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太祖의 眞殿과 奉業寺

        김성환(Kim Sung-Hwan)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7

        고려시대 태조를 모신 眞殿, 즉 태조진전은 그 성격에서나 太祖眞의 형태에서 다양하였다. 개경에는 유교에서의 위패 형태의 신주를 모신 太廟와 도교적인 성격에서진영(초상)을 모신 景靈殿이있었다. 태묘와 경령전에서 태조는 不遷之位였다. 또서경에는태조의진영(초상)을 모신 聖容殿이 있었다. 이곳은 태조만 봉안되어 있었는데, 청색의 곤룡포(袞)에 면류관(冕)을 쓴천자의복식으로仍几를깐黼座에앉은모습이었다. 지방관아에서도태조진을모신사당이 곳곳에 있었다. 평안도 영유현의 태조영전, 충청도천안의태조묘 등이다. 모두진영(초상)을 모시고 있었다. 고려사 에 기록된바와 같이 태조의 진전사원으로는개경의 봉은사가대표적이다. 봉은사는 태조의 원당으로 광종 2년에 창건되어 고려시대 태조신앙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였다. 태조 王建像을 봉안했던 사찰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 개경의 대안사·영통사에도 태조진이 봉안 또는이안되어있었고, 남경신궐과 개경의수창궁에도일시적으로 태조진이 봉안되기도 하였다. 봉은사이외에연산개태사, 기주봉암사, 죽주봉업사에도태조진이봉안되어있었고 고려시대 태조를 모신 眞殿, 즉 태조진전은 그 성격에서나 太祖眞의 형태에서 다양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the portrait halls containing the portraits of the founder of the Goryeo dynasty-as well as the portaits themselves-are varied. In Gaegyeong, the Imperial Ancestral Temple(太廟), collected ancestral tablets in the form of Confucian mortuary tablets, while Taoist royal portraits were collected in Gyeongryeong-jeon Shrine (景靈殿). In both locations, the portraits were in the form of immovable mortuary tablets. Also, in Seogyeong or Pyeongyang, the portraits were placed in Seongyong-jeon Shrine(聖容殿). This place enshrined only portrait of the founder shown seated on thrones cut from ceremonial tables(仍几). The founder was dressed in purple robes and wore crowns. In addition, several local ancestral shrines collected the founder s portraits, including Portrait Hall of King Taejo(太祖影殿) in Yeongyu-hyeon, Pyeongan province, the Shrine of King Taejo(太祖廟) in Cheonan, Chungcheong province, and others. As recorded in “The history of Goryeo,” Bongensa Temple in Gaegyeong is representative of Buddhist temples containing portraits of the dynasty s founder. Bongensa Temple was established as a temple holding the founders’ portraits as objects of prayer for blessings in the second year of King Gwangjong and played a role as a center for worship of Goryeo’s founder as a religion. It was known as a temple where the statue of the founder Wang Geon(王建像) had been enshrined. In addition, the founders’ portraits were enshrined in Gaegyeong within the temples of Daeansa and Yeongtongsa. Some of the founder s portraits were relocated and temporarily held at Southren Capital New Palace(南京新闕) and the court Suchang-gung in Gaegyeong. In addition to Bongensa Temple, other temples saw these types of portraits enshrined with these walls, including Gaetaesa Temple in Yeonsan, Bongamsa Temple in Giju, and Bongupsa Temple in Jukju. Portrait halls were also established in regions where the founder s portraits had been collected. As with the statue of Wang Geon in Bongensa Temple, clay and bronze statues formed the basis of the collection in the Gaetaesa Temple. The portraits enshrined in Bongupsa Temple revolved around the type of royal portrait. It is very possible that the portraits held in this temple were created during the restoration period of Bongupsa Temple in the years 14 to 18 of King Gwangjong. Although the founder s portraits were arranged in this temple, the temple itself was not thought to have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of the royal portrait room, which contained the images; rather, the management fell to the native authorities of Jukju, such as Park Gi-oh, Juksan Park clan, and Juksan Ahn clan, as well as others. When one uses document sources to examine the bronze incense braziers, burners, gongs, and other items, it is apparent that these royal portrait rooms were maintained through their own support system. After the rise of the Joseon dynasty, the new emperor began a campaign to wipe out all traces of the Goryeo dynasty in various fields. The clearing of and destruction of the royal room containing the statue of Wang Geon is just one example of this action. Bongupsa Temple was not spared this treatment either, being destroyed during the campaign. It is possible that the founder s portraits were destroyed during this period as well. A number of regional temples have become known for enshrining the portraits of Goryeo s founder. Although these cannot be compared to the character of Bongensa Temple in Gaegyeong with its prayer room centered on the portraits of Goryeo’s founder, all of these temples can be grouped together in a wider sense as having carried the founder s portraits within their walls. Yeongtongsa Temple and Dawansa Temple in Gaegyeong, as well as other temples do not seem to fall under the heading of the main temples known for the founder s portraits, although they might have carried such images. The system of centers and regional temples hold

