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존재 분석과 현존재 분석론

        손영삼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6 No.-

        M. 보스의 현존재 분석은 정신치료 또는 정신의학에서 자연과학적 입장과 태도를 넘어설 수 있는 길잡이를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에서 찾았다. 현존재 분석론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를 밝혀 드러내고자 했다. 이 분석론에서 이해되고 해석되는 현존재를 보스는 인간의 본성으로 파악했다. 이 인간의 본성에 근거하여 정신병리 또는 정신장애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현존재 분석은 현실에 대한 철학의 적용으로서 우리의 관심 대상이다. 철학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용하는 철학과 적용되는 현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 야 한다. 보스의 현존재 분석은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으로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보완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이 비록 자연과학적 입장과 태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그 밑바탕에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놓여 있는 것으로 보스는 파악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비록 어렴풋하나마 존재이해가 모든 인간의 삶 밑바탕에 놓여 있으며, 이 존재이해의 근원이 현존재의 존재이해이다. 이런 점에서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에도 그 밑바탕에는 존재이해가 놓여 있을 것이며, 이 존재이해를 밝혀 드러내는 일이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보완하는 일이기도 하며, 그 결과가 보스의 현존재 분석이다. 이와 같이 보스의 현존재 분석은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으로 보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존재 분석에서 정신건강은 현존재의 존재론적 구조에 따른 현상이며, 그렇지 않은 현상은 정신병리 또는 정신장애로 이해될 것이다. 그런데 정신병리 또는 정신 장애로 이해되는 현상이 현존재의 비본래성에서 비롯하는가, 아니면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하는가? 이것이 문제이다.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에서는 현존재의 실존이 분석되고 있으며, 보스의 현존재 분석에서는 인간의 정신 현상이 분석되고 있다. 현존재의 실존과 인간의 정신 현상 사이의 관계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한, 현존재 분석에 따른 진단과 치료는 그 근본의도와는 달리 어림짐작으로 그칠 수 있다.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에서 현존재의 비본래성은 인간의 일상적 삶에서 나타나는 어떤 현상과 일대 일 대응관계를 가지지는 않으며, 비본래성은 현존재의 존재론적 구조에 따라 본래성으로 바뀔 수 있다. 인간의 존재망각은 인간의 근원에 현존재의 존재이해가 놓여 있다는 것에 대한 망각이다. 이를테면,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에 존재망각이라는 지적이 가능하며, 이 존재망각을 보스가 일깨우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M. Boss' Daseinsanalyse erblickte einen Leidfaden in Heideggers Daseinsanalytik, mit welchem sie naturwissenschaftliche Einstellung und Verhaltung in Psychiatrie und Psychotherapie ueberwinden koennte. In der Daseinsanalytik wollte Heidegger das Seinsverstaendnis des Daseins aufschliessen. Das in dieser Analytik verstandene und ausgelegte Dasein fasste Boss als Wesen des Menschen auf. Insofern Daseinsanalyse, die psychische Phaenomene auf Grund dieses Wesen vom Menschen zu verstehen und auslegen, eine Anwendung der Philosophie auf die Wirklichkeit ist, zieht sie auf sich unser Interesse. Um Philosophie auf die Wirklichkeit anzuwenden, soll das Verstaendnis fuer die Philosophie und die Wirklichkeit vorausgesetzt werden. Boss' Daseinanalyse hatte die Absicht, Freuds Psychoanalyse mit Heideggers Daseinanalytik zu bewahren. Obgleich Freuds Psychoanalyse sich nicht aus naturwissenschaftlicher Einstellung und Verhaltung befreien konnte, ihr zu Grunde liegt das Verstaendnis vom Wesen des Menschen. Nach Heidegger, liegt ein Seinsverstaendnis allem Menschenleben zugrunde, und der Ursprung dieses Verstaendnises ist das Seinsverstaendnis des Daseins. In dieser Hinsicht liegt das Seinsverstaendnis des Daseins auch der Psychoanalyse von Freud zugrund, und das Aufschliessen des Seinsverstaendnis des Daseins in Freuds Psychoanalyse ist es, diese zu bewahren. In dieser Daseinsanalyse ist Gesundheit ein ontologischer Struktur angemessenes Phaenomen, und Krankheit ist ein ontologischer Struktur unangemessenes Phaenomen. Aber dann ist dieses Phaenomen aus der Uneigentlichkeit des Daseins oder aus der Seinsvergessenheit des Menschen? In Heideggers Daseinsanalytik wird die Existenz des Daseins analysiert, und in Boss' Daseinsanalyse wird das psychische Phaenomen des Menschen. Wenn das Verhaeltnis zwischen die Existenz des Daseins und das psychische Phaenomen des Menschen nur ausdruecklich aufschliessen wird, dann wird die Daseinsanalyse ein Weg zum eigentlichen Zweck und Ziel. In der Heideggers Philosophie soll die Seinsvergessenheit des Menschen und die Uneigentlichkeit des Daseins voneinander untersieden werden.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있어서 현존재의 의미

