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윤리와 화쟁(和諍)

        박병기(Pak, Byung K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0 No.-

        타자와의 공존은 인간의 존재성에 기반한 필연적 요청이다. 그런데 근대 시민사회의 정착 이후 급속히 진행된 개인화는 이러한 요청을 경시하거나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우리 시민사회의 경우는 이러한 개인화와 함께 가치관의 물질화, 극단화라는 현상과 마주함으로써 내부와 외부의 타자를 인식하고 관계를 맺는 과정 전반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타자 중 하나는 북한이다. 외부의 힘에 의한 분단과 세계적 차원의 한국전쟁, 지속적인 긴장과 화해 모색 등의 과정을 공유하면서 북한은 적대와 통합의 모순적 상황을 껴안아야 하는 타자가 되고 있다. 부버와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는 이러한 타자에 대한 무조건적 존중과 환대를 첫 번째 윤리적 원칙으로 내세운다. 존재경험보다 윤리경험을 앞세우는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북한이라는 타자에 적용하는 통일윤리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고, 타자와의 인격적 만남을 중심에 두는 부버의 윤리를 통일윤리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자윤리의 전제는 절대자로서의 신의 얼굴을 전제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대공동체라는 특정 종교적 배경을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통일윤리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한계를 지닐 수 있다. 남북한이 공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중심으로 대안을 찾아보는 과정에서 우리는 한국불교, 그 중에서도 원효의 화쟁 개념을 토대로 하는 새로운 통일윤리 모색을 시도할 수 있다. 화쟁의 과정은 자신과 온전히 분리될 수 없는 존재로서 타자를 상정하면서 만남과 각자의 주장을 충분히 펼치는 쟁(諍)의 과정, 상대방 주장이 지니는 일리(一理)를 수용하여 보다 나은 대안을 모색하는 화회(和會)의 과정 등 세 단계로 전개될 수 있다. 실제적인 통일 논의의 과정에서는 현재 남북한 불교계 사이의 관계망 등을 공유자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화쟁은 실질적인 통일윤리로서의 가능성도 지니고 있다. Coexistence with others is an inevitable request based on human existence. However, individualization that has fast grown after the settlement of civil society works as a factor that makes people undervalue or unable to properly appreciate such a request. Faced with said individualization as well as the materialization of values and extremism, Korean civil society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overall process of recognizing internal and external others and making relationships. One of the most important Others to Korea is North Korea. The country is becoming the Other with whom South Korea should embrace contradictory conditions of hostility and integration as the two Koreas have shared the division by external forces, the Korean War at an international level, continued tension and search for reconciliation. In the ethics of the Other proposed by Buber and Levinas, the first ethical principle is unconditional respect and hospitality for the Other. Levinas’ ethics of the Other that puts ethical experience before existential experience and Buber’s ethics of the Other that centers on a personal encounter with the Other can be interpreted as the reunification ethics applicable to North Korea, the Other. However, there are constraints in adopting these ethics as the ethics for Korean reunification because these ethics of the Other are premised on the face of God, or the absolute being and also postulate a specific religious background, namely, a Jewish community. In an effort to find an alternative that can be shared by South and North Koreas, an attempt can be made to search for a new reunification ethics based on Korean Buddhism, among which the concept of hwajaeng proposed by Wonhyo. The process of hwajaeng can be conducted in three phases: the meeting phase in which two parties meet, postulating the Other, who can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elf; the jaeng (諍) phase in which two parties make contentions as they want to; and the hwahoe (和會) phase in which two parties accept some reason in the contention of the Other.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hwajaeng can be used as practical ethics of Korean reunification since the relation network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Buddhist communities could be utilized as shared resources in the practical discussion for reunification.

