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수치심(shame) 이해를 위한 하인즈 코헛(Heinz Kohut) 이론의 재 고찰 - 객체적 자기인식(objective self-awareness) 안에서의 수치심 -

        홍이화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본 논문에서는 수치심에 대한 하인즈 코헛의 이론을 한국인의 수치심 이해에 적용해 본다. 이를 위하여 하인즈 코헛의 자기 의식적(self-conscious) 감정으로서의 수치심 이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확장하여 한국인의 수치심 이해를 위한 코헛의 이론적 틀을 재검토 한다. 코헛은 자기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의식적 감정으로서의 수치심에 주목하였으나 그러한 자기의식을 형성하게 하는 사회문화적 가치체계의 상이성에는 관심하지 않았다. 따라서 코헛은 자기의 발달구조 안에서 이상화 자기를 수치심과 관련시키지 않음으로서 자기 인식적 감정으로서의 수치심에 대하여 객체(object)로서의 자기의 역할은 상정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한국인의 수치심 이해를 위하여 코헛의 수치심 이론 안에서 자기의식에 대한 확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 코헛의 수치심 이론에 대한 브루첵(Francis J. Broucek)의 자기의식 개념의 확장이 제시되며, 이러한 확장을 통해 객체적 자기 인식(objective self-awareness) 안에서 한국인의 수치심 이해를 제안한다. 브루첵의 객체적 자기인식의 개념은 코헛의 수치심 이론에 보다 포괄적인 자기의 이해를 제안함으로서 주체와 객체로서의 자기의 역할을 통해서 수치심을 경험하는 자기의식의 구조를 새롭게 해준다. 객체적 자기인식 안에서의 수치심 이해는 특별히 한국문화의 “체면” 속에서 자기 의식적 감정으로서 한국인이 경험하는 수치심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이 된다. 한국인의 수치심 경험 안에서의 한국인의 객체적 자기인식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한국인의 체면유지를 위한 방어적 노력에 대한 공감적으로 이해는 수치심의 돌봄과 치유를 위하여 한국인의 자기가 필요로 하는 자기대상 기능의 문화적 요청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Heinz Kohut's frameworks on shame as a self-conscious emotion for an understanding of the Korean experience of shame. Kohut's psychoanalytic theory of the self provides excellent formulations for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of self-consciousness in shame, which emphasizes the whole self in relation to shame in the narcissistic development of the self. However, he does not focus on the self as the object in shame as he emphasizes the concept of the self as a supraordinate agency, i.e., an independent center of initiative, which is subjectively experienced, on the basis of western cultural assumptions. For an exploration of the Korean experience of shame as a self-conscious emotion on the basis of Kohut's frameworks, the conceptualization of self-consciousness needs to be elaborated and expanded. Francis J. Broucek's extension of Kohut's formulations with regard to objective self-awareness yields a basic tool to analyze the Korean experience of shame. It is a notion that allows for the Korean experience of shame after objective self-awareness, an experience that depends on objectifying the Korean self largely according to social standards, ideals, or goals in the Korean culture. The Korean experience of shame involves an extended sense of self-consciousness, i.e., objective self-awaren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which the self becomes both subject and object,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Korean structure of chemyeon; loss of chemyeon is inherent in shame.