        하피터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9 철학논집 Vol.18 No.-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에서 존재이해를 가지고 있는 현존재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 그리고 하이데거가 현존재 분석에서 데카르트에 의 해 마련된 근대 철학적 토대인 (이론적인)의식을 현존재로 대체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에서 의식과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현존재의 특징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탐구되지 않았다. 이 논 문에서 우리는 현존재의 근본적인 특징이 무엇인지를 현존재의 실천적 인 행동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밝혀보고자 한다. 현존재와 주위세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하이데거는 현존재 가 일차적으로 주위세계의 사물들을 “실천적인 행동관계”에서 만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현존재의 “행동관계”에서 드러나는 사물들은 “존재자 (ontos)”도 아니고 근대 철학적 개념인 “대상(object)”도 아니다. 현존 재의 주위세계에 만나는 사물들은 “실용적인 사물”(pragmata)이며, “무 엇을 하기 위한 어떤 것(um-zu)”으로 규정된 “실용적인 사물”은 이론 적인 대상들처럼 서로 고립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주위세계에서 만나는 실용적인 사물들은 구체적인 목적기능에 의해 질 서지어졌는데, 그 이유는 현존재가 “그 때문에(Um-willen)”에 의해 규 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존재 분석에서 인간과 사물의 관계는 데카 르트의 경우처럼 “cogito”와 “extensio”가 아니라 “Um-willen”과 “um-zu”로 규정되는데, 이 관계는 현존재의 실천적인 행동에서 규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현존재의 실천적인 행동이 의식보다 근원적인 이유는 실 천적인 행동에서 이루어지는 “실용적인 사물의 이해”는 의식에서가 아 니라 세계 속에서 발원하기 때문이다. 이론적인 이해에서는 사물이 항 상 개별적인 대상으로 규정되며 이 대상은 의식에 환원되는 데 반해 “실용적인 사물”(도구)에 관계하는 현존재의 실천적인 이해에서는 하나 의 개별적인 도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 속에 있는 도구 전체성이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구 전체성은 세계 속에 이미 있기 때 문에 현존재의 실천적인 이해는 의식을 선행하는 세계에서 발원한다.

      • KCI등재후보

        탈주체적 인간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

        김완종 ( Wan Jong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5 기독교철학 Vol.20 No.-