      • KCI등재

        조선 초기 비태조계 왕실 구성원의 형성과 활동 : 도조·환조계 후손을 중심으로

        조용철(Cho Yong Cheol) 국립고궁박물관 2021 古宮文化 Vol.- No.14

        본 연구는 조선 초기 왕실 구성원의 한 축을 담당하였던 비태조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상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비태조계란 태조의 사대조에 해당하는 목穆, 익翼, 도度, 환桓 4명 추존 왕의 후손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기록이 미비한 목조와 익조의 후손을 제외하고 도조와 환조의 후손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선 초 비태조계 후손들은 태조를 도와 조선을 건국하였으며 이를 통해 왕실 구성원이자 공신으로서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이들은 이러한 지위를 통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러나태조 말부터 발생한 크고 작은 정치적 갈등에 왕실 구성원들이 휘말리게 되면서 조선에서는 불임이사不任以事의 원칙을 천명하고 왕실 구성원의 일반 관직 임명을 금지하고자 했다. 이후 왕실 구성원의 불임이사는 짧은 기간 동안 준수되었으나, 태종 치세 초반, 태종이 자신의정치적 의도를 관철시키기 위해 비태조계를 다시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비태조계의 활동은 다시금 활발해졌다. 또한 태종은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왕통의 정립을 위해 태조 직계 후손으로만 이어지는 선원계보를 확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비태조계는 종친직 수여대상에서 제외되어 일반 관직을 수여 받도록 조정되었다. 비록 이후에도 비태조계는 왕실 구성원으로서의 대우를 받았지만 동시에 일반관직을 수여받는 중첩적 지위에 노출되었다. 이러한 특수성은 세종대에도 이어졌다. 비태조계는 조선 초기 내내 입사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우대를 받으며 왕실 구성원이자 일반 관리로서 특수한 성격을 유지해나갔다. 하지만 현 국왕과 비태조계 후손 사이의 거리는점점 멀어져갔고 일반 종친 및 관리의 양적·질적 팽창은 비태조계가 전담했던 역할들을 대체하게만들었다. 15세기 후반이 되면 비태조계는 능력이 검증된 일부 인물을 제외하고는 관직 사회에서점차 도태되어갔다. 이제 비태조계는 일반 관리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능력과 소양을 검증받아야만 했다. 조선 초기 비태조계의 다양한 활동과 인식 변화는 당대 시대적 배경에 따라 이들을 유연하게활용한 조선의 유연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조선 사회의 다층적인 일면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n-Taejo group, which is a part of the royal family groups in the Joseon dynasty. The Non-Taejo group means descents of the four honorary kings who are Mok, Ik, Do, Hwan, the ancestors of King Taejo. The status of the Non-Taejo group dramatically chang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is article highlights the research on the descendants of two Kings Do, Hwan, due to more records available about them. In King Taejo’s period, the Non-Taejo group was considered as merit bureaucrats and also royal family at the same time. However during the latter period of King Taejo, som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were involved in purges. After the purges, a law was established that the royal family could not be involved in politics. Thereafter, all political activities were forbidden to all members of the royal family. However, in the early period of King Taejong’s reign, because there were subsequent purges again, King Taejong needed to build a closer loyal group to weaken hostile merit bureaucratic groups, who were against the King Taejong himself. King Taejong did not give power to all the royal family but Non-Taejo group, to help him fulfill his political intentions. For this reason, what is understood about the law forbidding the royal family from involvement in politics should be reconsidered. In the twelfth year of King Taejong,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configuration of royal genealogy. King Taejong wanted to create a strong royal line, thus he removed the Non-Taejo group from the lin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Nevertheless, their political status had continued to increase, up until King Sejong’s period, and they were still considered as royal family. As a result, the Non-Taejo group had become a new royal group with different statuses and duties. In the fifteenth century, the gap between the present king and the Non-Taejo group members had widened considerably. As normal bureaucrats and those of lineal descent of King Taejo became more numerous, King Sejong had started to only pick some of the most outstanding people in the Non-Taejo group whom had passed an official test. After that, more and more members of the Non-Taejo group needed to prepare for the exams to be hired. We can gain a new insight through studying the changing status of the Non-Taejo group over time, as it reveals the various and changing layers of social status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ey began as members of royal family, but their status was altered, along with many societal changes, from pure royal family to a pluralistic group that held a status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normal bureaucrats. We expect that there were not only those situations in the royal family, but also in general society as well. Therefore the Non-Taejo group is a good example of the possibility that there were a lot more different groups that held not only various but changing statu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n we thought.