      • KCI등재

        타자성과 친숙성

        박인철(In-Cheol Park)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4 No.-

        타자의 문제를 자신의 철학의 중심으로 삼고 있는 레비나스는 타자를 절대화해 절대적 타자성의 실체와 근거에 대해 해명한다. 여기서 레비나스가 철학적 토대로 삼고 있는 것이 현상학이다. 레비나스는 현상학의 지향성 개념을 근거로 나와 타자의 관계를 밝힌다. 그러나 타자의 절대성에 대해 집착하는 레비나스는 절대적 타자의 개념을 현상학을 넘어서서 형이상학적으로 정초할 것을 시도한다. 그의 타자 형이상학의 핵심적 근거가 되는 개념은 바로 무한성이다. 레비나스는 타자를 하나의 무한자로 설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타자의 형이상학을 정립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시도는 본래 그가 출발점으로 삼은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타자경험으로부터 괴리된 채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무한 개념으로 침잠함으로써 자신의 철학체계의 부정합성을 드러내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레비나스가 타자의 철학을 직접성의 경험에 근거해 정립하고자 한다면 형이상학이 아닌 현상학적인 방향에서 이를 체계화했어야 옳다. 이런 맥락에서 타자경험을 전적으로 현상학적인 틀에서 논의하는 후설의 타자이론은 레비나스의 타자이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예시이다. 특히 후설은 발생적 현상학의 틀에서 타자경험을 습성과 결부지어 역사적으로 해명하고 있는데 이는 비역사적인 공간에서 타자의 문제를 추상적이고 정적으로 다루고 있는 레비나스의 타자이론에 대해 우위성을 지닌다. 나와 타자의 관계는 이를 둘러싼 역사적 문화적 지평성을 배제하고는 철학적으로 제대로 해명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타자에 대한 책임의 근거 ― 레비나스의 철학을 예로 하여 ―

        양천수,최샘 한국법철학회 2020 법철학연구 Vol.23 No.1

        How can we normally justify our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This article addresses this question. To figure out this problem, this article draws on the responsibility theory of Levinas, famous for his philosophy of the Other. So far,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has demonstrated th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based mainly on God, subject, and procedure. Among them,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based on the subject has occupied the central position. In this theory of responsibility, the Other is nothing but the object. Levinas, on the other hand, makes a new philosophical attempt. It is to derive infinit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from the Other himself who is distinct from me. To this end, Levinas takes metaphysics anew, which has now been criticized by strict positivism. In addition, ethics is set as the “first philosophy.” On this basis, Levinas develops a creative philosophy of the Other and theory of responsibility. The Other highlighted by Levinas is a concrete existents, not an abstract existence. The Other elicits my immediate response by showing me a face while being in proximity relationship with me. This establishes my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This duty paradoxically gives me permission for freedom. At the same time, facing the Other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completes my true subjectivity. This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other extends to third part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consciousness, reason, language, law and institution. Levinas’ philosophy of the Other not only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in various aspects, but also makes productive contributions in the area of law. However, it needs to be observed and investigated minutely whether Levinas’ theory of responsibility reliant on metaphysics is actually operational. 우리는 타자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규범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을까? 이 글은 이러한 물음을 다룬다. 이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 이 글은 타자철학으로 유명한 레비나스의 책임이론을 끌어들인다. 지금까지 책임이론은 주로 신, 주체, 절차에 의지하여 타자에 대한 책임을 논증하였다. 그중에서도 주체에 근거를 두는 책임이론이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책임이론에서 보면, 타자는 객체 또는 대상에 불과할 뿐이다. 이에 반해 레비나스는 새로운 철학적 시도를 한다. 나와 구별되는 타자 그 자체로부터 타자에 대한 무한한 책임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레비나스는 이제는 엄격한 실증주의에 의해 비판대상으로 전락한 형이상학을 새롭게 받아들인다. 더불어 윤리학을 ‘제1철학’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레비나스는 독창적인 타자철학 및 책임을 전개한다. 레비나스가 강조하는 타자는 추상적인 존재가 아닌 구체적인 존재자이다. 이러한 타자는 나와 근접관계에 있으면서 나에게 얼굴을 보여줌으로써 나의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낸다. 이를 통해 타자에 대한 나의 책임이 성립한다. 이러한 의무는 역설적으로 나에게 자유를 허락한다. 동시에 타자와 대면하고 타자에 책임을 갖게 되면서 진정한 나의 주체성이 완성된다. 이러한 나와 타자의 관계는 제3자로 확장되어 의식과 이성, 언어, 법과 제도가 형성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은 다양한 측면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법 영역에서도 생산적인 기여를 한다. 그러나 형이상학에 기대고 있는 레비나스의 책임이론이 실제로도 작동 가능한 것인지는 좀 더 면밀하게 관찰하고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타자성에 대한 해석과 언어의 역할 ― 레비나스와 데리다 비교연구

