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재 김익수선생 고희기념 특집호 : 한국사상(사학) ; 다산 정약용 예술론의 문화운동사적 위치 - 다산 정약용과 표암 강세황의 회화론을 중심으로 -

        윤종일 ( Jong Il Y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6 No.-

        표암 강세황(豹菴 姜世晃:1713-1792)은 이른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시(詩)·서(書)·화(畵)의 삼절(三絶)로서 문인화가(文人畵家)였을 뿐 아니라 미술평론가로 일찍이 ``예원(藝苑)의 총수``라는 평까지 들었다. 그는 철저한 남종문인화가의 입장이었으며, 또한 독자적인 남종문인화의 경지를 이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에도 그의 예술 활동을 두고, 그 이전 시기의 남종문인화풍이 중국의 화법만을 받아들인 경우에 비한다면, 비로소 표암에 의해 우리나라에 보다 진전된 의미의 남종문인화가 실현·정착되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는 평가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같이 조선 후기 미술사에서 "예원의 총수"라는 화명을 날리며 당대의 최고 명가(名家)를 이루었던 표암 강세황을 두고, 다산 정약용(1762-1836)이 강세황의 작품과 관련하여 단편적이나마 흥미로운 몇몇 기록들을 남기고 있다. 이에 본 논고는 표암 강세황의 작품과 활동에 대한 다산의 몇몇 비판적 기록들이 의미하는 바, 당시의 시대 상황과 연계하여 고찰하여 보면서, 이같은 기록들의 객관적 실증 및 다산 생존시의 당대 문화계의 복원이라는 가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보았다. 둘째로는 당시 연경행을 직접 체험하고 있는 북학파의 지도적 위치에 있었던 인물들의 미술과 관련한 일부 행적 및 회화관(繪畵觀)에 관한 간략한 비교 검토를 통하여, 다산의 사실주의적 미술론이 이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전개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셋째로는, 다산의 미술계(美術界) 인식이 그의 경세치용학(經世致用學)과 어떠한 연관 관계를 형성하며 조선 후기사회의 역사적 현실에 접근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산의 표암에 대한 몇몇 기록들은 강세황 70세 이후, 즉 1782년 이후 다산이 회현방으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바라본 대략 10년간에 해당되는 시기의 표암 회화의 경향과 일부 생활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는 것 임을 알 수 있었고, 다산은 공재 윤두서로부터 비롯된 치밀한 사실주의에 바탕하여 전개되고 있던 자생적 문인남종화계의 사실주의 회화관의 입장에서 표암의 예술 행적에 대해 일견 비판적인 의견을 개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표암 강세황은 당시 남종화(南宗畵)의 커다란 두 가지 경향, 즉 자생적 남종화론과 사의적 남종화론의 경향에 비추어 볼 때, 그의 회화적 출발이 일견 성호 이익과 같은 남인들과의 교류에서도 보여지 듯, 조선 중기 이래의 회화적 전통을 새롭게 혁신해가면서 그 토착적 기반을 다져가고 있던 자생적인 남종회화관(南宗繪畵觀)을 견지하고 있던 그가 최소한 70세 이후, 다시 말하면 그의 화력 후기 내지 말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들어서는 이미 그 이전 그 자신의 기록에서도 극히 개인적이고 심미적인 회화적 취향이 얼핏 드러나듯, 일견 매너리즘이라 할 수 있는 형식화된 회화의 경향성을 띄어가고 있음과 동시에, 회화론(繪畵論)상으로는 북학계열이 주창하고 있는 "사의화론(寫意畵論)"의 주장을 크게 넘어서지는 않는다고 이해해도 커다란 무리는 없을 것으로 이해된다. Pyoam, Gang Se Whang(豹菴 姜世晃: 1713-1792) was an artist and art critic with a great reputation of Samjeol(三絶) as a literary man who was best at writing poems, writing calligraphies and drawing pict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as a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But also he developed his own style of painting. Before Pyoam, th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had only accepted the Chinese style. Dasan, Jeong Yak Yong had some fragmentary but interesting comments on paintings by Gang Se Whang. This essay first examined the meanings of Dasan`s comments on works by Gang Se Whang,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times. And I compared Dasan`s view of painting with the one of leaders of Bookhakpa who had been in Yanjing(연경, Beijing). Thirdly, I studied the relations between Dasan`s view of the art world and his science of the Gyeongsechiyong(經世致用). Comments by Dasan on Pyoam was written after Pyoam was 70 years of age. Dasan wrote some critical remarks on Pyoam`s arts from a realistic view of art which Gongjae, Yoon Doo Su developed. Between the spontaneous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and the realistic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in his youth and manhood Gang Se Whang had a spontaneous and native viewpoint of painting. And after the age of 70, he had stereotyped painting style and a realistic viewpoint.