      • KCI등재

        고구려 태조대왕과 신대왕 王系에 대한 재검토 : 초기 王系의 복원을 통한 왕실교대와 국내천도 시기의 탐색

        임기환(Lim Ki 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1 No.-

        본 연구는 필자의 기 발표 연구를 최종적으로 완성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필자는 기왕의 연구에서 고구려본기의 초기 왕계를 주몽왕-□-대무신왕-민중왕-모본왕이란 졸본계 왕계, 유리왕-재사-태조대왕/차대왕/신대왕이라는 국내계 왕계로 나누어보는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이 가설의 틀에서 고구려본기에 나타나는 왕계상의 의문점들이 합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그 과정에서 졸본 지역은 소노부의 세력 기반이고, 계루부는 국내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즉 졸본계 왕계는 소노부 왕실이며, 국내계 왕계는 계루부 왕실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소노부에서 계루부로의 왕실 교대와 졸본에서 국내로의 천도가 동일한 역사 현상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국내 천도 및 왕실 교대는 국내계 왕계로 설정한 태조대왕대 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하였다. 다만 이는 태조대왕과 차대왕, 신대왕의 3왕이 같은 계루부 왕실을 구성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제가 타당한지를 검토하였다. 그동안의 여러 연구에서 지적한 태조대왕, 차대왕, 신대왕과 관련된 고구려본기의 불합리한 점들을 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3왕 사이에는 의제적인 형제 관계로 구성된 것이고, 동시에 3왕의 부모로 설정된 再思와 모태후 부여인 사이도 의제적인 부부 관계임을 추정하였다, 따라서 이들 5인의 계보를 재구성하여 모태후 부여인-태조대왕/차대왕의 계보 및 再思-신대왕의 계보를 분리하였다. 이 두 계보에서 부여인-태조대왕의 계보는 주몽왕 이래의 건국전승에 나타나는 부여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졸본계 왕계로 파악하고, 유리왕-재사-신대왕 계보를 국내계 왕계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신대왕의 왕위 계승 명분을 합리화하는 기사의 맥락을 통해, 차대왕에서 신대왕의 이어지는 왕위 계승이 정변에 의해 소노부에서 계루부로의 왕실 교대를 가져온 과정임을 추론하였다. 그 후 졸본계 왕계[소노부 왕실]와 국내계 왕계[계루부 왕실]을 하나의 단일 왕계로 만드는 과정에서 유리왕을 주몽왕의 아들로 편입하고, 또 태조대왕, 차대왕, 신대왕을 형제 관계로 만들면서 再思와 부여인이 부부 관계가 되는, 즉 현 고구려본기의 왕계가 최종 구성되었다고 추정하였다. I divided Goguryeo s early royal family into the royal lineage of King Jumong(朱蒙王)as a progenitor and the royal lineage of King Yuri(琉璃王) as a progenitor. the royal lineage of King Jumong(朱蒙王) was Royal family of Sonobu(消奴部), the royal lineage of King Yuri(琉璃王) was Royal family of Gyerubu(桂婁部). The royal lineage recorded in the Goguryeo Bongi was the result of combining the two royal lines. In this process, King Yuri was incorporated as the son of King Jumong. The irrationalities of Koguryo-Bongi(高句麗本紀) articles related to King Taejo and King Sindae were carefully reviewed. The brotherhood of the three kings was created for political purposes. The genealogy of King s Buyou mother-King Taejo-wang(太祖王), King Chadae-wang(次大王) and the genealogy of Jaesa(再思)-King Sindae-wang(新大王) were separated. The genealogy of King Taejo-wang was identified as the royal family of jolbon(卒本), and the genealogy of King Sindae-wang was identified as the royal family of Kugnae(國內) The Change of Royal family from Sonobu(消奴部) to Gyerubu(桂婁部) and Capital Transfer from Jolbon(卒本) Region to Guknae(國內) region mean the same history. With current data, Capital Transfer period can be estimated to be the period between King Taejo-wang(太祖王) and King Sindae-wang(新大王). From the article that King Sindae-wang(新大王) served as a ritual at the Firt King Shrine, and the article that King Sindae-wang(新大王) was the first king maded a royal tomb in Guknae(國內) region on Koguryo-Bongi, I think that King Sindae-wang king was on the changeover period.