        필자는 본 글에서 하이데거가 인간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고찰할것이다. 이를 위해서 그가 말하고 있는 현존재(Dasein)이 사르트르처럼 인간만을 의미하지 않고 전체 존재자의 있음과 인간의 거기-있음(Dasein)이란 이중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그런 후 필자는 인간의 거기-있음이라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거기-있음(인간 현존재)이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런 인간의 거기-있음이 인간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라는 것을 고찰할 것이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Selbstheit) 또는 인간 현존재의 본질인 거기-있음이 어떻게 전통적인 자기동일성(Selbigkeit) 개념, 즉 고대와 중세,그리고 근대 개념 특히 근대와 다른지를 살펴보고 하이데거가 말하고 있는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 개념임을 확립해 볼 것이다. 하이데거는 SZ에서 현존재를 분석한다. 하이데거는 인간을 현존재로 정의한다. 인간을 주체로 사용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피하며 해체하고 있지만 거기-있음으로 정의되는 근원적 주체성은 여전히 그의 기초존재론에서 보존되어있다. 그래서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Selbstheit)은 그가 근대적 의미의 주체적 자아를 수용한 것처럼 보이게 한다. 하이데거는 근대적 의미의 주체적 자아를 답습하고 있는 것인가? 그는 근대에서 말하는 주체로서의 자아를 반대하며 비판한다. 그렇다면 하이데거가 말하고 있는 현존재의 자기성과 근대적인 주체적 자아는 어떻게 다른가? 서양 전통 형이상학은 인간의 자기성을 실체와 의식, 정신, 영혼, 그리고 이성으로 간주하였다.특히 근대에서는 인간의 자기성을 실체, 자기의식(Selbstbewußtsein),이성, 사유하는 자아로 규정하는 주체의 주관성(Subjektivit t)에 토대를두었다. 주체의 주관성의 본질은 다름 아닌 세계와 분리되어 모든것을 대상화하는 표상작용(Vorstellen)이며, 이 표상작용이나 행위는존재자들을 주체 앞에로 강제로 이끌어와 그것들을 자기에게 관련시키어종속시키거나 공격하고 무제한적으로 지배하는 대상화(meisterndeVer-gegen-standlichung), 다시 말하면 주체의 자기-대상화(selfobjectivization)이다. 이런 점에서 근대적 자아는 자기정립적 활동 속으로 다른 모든 것을 환원시키는 내면적 표상화로 압축된 고립된 자아(isolatedego)이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인간의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은 거기-있음이다. 거기는 인간 현존재의 존재가능(Seinkonnen)이 밝혀지는 존재의 자리이다. 이런 존재가능은 한 번 그 능력을 현실화하면 더 이상 그 실현하는 능력(Aktualisierung)이 소멸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이 성취(Vollzug)를 향해 고군분투하면 할수록 더욱 풍성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취의 끝은 고정될 수 없는 더 큰 가능성을 위한 인간 현존재의 고유한 존재가능이다. 그래서 하이데거에게 인간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의 본질은 현실성을 의미하는 existenia와는 다른실존(Existenz)이며 이런 인간 현존재의 본질인 실존은 기분(Stimmung)을 통해 탈은폐된다. 거기-있음은 고착되고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계속해서 있음의 가능성, 존재가능(Seinkonnen)으로 나아간다. 탈자적자기(ecstatic self)이다. 이런 자기가 본래적 자기이며 근대적 주체적자아인 무세계적 자아(worldless ego)와 고립된 자아, 그리고 사유하는 실체와는 대조적으로 수동적이고 규정되지 않은 역동적이고 활동적인 존재가능성으로서의 단독적 자기(solus ipse)이다. In this study I will demonstrate how Heidegger determines human being as the There-Being. For this I presuppose that There- Being(Da-sein) which Heidegger said does not mean human being only like Sartre, but both Being as a whole and human Dasein as There-Being, and then I``d like to investigate what human being``s There-Being means on the basis of human Dasein as There-Being. This human``s There-Being is the authentic self of human Dasein. Establishing how the authentic selfhood(Selbstheit) of human Dasein or the nature of human being as There-Being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elfsamness(Selbigkeit), namely ancient, medieval, modern times, especially modern notion, I will reestablish the notion of the authentic selfhood of human Dasein which Heidegger said. Heidegger analyzes Dasein in fundamental ontology of Sein und Zeit and defines human being as Dasein. He precludes defining human being as subject and destroys it but he still preserves a primordial subjectivity which is defined as There-Being in fundamental ontology. So the concept of the authentic selfhood of Dasein makes us appear to accept the modern self as subject. Does Heidegger``s the authentic self of Dasein return to the subjective self of traditional metaphysics? How does Heidegger``s the authentic self of Dasein distinguish from traditional metaphysics, especially subjectivity of modern self? Heidegger used traditional terms of metaphysics and was in its thought-frame. But certainly he departs from them. According to traditional metaphysics, especially modern times human self is defined as res cogitans, subject, self-consciousness(selbstbewu tsein), rational animal,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human selfhood is based on subject of subjectivity(Subjektivit t). For this reason, at the peak of modern times beings(Seiende)is not present, but is represented, objectified in representation(Vorstellen). The nature of the subject of subjectivity is related to its representations, which is separated from the world. These representations, setting-before, is a making everything stand over and against as object(Ver-gegen-st ndlichung) which masters and proceeds against, that is self-objectivization of subject. For this reason the modern self is isolated ego which encapsulated in its immanent representations by reducing every other thing to itself in the self-posting activity. But Heidegger``s the authentic selfhood of human Dasein is There-Being. There(Da) is Being``s openning(Lichtung) which reveals potentiality-for-Being(Seinkonnen) of human Dasein. This potentiality-for-Being doses not mean that once it actualizes its competence it does not annihilate actualizing power(Aktualisierung), but it becomes richer and richer as it strives towards its fulfillment(Vollzug). The end of fulfillment is potentiality-for-Being of human Dasein for greater possibility which can not be fixed. So For Heidegger the nature of the authentic selfhood of human Dasein is not existentia which means actuality but Existenz, which is unconcealed through mood(Stimmung). There-Being can not be fixed, static but it proceeds continually toward potentiality-for- Being. It is called ecstatic self. This self is the authentic self, that is the solipsistic self(solus ipse) which is passive, dynamic, and active compared with worldless ego or isolated ego which is the modern subject-self.

