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속담에 담긴 효 의식에 대한 고찰

        지봉환 ( Ji Bong-hwa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6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8 No.-

        본 논문은 속담을 통해 전하는 선조들의 효 이야기이다. 효에 대한 선조들의 의식은 무엇이고 생활 속에서 효를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효의 형성과 전파를 위해 선조들은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효를 전하고자 하는 선조들의 노력은 치열하다. 효를 속담에 담아 전하고자 하는 선조들의 노력에서 효에 대한 선조들의 관심과 열정을 알 수 있다. 선조 들의 효에 대한 관심은 인간관계에 머물지 않는다. 선조들이 말하는 효는 삶 전 영역으로 확장한다. 효는 건강한 삶을 위한 토대라는 입장이다. 부모의 늙음과 함께 효 역시 마르고 줄어짐에 대해 염려하고 두려워하는 선 조들의 속담 속 이야기가 이를 대변한다. 비록 속담이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형성되고 공감을 통해 전파되어왔다 하더라도 이제 더 이상 한 개인의 삶에 머물수 없는 모두의 이야기가 되었고 또 되어야 한다는 것이 선조들의 생각이 다. 속담을 통해 모두의 가슴을 두드리는 이유다. 선조들은 효를 단순히 부모와 자녀 간의 덕목으로만 한정하지 않는다. 선조 들이 말하는 효는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한 요구이고, 건강한 공동체 형성을 위 한 배려다. 선조들이 효를 속담에 담아 전하고자하는 이유는 효는 시대와 세대를 초월한 가치라는 인식 때문이다. 속담 속 효는 효의 상실이 가져올 관계에 대한 염려요, 우려다. 선조들이 말 하는 효 이야기 속에는 효의 부재가 불러올 인간관계에 대한 두려움과 안타까움이 절절히 배어 있다. 속담은 대대손손 부모를 대하는 도리를 잊지 말고 이 어가기를 바라는 간절함이다. 효는 부모에게는 권리요, 자녀에게는 의무다. 효의 강조는 부모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고 자녀가 걸어야 할 부모를 향한 길에 대한 안내다. 모두의 권리와 의무를 전하고 있는 속담 속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의미를 되새겨 보는 것은 그래서 의미가 크다. This study is a story about our ancestors` filial piety, based on Korean proverbs. Filial piety consciousness of our ancestors, the reason why they emphasized filial piety in daily life and their efforts to develop filial piety are all in this study. Our ancestors tried hard to let people know the importance of keeping filial piety. And lots of Korean proverbs are strong evidence for their passion and interest in filial piety. Their interest in filial piety not only means human relationships, it also extends to every part of life. Our ancestors insisted that filial piety is needed for leading a healthy life. And their stand on filial piety can be seen in Korean proverbs, which have story about our ancestors afraid of seeing that traditional filial piety ends. Even though many proverbs are built on individual experiences and spread through personal sympathy, true meaning of those proverbs has a strong influence on many people`s lives and emotions. This is our ancestors` idea and the real reason they use proverbs to inspire people. They didn`t limit filial piety to virtu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rom their point of view, filial piety is necessary for both keeping happy family relationships and creating healthy communities. Our ancestors thought that filial piety is a great value that transcends generations. So they always worried about loss of filial piety. And this is the reason they actively use proverbs. Anxiety and sadness about the filial piety loss and future relationships are deeply ingrained in their story. Lots of Korean proverbs have our ancestors` eagerness to continue the tradition of filial duty as well. Filial piety is a right for parents and responsibility of children. Emphasizing filial piety is necessary not only to protect rights of parents, but to educate children so that they are ready for adult duties in the future. So it means a lot to us to revive and listen to the story of proverbs, which says things about our rights and duties.