      • KCI등재

        高麗時代 開京 奉恩寺의 創建과 太祖眞殿

        韓基汶(Han Ki-moon)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3

        고려시기 국가제사 체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태조진전이 있는 봉은사의 기능을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태조에 대한 제사 기능을 가진 경령전과 태묘와도 비교하여 봉은사의 위상과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봉은사는 光宗 2년에 태조의 원당으로 창건되었고, 靖宗 4년에는 국왕이 연등 후에 반드시 태조진전에 행향한다는 불교령으로 법제화되었다. 그 사이 태조 숭배는 성종대 정비된 태묘와 경령전이 더 중시된 것으로 추측된다. 봉은사 진전을 통한 태조숭배는, 신라시기 皇福寺에 ‘宗廟聖靈’을 위해 삼층석탑을 세웠다는 기록에서 그 선례를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신라에서는 사원에 따로 건물을 두고 塑像과 肖像을 조성하여 王室 祖先을 숭배했다는 기능은 확인되지 않는다. 신라 하대 선종 사원에서 祖師 影堂을 두는 제도가 있었다. 고려가 사원에 진전을 두어 조선숭배를 한 것은 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봉은사 태조진전에는 연등과 태조 忌日에 국왕의 진행 행향이 연례적으로 있었다. 숙종, 예종대가 그 전형이었는데, 고려 황제제사의 절정기로 생각되었다. 특히 燈夕時 국왕이 태조진전에 배알하는 의식은 황궁에서 봉은사까지 대로상에서 민을 진복하고 국왕과 민이 함께함으로써 태조에 대한 신성관념과 국왕권의 존엄을 높이는 의미가 있었다. 봉은사 태조진전은 태조의 통일대업과 연고가 있는 여러 지역에 설치된 태조 진전들을 종합하는 중심으로서의 기능도 가졌다. 봉은사 태조진전은 북송 왕실의 불교식 국가제사체계 도입의 일환으로 성립되었다. 경령전은 북송 도교 경령궁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태묘는 유교 영향하에 성립되었다. 봉은사 태조진전에 역대 국왕의 친행은, 경령전과 태묘에 친행한 것보다 압도적이고 정기적이었다. 따라서 봉은사 태조진전이 종묘시설 중 가장 위상이 높았다. 국왕이 태조를 친행으로 제사지내는 기능으로 볼 때, 봉은사는 불교 종단 소속 사원이기보다는 종묘사원으로서의 성격을 가졌다. I study function of Bongeun Temple which has Taejojinjeon. And I explore the temple's status and character to compare with Kyongryungjeon(景靈殿) and Taemyo(太廟) which have the memorial rite for Taejo. The temple was established as Taejo shrine in the 2nd year of King Kwangjong, King's bowing himself in Taejojinjeon was legislated in the 4th year of King Jeongjong(靖宗) after Yeondung(燃燈) Parade. Shilla built stone-pagoda as ancestor worship in Hwangbok Temple(皇福寺). I cannot see the temple building which has kings face molding and portrait. Sonjong(禪宗) temples in the late of Shilla made Patriarchs portrait building. Koryo's Kings had to go to Bongeunsa's Taejojnjeon in Taejo's death day and after Yeondung Parade. Their enterings were the most in Sookjong and Yejong period. Kings performed the parade from the palace to Taejojnjeon. They bowed deeply in front of Taejo portrait. In its process king and subjects communicated each other. So the rite enhanced kings majesty and Taejos godness. Taejojinjeon in Bongeun Temple was the core of many Taejojinjeons. Buddhist sacrificial rite of North Song Royalty influenced the management of Koryos Taejojinjeon. Taoism in North Song affected Kyongryungjeon. Taemyo was affected of Confucianism. Of them Taejojinjeon was most important as ancestor worship. Bonensa was the ancestor shrine rather than a Buddist abbey.

      • KCI등재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정수(Han, Jung-Soo)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7

        이 연구는 고려시대 태조 숭배의 양상과 그 의미를 정리하여 고려시대 왕조운영의 특징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왕실 혈통 및 태조의 탄생에 대한 신성화 내용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태조 사후 전개된 태조 추앙 및 숭배의 양상에 대해 국가적 제사 즉 길례적제의(祭儀) 중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마지막으로는 신앙 및 종교와 관련한 태조 숭배 내용 이해를 위해서 연등?팔관회, 태조소상 조성 및 진전사원 운영, 태조무재일 이해 등을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태조 사후 지속적으로 추구된 태조 세계(世系), 탄생 등에 대한 신성화의 내용을 검토하였다.『고려세계』를 보면, 설화적 이야기를 통해 태조의 혈통을 신비화하고 있었다. 또 예언적인 풍수도참을 통해서는 태조를 삼한일통의 군주이자 용손(龍孫)의 뿌리로 상징화하였다. 나아가 성조화(聖祖化)를 통해 태조는 고려왕조의 상징으로 승화되기에 이르렀다. 이 같은 위상을 가진 태조는 원구의, 태묘의, 경령전 및 성용전, 현릉 등국가 제사를 통해 상제에 짝하는 배위이자 불천지주로서 자리매김되었다. 따라서 신성한 상징으로서 고려 국왕의 정기적 참알과 봉향의 대상이 되었다. 이와 함께 고려에서는 태조가 개최하기를 유언한 연등?팔관회를 가장 성대한 가례(嘉禮)로 행하였고, 태조를 상징하는 봉은사 진전 참알 및 봉향과 법왕사 행향 등을 친행하였다. 태조 추모와 숭배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 신앙화된 면이 나타난 것이다. 신성함의 상징인 태조소상과 진영이 조성되었고, 이를 중요 사찰에 봉안하기도 하였다. 태조가 행한 애민의 면은 기곡(祈穀)과 기양(祈禳)을 위한 기도의 승화 즉 태조무재일로 상징화되었다. 태조 숭배와 신앙이 만들어낸 바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태조 혈통, 태조 탄생 등은 당대의 기록과 후대의 수식을 통해 신성화되었다. 그리고 이는 다시 제사 및 신앙 종교 활동 속에서 주기적으로 재생산되었다. 태조 숭배와 신앙으로 이어진 것이다. 결국 이를 통해 고려는 용조이자 성조인 태조의 후손이라는 왕실 정체성과 통치의 당위성을 확립할 수 있었고, 이는 연등?팔관회 등에서 보이듯 사회통합의 원리가 되었다 하겠다. This paper attempts to arrange the aspects of commemorating ceremonies for Taejo(Goryeo’s first king) in the Goryeo period and search for the features of the management of the Goryeo dynasty by arranging that these ceremonies were transcendentalize to be some kind of cults and beliefs. For this purpose, firstly I examine the consecration of the royal blood and the birth of Taejo. Secondly, I arrange how the commemoration for Taejo reflected in the ancestral rites of national level. Finally, I try to find the commemoration for Taejo relating the belief and religion. By this process, I have come to some conclusion. The blood and birth of Taejo was consecrated by the records of that time and the emblazonment of late time. Taejo, who left Hunyo 10cho(10 injunctions for his successor to observe) and accomplished the unification of three Han, was reproduced periodically in the ancestral rites of national level and the activity for religion and belief as the divine progenitor. He was also the object of wish for national safety. From these phenomena,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ult and religion for Taejo. Eventually Goryeo was able to establish the appropriateness of rule by the establishment of royal identity and authority from the fact that Taejo was the divine progenitor relating the dragon. As we can see in Yeondeunghoe(Lotus lamp ceremony) and Palgwanhoe(Assembly of Eight Prohibitions), it became one of the principle for the integration of society.