      • KCI등재

        기초존재론의 근원성

        손영삼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8 No.-

        이 글에서 우리는 하이데거의 철학이 기초존재론으로서 근원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한다. 철학이 본디 근원에 대한 논의를 목표로 삼고 있지만, 그때마다 논의된 근원이 인간의 수수께끼를 어느 정도로 풀어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를 근원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의 존재이해는 어떻게 가능한가?”를 묻고 있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을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인 실존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으로 보여주고 있다. 현존재의 존재론적 분석론에서 현존재의 실존은 세계-내-존재, 관심, 시간성의 측면에서 분석되었거나 분석될 예정이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세계-내-존재의 분석에서 하이데거 철학의 근원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세계-내-존재의 분석은 내-존재 자체가 처해 있음, 이해, 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이데거는 처해 있음, 이해, 말을 기초적 실존범주로 파악한다. 이 기초적 실존범주는 현존재의 실존, 곧 현-존재를 구성하는 기초로서 현존재의 존재성격이다. 현-존재는 현존재의 처해 있음에서 비롯한다. 현존재의 처해 있음은 현존재가 그 때마다 존재하고 있는 상황으로서 존재이해의 실마리라는 점에서 현-존재를 구성하는 기초이며, 실존의 근원이다. 현존재의 처해 있음은 인간의 처지가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근원이며,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심리학이 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철저하게 파악해야 하는 기초이다. 현존재의 이해는 처해 있음을 실마리로 삼는다. 존재해야 하는 현존재는 그 때마다의 처해 있음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해는 현-존재를 구성하는 기초이며, 실존의 근원이다. 현존재의 이해는 인간의 이해가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근원이며, 인간의 이해를 탐구하는 해석학이 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철저하게 파악해야 하는 기초이다. 현존재의 말은 인간의 언어가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근원이며, 인간의 언어를 탐구하는 언어학이 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철저하게 파악해야 하는 기초이다. 이와 같이 현존재의 존재인 실존을 구성하는 기초적 실존범주를 분석하는 기초존재론은 인간의 삶과 학문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에 대한 논의라는 점에서 근원성을 갖는다. In dieser Abhandlung werden wir Heideggers Philosophie als Auffassung der Ursprung verstehen und auslegen. Auch wenn Philosophie eigentlich eine Auffassung der Ursprung zielt, ist es aber problematisch, ob diese Ursprung ein Schüssel für Lösung der menschlischen Problem wäre. In Sein und Zeit bestimmt Heidegger das Seinsverständnis des Daseins als Ursprung des Seins. Heidegger fragt nach der Möglichkeit vom Seinsverständnis des Daseins in Sein und Zeit Heidegger zeigt die Antwort auf dieser Frage in der Daseinsanalitik. In dieser Analitik wird die Existenz des Daseins als In-der-Welt-sein, Sorge, und Zeitlichkeit analysiert. Wir wollen die Ursprünglichkeit der Heideggers Philosophie in dieser Abhandlung verstehen. Die Analysis des In-der-Welt-seins zeigt, daß das In-Sein selbst des Daseins auf Befindlichkeit, Verstehen, und Rede konstituiert ist. Heidegger bestimmt Befindlichkeit, Verstehen, und Rede als fundamentale Existentialien. Diese fundamentale Existentialien sind die Seinscharaktere des Daseins, die die Existenz des Daseins, das Da-sein kostituieren. Das Da-sein fängt mit der Befindlichkeit des Daseins an. Die Befindlichkeit ist das Fundament des Da-seins, indem sie als Situation der Existenz der Faden des Seinsverständnisses ist. Sie ist der Ursprung der Existenz. Und auch sie ist der Ursprung der Stimmung im Leben des Menschen und das Fundament der Psychologie. Das Verstehen des Daseins versteht die Befindlichkeit. Das Verstehen ist auch das Fundament des Da-seins, weil das Dasein ist, indem es immer noch die Befindlichkeit versteht. Das Verstehen des Menschen wurzelt in dem Verstehen des Daseins, und das Fundament der Hermeneutik liegt im Seinsverständnis. Die Rede des Daseins ist die Einheit zwischen Befindlichkeit und Verstehen im Seinsverständnis. Sie ist der Ursprung von der Sprache des Menschen, und die Sprachwissenschaft findet ihrem Fundament in der Rede des Daseins In der Auffassung der Ursprung und das Fundament von dem Leben des Menschen, der Wissenschaften, der Ontologie können wir die Ursprünglichkeit der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finden.