      • KCI등재

        효 문화 증진을 위한 가족 치료 접근 연구

        채경선(Chae, Kyoung 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With the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the ethical meaning and value of HYO have been neglected due to individualism, changes in the nuclear family, and mechanization, while the need for HYO as the concept of interrelationship and resilience in a practical sense has been emphasized. It is the task of modern HYO culture to solve the integration and identity of family relationships and generational relationships that remain the same even in the face of various changes and ethical consciousness crisis of moder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the nature of HYO and the necessity of practical HYO, and examines the modern and practical meaning of HYO. In addition, based on the concept of HYO as a system of family interrelationship, the family therapy theory and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have been applied to the crisis and difficulties of deconstruction in the family to find resilient factors of mutual HYO and ways to implement them. The search for the interrelationship and resilience concept of family bring the integrity and identity concept of HYO, and it is meaningful in the practical aspect of HYO. The restoration of family values, healthy cohesion, and adaptation,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communication, will affect the realization of the HYO culture in the meaning of integrity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s through activating family functions, despite the outside crises.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개인주의, 핵가족화, 기계화로 인해 효의 윤리적인 의미와 가치가 등한시 됨에 따라 효 문화 증진을 위해 상호 관계적, 회복적 개념으로서의 효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변화와 윤리의식의 위기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족관계와 세대관계의 통합성과 정체성을 풀어나가야 하는 것이 현 시대에서 효의 문화 증진을 위한 과업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의 본질, 효 개념과 효 문화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가족 상호관계의 체계로서의 효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가족이 가지는 해체의 위기와 어려움에 대해 가족치료 이론과 가족 탄력성 개념을 적용하여 상호 관계적 효의 회복적 요인으로 가족의 가치 회복, 가족 통합성 회복, 소통의 회복을 찾아보고 효문화 증진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였다. 가족이라는 상호 관계적 개념과 치료적 탐색은 효의 통합성과 정체성의 개념을 가져다주고 효의 실천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다. 가족의 가치 회복, 가족 통합성 회복, 소통의 회복은 현대 가정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가족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이를 통해 세대 간의 통합, 상호 관계적 의미의 효 문화 구현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 중고등학교 국어·윤리도덕과 교과서에 나타난 효 관련 내용 분석

        지봉환 ( Ji Bong-hwa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9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3 No.-

        본 논문은 중고등학교 국어와 윤리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효 관련 내용의 수록 정도와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국어 교과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효내용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국어 교육을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효를 생각하고 느끼고 실천의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는 내용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기술이다. 윤리도덕교과에서는 독립단원으로 효를 다루고는 있었으나 내용은 단순히 부모와 자녀 사이에 필요한 덕목으로서의 효를 강조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효의 의미는 무엇이고 현대 사회에서 효를 강조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효의 실천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효의 생활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관심이 부족했다. 교과서는 아이들의 삶을 형성하는 토대고 삶의 방향을 일러주는 지침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요소이다. 이런 점에서 교과서에 실려 있는 효 교육을 위한 내용을 살펴보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of Korean and ethics. More specifically, it’s about how much those books are relevant to the filial piety and what kind of content they have. As a result, there’s a variety of filial piety-content in Korean textbooks. Although most of them a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s meaningful in that it can make students realize how precious filial piety is and help them think, feel about it. The textbooks of ethics and morals, meanwhile, discuss filial piety as an independent chapter. But most of the content is simply emphasizing filial piety as necessary virtu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 has been a lack of concrete and systematic interest in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such as what the true meaning of filial piety is, why it should be emphasized in modern society, and what should be done in order to practice filial piety. Textbooks are an important factor of education in that they are considered as the basics of living and they can also provide students with a better way of life. In this regard,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contents of filial piety education in those textbooks.