      • KCI등재

        경기전 태조 어진(御眞)의 조형적 특징과 봉안의 의미

        이수미 미술사학연구회 2006 美術史學報 Vol.- No.26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its Enshrinement : The Portrait of Taejo in the Gyeonggi Royal Portrait Hall 경기전은 조선왕조의 개창자 태조 이성계(李成桂, 1335-1408)의 초상만을 모시기 위해서 세워진 진전(眞殿)이다. 태조 진전은 조선전기부터 전국 각지 다섯 곳 이상에 건립되었는데 현재 남한에는 경기전(慶基殿)만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에 걸쳐 왕의 초상, 곧 어진(御眞)은 활발하게 제작되었으며 특히 태조 어진은 기록에 26축이나 있다고 할 정도로 다양한 자세와 복식으로 다량 그려졌으나 현재 경기전본 태조 어진만을 온전한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경기전은 봉안대상과 봉안처가 함께 보존되고 있어서 그 역사적, 미술사적 중요성이 매우 높다. 본고에서는 “왕의 초상” 특별전을 진행하며 도출한 여러 성과를 바탕으로 태조 어진과 봉안 상황에 대한 현상파악을 염두에 두면서 그 조형적 특징과 봉안의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경기전의 태조 어진은 그 규모나 재료, 안료, 표현기법, 장황상태 등 여러 면에서 왕명으로 시행된 조직적 회화제작의 공정을 반영해 주는 작품이다. 현존하는 어진 중에서 조선시대 어진의 진면목을 가장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경기전 태조 어진의 형식 및 표현기법 등을 볼 때에 현존 경기전의 태조 어진이 1872년에 이모된 것이기는 하지만 조선 전기의 기본적인 자세 및 도상을 의도적으로 계승하려는 의지가 강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경기전본 태조 어진의 청색 복색, 정면상이라는 조형 요소는 조선전기 고식적 전통의 계승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태조 어진이 경기전에 봉안된 상황을 검토해보면 첫째, 어진을 외부와 차단하여 보위하는 장치를 많이 설치한 것을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태조 어진은 외부에 공개되는 측면보다는 엄중히 모셔지는 방향으로 그 봉안과 관리의 절차가 정교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마치 어진 자체가 임금인 것처럼 어진을 모신 장소를 ‘침실’이라 칭하고 어진의 보호와 관리에 역점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진을 이안하거나 이동할 때에도 장대한 규모와 엄중한 절차의 의식과정을 지켜 시행하였다. 셋째, 침실 내의 벽화 장식이나 일월병 및 3중 바닥깔개의 설치 등을 보면 침실을 꾸밀 때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점을 고려하기 보다는 어진 자체를 중심에 두고 어진의 관점에서 침실 안을 조성하였다고 생각된다. 이처럼 최고급의 재료와 공력으로 화려하게 제작된 태조 어진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태조 어진의 권위는 더욱 강화되었을 것이다. 더욱이 임진왜란, 병자호란, 동학농민혁명 등 여러 차례의 긴급한 상황을 맞아 갑작스러운 이동을 수차례 거치면서 대부분의 어진이 망실된 상황에서 태조 어진은 온전히 보전되어 그 신성화는 더욱 고조되었을 것이다.이러한 봉안상황에 대한 이해는 조선시대 어진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필수적이며, 현재 경기전의 태조 어진을 봉안처인 경기전과의 관련성 없이 초상화의 맥락에서만 연구한다면 태조어진의 복합적인 의미를 놓칠 우려가 있다.

