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민족 문학사의 통시적 연구와 기술의 방향성

        김종회(Kim, Jong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6

        남북한 문학과 함께 중국 조선족 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일본 조선인 문학, 미국 한인 문학을 하나의 문화권으로 바라보고 그 작가와 작품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문학사를 새롭게 기술해 보자는 것이 한민족 문학사의 창의적 의도이며 도전적 의욕이다. 이를테면 북한문학과 재외동포 문학을 포함한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를 작성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이 시도는 남북한 문학사의 성과를 이어 받으면서 지금까지 없던 문학사의 새로운 길을 내는 일이므로, 향후의 후속 연구와 자료 활용에도 초석이 되어야 한다. 크게 구분하여 남북한과 재외 4개 지역 등 모두 6개 지역이 세항을 이룰 한민족 문학사는, 하나의 일관된 문학사로서 통합적 기술의 성격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각기 세항의 실상에 있어 상이한 대목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상이점들을 어떻게 전체적인 범주 안에 조합할 것인가가 과제가 된다. 한민족 문학사는 궁극적으로 지역별로 독립적 지위와 전개양상을 보이고 있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을 독자적으로 연구하되, 그 개별성이 수렴되고 통합되어 하나의 문학사론을 이루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각기 지역의 연구에 있어서는 각기의 역사성과 문학의 미학적 가치가 결부되는 문학사적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고, 이 개별적 가치들이 통합적 보편성을 가질 수 있는 공통분모가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로 인도되어야 한다. 부분과 전체가 하나의 유기적 관계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부분은 부분대로 의의를 갖고 전체는 그 의의들의 연합에 의해 공동체적 의미를 발양하는 문학사의 범례가 새롭게 시도되는 한민족 문학사여야 할 것이다. 이는 국경과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고 디아스포라의 개념을 분산에서 통합으로 이끄는 ‘도전적인 문학운동’으로 규정될 수 있어야 제 값어치를 다할 것으로 본다. Along with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onding Chinese literature with Korean background, Central-Asia Koryo literature, Japanese Korean literature, Korean American literature as one cultural idiom, and newly writing literature history about these writers and their works are creative intention and challenge in Korean literature. In other words, it is the time of presenting the history of overall Korean literature including North Korean and the Koreans living abroad. This is a new trial of continuing the outcome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creating a fresh pathway; therefore, it should be a stepping stone for future studies. The Korean literature, divided in South, North, and 4 other areas outside of the country which is a total of 6 areas, should be integrated and in cohesion. However, each area is differ respectively; how the differences could come together in one circle is left to study. Korean literature history ultimately researches on each area which comes with independent position and development. Yet it should build one ideology of historical literature acknowledging individual traits. Studying on each area accompanies with independent criticism and evaluation of historical and aesthetical aspects. A common denominator is the overall Korean literature history. Each part and the whole body is intimately connected but each is meaningful on its own way while the whole body prepares a common based as one communit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border and area, and moving towards integration of diaspora from divergence can be together defined as “challenges in literature movement.” 남북한 문학과 함께 중국 조선족 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일본 조선인 문학, 미국 한인 문학을 하나의 문화권으로 바라보고 그 작가와 작품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문학사를 새롭게 기술해 보자는 것이 한민족 문학사의 창의적 의도이며 도전적 의욕이다. 이를테면 북한문학과 재외동포 문학을 포함한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를 작성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이 시도는 남북한 문학사의 성과를 이어 받으면서 지금까지 없던 문학사의 새로운 길을 내는 일이므로, 향후의 후속 연구와 자료 활용에도 초석이 되어야 한다. 크게 구분하여 남북한과 재외 4개 지역 등 모두 6개 지역이 세항을 이룰 한민족 문학사는, 하나의 일관된 문학사로서 통합적 기술의 성격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각기 세항의 실상에 있어 상이한 대목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상이점들을 어떻게 전체적인 범주 안에 조합할 것인가가 과제가 된다. 한민족 문학사는 궁극적으로 지역별로 독립적 지위와 전개양상을 보이고 있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을 독자적으로 연구하되, 그 개별성이 수렴되고 통합되어 하나의 문학사론을 이루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각기 지역의 연구에 있어서는 각기의 역사성과 문학의 미학적 가치가 결부되는 문학사적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고, 이 개별적 가치들이 통합적 보편성을 가질 수 있는 공통분모가 한민족 전체의 문학사로 인도되어야 한다. 부분과 전체가 하나의 유기적 관계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부분은 부분대로 의의를 갖고 전체는 그 의의들의 연합에 의해 공동체적 의미를 발양하는 문학사의 범례가 새롭게 시도되는 한민족 문학사여야 할 것이다. 이는 국경과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고 디아스포라의 개념을 분산에서 통합으로 이끄는 ‘도전적인 문학운동’으로 규정될 수 있어야 제 값어치를 다할 것으로 본다. Along with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onding Chinese literature with Korean background, Central-Asia Koryo literature, Japanese Korean literature, Korean American literature as one cultural idiom, and newly writing literature history about these writers and their works are creative intention and challenge in Korean literature. In other words, it is the time of presenting the history of overall Korean literature including North Korean and the Koreans living abroad. This is a new trial of continuing the outcome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creating a fresh pathway; therefore, it should be a stepping stone for future studies. The Korean literature, divided in South, North, and 4 other areas outside of the country which is a total of 6 areas, should be integrated and in cohesion. However, each area is differ respectively; how the differences could come together in one circle is left to study. Korean literature history ultimately researches on each area which comes with independent position and development. Yet it should build one ideology of historical literature acknowledging individual traits. Studying on each area accompanies with independent criticism and evaluation of historical and aesthetical aspects. A common denominator is the overall Korean literature history. Each part and the whole body is intimately connected but each is meaningful on its own way while the whole body prepares a common based as one communit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border and area, and moving towards integration of diaspora from divergence can be together defined as “challenges in literature movement.”