      • KCI등재

        대상관계 이론 측면에서 효 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 연구

        채경선(Chae, Kyoung 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효 사상이 깊이 깃들어 있다. 하지만 오늘날 물질 만능주의와 개인주의로 인하여 가정의 기능 약화, 인간 소외 등 여러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오늘날 전통적인개념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 속에서 효 문화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효를 상호 관계의 효, 부모 중심의 효, 세대전수를 통한 사회문화로서의효로 개념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현대적인 효의 개념을 전제로 시대의 요구에 맞는 효 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관계’에 대한 중요 이론인 대상관계 이론을 고찰하였다. 대상관계의 주요 개념과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건강한 발달과 적응에 있어서 ‘관계’의 중요성을고찰하고 좋은 대상으로서의 부모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현대 사회에 필요한 효 문화 확산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부모정체성의 회복이다. 무엇보다 가장 좋은 부모는 좋은 역할을 하는 부모에 앞서 부모 자신이 건강한 부모이다. 이를 위해 부모 자신의 내적 회복을 통한 자기 수용과 자기이해가 필요하다. 두번째로는 효 문화 확산을 위한 정서적 부모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부모 자녀간의 분리개별화는 현대적 효의 관점에서 부모가 가져야 할 근원적 목표이다. 그런 의미에서 분리 개별화를위한 부모 역할로 안아주기와 담아내기를 제안하였다.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부모의 안아주기, 담아내기 역할은 정서적, 순환적 관계성을 지속하게 되어 세대의 전수로 효 문화가 전승되리라기대한다. Korean people traditionally have a deep HYO, Today, however,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are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weakening of the function of the family and alienation of humans. Accordingly, a paradigm shift for HYO is required in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concepts and new 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nceptualized HYO as mutual relations, parent-centered HYO, and HYO as a social culture through generational transmission. In addition, on the premise of this modern concept of HYO, to find a way to promote HYO culture that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theory of object relations, an important theory about relations, was examined. Based on the ma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object rel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in healthy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humans, and the influence of parents as good objects. Through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plan to spread HYO culture necessary for the modern society was suggested. The first aspect is the restoration of parental identity. Above all, the best parents are parents who are healthy before parents who play a good role. For this, parents need self-acceptance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ir own internal recovery. Second aspect is the emotional parental role parental role of spreading filial piety. Above all,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 fundamental goal that parents should have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HYO. In that sense, it was suggested ‘holding’ and ‘containing’ as a parent for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HYO culture will be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by continuing the emotional and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후보

        ‘효(孝)’ 교육을 기초한 누리과정 적용 방안

        이미란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통적 규범서에서 인성교육의 근간을 이루었던 ‘효’ 교육을 누리과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이목을 끌고 있는 AI(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에 있어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이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좋은 성품과 덕목을 갖추는 일이다. 국가에서는 이러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취학전 누리과정을 실시하며 이 과정 안에 인성교육 덕목으로 협력·존중·배려·질서·나눔·효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만5세아 누리과정 지도서에 인성교육 덕목 활동 수는 총 484개인데 ‘효’ 관련 활동 수는 불과 4개 밖에 안 되어 타 덕목간 비율에서 가장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백행지본(百行之本)의 근본이 되는 ‘효’ 관련 활동 수를 4개에서 135개로 대폭 추가 제시하였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효’ 덕목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 누리과정 각 영역과 내용범주 계획에 융통성이 필요하며 유아교육 기관과 부모 및 가정이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방법의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Nuri Curriculum with practical method of applying Hyo education of traditional Korean Norm books which had been a long standing basis for humanistic education. At the age of AI which recently became public attention, attaining a good personality with essential virtues for living in harmony with other people is the most important issue. To cultivate labor forces of future generation, the Nuri curriculum led by the government was adopted for the education of preschool children, providing the humanistic education virtues of cooperation, respect, care, order, sharing and Hyo. Though the number of total contingency activity plan relating to the humanistic education virtues accounts to 484, the number of Hyo related acitivity is only 4 which is noticeably small compared to the other virtues' activities. To improve this, the researcher added Hyo related activities drastically up to 147, taking the notion that Hyo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basis in hundred of other humanistic activities into consideration. It is required that the actual field contingency plan based on Hyo related activities raised in this research needed to be developed and the methodological technique applicable both the education facility and the family should als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효 문화 대중화’의 의미와 청소년 교정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남병훈(Nam Byong Hun) 한국교정복지학회 2008 교정복지연구 Vol.- No.13