      • KCI등재

        고려 태조대의 道敎와 醮禮

        김철웅(Kim Cheol-woo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道敎文化硏究 Vol.44 No.-

        고려 태조대(918~943)는 통일신라시대를 이어 삼교의 사상적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었다. 태조대의 도교에서 먼저 주목되는 것은 태조 7년(924)에 九曜堂이 건립되었다는 사실이다. 구요당이 道觀이라는 종래의 견해를 비판하면서 불교 사원으로 보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어 왔지만, 이곳에서는 고려시대 내내 도교 제례인 초례가 거행된 사실로 보아 도관임이 분명하다. 그리고 도교 제례인 초례는 태조대부터 거행되고 있었다. 태조 10년(927)에 있었던 초례산의 초례는 태조가 공산 전투를 앞두고 승전을 기원하기 위해 거행하였다. 그런데 초례산 초례는 京外인 지방에서 거행한 것으로 이는 역시 外方에서 거행되는 鹽州 氈城의 초례와 연계된 것으로 보인다. 태조대부터 京·外에 초례가 거행되었던 것이다. 한편 태조 때부터 거행되고 있었던 팔관회에는 四仙樂部가 있었는데, 이는 신라의 四仙에서 따온 것이다. 그리하여 후대의 고려 왕들은 仙風을 숭상하고 양가 자제를 선발하여 國仙이라 하였다. 그리고 仙郞이라는 존재가 있었는데, 선랑은 신라의 화랑을 고려가 계승한 것이었다. 仙郞은 고려의 대표적인 국가 행사인 팔관회에 참여하였는데, 이들은 고려의 선풍을 상징하는 존재였다. 태조 때에 도관인 구요당이 건립되었고 도교 제례인 초례가 거행되고 있으며, 고려의 대표적인 국가 행사인 팔관회에 仙郞이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태조의 아들로 4대 국왕인 광종 때에는 도교의 양생서가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로 볼 때 고려는 태조 때부터 도교가 정책적으로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성종 원년(982)에 최승로가 三敎와 도교의 초례를 거론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aimed at explaination about GuyoDang and Taoist rituals during Taejo period of Goryeo Dynasty. GuyoDang is explained Taoism of Goryeo Dynasty. There were many Taoist temples in the Goryeo Dynasty Periods. For example, there were Guyodang, Bokwongung, Taecheongkwan and so on. This paper deals with Guyodang. GuyoDang shows the Navagraha faith in Goryeo Dynasty. The Navagraha faith, which had originated in India, had been introduced into China. This is based on a belief that movement of the nine celestial bodies has a tremendous impact on human lives, fortune and misfortune. This faith had shown Taoism and Buddhism after the introduction to China. And The faith on Navagraha had also been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late eighth and early ninth centuries. GuyoDang confirmed his faith in Goryeo Dynasty. Meanwhile, The Taoist ritual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Rituals.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Taoism’s religious role was accepted, and there were Taoist temples such as GuyoDang, and Jeonseong in Yeomju. Taoist rituals flourish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other words, Taoism flourished during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

        양진(兩晉)의 종묘제도와 "태조허위(太祖虛位)"

        김선민 ( Sun Min Kim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동방학지 Vol.160 No.-