      • KCI등재

        강세황의 표암체 작법 일고

        최경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each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leading calligraphists in the 18th century such like Pyoam Se-hwang Gang (1713~1791)an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fine each theory of calligraphy with their respective personality. Se-hwang Gang viewed that the square style is much closer to the semicursive style than cursive style. Also if anyone sticks to only the square style, his style could be stiffened with limited sight, while one who studies the semicursive style will gain extended sight through the flexibility and space perception given by the writing speed. So he believed if one does the square style in the way of the semicursive style, he would secure broad and firm strength in his calligraphy. The theory of calligraphy by Se-hwang Gang stressed that a calligraphist must be prepared with clear mind to do calligraphy by understanding the purpose fully. So he said when one learns the old styles he must learn to the mysterious energy in it and must not stick to imitating the outward alone, but he should first understand the true meaning in it so that his work will not end up in a mere forgery. And this is his theory that says 'follow the old styles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spirit and purpose in it'. Therefore Se-hwang Gang claimed that all the calligraphy methods are actually identical and it's unnecessary to divide between the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He enjoyed his best days as he mainly worked on the semicursive style in his calligraphy, which is in between the cursive style and the semicursive style. The Pyoam style by Se-hwang Gang formed a strong and elegant style by adding Meng-Fu Zhao(趙孟頫) style of Ming dynasty and Fu Mi(米芾) style of Sung dynasty after studying the style of xi-zhi Wang(王羲之) and xian-zhi Wang(王獻之) as well.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mostly features the styles Se-hwang Gang studied the collections of xi-zhi Wang and created his own Pyoam style(豹菴體) by adding the styles of Meng-Fu Zhao and Fu Mi. Se-hwang Gang’s achievement of new calligraphy styles have brought out the glorious days fo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They took xi-zhi Wangas the chief model for them to study on and accomplish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of their own by reviving the old styles with creativity and new spirit. 본고는 18세기 서단의 대표적 인물인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 1791)의 『표암유고(豹菴遺稿)』와 「서론(書論)」을 중심으로 그가 이루어낸 표암체(豹菴體)의 작법을 고찰하였다. 강세황의 서체성립 배경에서 그는 해서(楷書)가 초서(草書)보다 행서(行書)에 가깝다고 보았다. 또한 해서만 학습을 하게 되면 한정된 시야로 경직된 자형에 국한되기 쉬우나, 행서를 학습하면 유연성과 필속(筆速)에 의해 생긴 공간 지각력이 글쓴이의 시야를 넓혀주므로 행서법으로 해서를 쓰면 시원하고 튼튼한 필세(筆勢)를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강세황은 신운을 바탕으로 한 작법을 통해 위작법첩(僞作法帖)을 임모하는 폐단을 극복하기위한 그 대안으로 고인(古人) 서(書)의 진의(眞意)를 담고 있는 가까운 시대의 서(書)를 학습하는 신운론(神韻論)을 설파하였다. 또한 강세황의 행서로 완성된 작법은 서체변이(書體變移)에 있어 초서와 해서의 중간단계인 행서를 주력으로 써서 득의(得意)하였다. 그러므로 강세황의 표암체는 왕희지와 왕헌지의 서법을 익히고 난 뒤에 원대의 조맹부 서체와 宋代 米芾의 서체를 가미하여 유려하고 힘찬 필획(筆畵)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강세황의 개성화 된 서론과 서체의 창안으로 18세기 서단이 백화만발하게 된다. 이는 서예의 반성적 전형을 왕희지로 삼고, 주체적 창조정신과 생명정신을 예술창작의 기저로 삼아, 서예의 체질을 개선하는 법고주의 발현에 의한 서예의식을 고취시켰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강세황의 표암체 작법 일고