      • KCI등재

        한국 도교의 죽음의식

        안동준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4 No.-

        한국의 전통적인 ‘죽음’ 인식은 ‘돌아간다’는 말로 표현한다. 그 내력은 도교의 죽음의식과 관련되어 있다. 노장철학의 죽음의식은 죽음의 본질을 해명한 것이고, 그러한 죽음의 본질을 잘 드러낸 사례를 신라 화랑들의 생사관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도교의 연단술은 죽음의 기제를 形神의 문제로 파악하여 장생불사의 꿈을 성취하고자 하는 것인데, 이러한 사례는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仙人인 북창 정렴과 수암 박지화의 죽음의식으로 대표된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로 신라 화랑과 조선의 선인이 모두 내세에 의존하지 않는 죽음의식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교는 仙界라는 초월적 세계를 설정하고 있어서 ‘도교적 죽음’이라면 흔히 선계에서 영생을 누린다고 여긴다. 하지만 도교와 관련된 한국인의 죽음 의식에서는 초월적 존재에 의존하는 구원관을 엿볼 수 없다. 죽음의 문제에 대면한 한국인의 내면의식에서는 육체가 소멸되면 생명의 근원으로 ‘돌아간다’는 의식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죽음의식은 기복신앙을 기저로 하는 교단 형태의 도교의 그것과는 다르고, 죽음보다 삶에 의미를 두고 초월적 대상에 延命을 희구하는 도교적 운명론과는 구별된다. Korean’s traditional perception of death is expressed in word 'return'. Its origin is related to the Taoist understanding of death. Taoist philosophy is a clarification of the nature of death, and as well as Taoism, evidence plainly represents the essence of death is found in Hwa-rang’s view of life and death during the period of Silla. Also internal alchemy of Taoists were to recognized the mechanisms of death as the body and soul binding problem, wanted to achieve the dream of immortality. These cases are represented by deaths awareness of Jeong-ryeom and Park-jeehwa, who lived in the Joseon Dynasty. As is well know, Taoist perception for the dead is set against a background of the transcendent world, and ‘Taoist death’ is considered to enjoy eternal life in the Seongye(仙界). However, the Korean consciousness of death associated with Taoism can not find the idea of relying on transcendental existence. As the philosophy of Lao Tzu, what stands out most from the inner consciousness of Koreans is that the spirits ‘return’ to the origin of life when the body has disappeared. these Korean’s view of death are different from the relief faith and fatalism.