      • KCI등재

        독자 현존재의 텍스트 이해 특성 고찰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6

        Purpose: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ader’s text understanding based on the discussion of Heidegger’s Dasein. Methods:Heidegger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존재자)’, ‘Being(존재)’ and ‘Dasein(현존재)’. The Existence is an object that surrounds a person. The Being is the essence of the object. And the Dasein is a person who knows the essence of an existence. Thus, the Being is shared by the Existence and the Dasein. This means that if a person knows the essence of the Existence, he will know himself.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is similar to Dasein sharing the Being with the Existence. Results:The text is the Existence, the meaning of the text is the Being, and the reader is the same as the Dasein. That is, understanding the text and getting the reader to know themselves are done together.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is the understanding of his Being.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is to share the meaning of the text and to get to know themselve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this reading. The first is the shared attribute. This i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text belongs to the reader and the text together. Second is transcendence. This transcendence is to improve one’s consciousness. The third is self-fulfillment. Self-fulfillment is that the reader achieves the transcendence of consciousness on his own. Conclusion: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is self- understanding. In the future, more research on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reader is needed. 목적:이 연구는 하이데거의 현존재 논의를 토대로 독자의 텍스트 이해를 탐구한다. 방법: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자, 존재, 현존재의 관계를 논의한다. 존재자는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이고, 존재는 존재자의 본질 속성이다. 현존재는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아는 사람이다. 이때 현존재는 존재자와 존재를 공속한다. 이는 현존재가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아는 것은 자기 존재를 드러내 아는 것임의 함의한다. 이는 현존재가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안다면 자신을 알게 된다는 뜻이다. 독자의 텍스트 읽기는 현존재가 존재자와 존재를 공속하는 것과 유사하다. 결과:텍스트는 존재자고, 텍스트의 본질 의미는 존재이며, 독자는 현존재이다. 즉, 독자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자신을 아는 것은 함께 이루어진다.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이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이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텍스트와 본질 의미를 공속하는 것이며 자기 이해를 하는 일이다. 이런 읽기는 독자 현존재가 텍스트의 본질 의미를 텍스트와 공유하는 공속성, 텍스트 이해로 자기의 의식을 향상시키는 초월성, 의식의 향상은 스스로 성취하는 자득성을 특성으로 한다. 결론: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자기 이해이다. 앞으로 독자의 자기 이해를 위한 읽기 연구가 더 필요하다.

      • KCI등재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과 철학상담의 가능성 연구

        권려원(Reoy-Won Kw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이 논문은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에서 전개한 존재론적 조명작업인 현존재분석론(Daseinsanalytik)을 철학실천의 관점에서 해명하고, 실제 철학상담에 적용가능한 방법론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논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빛과 터로서의 현존재의 개시성’은 현존재의 개방성(Offenheit)과 결의성(Entschloßenheit)을 중심으로 한 개시성에 대한 논의이다. 둘째, ‘현존재의 개시성을 전제로 하는 현상학적 기술과 해석’은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물음의 방법론으로 채택한 ‘해석학적 현상학’에 대한 논의이다. 두 번째 논의는 현존재분석(dieontische Daseinsanalyse)과 현존재분석론(die ontologische Daseinsanalytik)의 비교, 분석을 토대로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조명해보는 것이다. 셋째, ‘현존재의 개시성에 근거한 철학상담 사례와 평가’는 ‘죽음 불안을 호소하는 20대 중반 여성’의 실제 상담사례에 적용된 현상학적 기술과 해석에 대한 소개와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필자는 이상과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현존재분석에 근거한 철학상담의 가능성을 밝히고, 그에 따른 결과를 앞으로의 철학상담 연구의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This essay has been studied to explain the Daseinsanalytik described in “Sein und Seit” by Heidegger in terms of philosophical practice and to present it as a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o discuss.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e ‘Erschließenheit of Dasein as Licht and Raum’discusses the Erschließenheit of Dasein, focusing on the openness(Offenheit) and the determination(Entschloßenheit). Second,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based on the Erschließenheit of Dasein’ is a discussion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adopted by Heidegger as a methodology of existence in “Sein und Seit”. This discussion i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aseinsanalyse’ and ‘Daseinsanalytik’ in term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ird, ‘philosophical counseling cases and evaluations based on the of Erschließenheit’ consist of introduction and evaluation of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s applied to actual counseling cases of ‘women in their twenties who appeal to death anxiety’. Through this essay, I try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Daseinsanalytik and to make the result as a basis of future philosophical counseling research.