        최경춘 ( Kyengch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본고는 18세기 서단의 대표적 인물인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의 『표암유고(豹菴遺稿)』와 「서론(書論)」을 중심으로 그가 이루어낸표암체(豹菴體)의 작법을 고찰하였다. 강세황의 서체성립 배경에서 그는 해서(楷書)가 초서(草書)보다 행서(行書)에 가깝다고 보았다. 또한 해서만 학습을 하게 되면 한정된 시야로 경직된 자형에 국한되기 쉬우나, 행서를 학습하면 유연성과 필속(筆速)에 의해 생긴 공간 지각력이 글쓴이의 시야를 넓혀주므로 행서법으로 해서를 쓰면 시원하고 튼튼한 필세(筆勢)를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강세황은 신운을 바탕으로 한 작법을 통해 위작법첩(僞作法帖)을 임모하는 폐단을 극복하기위한 그 대안으로 고인(古人) 서(書)의 진의(眞意)를 담고 있는 가까운 시대의 서(書)를 학습하는 신운론(神韻論)을 설파하였다. 또한 강세황의 행서로 완성된 작법은 서체변이(書體變移)에 있어 초서와 해서의 중간단계인 행서를 주력으로 써서 득의(得意)하였다. 그러므로 강세황의 표암체는 왕희지와 왕헌지의 서법을 익히고 난 뒤에 원대의 조맹부 서체와 宋代米비의 서체를 가미하여 유려하고 힘찬 필획(筆畵)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강세황의 개성화 된 서론과 서체의 창안으로 18세기 서단이백화만발하게 된다. 이는 서예의 반성적 전형을 왕희지로 삼고, 주체적창조정신과 생명정신을 예술창작의 기저로 삼아, 서예의 체질을 개선하는 법고주의 발현에 의한 서예의식을 고취시켰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each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leading calligraphists in the 18th century such like Pyoam Se-hwang Gang (1713~1791)an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fine each theory of calligraphy with their respective personality. Se-hwang Gang viewed that the square style is much closer to the semicursive style than cursive style. Also if anyone sticks to only the square style, his style could be stiffened with limited sight, while one who studies the semicursive style will gain extended sight through the flexibility and space perception given by the writing speed. So he believed if one does the square style in the way of the semicursive style, he would secure broad and firm strength in his calligraphy. The theory of calligraphy by Se-hwang Gang stressed that a calligraphist must be prepared with clear mind to do calligraphy by understanding the purpose fully. So he said when one learns the old styles he must learn to the mysterious energy in it and must not stick to imitating the outward alone, but he should first understand the true meaning in it so that his work will not end up in a mere forgery. And this is his theory that says ``follow the old styles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spirit and purpose in it``. Therefore Se-hwang Gang claimed that all the calligraphy methods are actually identical and it``s unnecessary to divide between the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He enjoyed his best days as he mainly worked on the semicursive style in his calligraphy, which is in between the cursive style and the semicursive style. The Pyoam style by Se-hwang Gang formed a strong and elegant style by adding Meng-Fu Zhao(趙孟부) style of Ming dynasty and Fu Mi(米비) style of Sung dynasty after studying the style of xi-zhi Wang(王羲之) and xian-zhi Wang(王獻之) as well.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mostly features the styles Se-hwang Gang studied the collections of xi-zhi Wang and created his own Pyoam style(豹菴體) by adding the styles of Meng-Fu Zhao and Fu Mi. Se-hwang Gang’s achievement of new calligraphy styles have brought out the glorious days fo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They took xi-zhi Wangas the chief model for them to study on and accomplish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of their own by reviving the old styles with creativity and new spirit.

      • KCI등재

        표암 강세황의 묵란화 연구

        강영주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1

        표암 강세황(1713~1791)은 그림이나 글씨·시·제발·인장뿐만 아니라 탁월한 서화감식과 비평으로 조선 후기 회화의 큰 흐름을 주도했던 대표적인 문인서화가이다. 그는 79세의 장수를 누리며 다양한 畵目의 작품을 제작했는데 특히 말년에 천착했던 문인화류의 사군자화는 조선 말기 묵란화 유행의 바탕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는 조선시대 화가 중 처음으로 사군자화를 갖추어 그렸는데, 작품량이 많고 회화사적 연구 가치가 있는‘墨갿畵’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은 강세황의 묵란화에 대한 기록과 작품 연구를 통해 그의 묵란화 인식과 지향을 살피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강세황의 묵란화 기록에는 寫生과 古畵의 연습, 畵譜의 임방을 고루 중시했던 그의 작화태도가 나타나 주목된다. 18세기 예림의 종장 강세황은 古人의 뜻과 정신이 집약된 고화의 굢倣을 중시했으며 그림을‘寓意’와‘載道’등의 수단으로 인식했다. 즉 그의 지속적인 화보임방의 작화방식에서 修己的가치관과 회화관을 읽을 수 있다. 다음으로 그의 이런 회화관이 녹아 있는 묵란화는 양식적 분석을 통해 30~40대의 전반기와 절필기를 끝내고 군자화에 몰두했던 60대~79세인 후반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는 전반기에『개자원화전』을 주로 학습하였고, 후반기에는『십죽재서화보』나『매죽난국사보』등의 화보를 學畵하였다. 때문에 전체 적으로 그의 묵란화는 全時期화보 의탁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묵란화를 다작했던 70대는 화보의 의고와 임방을 주지하면서도, 그것을 능숙하게 소화해 고아하고 단아한‘표암난’을 완성하여 조선후기 묵란화 발전에 일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세황의 묵란화풍과 관련 있는 當時화가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화합벽첩을 만들며 서화로 교유했던 심사정이나 최북의 묵란화풍에서 강세황의 영향이 감지되어 앞서 언급한 문인들의 상찬과 아울러 18세기 조선 화단에서의 강세황 묵란화에 대한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Gang Sehwang’s (姜世晃1713~1791) Ink Orchid Painting. Gang Sehwang is a representative literati gentleman who painted Four Gentlemen,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20 pieces of Ink Orchid Painting of his in Korea. His recognition of the Ink Orchid Painting can be understood through his records and analysis of his Ink Orchid Painting. He considered the sketch from the nature (寫生), practice of old paintings (古畵), and copy-training of the manual of paintings (畵譜). Particularly, Gang Sehwang focused on the copy-training of old paintings (古畵굢倣) which integrates the will and spirit of old literati gentlemen. This means that he had recognized the picture as a means of ‘literature carrying morality (載道). Also, we could read self-discipline (修己的) values from his continuative copy-training of the manual of paintings (畵譜굢倣). Next, his Ink Orchid Painting were divided into the first half of the term (his 30s to 40s) and the second half of the term (his 60s to 78 years old). He had polished up on the Jieziyuanhuazhan ( 『芥子園畵傳』)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term and on the Shizhuzhaishuhuapu ( 『十竹齋書畵譜』) or the Maejuknanguksabo ( 『梅竹蘭菊四譜』)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term. Therefor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he had depended on the manual of paintings (畵譜) for a long time. Nevertheless, he had completed the elegant and graceful Pyeoam Orchid (豹菴 蘭)’ based on his skill of the manual of paintings (畵譜) in his 70s. Finally, the 18th century Ink Orchid Painting and painters who lived (worked) at that time were investigated. He made the Album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書畵合壁帖) with Shim Sajeong (沈師正) and Choi Buk (崔 겗). They also interacted with each other by Calligraphy and Painting (書畵). Also, Yi Insang (굃굞祥) and Im Heeji (굟熙之)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18th century Ink Orchid Painting style by imitating Ink Orchid Painting with the manual of paintings (畵譜). Moreo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Ink Orchid Painting of Gang Se-hwang and the18th century Ink Orchid painters influenced the foundation of the 19th century Ink Orchid Painting fashion.