      • KCI등재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이중적 정체성과 한류의 역할론

        홍용희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5

        Korean diaspora literature has the proposition of adaption and subjugation as natural assignments. The ultimate directivity for Korean diaspora literature is to adapt to local major literature and overcome the limitation of it as the minor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So, how is it possible to solve the assignment about the impact and subjugation for local major literature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Isn’t it possible to find the exit for the subjugation against local mainstream through positive pursuit for Korean cultural and artistic imagination in front of this question? Hallyu has an important meaning and value in this context. Because you can find the impact and subjugation against local mainstream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meaning and value for Hallyu. Because the ultimate directivity for Hallyu is not East Asia centered-hegemonism but renaissance in literature of Korea and every country in East Asia as well as it aims to create the culture for creative commonality with leading, inspiring and developing western culture.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double identity of abroad Korean diaspora literature. Abroad Korean diaspora literature has double attributes as Korean literature and local one as well. The possibility which combines this double boundary points is the intrinsic character of abroad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the base of its potential possibility. In other words, abroad Korean diaspora literature positively accepts the assets of Hallyu and its aesthetic value as well as it is located in easy foothold to seek the value for local mainstream. We have found the possibility to engraft Hallyu and studied different characters of Korean-Japanese, Korean-Chinese, Korean-American an literature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discussion for the desirable directiv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possibility to spread philosophical and aesthetic meaning and value of creating civilized world which Hallyu is suppose to aim for in the future. And this work which engrafts to spread future-oriented directivity and cultural value of Hallyu has the meaning for ultimately seeking alterative culture to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in the global cooper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한민족디아스포라 문학은 ‘적응과 극복’의 명제를 생래적인 과제로 안고 있다. 현지의 메이저 문학에 적응하면서 동시에 메이저 문학의 한계를 충격하고 이를 스스로 극복하는 것이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마이너리티로서의 궁극적인 지향성이다. 그렇다면,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현지의 메이저 문학에 대한 충격과 극복의 과제는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이러한 물음 앞에 한민족의 문화 예술적 상상력에 대한 적극적인 추구를 통해 현지 메이저문학에 대한 극복의 출구를 찾아볼 수는 없을까? 한류는 이러한 문맥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한류의 문화 예술적 의미와 가치를 통한 한민족동포문학의 현지 문학에 대한 충격과 극복을 모색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류의 궁극적인 지향성은 동아시아 중심의 또 다른 패권주의가 아니라 한국과 동아시아 각국의 문화부흥은 물론 서구의 문화까지도 선도하고 추동하여 발전시켜 나가는 창조적 보편의 문화 창출을 지향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또한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이중적 정체성과도 직접 관련된다. 해외한인디아스포라문학은 현지의 문학이면서 동시에 한민족 문학으로서의 이중적 속성을 지닌다. 이러한 이중적 경계 지점의 포용적 통합의 가능성은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고유한 특성이며 잠재적 가능성의 토양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은 한류의 자산과 미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현지의 메이저문학의 가치를 동시적으로 추구하기에 용이한 거점에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재일본디아스포라문학, 중국조선족디아스포라문학, 미주디아스포라문학 등의 서로 다른 특성을 살펴보고 한류의 접목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이들 한민족디아스포라문학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한류가 지향해야할 문화세계창조의 철학적, 미학적 의미와 가치를 확산하는 전위로서의 가능성과 연관된다. 또한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미래지향적인 지향성과 한류의 문화적 가치의 확산을 접목하는 이러한 작업은 궁극적으로 21세기 인류사회의 공존공영을 위한 대안문화 창출의 모색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탈영토화적 관점에서 본 "세계한민족문학" 형성 가능성 고찰 -조선족 시문학 연구사 검토를 중심으로-