      • KCI등재

        조선족 소설 속의 한국과 한국인

        최삼룡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7 No.-

        이 론문은 1992년부터 2012년까지 중국조선족 소설중에서 한국과 한국인 제재 작품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면서 조선족소설에 그려진 한국과 한국인의 형상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취지로 삼았다. 조선족소설에 한국과 한국인이 제일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이정식으로 수교한 1992년이었다.그 첫 단편소설이 揮南市의 소설가 김남현의 단편소설 <한신하이츠>였고 (“한신”이란 한국의 이름 있는 회사의 이름이고 하이츠(heights)란 높은 지대에 있는 집단주택이란 뜻의 영어이다.) 그 첫 중편소설은 허련순의 <텅빈 사막>이고 그 첫 장편소설은 허련순의 <바람꽃>(無根花)이다. 이 세 작품을 비롯한 첫피의 한국과 한국인 제재의 소설들의 주제는 대개조선족의 정체성에 대한 사고와 한국과 한국사람들에 당하는 조선족들의 피해의식을 반영하는 것이었으며 작품에 아울러 부각된 한국사람은 가해자, 조선족은 피해자로 창조되었다.1992년부터 10여년간 한국과 한국인 제재의 소설이 조선족 소설중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필자가 구독한 한국과 한국인 제재의 소설작품으로 이미 단편소설 100여편, 중편소설 30여편, 장편소설 10여부 있다. 이런 소설의 대부분은 피해의식의 발로에 끝이고 가해자에 대한 고발에 열중하는 것으로써 문학예술의 차원에서는 운운할 가치가 거의 없는 수준이었다. 물론 이 작품들 중에서 허련순의 장편소설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는가>, 장혜영의 장편소설 <희망탑>, 강효근의 중편소설 <살아숨쉬는 상흔>, 김영자의 중편소설 <소라> 등 의식성향과 주제사상이 독창적이고 예술문학으로서 상당한 수준을 과시한 것도 있다. 가해자와 피해자의 형상이 사라지기 시작하였으며 조선족자체의 열근성에 대한 자아성찰의 자세가 보이고 최근에는 대화와 소통의 주제가 주목되는데 그중 대표적인 작품이 허련순의 단편소설<그 남자의 동굴>이다. 이제 남은 것은 진짜 문학이다. 작가들의 한국과 한국인 그리고 조선족의 운명과 생존상태에 대한 관찰과 사고가 심층적으로 되면서 리념과 체제의 벽을 뛰어넘을 뿐만 아니라 실존주의, 해체주의 등 현대철학이 만들어놓은 가지가지 한계를 하나하나 깨뜨려버리면서 진짜 인간학으로서의 소설문학, 생존과 발전의 길에서 피 흘리는 령혼의 모지름을 겪는 조선족의 삶과 실존을 진실하게 재현하는 큰 문학을 창출해낼 것이다. This thesis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fictions written from 1992 to 2012 by the Chinese Koreans, aiming to analyze the image of the South Korea and the South Koreans illustrated in these fictions by observing the change of their subject matters and themes. The South Korea and the South Koreans came on stage in the Chinese Koreans’ fictions firstly in 1992, wh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Republic of Korea officially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The first short story relevant to the South Korea and the South Koreans was titled Hanshin Heights written by Kim Nam Hyun who is from Hui Nan City, where “Hansin” refers to name of a famous Korean company and “Heights” refers to some dwelling houses located in heights. The first novelette relevant was The Empty Desert written by Heo Ryun Soon, and the first novel was The Rootless Flower by the same writer. Represented by these three works, the themes of the first lot of fictions taking the South Korea and the South Koreans as subject matters were generally the reflection of the thought on the integrity of the nation of the Chinese Koreans and the sense of victim come from discriminations they encountered from the South Korea and the South Koreans. Thus in these fictions the South Koreans were described as victimizers while the Chinese Koreans as victims. Since 1992 and the decade followed, fictions taking the South Korea and the South Korean as subject matters have accounted for a substantial proportion written by the Chinese Koreas. What the author of this thesis read have included more than 100 short stories, some 30 novelettes and more than 10 novels. Most of these works have stagnated at the level of mere venting of sense of victim and disclosing of victimizer, hence from literary perspective contain very little valve for study, although certainly some of them have featured by their uniqueness of the theme and the consciousness inclination, thus achieved fairly high artistic levels, such as the novel Who Have Ever Seen the Butterfly’s Home written by Heo Ryun Soon, The Tower of Hope written by Jang Hye Yeong, The Wound Alive and Breathing written by Gang Hyo Guen and Sora written by Kim Yeong Ja. Along with exit of victim and victimizer images from the Chinese Koreans’ fictions, the consciousness and introspection on bad habits of the Chinese Korean themselves started to merge, and recently the theme of dialog and communication has attracted readers’ attention. As one of the representing works, Heo Ryun Soon’s short story His Cave is counted. Now what eventually remains is the true literature. Along with deepening of the observation of the South Korea and the South Korean, and the thinking over the Chinese Koreans’ fate and living status, fiction writers of Chinese Korean have not only flew over the wall of old concept and state system inside them, but also have stride one by one over the limitation of existentialism and disintegration built by modern philosophy. Some great works will at last be created, which are literature of true humanics, which reflect the true life and existence of the Chinese Korean whose blooding souls are staggering on the way of life an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사주에 관한 의식 및 영향요인 분석

