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교육용 관용 표현 제시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해준,손경애 한국어정보학회 2012 한국어정보학 Vol.14 No.2

        본 연구는 ‘손1)’과 관련된 한·중 관용 표현 비교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관용 표현 제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외국어 학습은 단순히 언어학습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통해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것 이다. 언어에는 그 언어가 속해 있는 사회의 문화적 양식이나 관습이 반영되어 있으며, 원 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 속에 담겨 있는 함축적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의 미에서 관용 표현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꼭 익혀 야 할 사회의 문화적 양식이나 관습이 반영되어 있는 중요한 내용이다. 또한 형태적으로 관용 표현은 둘 이상의 어절이 결합되어 제 삼의 의미를 획득하는 것으로 의미와 형태가 통사적으로 굳어진 구 이상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관용 표현은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도달하기 어려운 수준 높은 언어 표현이다. 관용 표현은 생성 요인이 한국의 문화와 역사, 관습 등에 의해서 생성되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유창함을 위해서는 관용 표현의 익힘은 필 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체어 중에서도 관용 표현 생성에 이용되는 빈도수 가 높은 ‘손’을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idiomatic expressions of both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language concerning hands and to find out presentation of effective idiomatic expressions for the Chinese learners. Learners learned not only foreign language but also associated foreign culture. Language reflected cultural styles and custom of the society so that learners should understand implicative values of the language to communicate smoothly. Therefor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should learn idiomatic expressions having cultural styles and/or custom to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well. The idiomatic expressions combined two or more clusters to produce third meaning and to have structure of more than phrase of meaning and form. So, idiomatic expression was high level linguistic expression that foreigner learners were difficult to reach. Foreigner learners should learn idiomatic expressions to communicate well that was made by culture, history and custom of Korea. This study discussed 'hands' for Chinese learners that was often used among body related words to do idiomatic expression.

      • KCI등재

        이목(耳目) 관련 관용어(慣用語)의 발상(發想)과 표현(表現) -한,일,영어의 관용어 비교-

        박갑수 ( Kap Soo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5

        한·일·영 세 언어권의 이목 관련 관용어를 발상과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목 관련 관용어는 651개이며, 귀 관련 관용어에 비해 눈 관련 관용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한·일·영 세 언어권의 동의·동형의 관용어는 10% 미만이며, 두 언어권에 공통되는 것을 합쳐도 대체로 10% 대다. 세 언어권의 관계는 한·일 관계가 가장 밀접하고, 일·영 관계가 한·영관계보다 밀접한 경향을 보인다. 세 언어권의 관용어는 개념 면에서 유형화해 볼 때, 귀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을 나타내는 유형이 가장 빈도가 높고, 이해·판단류, 청각 기능류, 표정·태도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언어권에 따른 경향은 대부분의 고빈도 유형이 일본어권에 속하고, 한국어권이 판단·이해력류 한 가지만 우세를 보인다. 눈 관련 관용어는 주의·관심류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감정류, 표정·태도류, 판단이해(력)류의 순으로 빈도가 낮아진다. 고빈도는 귀 관련 관용어와는 달리 언어권에 따라 분산된 경향을 보인다. 한국어의 감정류, 일본어의 시각 기능류, 태도·표정류, 영어의 판단·이해(력)류, 주의·관심류가 우세를 보인다. 귀 관련 관용어의 특징은 한국어권의 청각 능력류, 주의·관심류 등이 소극적 경향이 강하고, 경험류의 예가 많고, 영어권의 싸움류 아첨류 등 특이한 유형의 관용어가 많다는 것이다. 눈 관련관용어의 특징은 무엇보다 한국어권의 감정류가 두드러진 빈도를 보이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주의·관심류가 언어권에 따라 특징적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이렇게 이목 관련 관용어는 발상과 문화에 따라 표현을 달리한다. 韓·日·英語圈の耳目關聯慣用語を發想と表現を中心にしらべて 見た. 耳目かんれん慣用語は651個である, 耳かんれん慣用語が169 個, 目かんれん慣用語が481個であつて目かんれん慣用語が壓倒的に 多い. 韓·日·英同意同形の慣用語は10%未滿であり, 二つの言語に共 通する慣用語は耳目共に韓日關係がいちばん密接であり, 日英關係 が韓英關係より密接である. 韓·日·英慣用語を槪念的に類型化すると耳かんれん慣用語は注 意·關心, 判斷·理解等の頻度がたかいし, 目かんれん慣用語の頻度 は注意·注目·關心, 感情, 視線·表情·態度等が高い. このような 現象は發想に原因があるといえる. 言語圈によつた傾向は耳かんれ ん慣用語は高頻度の慣用語が日本語に偏向されているのにだいして, 目かんれん慣用語は韓國語の感情, 日本語の視覺機能, 英語の判斷· 理解等が高い頻度を示して分散された傾向がある. 槪念的類型の特性は耳かんれん慣用語のばあい第3類(判斷·理解力)と第8類(經驗)の韓國語慣用語の頻度が高い. 第4類(注意·關心) は韓國語のばあい日·英語とは異なつて消極的聽取態度をみせる. 第9類(感情)は目かんれん慣用語とちがつて例がすくない. 第11類以 下第16類は英語慣用語にあらわれるだけて發想と文化的差をみせ る. 目かんれん慣用語は感情を現わす韓國慣用語, 注意·關心をあら わす日·英語の慣用語がたかい頻度を示すのが特徵的現象である. 第4類(注目·關心)はいちばん頻度が高いのであつて韓國語は關心, 日語は注視·注目, 英語は注意·警戒をあらわすのが多くて差を示 す. 第9類(感情)は皆たかい頻度をみせるが韓國語のほうが壓倒的で ある. 現わす感情は韓·日·英語圈に差がある. 第16類(秋波), 第17類 (あらそい)は英語圈だけの特殊な慣用語である. 耳と目は同じく感覺器官であるが言語圈の發想と文化によつて慣 用語には以上調べて見たように差が生ずる. したがつて效果的な疏 通をする爲には發想と表現に注意すべきである.

      • KCI등재

        한국어 합성명사에 대한 성구론적 분석

        김미현 한국어의미학회 2019 한국어 의미학 Vol.63 No.-

        Although recently phraseology has become well known and widely studied in various languages, its scope still remains at the lexical-syntactic level. The very term phraseology seems to imply that this phenomenon is restricted to phrases only. Consequently, morphological compounds or derivatives are usually excluded from the scope of phraseological studies. Phrasemes, however, are not necessarily phrases (syntactically connected wordforms). Korean, in particular, have many compounds or derivatives that have to be analyzed and modeled as phrasemes. Like their phrasal counterparts, some Korean compounds or derivatives are paradigmatically restricted. We term these ‘morphological phrasemes.’ In this study, we first postulate ‘complex expressions’ and ‘paradigmatical restrictedness’ as definitional properties of phrasemes. Additionally, we distinguish compositional phrasemes (such as collocations and cliché) and non-compositional phrasemes (such as idioms). To show the phraseologisation at the wordform level, we apply the same criteria of phraseologisation, restrictedness and (non-) compositionality to Korean nominal compounds. According to these criteria, we classify three types of compounds (free compounds, semi-phraseologized compounds and phraseologized compounds) and propose a lexicographic modeling of Korean nominal comp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