        임수경 ( Su Kyung Lim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9 No.-

        재외한인문학의 연구는 한국문학의 연구에 비해 극히 일부에 한정되어 진행되고 있다. 우리의 문학임에도 불구하고 공간적 한계와 언어적 문제에 부딪쳐, 그들 모두를 아울러 한국문학으로 포괄하려는 방대한 작업의 진행을 꺼려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에서 재외한인문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었다, 라기 보다는, 한국문학의 범주를 넓히는 작업을 진행하기에 그들의 문학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그만큼 부족했다는 편이 더 설득적일 듯하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개혁 개방과 본격화된 한중수교로 재중 조선족의 문화전반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에 따라 한민족의 문학 범위를 세계로 확장시켜 `세계한민족문학`이라는 개념으로 한국문학사와 그들의 문학사를 아우르는 넓은 범위로 접근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세계한민족문학`을 정립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재외한인 중 현재까지 가장 활발한 문학활동을 하고 있는 조선족의 시문학 연구사에 대한 접근을 검토한다. 그들의 시문학 연구사는 중국측 연구자와 한국측 연구자의 연구 시각을 비교하고, 그에 따라 중국 조선족의 문학과 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시각을 제시하려 한다. 접근방법론으로 들뢰즈-가타리의 `탈영토화` 개념을 도입하여, 궁극적으로는 전세계의 한민족문학을 아우르는 `세계한민족문학`의 형성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재외한인들의 문학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으로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the overseas Korean literature has been limited at a certain extent. Although it also belongs to Korean literature category, the research work will not carry out effectively owing to space limitation as well as language problem. This is because researchers in Korea tend to have less consideration for the overseas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they do not have professional knowledge on it. From the last decades, Chinese government has rapidly carried out reform and open policy to the other world, and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is also strongly associated each other. In this situation, the general culture of the Koreans in China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the movement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which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ries to extends to including their literature naturally occurs. To sum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 history of poetry in the Koreans in China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ement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This research will compare between Chinese aspect and Korean aspect about the point of study. Consequently, through carrying out this work, the alternative point of view will be elicited out.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pproach way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literature of the international Korean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남북한 문학과 해외 동포문학의 디아스포라적 문화 통합