        박숙희 한국민족사상학회 2014 민족사상 Vol.8 No.4

        Saju-myungri is a discipline that is built on Asian way of thinking. That is deeply rooted in the unconscious of Korean people and is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cognitiv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ju awareness of people in general in our country by conducting a survey and making an empirical analysis, and to investigat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ir awareness of Saju.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elected male and female adults who were at the ages of 20 and up and resided in the region of Busan as of 2014.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answer sheets from 270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had consulted a fortuneteller once or more. They thought that Saju would affect important matters in life, and that inborn destiny such as Saju would impact on critical matters in life as well. Second, as for a pervasive trend in the factors of Saju awareness, they gave the best marks to the value of Saju, which implied that the scientific and academic value and accuracy of Saju were acknowledged, and that there was consequently a favorable change in the former way of looking at Saju as a superstition. Third, gender was found not to have affected Saju awareness. Age exercised an influence on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and the factor of Saju cognition among the elements of Saju awareness, and educational level had an impact on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and the factor of Saju behavior. Occupation exerted an influence on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and the factor of Saju attitude. Monthly mean income affected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and the factor of Saju sensitivity, and marital status had an impact on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the factor of Saju sensitivity and the factor of Saju value.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how people in general in our country perceived Saju and whic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ed it. As it's found that Saju-myungrihak exerted a huge influence on the awareness and lifestyles of Korean people, how Saju can be accepted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that explains social phenomena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and ex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Saju-myungrihak to lay the solid groundwork for that. 사주명리는 동양적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한 학문으로서, 한국인의 기층 인식체계를 이루는 일부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일반인들의 사주에 관한 의식을 파악하고,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주의식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현재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남녀로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총 27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한번쯤은 정식으로 사주를 본 경험이 있으며, 삶의 중요한 문제나 과업에 대해 사주가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사주와 같은 선천성이 삶의 중요한 문제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사주의식 요인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에서 사주가치에 대한 평균값이 가장 높아, 사주의 과학적, 학문적 가치와 정확성을 인정하여, 사주를 미신으로 치부하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별은 사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사주의식의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인식 요인에, 교육수준은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행동 요인에, 직업은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태도 요인에, 월 평균소득은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감성 요인에, 결혼여부는 사주의식의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감성 요인, 사주가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일반인들의 사주에 관한 의식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영향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사주명리학이 한국인의 의식과 생활양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주가 사회현상의 근간이 되는 철학적 원리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사주명리학의 저변 확대를 위한 기초연구도 보다 다양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현대 한국인의 윤리의식과 근대 일본인의 신국의식

        김채수 ( Kim Chae-su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30 No.1

        일본인들은 근대화 과정에서 서구세력의 동진에 대처해가기 위한 한 방법으로 자국을 ‘신국’(神國)이라 규정했다. 그래서 그들은 황국국민교육으로 통해 그러한 사상을 자신들과 식민지의 한국인들의 의식 속에 주입시켰다. 그 결과 한국인들은 현재까지도 당시 그들로부터 주입된 그러한 허구적이고 자기기만적 사고로부터 완전히 탈피에 나오지 못한 상태에 처해 있다. 현대 한국인의 윤리의식은 일제강점기에 주입된 그러한 허구적이고 자기기만적 사고에 기초해 형성되어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근대화과정에서 형성된 그러한 허위적 사고가 해방이후의 현대화 과정에서 해체되거나 정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이유는 해방이후 전승국 미국이 또 다른 전승국 소련의 공산주의 세력의 전 유라시아 대륙화 추진에 대항해 자본주의의 세계화를 추진시켜나가기 위해 패전국 일본과 일본의 식민지국이었던 한국을 하나로 묶어서 공산주의 세력의 남진의 방패 막으로 활용되는 데 급급했었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우리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갑질’적 행위나 ‘미투’ 운동의 야기원인이 다름 아닌 바로 일제강점기 일본인의 그러한 자기기만적 ‘신국’의식으로부터 그 기원이 도출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해볼 수 있다. The Japanese defined their country as a "divine state" as a way to cope with the expand of the Western powers toward easter countries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So, through the education for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ire, they instilled such thoughts into the consciousness of themselves and Koreans in the colonies. As a result, the Koreans are still in a state where they have not completely escaped from such fictitious, self-deceived thoughts injected from them at this tim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modern Koreans is formed based on such a fictitious and self-deceptive thought that was inje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ason that such a false idea form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 remained without being dismantled or refin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since liberation is that after the liberatio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as promoted the globalization of capitalism against the promotion of the Eurasian continent of Soviet communist forces. It was because of the urgency that it would be used as a shield for the South Korean people of the communist forces by unifying Korea, which was a colonial country of Japan before the liberation and Japan, in order to get rid of it. As a result, we can see that the origins of the conducts of 'Gapgil' or 'Me too' movements that cause serious social problems in Korean society now are derived from consciousness of the self-deceitful 'divine nation'.