        손영창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이 글은 타자성의 해석과 언어의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레비나스에 의하면 타자성이 드러나는 장이 바로 얼굴이다. 전체성과 무한에서 타자는 얼굴을 통해서 자신을 드러내면서 또한 무한한 타자로서 그리고 있다. 반면 데리다는 얼굴이라는 현전의 방식과 무한한 타자성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 혹은 모순적 관계를 정확히 지적한다. 그에 의하면 타자의 현현이 얼굴로 구현된다면, 우리는 타자의 자기성, 즉 타자 자신에 관해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 타자는 무한한 타자일 수 없다. 단지 그는 자기성을 통해서 다른 자아로 규정될 뿐이다. 데리다는 같은 맥락에서 레비나스가 말하는 윤리적 언어에 대해서도 비판을 한다. 그런데 필자는 일면 데리다의 비판의 타당성을 인정하면서도 은폐와 탈은폐의 구조와는 다른 방식으로 레비나스의 타자론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질문, 의미의 문제, 철학의 외부와 같은 중심 개념을 통해서 레비나스 철학에서 외재성 혹은 절대적 타자성등이 해체론적 비판을 견딜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Pour Levinas, la façon dont l’Autre se montre est le visage. Cependant, si l’autre se présente dans le visage, il se risque de perdre l’altérité absolue. Sur ce point, Derrida s’attache à critiquer certaine naiveté de la description de l’altérité lévinassienne. Pour lui, l’Autre, dans la mesure où il peut avoir l’altérité absolue, ne se montre jamais comme tel. Au contraire, il se montre en se retirant et dans le retrait il laisse la trace qui s’efface sans cesse. La différance que Derrida emploie pour indiquer le mouvement du retrait et l’écartement montre bien la complexité de l’ idée de l’atérité et de la différence. Mais cette complexité, aux eux de Levinas, ne met pas au clair le sens éthique qui ne se réduit pas au terme de voilement , ni à la neutralité du mouvement de la différence. Pour cette raison, je met en avant la question éthqiue soulevée devant la mort d’autrui et le sens compris dans le relation éthique. Premièrement, sans que la question ne prenne la forme négative ou incomplète à l’éagrd de la réponse ou de la proposition positive, la question éthique qui me perturbe dans le remord me ramène à découvrir le sens éthique précèdant la question ontologique. Si on considère le sens de la justification dans le discours de la philosophie traditionnelle comme la découverte de la certitude du savoir, selon Levinas, ce sens doit être compris à partir de l’Autre qui me critique et me met en question. En ce sens, le sens, surtout la justification, irréductible au savoir et la présence, d’après Levinas, peut être pensé à partir de la relation éthique et de l’Autre. Surtout, les termes, tels que la question, le sens, le dehors philosophie, nous permettent d’éviter l’engrenage de la critique déconstrutive fortement influencée dans l’ontologie heidégerrienne et de maintenir le terrain éthique hors de l’alternative de l’être et du non-être.

      • KCI등재

        ‘주체-타자’의 해체로부터 다시 타자를 사유하기: 다르덴 형제의 <약속>, <로나의 침묵>, <언노운 걸>을 중심으로

        김소영 ( Kim So Yo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현대영화연구 Vol.17 No.3