        김종회(Kim Jong-hoi)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용어는 그리이스어에서 온 말로, 분산(分散) 또는 이산(離散)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 개념이 적용되는 원래의 영역은 유대인의 역사 위에 놓여 있고, 팔레스타인 외역(外域)에 살면서 유대적 종교 규범과 생활관습을 유지하던 유대인 및 그들의 거주지를 가리키는 말로 확인된다. 곧 ‘이산 유대인’이나 ‘유대인 이산의 땅’이 정확한 풀이이다. 그런데 굳이 이 디아스포라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를 배경에 두고 있는 어휘이지만 그 적용 범주와 성격이 우리 한국인의 역사ㆍ문화적 상황과 너무도 많이 닮아 있는 까닭에서이다. 근대 이후 일제의 침탈과 강점기를 거치면서 발생한 한반도의 남북 분단, 중국 및 중앙아시아로의 집단이주, 징용ㆍ징병과 관련된 일본으로의 이주, 궁핍한 생활 속에서 노동자 수출로 시작된 미주로의 이주 등이 유대인의 디아스포라와 유사한 모형을 이루고 있다. 우리 민족이 한반도의 남과 북에서 각기 다른 형식과 내용으로 축적한 남북한의 문학, 그리고 미국ㆍ일본ㆍ중국ㆍ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축적한 해외 동포문학 또는 재외 한인문학을 통칭하여 근자에는 ‘한민족 문화권의 문학’이라 호명하는데, 이 다양한 문학적 확산과 그 지역별 분포를 ‘디아스포라 문학’이라 지칭하는 것은 전혀 어색한 일이 아니다. 이는 문학의 개념적 범주에 있어서도 그러하고, 서로 다른 문화권 내에 기식하고 있으면서도 독자적 문화의 성향을 유지하고 있는 경계의 문학으로서도 그러하다. 여기에서 디아스포라라는 이름 아래 북한문학을 필두로 해외의 한민족 문학 전반을 검토해 본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한민족의 역사적 상황을 규정하는 용어 개념으로서의 디아스포라, 그리고 그 개념에 준거하여 순차적으로 살펴본 남북한 문화통합의 전망과 해방 후 북한문학의 흐름 및 변화, 재미 한인문학의 서구적 가치관을 반영한 이민문학으로서의 특성, 재일 조선인문학의 민족적 정체성과 보편적 가치 추구의 실상, 재중 조선족문학의 역사적 장벽을 극복한 민족성의 성과, 중앙아시아 고려인문학의 한민족 문화권 범주 확장 등은, 전체적으로 우리 민족의 삶과 문화 및 문학의 영역이 어디까지 어떤 양태로 확산되어 있는가를 인식하게 한다. 이를 주요한 문화 창달의 방안으로 납득하고 그 실천에 적극 노력해야 하는 것은, 이를테면 국가적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는 책임에 해당된다. 여기서 그 당위성과 진행 방향을 제시할 수는 있었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방안과 대책을 내놓기는 아직 어렵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에 있다. 다만 한민족 문화권 문학의 구성 분자가 되는 남북한 문학과 주요한 네 지역의 해외 동포문학을 한 자리에서 살펴보면서, 그 민족적 정체성의 동질성을 확인하고 각 국가별 이질성의 과제를 대조하는 것을 진척된 성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The Word "disapora" is originated by Greek, meaning dispersion or separation. It generally refers to Jews who preserves their own religious tradition and life custom, and their residential area where is the outskirt of Palestine. Therefore, the correct meaning should be 'dispersive Jews' or 'dispersive land of Jews.' The reason I chose this term 'diaspora' is because of the similarity of its application and character between Korean history and cultural condition, and its original reference, those of Jews. After the modernism, getting through Japanese occupancy along with the division of South-North Korea, mass immigration to China and central Asia, immigration to Japan for conscription, and that to the US starts with the export of working labor due to the poverty seem to be quite similar to many aspects of the history Jews. We now simply call it all together as "Literature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for the different forms and contents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Koreans from South and North Korea, the US, Japan, China and central Asia. This literary diffusion in diversity and in area can be surely called 'diasporatic literature,' which works for conceptional catalog in literature and also for the independent characteristic of each culture. The latter can be defined as 'literature in borderline.' These are the reasons I examined the overall Korean literature around the world, led by North Korean literature, under the name of 'diapora.' 'Diaspora' that defines historical condition of Korea, prospect of South and North Korean unification within the term, the flow and change of North Korean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characteristic of immigration literature in the US reflecting western ideas, national identity of Koreans in Japan and the actuality of pursuing normal values, the result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that has overcome the historical barrier, cultural extension of Korean literature in Central Asia-all of these show the overall divergence of Korean life, culture, and literature. It is a national responsibility to recognize the need of cultural progression, ways for future growth and putting effort for the consequence. This work might suggest the mission and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but it is quite hard to talk about detailed method and measure at the moment. That would need furthermore work and research. But at least, we can look through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nd literature of four main areas which all together compose Korean literary culture, and accept the outcome of knowing the different qualities of national identity through literature depends on the written place.