      • KCI등재

        한국문화교육에서 한국인 가치관의 실증적 규명에 관한 연구

        홍기정 ( Hong Ki-jung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에서 가치관은 중요한 항목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런데 가치관과 관련하여서는 자주 거론되어 온 하나의 문제가 있다. 그것은 현대 한국인의 가치관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관련 교재들과 연구물들에서는, 집단주의 가족주의 권위주의 같은 것들을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다뤄 왔다. 그러나 이것들은 이전 세대의 인접학문 학자들에 의해 포착된 한국인의 성격적 특징들로서, 매우 빠른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한국인의 가치관으로서 제시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게다가 그것은 특정한 학문적 관심이 바탕에 깔린 연구의 결과이므로, 외국인에게 현대 한국인의 가치관을 소개하고 가르치는 목적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거론되는 것들 상당수가 연구자 개인의 인생 경험에 기초한 경험적 직관에 따라 선택된 것이라는 점도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가치관 교육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들을 지적하고, 대안으로서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와 <세계 가치관 조사>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실증적인 방식으로 한국인의 가치관 규명을 시도한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Korean culture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And value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However, there is one problem with the value education.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values of Koreans. So far, several things have been repeatedly mentioned as Korean values: collectivism, familyism, and authoritarianism etc. It is something that sociologists have pointed to in the past as a social feature of Koreans. The question is, does it reflect the values of Koreans today? Another problem is whether it meets the purpose of educating foreigners. This is because it is the result of research originating from specific academic interests. It is also a problem that the values of the Koreans mentioned are not based on objective and empirical data. This paper points out these problems and suggests an alternative. It is to use two surveys in value education, ‘Korean Sense & Value Survey’ and ‘World Value Survey(WVS)’. This paper explains how Korean values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se data.

      • KCI등재

        NSM을 적용한 한국인의 ‘속마음’ 전달 방식 연구

        박아현(Park Arhyun),이예진(Lee Yejin)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본 연구는 ‘자연 의미적 메타언어(Natural Semantic Metalanguage, NSM)’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인의 의사소통 방식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NSM은 자연 의미적 메타언어를 사용하여 문화 핵심어를 중심으로 한 의미설명(explication)과 문화스크립트(cultural script)를 방법론으로 발전시켜 왔다. 본 연구는 이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인의 의사소통 방식 중 하나가 바로 속마음을 전달하는 방식과 관련되며, 이를 내부자적 관점에서 기술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한국인의 ‘속마음’의 개념을 분석하여 의미설명하고, 다음으로 한국인들이 ‘속마음’을 전달하는 방식을 3가지로 구분하여 이를 문화스크립트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속마음 전달 방식은 1) 속마음을 말로 표현하지 않고 전달하는 ‘이심전심’ 방식, 2) 실제 속마음과는 다른 말로 표현하는 ‘빈말’ 방식, 3) 속마음을 표현했다가, 자신이 했던 말을 거두어들이는 ‘속마음 회수’ 방식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속마음’이 어떻게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NSM의 방법론으로 기술함으로써 민속화용론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ommunication style of Korean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Natural Semantic Metalanguage (NSM)’. Using natural semantic metalanguage, NSM has evolved into a methodology of ‘explication’ and ‘cultural scripts’ centered on cultural key words. Based on this methodology, this study considers one of the ways Koreans communicate to be related to the way they deliver their sok-maum(inner-heart), and focuses on describing it from an insider"s perspective.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of Korean sok-maum(inner-heart) and presented as an explication. Next, there were three ways in which Koreans delivered their sok-maum(inner-heart) and presented them as cultural scripts. The specific way of delivering sok-maum(inner-heart) is: 1) It is a "isimjensim(ideal inner-heart)" method of expressing one"s sok-maum(inner-heart) without expressing them in words, 2) "pinmal(seperate inner-heart)" method of expressing one"s sok-maum(inner-heart) in different words, and 3) "sok-maum hoyswu(withdrawn inner-heart)" method of withdrawing what one said when the other person"s reaction is nega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way Korea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an insider"s perspective and explained it using the NSM"s method.