      • KCI등재

        The Conception of the Pre-objective Body in Heidegger and Merleau-Ponty

        Peter Ha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인간의 고유한 존재방식을 의미하는 하이데거의 “실존”개념 속에서 전제되고 있는 신체개념을 메를로-퐁티의 “현상적 신체”, 즉 전-객관적인 신체와 연관지어 해명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존재분석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인간)의 본질은 “실존”에 있다고 주장하며, 실존개념을 강조함으로써 의식에 기초해 있는 근대 주체개념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런데 근대 주체개념 비판에서 그는 “실존” 외에도 현존재가 본질적으로 신체에 결부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현존재가 육화된 존재자로 있다는 사실은 현존재가 일상적인 세계를 구성하는 도구들을 이론적인 사유에서가 아니라 실천적인 행동 속에서 관계한다는 점에서 제시될 수 있다. 현존재의 신체성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현존재는 도구들을 그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하이데거가 현존재 분석에서 현존재의 신체개념을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실존”과 “신체성”의 관계뿐만 아니라 신체개념 자체도 모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 그런데 메를로-퐁티 “현상적 신체” 개념은 하이데거가 자신의 현존재분석에서 전제하고 있는 신체개념을 이해하게 해주는 단초를 제공한다.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인간의 신체는 “생리학적 신체”와 “현상적 신체”로 구분된다. 전자가 주제적인 차원에서 탐구되는 객관적 신체라면, 후자는 전-주제적인 차원에 있기 때문에 객관화될 수 없는 신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 “현상적 신체”는 근육, 힘줄, 관절의 운동에서 전달되는 감각의 흐름이 하나의 복합성(unit)으로 체험되면서 구성되는 “신체도식”을 의미한다. 메를로-퐁티에게서 “실존”이란 다름 아니라 “생물학적 신체”처럼 세계 속에 존재하지만 해부학의 대상으로 있는 “생물학적 신체”와는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현상적 신체”의 존재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실존의 영역에서 “현상적 신체”는 주관적인 세계와 객관적인 세계로 환원되지 않은 제3의 세계를 열어 밝힌다. 하이데거의 육화된 현존재와 이 존재자의 “실존”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현상적 신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body” that is presupposed in Heidegger’s concept of “existence” of Dasein(man) in respect to Merleau-Ponty’s “phenomenal body.” In the analytic of Dasein, Heidegger seeks to overcome the modern concept of subjectivity based on consciousness by emphasizing that the essence of Dasein lies in its existence. But in his criticism of the modern subjectivity, other than mentioning existence he also stresses that Dasein is essentially fettered in body. The fact that Dasein is regarded as an incarnated entity can be shown in Dasein’s comportment towards equipment that is grasped not i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but in the practical activities. Without presupposing the bodiliness of Dasein, Dasein is unable to use a piece of equipment in the everyday world. However, since Heidegger avoids discussing the concept of body in the analytic of Dasein, the relation between “existence” and the “body” and furthermore the concept of body itself remain ambiguous. We can overcome this lacuna discovered in Heidegger’s thoughts by investigating Merleau-Ponty’s “phenomenal body.” According to Merleau-Ponty, the body of man is distinguished between the “physiological body” and the “phenomenal body.” While the former refers to the objective body in the thematic dimension, the latter means the pre-objective body. And this “phenomenal body” is nothing other than the “body schema” that is formed by unifying the movement of muscle, tendon. In the “body schema,” these sensible flows are experienced as a unit. For Merleau-Ponty, the “physiological body” and the “phenomenal body” are both in the world; yet “existence” signifies only the mode of Being of the “phenomenal body.” And in the realm of “existence,” the “phenomenal body” unveils the third realm that is situated between the subjective world and the objective world. The meaning of an incarnated Dasein and its existence in Heidegger’s philosophy can be concretely understood in the analysis of the “phenomenal body.”