          한국은 효 문화를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간직해오고 있다. 오늘날 이 효 문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가르치고 소개하여 현대인이 효 의식을 가지고 이것을 삶의 기본적인 가치관으로 삼아 이상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해나감으로써 살기 좋은 사회를 형성해가는 것을 지향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어떻게 효를 가르치고 삶에 적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달리 말해서, 효 문화의 대중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때 효에 기초한 윤리의식이 이 사회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BR>  효 문화란 효 사상, 효 교육, 효 예절, 효 풍습 등을 비롯해서 정신문화와 물질문화를 모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는데, 간단히 말해서, 부모공경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가정예절과 이웃에 대한 존중의 태도를 갖고 살아가는 것으로서 정신과 행동과 예술을 포함한 총체적 양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문화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현대의 효 문화는 좁은 의미에서 유행성 문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폭넓게 따를 수 있는 효의 규범이나 가치관을 제시하는 것이며, 고급이나 저급이나 상관없이 일반인 누구나 따를수 있는 문화로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사회적 변화와 발전에 부응하는 삶의 공존 방식을 제시하고 가르치는 것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BR>  이러한 효 문화를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연령과 계층 간에 의사소통과 더불어 효과적인 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인터넷 세대를 고려하여 효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영상과 음향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 기법으로써 효의 내용과 방법들을 가르치고, 행동주의 원리에 입각한 효교육을 위해서 객관적 강화조건들을 형성하여 합리적인 효 문화를 이루어갈 수 있도록 한다. 그 구체적인 적용으로서 교정시설에 수감된 청소년을 위한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이들은 그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서 비교적 효 문화의 수용과 교육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BR>  앞으로 신세대가 효 문화에 관심을 갖고 구체적으로 효를 실천해나가고 기성세대가 이에 부응하여 효교육에 힘쓰고, 효 의식으로 새롭게 형성된 화합 사회의 비전을 제시할 때 비로소 효 문화는 이 시대에 부합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로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Korea has been famous for its traditional Hyo (filial piety) culture. Nowadays some people have the perspectives that if Hyo culture is well educated to modern people, they might consciously regard Hyo as their moral values and have the vision of harmonious living-together on the basis of ideal human relationship. But, the question is how you can teach Hyo to be adapted to your daily life. In other words, successful popularization of Hyo culture would help to make the formation of moral consciousness based on Hyo thought - the ideal relationship of people.<BR>  Hyo culture contains both spiritual culture and material culture including Hyo thought, Hyo education, Hyo proprieties, Hyo custom, etc. In short, Hyo culture is the holistic form of values, behavior and arts, and it is the lifestyle of loving and respecting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which comes from the values of honoring parents. There are several ways of understanding or interpreting cultures. We may define modern "Hyo culture" as the norms or values which can be accepted to people in general, not as pop culture in narrow sense of the word. Without the classification of its lower or higher levels, Hyo culture needs to be presented as a general culture which everyone needs and can take in. We could teach it as the lifestyle of harmonious coexistence according to social changes in postmodern era.<BR>  For the goal of the popularization of Hyo culture, we need to start teaching for all age groups with the help of mutual communication. For example, developing the digital contents of Hyo culture for young netizens, telling Hyo stories with the help of visual and sound effects, and using behavior technology and operant conditioning of Hyo in schools and homes could help us to make Hyo culture reasonable and scientific. By applying to juvenile delinqu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s was presented. As these young adults are confined in a special environment, easy acceptance of Hyo culture and effective Hyo education is expected.<BR>  If the young generation become interested in Hyo culture and start to practice it, old generation would put forth their strength to teach Hyo and try to offer the vision of harmonious society for future generation. Then, Hyo culture could perform an active and central role for the present times and the commg years.

      • 한국인의 효사상과 효문화 : 한국사상과 효문화 ; 불교 효 윤리의 중국적 전개

        소순자 ( Sun Ja So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08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11 No.-