      • KCI등재후보

        韓国の人事聴聞会制度と法意識

        김민배(Kim Min Bae)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硏究 Vol.13 No.1

        한국인의 법의식을 무엇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한국에서도 법의식에 대한 각종 여론조사들이 행하여진다. 사형제도, 낙태, 존엄사 등 한국사회에서 현안 혹은 쟁점이 된 사항들이다. 이들 사항들은 한국사회의 역사적 배경, 문제가 사안의 상황, 국민들의 신념 등에 의해 그 의견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즉 시대의 흐름, 경제적 수준, 정치적 이유, 양심과 신념에 따라 그 때 그 때 다르게 나타나지만 한국사회의 도덕이나 법의식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한국사회의 도덕이나 법의식 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지표가 인사청문회제도라고 할 수 있다. 2000년 처음 도입된 한국의 인사청문회제도는 한국의 공직자상은 물론 한국사회의 도덕과 법의식을 대변하는 상징적 지표가 되고 있다. 인사청문회제도의 바탕이 되고 있는 재산공개제도는 권위주의 정권하에서 가려져 있었던 권력과 명예, 재산과 지위라는 철의 4각지대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폭발력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그것은 한국사회의 개혁과 혁신을 넘어서, 국민들이 새로운 차원의 민주화와 투명성, 그리고 공정성을 요구하는 기준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인사청문회제도를 통해 한국인의 법의식과 도덕적 기준을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공직자들에게 어떠한 도덕과 법적 기준을 요구하고 있는가, 엄격한 도덕적 내지 법적 기준이 초래하는 문제는 없는가, 같은 위법사항내지 부도덕한 기준을 놓고도, 국민과 공직자간에 서로 달리 적용하는 현실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정권에 따라 다른 공직자 임명의 기준이 국민들에게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 하는 점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사청문회제도의 배경과 법적 근거, 인사청문회법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인사청문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병역기피, 이중국적, 위장전입, 가족간 증여, 다운계약서, 논문 중복과 표절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특히 공직자 임용기준에 대한 국민 여론과 관련하여 2005년 여론과 공직자 기준, 2009년 여론과 도덕적 판단기준에는 일정한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인사청문회제도의 과제와 관련하여 제도적 차원의 개선 사항과 법적 내지 도덕적 기준의 변화에 따른 개선방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인사청문회 제도가 당면한 과제를 통해 한국인의 도덕과 법적 판단기준의 올바른 방향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 사회윤리의 사상사적 기저