      • KCI등재

        철학과 존재이해

        손영삼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6

        We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a philosophy? and What does mean it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 to research on a philosopher’s philosophy? We research on Heidegger’s philosophy. Every philosophy begins with a man’s doing-philosophy. While doing philosophy, someone becomes a philosophy student, a philosophy researcher, and a philosopher. Philosophy researchers generally investigate into a philosopher’s philosophy, and try to have a unique system for their own philosophy. In this research, a philosopher's philosophy is a ladder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s. Not all philosophy researchers need the ladder, but we take Heidegger's philosophy as the ladder. In investigating into Heidegger's philosophy, we have arrived at some achievements in our own way. Now we are going to review these achievements by ask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According to what we get as Heidegger's philosophy, we always inevitably do philosophy as long as we exist in human beings. How do we, doing-philosophy,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Pointing out that the philosophy, investigating into the nature of beings, does not ask the question on Being, Heidegger tries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does Dasein understand Being?" while analyzing Dasein ontologically in Sein und Zeit. Not asking questions on Being is called Being-forgetting by Heidegger. This Being-forgetting i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and then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As long as philosophy originates from the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s, so doe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from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There are attempts to find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what Heidegger called Being-forgetting. However, Heidegger found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not to ask questions on Being. The Being, forgotten at the dimension of human beings, is understood at the dimension of Dasein, and this Being-understanding continues to the philosophy, and then to human beings. In this respect,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cannot be Being-forgetting of human beings’. Analyzing of Dasein in Sein und Zeit, Heidegger discusses o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The ordinariness of Dasein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naturalness, and non-originality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originality. There are attempts to find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However, Heidegger's strategy, distinguishing between the ordinariness and the naturalness of Dasein, and between the originality and non-originality of Dasein, is not intended to show that any problems arise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is respect, we cannot find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According to Heidegger,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stem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How can we explain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especially the philosopher Heidegger's participation in the Nazis? In the following study, we will try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n the proces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to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함께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는 일은 철학 연구자에게 무슨 의의를 갖는가?”라는 물음을 우리는 지난하게 묻고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어느 철학이든지 모두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로부터 시작된다. 철학하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누군가는 철학도가 되고, 철학 연구자가 되고, 철학자가 된다. 철학 연구자는 대체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면서 자신의 철학하기에 고유한 체계를 갖추려고 기획한다. 이 일에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은 철학 연구자에게 일종의 사다리이다. 비록 모든 철학 연구자에게 사다리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철학자인 하이데거의 철학을 사다리로 삼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하이데거의 철학을 나름대로 연구하면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루고는 있다. 이제 우리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는 무엇인가? 우리가 하이데거의 철학이라고 파악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우리는 인간으로 실존하는 한, 언제나 필연적으로 철학한다. 그런데 철학하는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른다. 도대체 무엇을 위한 철학인가? 존재자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이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 에서 현존재(Dasein)를 존재론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현존재는 존재를 어떻게 이해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했다.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태도를 하이데거는 존재망각(Seinsvergessenheit)이라고 일컫는다. 이 존재망각은 우선 철학의 존재망각이지만,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고 우리는 파악하고 있다: 철학이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에서 비롯되는 한, 철학의 존재망각도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하이데거가 존재망각이라 일컫는 것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망각에 빠진 철학의 밑바탕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Seinsverständnis)를 찾아내었다. 인간의 차원에서는 망각되고 있는 존재가 현존재의 차원에서는 이해되고 있으며, 이 존재이해가 존재망각에 빠진 인간에게 나아가서는 철학에 이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가 인간의 존재망각일 수는 없다. 존재와 시간 의 현존재 분석론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일상성(Alltäglichkeit)과 비본래성(Uneigentlichkeit)에 대해 논의한다. 현존재의 일상성은 근원성(Ursprünglichkeit)에 비해 그리고 비본래성은 본래성(Eigentlichkeit)에 비해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현존재의 일상성과 비본래성에서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현존재의 일상성과 근원성을 구별하고, 비본래성과 본래성을 구별하는 하이데거의 전략은 현존재의 존재이해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우리는 현존재의 존재이해, 특히 일상성이나 비본래성에서 찾을 수는 없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 ...

      • KCI등재

        현존재에 대한 시적 해명

        김재철(Kim, Jae-Chul),김동한(Kim, Dong-Ha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4 No.2