      • KCI등재

        표암 강세황 가(家) 관련 필첩(筆帖) 자료 탈초·번역 및 해제(1) - 『가서첩(家書帖)』을 중심으로

        정은진 ( Jeoung Eun-jin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4 No.-

        豹菴 姜世晃의 저작 『표암유고』가 필사본으로 현전하고 있지만, 이곳에 수록되지 못한 시와 산문들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표암의 자료적 성격을 고려하여, 후손 강구수가 수집한 표암 관련 필첩 『家書帖』을 탈초·번역하고 해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서첩』은 표암의 高孫 강구수가 만든 것으로, 그는 발문에서 표암의 유묵들이 사라지는 것이 안타깝다고 밝히고는 총 14편의 시문을 수록하였다. 그러나 실제 필첩을 살펴본 결과 『가서첩』의 앞부분에 배치된 7편만 강세황의 작품이고 나머지는 7편은 강구수의 부친 對山 姜溍의 작품이었다. 하지만 분량 면에 있어서는 강세황이 작품이 강진의 작품보다 훨씬 많았다. 『가서첩』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강세황의 작품은 수서 1편과 간찰 6편이고, 강진의 작품은 간찰 2편, 간찰과 한시 혼합 1편, 한시 4편이었다. 이에 3장에서 강세황과 강진의 작품으로 나누고, 강세황 작품은 다시 수서와 간찰로, 강진의 작품은 한시와 간찰로 나누어 해제를 작성하였다. 강세황의 수서는 1754년 장모의 회갑을 맞이해서 쓴 것으로, 청장년기 강세황의 문학 인식 및 글쓰기 양상, 문학과 회화 양식간의 상호 연관성을 탐색해볼 수 있는 자료였다. 이 외 그의 간찰에는 집안의 負債로 고민하는 모습, 자식을 위해 장을 만들어 보내고자 하는 모습, 자식들의 병마를 염려하며 직접 약을 조제하는 모습, 지인의 부탁으로 장악원 악공을 위해 자리를 주선하는 모습, 벼슬살이로 바쁜 모습 등 생활인 강세황의 모습이 잘 부각되어 있었다. 강진의 한시 자료는 1842년과 1843년 풍양 조씨 인물들과 떠난 금강산 여행 관련 기록과 검서관으로 재직하면서 지은 시로 구분된다. 금강산 여행 관련 한시는 『대산집』에도 수록되어 있고, 검서관으로 재직하면서 지은 5수는 『대산집』에 누락되어 있다. 이 한시에는 강진과 趙萬永·趙寅永·趙秉鉉과의 世交와 知遇, 검서관의 업무와 관련한 강진의 모습은 물론, 청아하면서도 감각적으로 써내려간 강진의 시적 면모가 잘 드러난다. 간찰의 경우는 강진의 중요 산문 작품이다. 검서관으로 출사하기 이전의 일상적 모습과 금강산 여행을 떠날 때의 설렘 등이 표현되고 있어, 한시로만 엮은 『대산집』을 보완해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Currently, Pyoam Yugo, the author of Kang Sehwang(1713-1791), is transcribed as a manuscript, but there are many poems and prose that are not included here.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is Pyo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the 草書(the very cursiv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into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正字translate, and give a bibliographical explanation of the pyoam-related album, which was collected by descendant Kang Gusoo. The Gaseocheob was made by Pyoam’s grandson, Kang Gusoo, and he collected a total of 14 poems and prose after saying in the postscript that it was regrettable that the relics of Pyoam were disappeared. However, according to the actual handwriting, only seven of them were produced by Kang Sehwang, and the other seven were by Kang Gusoo’s father, Daeshan Kang Jin. In terms of volume, however, Kang Sehwang had far more works than Kang Ji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Gaseocheob, Kang Sehwang’s works were 1 Suseo(congratulations on longevity) and 6 Letters, while Gang Jin’s works were 2 letters, 1 poem mixed with letter, and 4 poems. In Chapter 3, Kang Sehwang and Kang Jin’s works were divided into Suseo and letters, and Kang Jin’s works were divided into Chinese poems and letters. Kang Sehwang’s Suseo was written in 1754 for his mother-in-law’s 60th birthday. It was a material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writing patterns, literature and painting styles of Kang Sehwang in the early youth. The letter depicts Kang Sehwang, who was worried about his family’s debt, wanted to make soy sauce for his children, prepared his own medicine for his children’s illness, arranged a seat for a master of music at the request of an acquaintance, and was busy with government posts. The materials of Kang Jin’s poems are divided into records related to the travel with the Pungyang Cho family in 1842 and 1843, and poems written while serving as a book inspector. Poems related to tours to Kumgangsan are also included in Daesanjib, and five poems written while serving as a book inspector are omitted from Daesanjib. In this poem, the exchanges and special relationships with Kang Jin, Cho Man-young, Jo Inyoung, and Cho Byunghyun, the image of Kang Jin as a book inspector, and the poetic aspect of Kang Jin, which is described as clean and sensuous, are well revealed. The letter is an important prose work of Kang Jin. The daily appearance of his career as a book inspector and the excitement of going on a trip to Kumgangsan are expressed, complementing the Daesanjib which is composed only of Chinese poems.