        중국이 불교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인도와 중국, 이 두 나라의 사회구조적 이질성(異質性)과 그로 인한 문화적, 윤리적 상이(相異)로 빚어지는 상호간의 불협화(不協和)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중국은 유교가 지배하는 사회로 유교에서 효(孝)는 만덕(萬德)의 근본이며, 천지(天地)의 이법(理法)이라고 까지 말한다. 중국은 이 효에 의하여 가정의 질서가 보존됨은 물론이고, 사회는 유지되며, 국가의 통치조차도 이 효에 근원한다. 이렇듯 효를 중시하는 중국사회에 불교가 전래되어 전혀 다른 유(儒)·불(佛) 양교(兩敎)가 때로는 서로 반박하고 때로는 조화(調和)하여 가면서 불교가 수용되고 뿌리를 내려 정착하여 갔음을 알 수 있다. 불교도(佛敎徒)들은 중국의 전통사상인 유교에 맞서서 대항하기 위해 효에 관한 여러 경전(經典)들과 부모의 은혜에 관한 서적의 번역을 통하여 점차 유교(儒敎)사회와 융화되어 갔으며 송(宋)대에 이르러서는 불교, 유교, 도교 삼교(三敎)가 서로 조화 융합되어 일치하기까지에 이르렀다. 유교가 불교를 배척하는 것은 윤상(倫常)상(上)의 문제였으며, 사문(沙門)이 계(戒)를 받고 체두(剃頭)하는 것이 유교적 관점에서 볼 때는 오륜(五倫)의 가르침을 거스르는 것으로 간주되나, 불교에서 볼 때는 어디까지나 종교적 계율(戒律)을 따르는 것으로 윤리에 위배되지 않는다. 사문(沙門)은 속세를 떠난 자이며, 불교의 계율(戒律)을 온전히 따르는 것이 효인 것이다. 효에는 부모로 하여금 삼보(三寶-佛, 法, 僧)를 신(信)하여 성불(成佛)하게 하는 대효(大孝)와 육체적, 세속적인 소효(小孝) 이 두 가지의 효가 있으며 불교에서는 『비화경(悲華經)』에서 설(說)하는 바와 같이 “산천초목이 모두 다 나의 부모”인 것이다. The biggest problem of receiving Buddhism in china is in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both countries, India and china and disharmony from their cultural and ethical difference. The filial piety of Buddhism governing the chinese society is the basis of all virtues and the reason of heaven and earth. In china the order of home and society is kept and maintained by this filial piety and moreover even governing the country is also depended upon by this filial piety. We can understand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ese society which treats this filial piety as the ground and it was rooted in that country through the harmony and disharmony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deed, how the filial piety which Buddhism regards as the basis of ethics was harmonized with the thought of chinese filial piety? But buddhist struggle against confucianism since chinese tradition was gradually harmonized with confucian society by the translation of various filial scriptures and the books for parents` love, and in Song Dynasty through the reconciliati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were harmonized. Now I am going to concentrate on the filial ethics as dealing with the reception of chinese Buddhism through compromising Taoism which was chinese native national religion, Confucianism which governs real ideology and Buddhism which was imported. Then Buddhism was demolished by the collision with chinese thought? In post-Han Era, Buddhism was not ruined in spite of collision with Taoism and not destroyed under the governmental and ideological oppression. Buddhism searched for the history of spread as confronting with the problem of filial piety and civilities. what Confucianism rejects Buddhism is the human problem. In Dang Dynasty there occurred the rejection of Buddhism by Han, Twe zie(782~824) and in Song Dynasty Buddhism was vigorous by Ku, Yang soo(1007~1072), Chang Jae(1020~1077), Yi, Jong Ja and Joo Ja(1130~1200), but it was only based on the theory of Han Ku Yi Ja. In general joining the priesthood and hair cutting are regarded as demolishing the teaching of the five cardinal principles of morality in the view point of Confucianism, but in Buddhism it was an obedience of parents by the commandments therefore it is not opposed to ethics. Success in life is derived from the faithfulness. As Buddhism abandons the King and parents for its joining priesthood it is told as a savage religion, but morality is based on loyalty and filial piety and the law of casuality is for accomplishing the teachings. the Buddhist monk is beyond the world and the entire fulfillment of Buddhist commandments is filial piety. In Confucianism he is not human if he doesn`t carry out the five principles of morality but in Buddhism the person who destroyed the five commandments are not only human but also fallen into the hell. Confucius said that the filial piety is the foundation of humanity, and humanity is the basis of five cardinal principles of morality, so it is regarded as the basis of ethics. But how is the filial piety in Buddhism? Nevertheless to say this is altruistic thought. Therefore the core of Buddhism lies in altruistic thought and its fundamental basis is the merciful heart and its fundamental origin is reverence and its origin comes from dutiful heart. Therefore in Buddhist Scriptures, filial piety was premised. Buddhism contains a strong real volition and aims at delivering and purifying the mankinds after their death. So Buddhist Scriptures appeal the filial piety to parents but it is not by duty, formality, rank or authority but by casuality and requital of favor. This filial piety is not limited to Confucianism but the monks also showed much interest in it through their books. This is the Buddhist filial piety which is the basis of all commandments and requital of favor to parents and makes them Buddhists. In short, there are two filial pieties, one is major filial piety which makes parents Buddhists and the other is minor piety which devotes physically and as worldly manners.