        이재룡(Lee, Jaeryo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3

        you tube는 공급자와 수용자 간의 소통구조가 가능하도록 진화되어 그에 대한 느낌과 감정을 표명할 수 있게 되어, 이제는 전 세계인 들이 공유하는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외국인들에 의해 제작된 동영상에는 ‘한국인들만 모르는 한국인들의 면모’가 많이 강조되어 있다. 이에 우리가 몰랐던 한국인의 심성에 관한 연원을 확인해 보고자 본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이 동영상들은 그들이 현장에서 실제로 겪은 사례를 보고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에 가까운 의미를 담고 있다. 이들 동영상에서 외국인들은 “정말로 이런 나라가 존재할 수 있는가?”라고 감탄하고 있으며, 어떤 이는 ‘한국생활이 즐겁다’고 했고, ‘한국인들의 모든 것을 분석하고 연구해서 적용한다면 세계의 범죄율이 무조건 떨어질 것’이라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이도 있었다. 중국 역사서에 동이는 군자들의 나라(君子之國)로 여겼다. 중국의 역사서에는 “대문을 닫고 사는 집이 없었으며 아무도 도둑질을 하지 않았고, 성품이 공손하며 성실하고 욕심이 적으며 염치를 알았다.”고 했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문화를 유교문화라고 말한다. 그러나 유교는 한국의 긴 역사에서 통치원리로서 받아들여졌을 뿐 일반국민들의 의식을 지배한 사상은 토속종교와 결합한 불교였다. 조선왕조는 유교적 사회질서를 정착시키려 노력했음에도 대략 200 여 년이 걸려서야 겨우 뿌리내릴 수 있었다. 심지어 유교는 정착되는 과정에 불교와 공존하기도 했으며, 토속적인 민간신앙 조직과 결합하기도 했다. 조선왕조 중후기에 널리 보급된 권선서들은 민간신앙과 결합된 유교윤리의 실천과 중요성을 생활 속에 심어주었다. 이는 무교가 지니는 윤리성이 유교윤리와 결합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오늘날에도 무속인들의 수많은 상담사례에서 보듯이 무교의 무속행위는 사회윤리의 실천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국인들의 선한 심성구조는 오로지 유교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고 긴 세월동안 유교·불교·도교와 섞여 정제되어 형성된 것이며 그 바탕에는 여전히 무교의 사회윤리가 작동하고 있다. You tube has evolv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suppliers and inmates to express feelings and feelings for them, and is now an important part of the culture shared by people around the world. The video, produced by foreigners, emphasizes a lot of “the morality of Koreans that only Koreans do not know.” So I wrote this article to check the roots of Korean morality that we did not know. These videos are close to facts because they report actual experiences at the scene. In these videos, foreigners marveled, “Can such a country really exist?” Some said, “Life in Korea is fun,” and some suggested a policy alternative, “If we analyze, study and apply everything of Koreans, the world’s crime rate will fall unconditionally.” In Chinese history, Dong Yi(東夷) was regarded as a country of people living moral lives(君子之國). China’s history book said, “There were no houses that lived with doors closed, no one stole, and people were polite, sincere, less greedy, and shameless.” Many people refer to Korean culture as Confucian culture. Confucianism, however, was accepted as a governing principle in Korea’s long history, and the idea that dominated the general public’s consciousness was Buddhism combined with native religion. Although the Joseon Dynasty tried to establish a Confucian social order, it took about 200 years to take root. Confucianism even coexisted with Buddhism in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and combined with a native folk belief organization. Books recommending good deeds, which were widely distributed during the mid- to late Joseon Dynasty, instilled the practice and importance of Confucian ethics combined with folk beliefs in life. This can be seen as a combination of the ethics of shamanism and Confucian ethics. As seen in many cases of counseling by shamanists today, shamanism shows the practicality of social ethics.

      • KCI등재

        현대 한국인의 국가공동체 의식

        박동준,박균열,송선영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6 No.1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ivic value consciousness of the current Korean people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by investigating major elements like Korean nationality, national prid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did find out some significant results: First, to be qualified as Korean means to obtain Korean nationality. Second, it is reported that the levels of national pride have been slightly above the middle. Third, there has been a rather negative view on a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present government's policy to North Korea. To be unifie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maturity of conditions to make unification between both Koreas. 본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시민의식의 실태를 국가 공동체와 관련해서 조사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인이 갖고 있는 한국인으로서의 자격, 국가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통일에 관한 의식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가 공동체 수준에서의 현대 한국인의 시민의식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몇 가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첫째, 한국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격으로는 ‘한국 국적을 갖는 것’(19.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10개 분야에 대한 한국의 자부심에 대해 모든 분야에서 중간보다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자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남북한 관계 및 현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중간보다 다소 낮은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었으며, 통일에 대해서는 성숙한 여건 마련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