the patriarchy by inscribing the unutterable experiences of women on their bodies. This can also be interpreted as the literary strategy of the writing female subject who still lacked a language with which to express her own experiences. Moreover, women laborers, who were mobilized in large numbers to enhance labor productivity at this time, brought about a new concept of the female subject as a laboring body, which was an important topic to be written about. Although the writings of this time were limited to somewhat unsophisticated essays, these were supplemented by “production” novels, which also succeeding in incorporating the experiences of the body. In addition, female writers were pioneers in the realm of popular literature at the frontiers of the literary system. Ultimately, however, these initial developments in 1970s women’s literature were restructured into the territory of ideological camps: becoming feminist and “people’s” literature, which brought new difficulties for the female writing subject.

      • KCI등재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의 섹슈얼리티

        심진경 ( Jinkyung¸ Shim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2 No.-

        이 글에서는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을 대상으로 여성의 성적 일탈과 자유가 한편으로는 성 해방 담론에 힙입어 새로운 여성인물의 등장으로 이어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와 결합된 가부장제적 담론 안에서 얼마나 손쉽게 남성에게 착취 가능한 것으로 변질되는지를 살펴본다. 은희경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은 성적 자유와 해방의 주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존의 성적 질서와 성적 혼란 사이의 ‘경계’에 위치해 있는 존재들에 가깝다. 그들은 한편으로는 여성 욕망에 대한 대중화된 이미지에 기대어 성적 욕망과 쾌락의 주체를 연기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 욕망의 대상으로 남고 싶어하는 수동적 주체를 가장하기도 한다. 은희경 소설이 지배적인 남성 이데올로기에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부성적 권위를 전복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글은 이 점에 착안하여 첫째로 은희경의 소설 속에 나타나는 성 행위의 재현 방식, 둘째로 ‘바라보는 나’와 ‘보여지는 나’ 사이의 젠더적 위계관계를 중심으로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의 섹슈얼리티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이 글은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의 여성인물들이 남근 중심적 시스템의 한계에 도전하고 저항하면서도 여전히 남성 중심적 가부장제의 시선에 포박된 존재임을 밝힌다. The paper aims to examine how easily women’s sexual freedom turns into exploitable for men within the patriarchal discourse combined with capitalism, while women’s sexual deviance and freedom lead to the emergence of new female figures through the discourse on sexual liberation in the 1990s. The female characters in Eun Hee-kyung’s novel are not the subjects of sexual freedom and liberation, but rather the ones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the existing sexual order and sexual confusion. They play the subject of sexual desire and pleasure, leaning on a popular image of women’s desires on the one hand, but also masquerading as a passive subject who wants to remain the object of male desire on the other. This is why Eun Hee-kyung’s novel, while raising the issue of male ideology, does not go as far as overthrowing paternal authority. Based on this point, 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sexuality of Eun Hee-kyung’s novel in the 1990s in two broad aspects. One is an analysis of the sex scenes reproduced in the novel, while the other is an analysis of the gender hierarchy between “Looking at Me” and “Seeing Me.” And based on this, the article reveals that the female characters of Eun Hee-kyung’s novel in the 1990s are still trapped in the gaze of the male-centered patriarchal system while challenging and resisting the limitations of the male-dominated system. The female characters of Eun Hee-kyung’s novel in the 1990s can be regarded as hysterical subjects in that they want to make themselves objects of men’s desires while rejecting such a masculine order.

      • KCI등재후보

        시의 정치화와 시적인 것의 정치성 : 임화의 「네 거리의 순이」와 이상의 「가외가전(街外街傳)」에 나타난 시적 주체(화자) 유형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함돈균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 No.1

        This thesis compare Yi Sang’s poetry with Yim Wha’s poetry from the political viewpoint in literature. Until now Yim’s poetry was regarded as a radical political poetry, so called the realism, while Yi’s poetry was regarded as an extreme non-political poetry. Yim’s poetry show us a actuality by means of a dramatic narrative, so called the short epic. The subject(speaker) in Yim’s poetry very well knows his own political and historical ‘real’. Therefore we are able to call the subject of certainty or omniscient subject.. But contrary to preconception, 「Soon Yi on the crossing street」, his representative poetry, is not radical poetically. Because of eradication of uncertainty and coincidence.Whereas Yi’s poetry show us un obscure real by means of a poetic irony. The subject in Yi’s poetry always fall into confusion, what is my own real? What is the called as the unknowing subject or ‘hysterical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psychoanalysi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S.Žižek, who appropriates Lacan’s insight on social and ideological levels, hysterical subject is related to the real concealed by symbolic order or to the lack and contradiction of the world. Based on such problematics, Žižek understands the moment at which hysterical subject poses question(Che vuoi?) as symptom of the exposure of the fissures in the symbolic order and interprets this as a moment at which ideological fantasy is ruptured. The speaker(poetic subject) in 「Kawoekazeon(街外街傳)」, Yi’s poety, is hysterical subject. He poses hysterical question by means of the seeing the lack in his own real.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Yi’s poetry is able to be regarded more radical than Yim’s poetry poetically. Then Yi’s poetic radicality is radical not only aesthetic but also political.