      • KCI등재

        표암 강세황 家 관련 筆帖 자료 탈초·번역 및 해제(2) -『直欲泛仙槎帖』을 중심으로

        정은진 한국고전문학회 2022 古典文學硏究 Vol.62 No.-

        This thesis is about converting cursiv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into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and translating the 『直欲泛仙槎帖』 of Pyoam Kang sehwang’s family and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The title of 『直欲泛仙槎帖』 was written by Lee Samhwan(1770∼1847), and it seems to have been made into a book by Kang Lo(1809-1886) or his descendants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book contains 14 pieces of letters, 2 pieces of pictures, and 2 pieces of criticism that were written and drawn by Pyoam's father, Kang Hyun(1650-1733), son Kang In(1729-1791), Kang Bin (175-1808), Kang Shin(1767-1821), nephews Kang Uhm(1766-1831) and Kang Ui, grandson Kang Yimoon (1775-1855), great-grandson Kan Iok and Kang Ibok, and great-grandson Kang Lo. It is an important material that can check the writings, drawings, daily life and mutual networks of 12 members of the 5 generations of the Jinju Kang family around the 18th century. As for the author, there are 9 works by Pyoam's sons Kang In, Kang Bin, and Kang Shin. The letter that Pyoam's son wrote to Pyoam is rare, so it has high material value. In terms of time of writing, 11 were written between 1772 and 1783, which is the heyday of the Pyoam family and 5 were sent to Pyoam, the largest number. Therefore, through converting cursiv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into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and translating the materials of this handwriting book,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us of Pyoam Kang Sehwang,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life, communication, and art of the Jinju Kang family for five generations. 본 논문은 豹菴 姜世晃(1713~1791) 家 筆帖 자료 『直欲泛仙槎帖』을 탈초, 번역하고 그 성격을 규명한 것이다. 『直欲泛仙槎帖』이란 표제는 李三晩(1770∼1847)이 썼고, 19세기 후반 姜㳣(1809∼1886)나 그 후손에 의해 成帖된 것으로 보인다. 이 필첩 안에는 표암의 부친 姜鋧(1650∼1733)과 아들 姜亻寅(1729∼1791)·姜儐(175~1808)·姜信(1767~1821), 조카 姜儼(1766∼1831)과 姜偁, 손자 姜彝文(1775~1855), 종손 姜彛玉(1765∼1788)과 姜彛福(1736∼1781), 증손 姜㳣(1809∼1877)의 간찰 14편, 그림 2폭과 畫題 2편이 수록되어 있다. 18세기 전후 晉州 姜氏 5대의 12명 글씨와 그림, 일상과 상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자료이다. 작성자로 보았을 때는 표암의 아들 강인, 강빈, 강신의 작품이 9편이나 된다. 표암 아들이 표암에게 올린 편지는 드문 형편이라 자료적 가치가 높다. 작성 시기로 보면 표암 집안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1772년에서 1783년 사이에 쓴 것이 11편이고, 표암에게 보낸 것이 5편으로 제일 많았다. 본 필첩 자료의 탈초와 번역을 통해 5대에 걸친 진주 강씨 가문의 삶과 소통, 예술 그리고 중심 역할을 했던 표암 강세황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표암 강세황의 연행체험과 문예활동