        일반적으로 현존재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명은 그의 주저 『존재와 시간』의 현존재분석론에 집약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회’ 이후의 저작들에서도 분명 현존재에 관한 하이데거의 숙고는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특히 언어에 대한 사유에서, 그 중에서도 ‘시’에 대한 논구에서 하이데거는 다른 방식으로 현존재를 해명하고 있다. 이러한 해명을 이 글에서는 ‘현존재에 대한 하이데거의 시적 해명’이란 주제로 다룰 것이다. 시적 해명에서 현존재는 언어의 말함에 거주하며 그 말함에 대한 대꾸, 즉 시 짓기를 통해 자신과 세계를 고유하고 조화롭게 드러내는 자로서 제시된다. 이때 현존재와 존재의 본질적 연관을 보여주는 것이 시이다. 시는 언어의 말함에 대해 순수하게 말해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시 속에 나타난 존재의 울림, 즉 근원적인 언어의 말함에 대한 현존재의 경청과 대꾸로서 게오르크 트라클(Georg Trakl)의 시에 대한 하이데거의 논구를 다룰 것이다. 이 논구는 존재의 밝은 터에 나가 서 있는 현존재의 장소성과 연관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현존재에 대한 시적 해명은 하이데거의 초기 사유에서 이미 제시한 ‘내던져져 있음’과 연속성을 가진다. 이 글은 이러한 연속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그와 관련된 주제들이 트라클의 시-해석에서 어떻게 논구되고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This article has the purpose that fundamentally explains Dasein. The concept of ‘Dasein’ has been widely used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meaning ‘existence of a being’, ‘reality’ and so on. But, Heidegger uses the term only for human being. Heidegger’s explanation of Dasein is commonly known as appearing only in『Being and Time』, one of his early main publications. But it is the fact that we can also find the explanation of Dasein in his other works even after ‘Kehre’. Heidegger explains ‘Dasein’ in the explanation about ‘Language’, especially in the elucidation of ‘Poem’(Gedicht), again. We can call this kind of elucidation ‘Heidegger’s Poetic Explanation of Dasein’. ‘Heidegger’s Poetic Explanation of Dasein’ is mainly ‘the Elucidation of Georg Trakl’s Poetry’. According to Heidegger’s explanations, Trakl’s poetry expresses ‘the Ontological State-of-Mind’ of Dasein. But it is not the only reason that Heidegger has tried to explain ‘Dasein’ poetically. Heidegger has noticed that ‘the Throwness’ of Dasein and ‘the Fundamental Site of Poem’ have a meaningful relation. This is why Heidegger tries to reveal ‘Dasein’ through the poetic explanation. Surely, we all know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Heidegger is always ‘the truth of Being’. But the attempt to explain ‘Dasein’ through a proper language may show us the way to ‘the Light of Being’.

      • KCI등재

        하이데거에게서 자립성으로서의 자기동일성 개념

        하피터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논집 Vol.24 No.-

        기초존재론에서 하이데거는 ‘실존’의 존재방식을 지닌 현존재(인간)는 눈 앞에 있음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사물과는 본질적으로 구분된다고 주장한다. 그렇지 만 이 같은 구분 외에도 인간과 사물의 차이는 다른 방식으로도 제시될 수 있다. 하이데거에 있어서 인간의 자기동일성은 사물의 자기동일성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하이데거는 전자를 동사적인, 즉 행위적인 동일성이라 규정하는 반면, 후자는 고정 적인 동일성으로 특징지운다. 그런데 라이프니츠 또한 모나드의 자기동일성이 부동 적인 실체가 아니라 능동적임 힘(vis) 위에 기초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기초존재론에서 확립된 현존재의 동사적인(역동적인) 자기동일성과 모나드의 능동 적인 자기동일성을 비교 검토하여 현존재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의미의 동사적인 자 기동일성을 해명하는 데 있다. 하이데거에 있어서 현존재의 본질 또는 자기동일성 은 동사적인 본질, 즉 행위로 규정되는데, 그 이유는 현존재는 근본적으로 ‘존재가 능’에 의해 특징지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존재의 행위하는 자기동일성은 ‘존재 가능’(Seink&ouml;nnen)에 의해 해명된다. 그런데 하이데거가 ‘존재가능’에 기초해 있는 역동적인(행위하는) 자기동일성을 말할 때, 그는 완전한 현실성을 추구하는 ‘잠재 태’(dynamis)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렇게 이해된 자기동일성의 가 능성은 현실성으로 실현되면서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현존재의 가능성은 현실성에 도달하여도 감소되지 않는다. ‘잠재태’와는 반대로 ‘현실태’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는 현존재의 ‘존재가능’은 성취 될수록 더욱 더 풍성한 가능성 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현존재의 역동적인 ‘존재가능’과 자기 추진력을 지닌 라이 프니츠의 ‘힘’(vis)은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비록 현존재의 ‘존재가능’ 과 라이프니츠의 ‘힘’개념 모두 고정적인 실체를 거부하고 동시에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자력으로 추진하는 힘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존재론적 관점에서 볼 때, 현존 재의 ‘존재가능’과 ‘힘’개념은 근본적으로 구분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라이프니츠 의 힘의 밑바탕에는 단순하고 단일한 실체가 존재한다. 그리고 단일한 실체에 기초 해 있는 역동적인 힘은 현실성에 갇혀 있다. 그러므로 역동적인 힘은 현실성으로부 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