      • KCI등재

        재일 한민족 문학과 죽음 의식

        장사선(張師善),지명현(池明鉉)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재일 한민족 문학에서 살펴본 ‘죽음’의 의미는 “재일”의 상황과 “재일”의 의미 변화, 그리고 한민족 전통적 죽음관과 일본적 전체주의 죽음관의 혼효, 그리고 남북한 이데올로기의 대치, 서구적 개인주의의 발효 등 복잡한 상황 속에서의 죽음의식을 형상화했다. 일본에 대한 저항 정신과 민족에 대한 집념이 일궈낸 재일 1세대 김달수, 김석범, 김태생의 작품에서 ‘죽음’은 민족을 위해 당연히 희생해야할 것으로 나타난다. 제주 4.3 사건을 제재로 하고 있는 김달수의 〈대한민국에서 온 사나이〉, 김석범〈까마귀의 죽음〉과 같은 작품에는 민족의 미래를 위해 한 목숨을 기꺼이 바치고자 하는 인물들이 등장하며, 〈너말통 할멈〉에는 재일의 상황에서도 민족성을 지키기 위해 목숨걸고 투쟁하는 어머니와 아들이, 〈뼛조각〉에는 일본의 차별과 억압을 당해 죽음에 이르는 재일 1세대의 모습이 형상화 되어 있다.〈대한민국에서 온 사나이〉에서 주인공 이용은 봉양해야 할 부모도 이국땅에 두고 반란군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까마귀의 죽음〉에서 정기준은 사랑하는 여인마저 희생할 수 있었다. 또한, 〈너말통 할멈〉의 민족주의자‘나’는 일본의 차별과 억압에 대해 민족 교육을 위해 목숨 걸고 싸우겠다는 의지를 불태울 수 있었고, 〈뼛조각〉에서 주인공 용민은 폭력적일 수밖에 없었던 재일 1세대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재일 1세대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각오는 모국이 두 개의 국가로 나뉨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재일 사회도 민단과 총련으로 나뉘어 갈등을 겪게 되고, 일본 사회의 차별도 보다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제 3의 위치를 자각하게 된 재일 2세대의 문학에는 조국의 상실과 사회적 차별, 그리고 가난을 이기지 못한 재일 한민족의 자살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고사명 〈세상이 안온하길〉에서 ‘아버지’는 재일 한민족으로서 어느 날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있는 제 3의 위치를 인식하고 자살을 시도하며, 자살한 작가 김학영의 〈흙의 슬픔〉, 〈유리층〉에도 일본 사회의 차별을 감당하지 못하고 자살하는 주인공들이 등장하며, 이회성 「반쪽발이」에는 자살한 귀화자 친구를 통해 차별의 실체인 귀화문제가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재일 2세대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자살 모티프는 이분법적 세계관에 희생된 시대 폭력성을 상징한다. 하지만 시대의 폭력에 저항하고자 하는 의지가 완전히 꺾이진 않았으니, 이회성의 「죽은 자가 남긴 것」에서는 아버지의 장례를 계기로 양분된 교포 사회가 화합에 이르는 모습을 보여 주며 민족의 통일에 대한 의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분법적 세계관의 폭력성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듯 이후 재일 3세대 작가들의 작품에서는 ‘죽음’에 의미와 양상이 각각 다양하게 전개 된다. 교포사회의 화합이 형상화된 김창생의〈세 자매 - 성묘이야기〉에서는 교포 자매의 성묘를 통한 조상숭배와 귀향의식, 재일 여성세대의 인생 유전 등이 세 자매의 화합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정윤희의 〈한여름의 꿈〉에서는 신체장애자인 누이의 임신과 낙태를 통해 세대를 이어나가는 생명 자체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있다. 요절한 작가 이양지의 초기 작품 「나비타령」, 「해녀」에서는 오빠의 죽음으로 인한 가족 해체와 현실적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자살’이 2세대 작가들의 죽음 의식과 비슷한 형태로 제시된다. 하지만 이후 발표되는 「오빠」, 「갈색의 오후」에서는 가족의 죽음이라는 충격과 가족의 해체는 삶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기에 극복하고 살아가야 한다는 깨달음이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 중국 조선족문학 연구