        정은진 ( Eun Jin Jeoung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5 No.-

        본 연구는 18세기 문예계의 거장 豹菴 姜世晃의 연행체험과 문예활동을 조명한 것이다. 표암은 1784년 10월 건륭황제가 주최한 千수宴에 참석하기 위해, 부사의 자격으로 正使 李徽之·書狀官 李泰永과 중국 연경에 갔다가 1785년 3월에 돌아왔다. 총 5개월의 기간으로 그의 나이 72세에서 73세의 일이었다. 서화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의 연행은 조선시대 매우 드물었기 때문에, 표암의 연행을 재구성하고 그의 구체적 문예활동과 그 특징을 해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표암유고』와 기타 연행 관련 자료를 수합하였고, 부차적으로 표암을 수행했던 好古齋 金洛瑞의 「北征錄」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호고재는 정사 이휘지를 수행하여 표암과 함께 연행에 참여했던 인물이다. 그는 당시의 일정을 일기 형식으로 일목조연하게 남기고 있어, 분명하지 않았던 표암의 연행 일정과 시문 및 그림을 밝혀주는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표암의 삶이 ``詩書畵``라는 코드로 설명되듯이 연행에서의 문예활동 역시 ``시서화``의 코드가 작용한다. 이를 다시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수행원과의 시문 수창과 서화취미 발현``이다. 표암은 정사나 서장관들과 시문 수창은 물론이거니와 서화취미를 발현한 「壽域恩波帖」·「燕臺弄毫帖」·「金臺弄翰帖」 등 시서첩을 수행원들에게 제공하기도 하고, 자신의 우울한 심사를 펼쳐내기도 하였다. 두 번째로는 ``중국인사와의 교류와 예술품평``이다. 중국측 인사들과의 교류는 연행을 경험한 사람들이라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것이지만, 표암의 경우는 예술을 매개로 한층 깊이 중국측 인사들과 교류하였다. 표암은 압록강을 건너 중국 땅에 발을 들여놓기 시작하면서부터 謝降魚·謝廷楠과 같은 인물과 필담을 나누며 벼루 등을 품평하였고, 북경에 도착해서는 翁方綱·劉鏞·博明·和琳·金簡 등 중국측 인사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인간적 유대는 물론 서화의 재현과 공유, 예술 품평을 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승경의 관람과 사진 작업``을 들 수 있다. 표암은 압록강을 건너 북경으로 여정을 떠나고 돌아오기까지 중국에서 보았던 승경을 거의 빠짐없이 서화로 표출해냈다. 표암은 자신이 목도한 승경을 회화로 발현하였는데, 현전하는 「瀛臺奇觀帖」·「차路三奇帖」이 그 대표적이다. 비록 여타 작가들처럼 연행록과 같은 기록은 남기지 않았지만 그보다 더 강렬한 방법인 회화를 남김으로써, 공공연히 18세기 문예계의 총수라는 직함에 어울리게 연행의 면모와 문예활동의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Pyeoam Kang Seihwang`s travel experience to Beijing and arts. Pyeoam traveled to Beijing, China in October, 1784 at his age of 72 with Lee Hwiji and Lee Taeyeoung for attending celebration of Qianlong Emperor. Although there were many people traveling to Beijing, the people well versed in art and literature like Pyeoam were very rare in the Joseon Dynasty. On this account his traveling to Beijing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cultural history. So I reconstructed Pyeoam`s traveling to Beijing and tried to find out his concrete literary activity and characteristic. For this I initially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raveling to Beijing including Pyeoamyugo, secondarily rebuilt Pyeoam`s unclear Beijing travel schedule with reference to Hogojae Kim Nakseo`s Bukjeongrok who traveled with Pyeoam. Hogojae also traveled to Beijing with Jeongsa Lee Hwiji. He documented the diary styled detail travel schedule, this could play influential roles in finding out Pyeoam`s unclear Beijing travel schedule, Poetry and Paintings. As Pyeoam`s life can be explained in the code of Poetry- calligraphy-Painting, these codes are also found in literary activity in Beijing traveling. So I summarized his literary activity into three categories. First one is the revelation of poetry recitation and interest in painting and writings. Pyeoam wanted to make the book containing the poetry shared with his suite like Jungsa or Seojungkwan, for celebrating. And he gave it to his suite as a gift, expressing his depressed mood. Second one is relationship with Chinese writer and art criticism. Pyeoam exchanged poetry and prose with Chinese Sagangeo, Sajeongnam, Pakmyung, Hwalim and Kimgan. And also he paid attention to Chinese science movement, sanctuary, and western painting. Third one is the watching and drawing of Chinese beautiful scenery. Whenever Pyeoam saw the beautiful scenery, he drew a landscape painting. He drew plants in his own style like peony, orchid, daffodil, sweetbrier, and forsythia as well as beautiful scenery like Gyemunyeonsoo, Seosan, Gojooksung, and Yeongdaebinghi. He drew a picture in detail like a photoand wrote poetry by implication. Although he didn`t leave a record of traveling to Beijing, he left a painting which is stronger than it, so we can find out his aspect of traveling to Beijing and literary activity.