        작금의 시대는 여러 형상의 타자들을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소환해내는, 이른바 타자의 시대이다. 벨기에 출신의 형제 감독인 장 피에르 다르덴(Jean-Pierre Dardenne)과 뤽 다르덴(Luc Dardenne)도 그들의 필모그래피를 통해 소외된 타자들에 주목하며 형식미학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작가론의 측면에서 최근 작품을 포함한 다르덴 형제의 영화 연구가 미비한 점을 감안하여, 1990년대부터 2010년대를 관통하는 < 약속(La promesse) >(1996), < 로나의 침묵(Le silence de Lorna) >(2008), < 언노운 걸(La Fille inconnue) >(2016)에 나타난 타자(성)의 재현 방식 및 그것과 연동되는 사유의 장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양자의 내용을 다루기 위하여 본론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층위의 분석을 수행한다. 첫째는 소외된 타자의 상황에 개입하면서 경험하는 ‘주체의 타자화’에 의한 윤리적 죄의식, 둘째는 일(一) 대 일의 관계에서 일 대 다(多)로 확장되는 ‘타자 대 타자(들)’의 관계적 얽힘, 셋째는 공통적 모티브인 ‘타자의 죽음’을 통해 ‘타자들과의 공생’으로 해체되어 가는 타자성에 관한 내용이다. 다르덴 형제의 영화 속 인물들은 이처럼 타자(성)라는 담론으로 수렴되지만, 우리와 그들 모두 세계라는 무대에서 상호작용 하며 ‘지금-여기’에 존재하는 주체이자 타자이다. 따라서 이분법적으로 경계 지어진 주체와 타자의 해체로부터 나아가 모든 존재를 개체적 타자들로 바라볼 때, 다르덴 형제와 관객이 지향하는 공존과 공생을 논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 society is the so-called era of others, actively bringing up others in various forms. The Belgian film directors, Jean-Pierre Dardenne and Luc Dardenne, are also showing changes in formal aesthetics by constantly paying attention to alienated others through their filmography. Considering that prior research on the Dardenne brothers’ films was not included recent works, this study selected La promesse(1996) and Le silence de Lorna(2008) and La Fille inconnue(2016),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f the other and the field of thought interlocked with it. In order to deal with the contents of both, the following three layers of analysis are performed. The first is the ethical guilt caused by the ‘otherization of the subject’ that the character set as the subject experiences while intervening in the situation of the alienated other, and the second is the relational entanglement from ‘other-to-other’ to ‘other-to-others’. And the third is otherness that is being deconstructed into ‘coexistence with others’ through the common motif ‘death of others’. Although the characters in the Dardenne brothers’ films converge to the discourse of the other, we and them both interact on the stage of the world and are the subject and other in the here and now. Therefore, when we go beyond the dichotomous deconstruction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and look at all beings as individual others, we can discuss the coexistence that the Dardenne brothers and the audience are aiming for.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타자의 "시선"과 "자유"의 의미 -사르트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김지녀 ( Ji Nyeo K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김수영의 시에는 수많은 타자가 등장한다. 그의 시에서 타자는 아버지, 여편네, 친구, 식모, 누이 등 다양하게 출현하는데, 중요한 것은 그러한 타자가 언제나 우리가 일상적인 공간에서 마주칠 수 있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주로 ``시선``으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는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타자가 하이데거식의 타자, 즉 ``공동존재(Mit-dasein)``와는 다른 성격을 띠고 있음을 암시한다. 왜냐하면 하이데거가 말하는 타자는 개별자가 아닌 단순한 동료, 즉 팀워크를 이루지만 어떻게 바꿔도 상관이 없는 하나의 교환가능성으로서의 익명적 다수이기 때문이다. 김수영은 박인환과의 관계가 잘 말해주듯이, 그 누구보다 타인들이 자기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대한 자의식이 강했던 시인이다. 그런 점에서 김수영에게 타자는 주체와 분리 불가능한 대상이며 상호적인 관계를 맺는다. 즉 김수영의 시에 출현하는 타자는 근본적으로 그의 실존의 조건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점에서 우리는 흥미롭게도 사르트르 사유속에 내재하는 타자 인식을 발견하게 된다. 사르트르처럼, 김수영 또한 타자가 던지는 ``시선``을 예민하게 포착하며 그 ``시선`` 속에서 탄생하는 주체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에 사르트르의 실존주의가 유입되고 유행한 시기와 김수영의 시작 활동 시기가 거의 일치하고 그러한 공시성이 양자 사이에 내적인 긴밀함을 형성했으리라는 전제 아래, 타자인식의 관점에서 김수영과 사르트르의 상관성에 주목한다. 먼저 김수영 초기시에 나타나는 타자, 타자의 ``시선``은 수동적 주체를 출현시키는 근본 조건으로 나타난다. 김수영의 「가까이할 수 없는 서적」, 「아버지의 사진」, 「도적」등의 초기시에 나타난 ``미국``이나 ``아버지``와 같은 타자는 주체의 절대적인 ``자유``를 억압하고 제한하는 강력한 ``시선-존재``로 작동한다. 이때 타자의 ``시선``이나 타자의 ``시선`` 속에서 출현한 주체가 본질로 삼는 감정이 바로 ``수치``이다. 그러나 195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김수영의 시는 보다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맥락에서, 주체와 타자의 ``시선``이 투쟁하는 양상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타자의 ``시선`` 속에서 탄생한 수동적 주체는 김수영의 시작 후기에 이르러 점차 그 ``시선``과 투쟁하여 자기 본연의 ``자유``를 회복하는 주체로 변화하는데, 이는 자신의 삶과 역사를 자발적으로 ``선택``하고 참여하여 주체의 능동성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점을 해명하기 위해 이 논문은 사르트르 사유의 핵심을 이루는 타자의 시선, 수치, 시선끼리의 투쟁, 자유 등의 개념을 활용한다. 김수영의 시에 나타나는 타자 인식의 특성과 자유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김수영이 역사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시작 후기에 이르러 ``사랑``을 통해 역사현실에 대응해갔는가를 통시적으로 밝힌다. This thesis takes note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im Su Young and Sartre bearing in mine the fact that the time of Sartre`s Existentialism being introduced to, being in vague in Korea and the time of Kim Su Young`s activity of composing poems are almost coincided, and the guess that such simultaneity must have formed an internal intimateness between the two people. Especially, in this thesis, the Other in Kim Su Young`s poems, in other word, the feeling of the Others` ``Gaze``, or ``Shame`` will be looked into in the manner of relating them to Sartre`s thought. The meaning of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Other appearing in Kim Su Young`s early and later poems will be identified from the view of ``Freedom``. Then, the concepts of the Other`s Gaze, Shame, fighting among Gazes, and Freedom, the core of Sartre`s thought are quoted. This thesis will ultimately reveal how Kim Su Young perceived reality and how he responded to historical reality through ``Love`` in later year of his composing of poem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gnition on the Other and the meaning of freedom that presented in Kim Su Young`s poems.