        조남철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6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4 No.-

        中國的朝鮮族文學在求全監界韓民族文學中占重要一席。 與其他地方的文學相比較中國的朝鮮族文學長期以來受中國政府少數民族政策的鼓舞和照耀下흔好的保存了自己民族的文化習俗和語言和文字。 該論文着重考察了1949年中華人民共和國成立到1966年文化大革命爆發之前這一階段中國朝鮮族小說文學的特点。 考察從文學的時代背景, 朝鮮族文學的形成及發展, 文學理論 等方面入手, 全面分析了朝鮮族文學的特点; 卽, 中國的朝鮮族文學不僅是中國少數民族文學的一部分, 也是韓民族文學的一部分。

      •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학을 호명하는 한국문학의 지형도

        윤송아 ( Song Ah Yoon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5 No.-

        본고는 재일조선인 문학이 한국문학의 영역 안에 통합적으로 범주화되는 과정(시도)과 그 시대사적 맥락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한국문학 연구자들의 연구 동향을 개괄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8년 해금조치 이후 ‘한민족 문학’ 혹은 ‘한국문학의 세계화’ 논의와 연동하여 한국문학 내에서는 남북한 문학 및 재외 한인 문학을 아우르는 통합적 한국문학사 서술의 당위성이 제기된다. 국적, 언어, 세대, 이데올로기를 뛰어넘은 보편적 세계문학으로서의 ‘한민족 문학’의 구상은 홍기삼, 김종회, 장사선 등의 연구 작업을 통해 다양한 접근 통로가 모색됨으로써 점진적으로 새로운 한국문학 지형도를 조성할 단초를 마련한다. 이러한 시대사적 맥락과 조응하여 한국문학계 안에서는 우선적으로 ‘조선어’ 문학을 중심으로 한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작업들이 이루어진다. 숭실대 공동 연구팀의 연구서(한승옥 외,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민족문학적 성격 연구』, 국학자료원, 2007; 김학렬 외, 『재일동포 한국어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 연구』, 국학자료원, 2007)와 하상일, 최종환 등의 재일조선인 시문학 연구는 지금까지 재일조선인 문학 내부에서 공백으로 남겨졌던 재일조선인 ‘조선어 문학’의 위상을 재조명하고 그 총체적 맥락을 살피는 선행 연구로서 주목할 만하다. ‘한민족 문학사’ 서술이라는 한국문학의 거시적 목표는 일차적으로 ‘통합적 재일조선인 문학사’ 서술로부터 가능할 것이다. 언어와 이데올로기 혹은 남북 한과의 차등적 관계를 극복한 지점에 재일조선인 문학 및 연구의 출발점을 두고 재일조선인의 실존적 삶의 형태에 기반하여 재일조선인 문학을 바라봄으로써 우리는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재일조선인 문학사 및 세계문학으로서의 ‘한민족 문학’을 전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extract the process (attemp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eing integrated and categorized into the bounda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generally consider the study trend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ers accordingly. Since the action to lift the ban in 1988, interlocked with discussion on ``Korean Race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rightfulness of description on Korean Literature history, which embraces the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s has been raised within Korean Literature. The plan of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universal global literature which surpasses nationality, language, generation, and ideology gradually prepares the root stage to form the geography of Korean Literature,as the various pathways to approach are discovered through the study process of Hong, Gi-Sam, Kim, Jong-Hoi, Chang, Sa-Sun, etc. Corresponding to this historical context, research work on Korean Japanese Literature centered preferentially on ``Chosun Language`` Literature is being performed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world. A Research Report of the SoongShil University`s Joint Research Team (by Han, Seung-Ok et 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as national literatur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by Kim, Hak-Ryul et al., “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and characters of the Korean Literature by the Korean Japanese”, National Culture and Heritage Reference Center, 2007) and the study on the Korean Japanese Poetry by Ha, Sang-Il, Choi, Jong-Hwan, etc. is worthy of notice as the advanced research which sheds new light on the status of ``Chosun Language Literature`` of the Korean Japanese that was left as a gap inside Korean Japanese Literature until now and observes the overall context. The macroscopic goal of Korean Literature, the depiction of the ``Korean Race Literature History`` would be enabled primarily from the depiction of the ‘Integrated History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Through the view on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based on the existential life form of the Korean Japanese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Japanese Literature and Study where the language and ideology, or the graded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re overcome, we will be able to foresee the integrated and balanced Korean Japanese Literature History, and the ``Korean Race Literature`` as the global literature.