      • KCI등재

        표암 강세황의 일상으로의 시선과 문예적 실천

        정은진(Jeong, Eunji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3 No.-

        본고는 18세기 서화가이자 비평가인 표암 강세황의 일상으로의 시선과 문예적 실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이에 먼저 표암의 안산생활과 일상 공간으로의 시선을 포착하고, 이후 그 실천적 양상을 시문 창작 및 회화 품평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일상이란 크게 변함이 없는 매일의 삶으로, 본고에서 말하는 일상이란 귀족적이고 고급화된 사대부에 한정된 것이 아닌 일반 민중의 삶을 아우르는 확장된 개념이다. 알려진 대로 표암은 회화사에서 중국 남종화의 기법을 수용하여, 조선의 정취가 묻어나는 우아한 문인화의 경지를 확립했던 인물이다. 또한 서양화법을 적극 수용하여 창작에 응용하였고, 조선시대 작가 중 가장 많은 초상화를 남기며 자아에 관한 탐색을 했다. 이처럼 표암의 회화하면 특정한 한 가지로 규정할 수 없는, 다양한 빛을 지닌 스펙트럼과 같다. 예술가에게 서 분야 및 시야의 확장이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영역, 재료의 확장은 새로운 사유를통해 형성되고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문인예술가로만 강하게 부각된 표암의 면모에서 벗어나, 표암의 개방적 사고와 실험 정신의 또 다른 방향을 보여주는 표암의 일상 미학을 주목해 보았다. 표암은 경기도 안산에서 청장년 시기를 보내면서 자신과 같은 사대부뿐 아니라 민중들을접할 기회를 많이 가졌다. 아울러 그 과정에 사대부적 세계관을 확대시키면서도, 일상의 자연과 그 속에 사는 일반인들을 주목하였다. 곧 민간의 언어라든가 삶, 주변 자연에 관심을 표현하면서 이를 소재로 시를 지었다. 속어(俗語)를 활용한 시작활동을 유경종과 공유하고, 이러 한 시풍을 확대한 유경종의 작품을 고평하였다. 서울로 상경한 이후, 이러한 미의식을 회화분야로 확대시켜 김홍도나 조영석 등 민중의 일상을 소재로 했던 속화에 긍정적인 비평을 가하면서 이론적 지지기반을 확립하였다. 곧 18세기 문화계의 거장 표암이 보여주었던 일상에 관한 지지는 민중의 삶을 예술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기폭제 역할을 하면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세계와 사물, 인간에 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표암 회화작품의 전부가 이러한 세계를 반영한 것은 아니었다. 일상의 자연은 포착하여 회화로 승화시킨 반면, 민중의 모습을 회화에 담아내지는 못했다. 곧 일상에 대한 그의 태도는 다소 유보적인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중의 일상이 재현되는 것을 지지하고 확대시킨 표암의 일상미학은 18세기 당대 예술 정신을 선진적으로 대변하는 모습이자, 21세기 현재 그를 주목하는 이유이기도하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view point of everyday life and its execution phase of Pyoam Kang se-hwang, who was an artist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s well as a critic in 18C. First of all, I studied Pyoam’s viewpoint as of everyday living environment, and then divided its execution phase into two axises, the creation of poetry and prose and the evaluation of paintings. The everyday life means routine living with no big change, and its meaning in this study is not the aristocratic concept limited in the noble man but the extended concept including the ordinary people’s life. As is widely known, Pyoam accepted the skill of the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and set up the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Josun’s own mood. Also he accepted the skill of western painting aggressively and applied his creation, so he left the most portraits among the artists of Josun Dynasty and researched himself. Like this, Pyoam cannot be defined by one characteristic. For artist, the expansion of his own field and viewpoin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be formed and developed by the new thinking. In this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everyday aesthetics showing Pyoam’s open thought and experimental spirit, not as his strong aspect of nobleman artist. Living in Ansan in his young adult, Poyam had many opportunities to meet the people as well as noblemen like him. In doing so, he expanded nobleman’s outlook of the world, paid attention to ordinary nature and the ordinary people. He wrote the poet, taking a interest in people’s words and natural environment. He shared the poetic activities using slang with Yu, gyeong-jong and evaluated his poet actively. After moving to Seoul, Pyoam expanded this aesthetic sense to paintings, gave a positive criticism to Kim hong-do’s and Jo yeung-suk’s genre painting with people’s ordinary living theme and set up the academic base. Namely, Pyoam’s support for everyday life became a trigger that people’s life was accepted as the art. But all of Poyam’s paintings did not reflect these view points. While ordinary nature was sublimated in a painting of the literary artist’s style, the scene of ordinary people was not expressed in his paintings. This point is Poyam’s limitation as a nobleman. But Poyam’s everyday aesthetics supporting the reproducing of ordinary people life speaks for the spirit of the 18C art and also is the reason why we pay attention to him now in the 21C.