      • KCI등재

        타자의 타자성의 교육학적 메시지: E. Levinas의 철학을 중심으로

        노상우,권희숙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consider the subject-centered philosophy which Levinas criticizes, second, to know what is the character on alterity of the other he proposes and, third, to research the educational principle possible to realize the alterity without changing it in the subject and the possibility to apply it to the field education. First, the ontology of Western philosophy in the ‘critic of subject-centered philosophy’ is the complete subject-centered thought due to making modern subject be the thinking existence, that is, reasonable ego under the concept of modern cogito in the center. This has the essential problem being objective and other even human as well as thing and world surrounded with subject. Education also aimed at contribution to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modern subject and self-realization of subject. But, this aim came out the result not to consider the indifference on other except subject and the personal character of other. Second, the other in the ‘character on alterity of the other’ is the complete outsider or absolute separator neither the objective composed of in the subject nor the limit out of the subject. The other is the existence not only different from subject I on the whole but also different absolutely from me. I explained the ontological character on this other as a notion of ‘absolute outness’, ‘embodiment’ and ‘limitlessness’. Third,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the alteri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education conceptualized the education principles for others and represented the conversational education method, pedagogical responsibility ethics and other-inclined teacher status. The otherness philosophy by Levinas through the discussions above not only shows the possibility to change fundamentally the paradigm of subject-centered current pedagogy but also provides the ground to make a new plan to treat inhuman and impersonal conditions in the educat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Levinas가 비판한 주체중심철학을 고찰하고, 두 번째는 그가 말하는 타자의 타자성의 성격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한다. 그리고 셋째로는 주체 안으로 환원되지 않으면서 타자성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원리와 그것의 현장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첫째 목적인 ‘주체중심철학(Subject centered Philosophy)의 비판’에서 서양철학의 존재론은 근대의 cogito의 개념아래 사유하는 존재, 이성적 자아를 중심에 둔 근대적 주체를 만들어 철저히 주체중심의 사유이다. 이는 주체를 둘러싼 사물과 세계뿐만 아니라 인간마저 모두 대상화하고 타자화하였다는 데 그 본질적인 문제점이 있다. 교육 역시 근대주체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며 주체의 자아실현에 그 목표를 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주체 이외의 타자에 대한 무관심, 타자의 인격성을 배려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목적인 ‘타자의 타자성의 성격’에서 타자는 주체 속에서 구성된 대상도 아니고 주체 밖에 있는 어떤 한계도 아닌 완전히 소외된 자, 절대적으로 분리된 자이다. 타자는 전체적으로 주체인 나와 다를 뿐만 아니라, 절대적으로 나와 다른 존재이다. 이러한 타자에 대한 존재론적 특징을 ‘절대적 외재성’, ‘구현성’, ‘무한성’의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셋째 목적인 ‘타자성의 교육원리와 현장교육에의 적용’에서는 타자존중 교육원리를 개념화하였고, 그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대화적 교육방식과 책임의 교육윤리 그리고 타자지향적 교사상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Levinas의 타자성 철학은 주체중심의 현대교육학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할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에서의 비인간화, 비인격화 현상을 치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만들 수 있는 토대임을 밝혔다.