      • KCI등재

        탈경계 관점에서 본 재일(在日)한민족시문학 연구

        임수경 ( Su Kyung Lim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역사적으로 볼 때, 동일한 국가(프랑크왕국)를 이루고 있던 게르만 민족 역시 프랑크 왕국이 분열되면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3개국으로 나뉘어졌다. 이들의 분화는 왕조의 분화에서 출발했지만, 점차 서로 다른 정치적, 사회적, 언어적 영향으로 현재에는 전혀 다른 나라가 되었다. 이런 배경을 주목해 볼 때, 재외한민족사회도 정치적, 사회적, (이중)언어적 영향으로 점차 본국과 간극이 커지고, 앞으로 문제가 점차 심화될 것은 예상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5년 이후 재일한민족사회 내에서는 1945년 이후 꾸준히 지속되었던 ‘민단’과 ‘총련’의 대립에 화해와 화합의 조짐이 보이는 고무적인 변화가 시작되었다. 바로 현재의 시점이, 한국문학이 한민족문학으로 정신적(문화적) 폭을 확대시키는 계기를 마련하면서 물질적(표면적)으로 형성된 서로의 간극을 줄이며 민족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기(適期)라고 생각한다. 본고는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한다. 연구방법론으로 ①시문학의 이중언어, ②시인의 이중국적, ③시정신의 이중정체성을 전제로, 탈언어적, 탈영토적, 탈이념적 관점을 포함한, 탈경계적 관점에서 재일한민족시문학으로 접근하여, 문학내부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고유의 민족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처럼 한국인으로서 일본인으로 살아가는 혼종속에서도 발현되는 민족적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시도는, 사각지대와 같았던 재일한민족 시문학언어에 대한 분류를 확장시키는 연구방법론이 될 것이며, 그들에게 접근하는 단일한 시각에서 벗어나 혼종과 교란, 분열과 합체의 정당성을 인정해주고 한국문학의 폭을 확장한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By approach to Korean-Japanese Poetr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Korean world literature forming, this paper ultimately aims the purpose to verify their own identity, Korean-Japanese literature, not as the boundary literature or niche literature between the Korean literature and Japanese literature but, as the literature which is established through the localization of the nation as korean in Japan. The three directions to approach this research are, ①bilingual in poetry, ②double nationality of poet, ③ dual identity of poetry. First, approach to the creative background with bilingual issue between Korean as the mother tongue and Japanese as the official language. Second, for the dual nationality issue, identify the confusion between the motherland Korea and living country Japan. Third, about the dual identity issue, approach the own identity which created by the hybrid identity of living as Korean and living as Japanese at the same time. In the future literature, this kind of approach will be the methodology that extends the classification for Korean-Japanese poetry literature which is being like an blind spot and also, in the history of literature-oriented, it will have significant importance in the aspect of instrument as a new guide that newly establish the world Korean unique identity and independence on the new grop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