      • KCI등재

        『傳世寶玩帖』 소재 강세황의 간찰과 그 특성

        정은진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5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the letters of Pyoam Kang Se-hwang. As there are only five letters in his book, Pyoamyugo, many of the Kang Se-hwang's works have been wiped out. The recently discovered Jeonsebowan contained nine letters by Kang Se-hwang. The first one is incomplete and the other eight are in good condition. The recipi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Kang Se-hwang's eldest son, Kang In(#1, 2, 4 and 5), the third son, Kang Kwan (#3), and the youngest son, Kang Bin (#6~8). Some are sent in 1765 but it is centered on two letters to Kang In in 1789, one letter to Kang Kwan and three letters to Kang Bin in 1783. This paper divided the Jeonsebowan into the human aspects related to household history and the aspects of art activities related to the painting information. The Jeonsebowan highlights Kang Se-hwang's delicate aspects as a father. For example, I can approach the reality of Kang Se-hwang as a father, who shares with his children, the problem of his children’s civil service examinations, his acquaintances and slaves, and his everyday life around him. In addition, I was able to see the forms of letters exchanged between father and son. Most of all, I could see a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King Jeongjo, his old writing skill and passion through the his activities such as printing of the print version of Cheonjamun and presenting the painting at Mount Geumgang to the King Jeongjo 본 논문은 표암 강세황의 간찰첩 『전세보완첩』을 소개하고 분석한 것이다. 표암 강세황의 저작 『표암유고』에는 편지는 5편만 실려 있을 만큼, 강세황의 저작 중 편지 자료들은 일실된 것이 많다. 최근 발굴한 『전세보완첩』에는 9편의 강세황의 편지가 수록되어 있었다. 1편은 불완전하고 나머지는 8편은 상태가 양호하다. 수신인은 크게 강세황의 맏아들 강인(1, 2, 4, 5번)과 셋째 아들 강관(3번), 막내아들 강빈(6, 7, 8번)으로 나누어진다. 발송 시기는 1765년 편지 1편, 1783년 편지 3편, 1789년 편지 3편으로 강세황 생애 말년의 부자지간에 주고받았던 편지가 집중되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세보완첩』을 가정사와 관련된 인간적 측면과 서화 정보와 관련된 예술 활동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세보완첩』은 부자지간의 편지이다 보니 부자지간에 주고받았던 편지 양식은 물론, 아버지 강세황의 섬세한 면모가 특히 부각되어 있다. 이를테면 자녀들의 과거문제 및 주변 교유인물이나 노비 등 시시콜콜한 근황을 자식들과 공유하는 생활인이자 아버지인 강세황의 모습이 잘 드러난다. 이러한 가정사 외에 예술적 면모도 부각되어 있었다. 이를테면 생애 말년까지 천자문의 견본 초판본을 찍어내서 아들에게 전달하는 모습이나 자화상 제작, 특히 정조 임금의 특명으로 금강산 그림을 진상하는 등 노년의 예술 활동과 정조와의 특별한 관계도 엿볼 수 있었다.

      • KCI등재

        豹菴 姜世晃의 書畵題跋 연구

        정은진(Jeong Eun-jin)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7 No.-

          본고는 豹菴 姜世晃의 書畵題跋을 연구한 것이다. 그 방법으로는 표암이 다량의 서화제발을 창작하게 된 배경과 서화제발 창작 실태를 우선 살펴보고, 다음으로 서화제발의 주제적 특징과 글쓰기의 특징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BR>  주지하듯 표암은 18세기에 詩ㆍ書ㆍ畵에 관한 통합된 안목을 지녀 예술계의 총수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이다. 따라서 예술에 관한 그의 높은 안목은 시문과 산문 전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특히 서화를 품평한 서화제발에서 그 빛을 발하고 있었다.<BR>  표암의 서화제발에는 자신의 예술행위에 대한 자기술회 및 의미 부여, 고정된 진리를 극복하고 새로운 인식을 지닐 것 강조하는 주제의식을 강하게 드러냈다. 또한 그 글쓰기 역시 단편을 지향하면서도 서화의 특징을 명징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層累法ㆍ比喩法ㆍ반복법 등의 적절한 수사법을 활용하여 딱딱해질 수 있는 서화제발의 미감을 승화시켜내고 있었다.   The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Pyeoam Kang Sei Hwang’s SeohwaJebal- a short comment on calligraphy and paintings. It will look at the background of his SeohwaJebal, the conditions of creating these arts and analyses of the characteristic themes and writing of his works. Pyeoam Kang Sei Hwang is known as one of the 18th century’s masters of contemporary poetry, calligraphy and art. His expertise is found in most of areas including poetry and prose, but is particularly illuminated by his SeohwaJebal.<BR>  His works show his self-reflection, meaning and his theme emphasizing not sticking to the fixed truth but seeking the new truth. His writing clearly pursues short but sharp descriptive comments on the characters of poems and calligraphy. He advanced the aesthetic of SeohwaJebal by using the rhetoric including deductive reasoning, metaphor and re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