      • 효 교육의 현대적 실천 방안

        채명금 ( Myung Geum Cha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6 사회복지경영연구 Vol.3 No.1

        유교의 핵심사상은 인(仁)이며, 그 실천 방법은 효(孝)라고 강조한다. 유교에 나타난 효(孝)의 의미를 찾아보면, 자식의 의무라기보다 부모의 올바른 본보기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효교육은 아무리 강조해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효 사상의 현대적 실천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孝)의 근본은 가정을 이루는 부부관계와 역할의 정립이고, 가정에서 부부가 효(孝) 실천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효(孝)의 근본을 알고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효(孝)의 기본원리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설정과 역할의 정립이다. 부모와 자녀는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친밀함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은 예(禮)를 갖춘 쌍방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효(孝)의 실천원리는 가정에서 효행문화를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녀가 밥상머리 교육을 통해 작은 사회관계를 충분히 배울 수 있도록 배려해주어야 한다. 넷째, 효(孝)의 확산원리는 학교에서 도덕과 윤리교육이 이루어진 것을 가정에서 실천하고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The core idea of Confucianism is the, he emphasizes that hyo practices. Looking to find the meaning of the hyo shown in Confucianism, and obligations of the child, rather than emphasizing its role as the parent of the right example. At this point hyo education is also not a bunch of stressed enough. In the research on modern practices of filial piety as follows. First, the fundamentals of hyo is a marital relationship and roles that make the establishment of a home, the couple should be best practice hyo at home. To be aware of the hyo of the fundamental in order to practice it needs to be ``parent education`` is leading. Second, the basic principle of hyo is a set of established relationships and rol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arents and children need to maintain harmony and balance achieved intimacy with each other, it is essential that both parties can communicate with an example for this purpose. Third, practice the principle of hyo filial piety is to establish a culture in the home. To do this, haejueoya care so that children can learn enough small bapsangmeori social relations through education. Fourth, the principle of diffusion hyo shall be made in practice at home what is moral and ethical education in school can be applied to society.

      • KCI등재후보

        효(孝) 문화의 생활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남근 한국효학회 2008 효학연구 Vol.0 No.8

        우리는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도전을 수용할 것은 수용하고 세계화 보편화하여 효(孝) 문화를 생활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전통문화인 효 (孝) 문화를 창조적으로 발전시켜 전통적 가치를 되살리는 지혜를 발휘하고 생활 화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부모님께 소일거리를 만들어 드리자 둘째, 부모님이 원하시는 곳에 살게 해 드리자 셋째, 노년의 삶을 즐기실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도와 드리자 넷째, 부모님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지켜드리자 다섯째, 홀로된 부모님들이 이성과 사귀는 것을 인정해 드리자 급변하는 사회변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효(孝) 문화가 예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적인 윤리의 꽃인 효(孝) 문화를 계승하고, 현대생활에 적합한 새로운 효(孝) 문화가 일상적인 생활이 되기를 바란다. We should accept new changes with open mind to make them globalized and universalized, by which we can make filial piety part of our lives. This article aims to recover traditional values by creatively developing our traditional filial piety culture, and to find the method to make the culture part of our lives. The following are the methods to make filial piety part of our lives First, we should give our parents some diversions. Second, we should have them live where they want to live. Third, we should assist them economically for them to enjoy their lives. Fourth, we should positively keep their health. Lastly, we should recognize that our parent who lost his or her spouse may fall in love with a new partner. A new kind of filial piety culture is now coming into our lives according to the dramatic change of the society. Therefore we are hope to the modern life style in succeeding our traditional filial piety as the essence of our traditional morals.