      • KCI등재

        타자 윤리학의 두 가지 길 : 바흐친과 레비나스

        최진석(Choi Jin Seok)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3

        본 논문의 목표는 20세기 대표적인 ‘타자의 철학자’로 거론되는 엠마누엘 레비나스와 미하일 바흐친의 사유를 비교해보고, 양자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주지하다시피, 데카르트 이래 근대적 사유의 특징은 주체를 세계 인식과 이해의 중심에 두고, 주체 이외의 모든 것들을 오직 주체만을 위한 대상으로 객체화시켜 바라보는 데서 성립한다. 이러한 세계관은 주체의 세계전유 능력과 더불어 근대적 합리성이라는 실용주의적 사고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으나, 다른 한편으로 타자를 도구적으로만 인식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무자비한 폭력의 역사를 배태하기도 했다. 가령 고도로 발달된(‘합리화된’) 과학기술을 무기로 벌어졌던 20세기 전쟁과 대량살육의 참사가 그 대표적 사례들이다. 레비나스는 특유의 종교적 태도와 현상학적 기술을 통해 타자의 의미를 되묻는다. 그가 제기하는 타자란, 무엇보다도 나-주체 앞에 고통스런 얼굴을 드러내며 동정과 연민을 호소하는 존재이다. 타자는 나-주체 앞에 약자이자 빈민, 레비나스의 말을 빌면 ‘과부와 고아’ 같은 구체적 이웃으로 등장하며 나-주체의 손길을 요청한다. 여기서 나-주체는 타자를 추상적 개념 속에 떠올리지 말고, 가장 구체적인 모습 가운데 직접 마주해야 하며, 타자의 고통을 직시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책임성을 반성하도록 요구된다. 타자가 지닌 진정한 의미는 그와 얼굴을 직접 면대면(面對面)함으로써 즉각 깨우쳐지게 되며, 이로써 나-주체는 타자를 섬기며 그에 봉사하는 내적 겸허를 획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일상의 소소한 경험들로부터 자기 사유의 근거들을 길어올린 레비나스의 타자론은 대단히 감동적이며, 어느 정도는 바흐친이 1920년대 ‘철학적 미학’의 여정에서 보여주었던 타자론과 상당히 유사하게 보인다. 예컨대 「행동 철학」이라든지 「미학적 활동에 있어서 작가와 주인공」 등의 초기 논문에서 바흐친은 타자에 대한 고려가 없는 주체의 이미지는 불완전하며, 오직 타자에 대한 애정어린 태도만이 나-주체의 윤리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외양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양자간에는 근본적인 상위점이 존재한다. 이는 바흐친이 책임의 원천으로서 ‘사건(событие)’을 어떻게 개념화했는지 살펴보면 여실히 드러나는데, 그에게 타자에 대한 책임이란 존재(бытие)의 공존(со)적 상황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명으로부터 연유하는 것이지, 타자에 대한 실존적인 공감(‘동정’과 ‘연민’)으로부터 나오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가령, 나-주체가 차지하고 있는 지금-여기에서의 시·공간은 어쩌면 타자가 있을 수도 있는 자리이며, 따라서 나-주체는 타자를 대신하여 지금-여기 있는 것이기에 최선의 윤리적인 행동을 해야 할 필요충분한 동기를 부여받는 것이다. 더욱이 나-주체가 지금-여기의 사건 가운데 참여하고 있다는 말은, 어떤 식으로든 타자와의 공동적 관계에 포함되어 있다는 뜻으로, 좋든싫든 생성 중인 사건의 장(場) 안에 참여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단순히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나-주체는 타자들과 함께하는 사건의 생성 과정에 발을 들여놓고 있는 것이다. 이로부터 바흐친의 윤리 개념은 보다 명확한 이미지를 얻게 된다. 그것은 칸트식의 무조건적 정언명법도 아니고, 또한 레비나스식의 동정과 연민의 도덕도 아니다. 바흐친이 염두에 두고 있던 새로운 윤리는, 주체로서의 내가 항상-이미 타자들과의 사건적 관계에 연루되어 있으며, 따라서 책임있는 사고와 행동이 ‘나’의 존재 이전에 이미 요청되어 있다는 점에서 성립한다. 이러한 ‘사건의 윤리’가 지닌 강한 설득력은, 그것이 강제적 규범이나 주관적 공감을 통해서가 아니라 개개인의 구체적 행동 속에서 실현되어 나간다는 점을 해명한 점에 있다.