      • KCI등재후보

        Reading Lost: How Sun’s Tears are Embodied

        황유정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3 No.2

        본고는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 <로스트>(시즌1-시즌5)에 나타난 아시아 여성의 지위에 대한 고찰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여기 등장하는 여섯 명의 주인공들 가운데 ‘선’(김윤진 분)은 유일한 아시아 여성, 한국인 가정 주부이다. 선은 그녀의 유창한 영어 실력을 통해, 활발하고 적극적인 여성으로 재현되는 듯 하지만, 사실 그녀에 대한 묘사는 이 드라마에서 모호하게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그녀는 아시아여성의 전형성과 비전형성을 동시에 지니는 것으로 재현된다. 대부분의 경우, 선이 등장하는 장면은 그녀가 눈물을 흘리는 모습으로 채워진다. 여기서 선의 ‘눈물’은 그녀의 여성적 지위를 묘사하는 매개가 된다. <로스트>에서 선의 눈물은 단순한 감정적인 묘사를 넘어서, 과거와 현재를 통합하는 매개로, 아시아 여성의 전형성을 전복시키는 미래의 잠재적인 저항의 매개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그녀의 이중적인 지위는 히스테리적 주체의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 KCI등재후보

        『토지』의 사랑 양상과 그 의미 연구

        박창범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0 No.-

        This research paper analyzes the complexion of love in Toji and its meaning. Love is a pivotal instance in the literary world of Park Kyung-ri, and also one of primary dynamics in the narrative of Toji. Love in Toji has been focused on the sublime relation of Wolseon and Yiyong or discussed mainly in relation to the institution. The touchstone of the biased approach and the uniform institution has not seized on the detailed subjects of the text, or has produced its easy reading and partial understanding. The narrative of affections in Toji does not only involve in the process more complicated than its seeming aspect but also is over-determined by particular conditions and a lot of factors, and so needs more careful access.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two features in Toji, the accidental outburst of love like a sudden revelation and the danger of disappointed love which can immediately lead to the world of despair and death, and contemplates their meaning. In addition, it aims to extract the meticulous and tangled condition for the union of the couple of Seohi and Gilsang and to investigate what historical significance their path of life can have in the early modern times featuring revolution and transition. 이 논문은 『토지』에 드러난 사랑 양상과 그 의미를 분석한다. 박경리 작품세계에서 사랑은 중추를 차지하는 심급이고, 『토지』에서도 사랑은 서사의 기본 동력 가운데 하나이다. 그간 『토지』의 사랑은 ‘월선’과 ‘이용’의 숭고한 관계에 집중되거나 주로 제도와 결부되어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편중된 접근과 제도적 잣대는 살펴야 할 작품의 세목을 놓치게 하거나 부분적 이해를 낳았다. 『토지』가 제출하고 있는 애정 서사는 보기보다 복잡한 과정을 수반하거니와 까다로운 조건과 다수의 요인을 통해 ‘중층결정’되기에 보다 세심한 접근을 요한다. 본문에서는 『토지』 사랑의 두 특징, 돌연한 계시처럼 주어지는 사랑의 돌발성과 실연이 곧장 절망 및 자기(自棄)의 세계로 접속되는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고찰한다. 이어 ‘서희’와 ‘길상’ 커플이 결합하기 위한 조건 및 그들이 각기 추구하는 사랑 방식을 추출한다. 특히 서희의 사랑은 향유의 대상이길 거부하는 히스테리적 주체로서의 욕망과 가문 복원의 조력자, 선대 여인들의 운명을 완수해야 한다는 삼중의 과제를 충족시켜야 함을 논한다. 더불어 서희와 길상 커플이 『토지』의 여타 인물들이 선보인 사랑 방식과 공명하고 갈리는 지점을 살피고, 이러한 양상이 『토지』 전체의 주제인 운명의 주체적 대응과 결부됨을 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