      • 부모의 효(孝)교육을 통한 ‘마음나누기’가 자녀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4) - 전통적 효교육의 현대적 이해를 중심으로 -

        김황기 ( Kim Hwang-ki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9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3 No.-

        현대사회는 서구사상이 범람하고 산업화를 거처 서구화, 도시화, 정보화, 시대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전통적인 효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가치관이 아주 희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는 인간의 생활방식이나 사고방식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급기야 인간성 상실과 가치관 혼란이라는 도덕성 부재를 불러왔다. 이는 이시대의 아주 중요한 관건이다. 우리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한국적 효사상과 인성교육과 가치관교육의 부실로 인해 청소년의 비행문제가 사회적으로 아주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어른들도 정도(正道)를 넘어 심각한 상태다. 매일 TV뉴스에는 정치인, 경재인, 법조인, 연예인들의 비리가 온통 낯 뜨거워서 볼 수 없는 정도이다. 우리의 전통적인 효는 효교육문화가 기반인데 부모에 대한 공경과 섬김이며 형제우애와 가족화목이며 나아가서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사랑인데, 이러한 효교육과 효행의 실종으로 인한 청소년 비행이 매년 증가하고 더욱 흉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근본적으로 우리 고유의 인(仁)사상과 효사상교육의 부실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고 독거노인이 날로 늘고 노인 자살률이 OECD회원국 1위라는 불명예는 학교교육과 사회와 국가의 전반적인 인성교육정책이 부실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근본요인은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의 하나는 가정에서부터 이루어지는 따뜻한 부모의 효교육을 학교교육과 연계해 우리 고유의 인효(仁孝)사상과 인성교육을 중점적으로 시행하는 일이다. 그러나 현재 가정과 학교에서 시행되는 인성교육은 효문화교육과 가치관을 확립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윤리·도덕이 실종된 병든 사회를 치유하고 전도된 가치관 회복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성장에 맞는 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가정과 학교에서 실행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장 세계적인 우리 고유의 인효사상과 전통윤리의 효교육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 부모의 내리사랑과 자녀의 섬김이 부모와 자녀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먼저 살펴보고, 국민들의 도덕성 상실과 윤리적 혼란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전통문화인 효교육과 인성교육으로 가정과 학교와 사회윤리를 재정립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게 함에 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효교육프로그램에 의한 학교교육을 정규과목으로 편성해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집중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당국에 효문화교육을 등한시하는 현대교육의 맹점을 지적하면서 국가정책 차원에서 효문화교육을 정규교과로 실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With the influx of Western values and the drastic change through industrialization, westernization, urbanization, and information age, the awareness and emphasis on the traditional value of filial piety have diminished in contemporary society. Such societal change has brought a drastic change in people's lifestyles and thinking, ultimately to the point of deteriorating ethical standards of dehumanization an chaos in the value system. This has risen as a critical issue of the current age. The lack of education on Korean filial piety, ethics, and values has given way to juvenile delinquency which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Such problem also pertains to adults as well. The degree of misconduct among politicians, economists, legal authorities, celebrities being reported on the television news is well beyond acceptable standards. Our traditional value of filial piety is based on moral education, which emphasize respect to parents, fraternity among brothers, harmony among the family members, love and courtesy to others. The lack of education on filial piety has led to an increase in juvenile delinquency both in its number and seriousness. This is fundamentally due to the lack in moral education on the virtues of 'Ren' (仁,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which has led to broken families, increasing elderly citizens living alone, and our country ranking as the number one country with greatest number of elderly suicidal rate among OECD countries which can be attributed to general weakness in the society's and school's moral education policies. The fundamental factor behind the problem i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within the family. One of the best solutions to this problem is to conduct moral education within the family in connection with the school, where the parents teach their children the values of filial piety and benevolenc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both the family and the school's moral education is not yet enough to establish solid values of filial piety. This is because the teaching of filial piety, benevolence, and Korean value systems are not emphasized as a national policy. Therefore, in order to recover our society's lost ethical standards and re-establish the transgressed values, a teenage education program of filial piety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mong families and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benevolence, and our traditional ethical values. For that matter, we first look into how parental love and filial respect affects parents and children. We also seek to lay the foundation for more detailed measures in re-establishing the society and school's ethical standards based on education of filial piety, which will recover moral deficiency and ethical chaos. To implement this, a longterm ethics program should be set as a regular school curriculum focusing on emotionally sensitive teenagers. In summary, this study looks into the blind spot o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which neglects moral education of filial piety, and strongly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an ethics education of filial piety as a regular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