        서진의 종묘는 6昭穆과 태조를 합한 7廟制를 채용하고 후한 이래의 ``同堂異室``제를 답습하였다. 그러나 동진에서는 기존 1군주1廟의 7廟制 원칙을 방기하고 대신 형제를 하나의 昭穆으로 간주하는 賀循의 ``兄弟同昭穆``론을 채용하여 소목의 기준을 새롭게 확립 하였다. 이 ``兄弟同昭穆``론의 도입은 동진의 잦은 형제계승과 맞물려 태조의 正位 진출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러한 ``太祖虛位`` 상태는 종묘를 창건한 서진초부터 동진말까지 150여년 동안 계속되었다. ``太祖虛位``에 함축된 또 하나의 의미는 태조가 태조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태조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종묘대제인 殷祭(체협祭)의 合食때 東向하여 나머지 신주들을 주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晉에서는 태조가 아직 正位에 오르지 못했다는 이유로 윗세대인 4府君이 계속 은제에 참가하여 東向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4부군의 은제를 중단하지 않는 이상 태조의 역할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4부군의 은제를 둘러싼 논란이 동진 내내 끊이지 않았던 이유도 이때문이다. 왕조창업이나 권력구조의 대변화 뒤에는 대개 종묘의 건립 또는 재편성이 뒤따른다. 廟制는 당대 권력구조 변화의 반영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현실의 정치적 필요에서 원칙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廟制가 도입되기도 한다. 兩晉시기 일반 사대부가의 종법 원리였던 ``兄弟同昭穆``이 황제종묘의 廟制로 수용된 것도 그 하나의 사례로 볼 수 있다. 현실정치의 필요에서 도입한 ``兄弟同昭穆``론이 다시 동진의 거듭된 형제계승의 정치현실과 결합하여 빚어진 결과가 바로 장기간의 ``太祖虛位``였다고 말할 수 있다. The royal ancestral shrine of the West Jin(西晉) was operated under the system of seven shrine chambers(七廟制) for the first king and his six ancestors. It implies that the ancestral tablets consisted of seven generations. As the tablet of newly died king enter the shrine, the oldest ancestral tablet excepts of the first king`s was removed from the chamber due to weak familiarity. When all of the ancestral tablets older than the first king were removed, the tablet of the first king occupied the normal location in the first room as its formal position. This system, however, was changed in the period of the East Jin(東晋). In East Jin, the counting rule on the ranks of ancestor generation was newly defined according to the ``brother kings share the same So-Mok(兄弟同昭穆)`` theory of He-xun(賀循) in case of the succession between brothers. Sometimes the removed ancestral tablets were rearranged in the shrine chamber to fill up the lack of six So-Mok(昭穆). It rendered the tablet of the first king not to be positioned in the right location. This is called ``false position of the chamber of the first king(太祖虛位)``. During 150 years in the period of both Jin dynasties, the ``false position of the first king`` was continued in the reign of sixteen kings. Another meaning posed in the ``false position of the first king`` is that the first king did not perform his right role sufficiently. One of the important roles as the first king is to locate in the chair position among all of the ancestral tablets by turning in the east direction during big rites(殷祭), that is, di-xia rites(체협祭). Originally, the di-xia rites for the tablets removed from the chamber due to weak familiarity was held i n a separate p lace o r broken o ff p ermanently. In East Jin, however, the ancestral tablets were involved in big rites and arranged in the east direction because they were older than the first king in generation. Thus the debate whether the big rites for removed tablets should be broken off continued throughout the East Jin.

      • KCI등재

        고려의 『7대사적』과 『태조실록』

        김갑동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3

        ChilDaeSilRok(七代實錄) is the records about from King Taejo of Goryeo untill King Mokjong of the 7th Kings. It were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Kitan(契丹) in 1st year of Hyun Jong. Hyunjong began to compile ChilDaeSilRok again in the fourth year of King Hyunjong’s reign. However, the work of compiling ChilDaeSilRok was not carried out perfectly. Therefore, it was not called ChilDaeSilRok but rather ChilDaeSaJuk(七代事跡). Hwang Joo-ryang led the compilation of the book. Therefore, it is said that in Goryeosa(高麗史), ChilDaeSaJuk were compiled by Hwang Joo-ryang. Later on, during the reign of King Deokjong, he began to supplement ChilDaeSaJuk. First of all, He decided to revise and add the original record of the Taejo, TaejoSilrok(太祖實錄). At first, Wanggado was in charge. However, he resigned from office in July of the second year of King Deokjong’s reign. Then Hwang Joo-ryang led the compilation of the book. In the third year of King Deokjong’s reign, the compilation of the annals of King Taejo was completed. The priority was to compile TaejoSilrok(太祖實錄) because it did not have much personal content about the seven kings. It was also due to the deep interest of Hyun-jong and Deok-jong. Because Taejo Wang Geon was the grandfather of Hyeonjong and the great-grandfather of Deokjong. In summary, The annals of the King Taejo, “TaejoSilrok(太祖實錄)”, was compiled from the first year of King Deokjong until July of the third year of King Deokjong. Therefore, it was different from ChilDaeSaJuk(七代事跡) that they published during Hyun-jong. As it was also reflected in the compilation of “ Goryeo history”, The records of King Taejo was relatively much more. In comparison, the record for Hyejong to Mokjong has become extremely little. 고려 태조부터 목종 대까지의 기록인 7대 실록은 현종 원년 거란의 침략으로 불타 없어졌다. 그리하여 현종 4년부터 7대 실록을 다시 편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실록편찬 작업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를 실록이라 하지 못하고 『七代事跡』이라 하였다. 또 감수국사나 수국사가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죽었으며 새로이 임명된 감수국사 李龔은 곧바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따라서 그 실질적인 편찬은 최충보다 과거 합격의 선배인 황주량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리하여 『고려사』에는 『7대사적』이 황주량에 의해 편찬된 것처럼 되어 있는 것이다. 이후 덕종 대에 이르러 소략한 『七代事跡』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하였다. 우선 태조 왕건에 관한 역사부터 수정, 증보하게 되었다. 이때 왕가도는 감수국사를 맡았으나 덕종 2년 7월 무렵 귀향과 함께 국사 편찬에서는 손을 떼게 되었다. 그러자 황주량이 덕종 3년 정월 政堂文學․判翰林院事에 임명되어 국사를 주관하게 되었다. 이에 덕종 원년부터 시작해온 태조 관련 역사 편찬이 완성되어 이를 『태조실록』이라 하였다. 실록 편찬 작업이 끝난 후 덕종 3년 7월 그는 이부상서에 올랐기 때문이다. 『太祖實錄』을 우선적으로 편찬하게 된 것은 『7대사적』이 소략한 때문이기도 했지만 현종과 덕종의 큰 관심 때문이기도 했다. 태조 왕건은 고려 왕조의 창업자일 뿐 아니라 현종의 조부이며 덕종의 증조부였기 때문이다. 왕건에 대한 관심과 숭배 정책은 현종 대부터 지대하였다. 덕종도 아버지 현종을 통해 할아버지인 안종 욱과 할머니 헌정왕후의 비참한 죽음에 대해 들었을 것이고 자신도 태조 왕건의 직계손이라는 자부심이 있었다. 따라서 『현종실록』과 더불어 특별히 『태조실록』을 다시 편찬케 한 것이다. 결국 이렇게 하여 탄생한 것이 바로 정당문학․수국사 황주량이 편찬한 『태조실록』이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태조실록』은 덕종 원년부터 시작하여 덕종 3년 7월까지 편찬한 것으로 현종 대에 편찬한 7대 사적과는 다른 것이었다. 그것이 『고려사』 편찬 시에도 반영되어 태조세가는 분량이 많은데 비해 태조를 제외한 혜종~목종의 세가는 분량이 극히 적게 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오묘제를 통해 본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 인식 변화

        김나경(Kim, Na-gyu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2

        본고는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 인식을 오묘에 봉안된 태조대왕 및 시조대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신라에서는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여러 명의 시조가 등장하는데, 특히 김씨의 경우에는 왕위를 독점한 이후에 성씨의 시원인 알지가 아닌 시조들이 나타난다. 이는 신라 왕실의 시조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시조 인식은 그에 대한 제사를 통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제사 대상이 세대마다 교체되는 오묘제에 주목하였다. 중대부터 신라에는 유교적 예제인 오묘가 실시되는데, 신라 오묘제의 최고 수위에는 태조대왕과 시조대왕이 모셔진 바 있다. 먼저 혜공왕대 오묘 개편으로 봉안된 미추의 경우에는 김씨 최초로 왕위에 오른 시봉지군의 자격과 오랫동안 나라를 지켜온 공덕이라는 명분 하에 왕실의 시조로 부상하였다.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서는 오로지 미추만을 시조로 표현하였으며, 기존의 태조와 구분하기 위하여 시조대왕이라는 신라만의 묘호로 미추를 모시게 된 것이다. 그리고 혜공왕대 이전 오묘에는 시조위에 태조대왕이 모셔졌는데, 문헌 기록에는 오묘의 태조대왕이 유일한 ‘태조’에 대한 흔적이다. 비록 태조는 「진흥왕 순수비」에 일찍부터 나타났지만 중대에 이르러서야 성한이라는 태조의 이름이 등장하게 된다. 한편, 태조 성한은 소호금천씨 및 김일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당시 신라와 당의 활발한 교류로 인한 결과로 추정된다. 특히 소호금천씨는 왕실 이외의 가야계 유신 등의 김씨와도 연결된 것으로 보이다가 결국 알지 전승과 함께 김씨의 기원으로 고려까지 전래된다. 결국 알지는 김성의 연원으로서 일종의 시조신으로 기능하였기 때문에 오묘가 아닌 별도의 제사에 모셔졌으며, 김씨 왕실의 조상신으로 태조대왕 및 시조대왕이 오묘와 관련된 기록에 남아있게 되었다. 처음 오묘제가 수용될 때에는 태종 무열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함과 동시에 기존의 태조 인식과 결합하여 태조대왕이 모셔졌다가 혜공왕대에 이르러 시봉지군인 미추가 새롭게 부상하였다. 그러다가 하대에 무열왕계가 아닌 나물왕계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다른 변동 없이 김씨 왕실의 시조격인 미추가 오묘에 계속 안치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progenitor of the S illa Kim’s royal family, focusing on King Taejo the great(太祖大王) and King Sijo the Great(始祖大王) enshrined in the Omyo(五廟). The Confucian example of Omyo was implemented in Silla from the Middle Ages. King Michu became the founder of the Kim royal family by King Hyegong because he was the first Kim king and protected Silla for a long time. The Samguksaki(三國史記) and The Samgukyusa(三國遺事) stated that only King Michu was the founder(始祖). King Michu was named King Sijo the great, who only used Silla to distinguish from King Taejo. Before King Hyegong, there was King Taejo the great in Omyo, which was recorded only in the Samguksaki(三國史記). King Taejo first appeared in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眞興王巡狩碑」), at which time it was unknown who King Taejo was. It was not until the 7th century that the name Taejo Seonghan appeared intact in Silla. Taejo Seonghan appeared as King Taejo the great of Omyo, who was recorded as descendants of the Soho Geumcheon(少昊金天氏) and Kim Ilje. This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active exchanges between Silla and Tang(唐) at that time. In the end, Kim Al-ji was a kind of Progenitor God, so he was enshrined at a memorial service other than the Omyo. On the other hand, records of King Taejo the great and King Sijo the great remained as Ancestor God of the Kim’s royal family of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