      • 1. [별빛 속의 계절]과 [신화의 단애]의 문학사적 의미와 타자 윤리학

        이덕화 ( Duk Hwa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1 한국어와 문화 Vol.9 No.-

        1950년대 소설은 그 자체만으로도 50년대 특색을 형성했다. 그리고 이들의 소설에 흐르고 있는 대체적 경향은 전쟁이 빚어 놓은 심연과 그 심연에 던져진 인간의 참상들에 대한 것들이었다. 이러한 인간의 참상은 인간을 생각하고 그 인간의 존재를 어떻게 부각시켜 현실에 대응해 나가겠느냐 하는 논리적 체계의 철학서보다도, 그 참상을 통해서 인간으로서 느끼는 비애, 그 자체가 중요시되었다. 그것은 그들의 작품의 주인공 대부분이 매춘부, 실직자, 병자, 고아, 소시민 등 사회로부터 유리되거나 거세당하여 무기력하고 낙오되고 힘없는 사람들의 참상을 작품 소재로 선택함으로써, 전쟁의 참상에 대한 비애가 그들에 대한 책임, 그 자체의 목적으로 환원되었기 때문이다. 그들에 주위를 기울인다는 것은 그들의 무언의 호소에 귀기울인다는 것이고, 전쟁으로 인한 참상의 비애가 바로 자신, 자신의 가족, 자신의 이웃의 비애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전쟁으로 인해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애인, 이웃을 잃음으로써 작가 스스로가 고아, 디아스포라적인 이방인으로 실존적인 고독을 느꼈기 때문이다. 인간은 본래 가지고 있는 선천적인 고독 때문에 타자 지향적이라는 레비나스의 주장처럼 그들 속에서 자신들의 존재의 흔적을 보았기 때문이다. 즉 작가들은 타자들의 고통속에서 자신들의 아픔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런 아픔은 타자에의 열림으로 나타나고 타자지향성으로 드러난다. 타자는 ``나``라는 존재의 흔적과 같이 이미, 존재 자신의 원인이 되면서 ``나``의 동일성을 타자적인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작품을 통해 타자의 아픔을 호소함으로써 그들 스스로를 위로 받고자 하는 것이다. 이 때 스스로를 위로 받았다고 해도 주체는 타자와의 접촉 이전 관계로 돌아갈 수 없다. 이것은 서양의 동일성의 철학에서 제시하는 자신으로의 환원이 아니라 타자의 낯섦으로 인하여 주체는 세계로 새롭게 열리게 된다. 한말숙의 데뷰 작품인 [별빛 속의 계절][신화의 단애] 역시 당대의 타자들을 형상화한 작품들이다. [별빛 속의 계절]에서 고아인 영식과 양공주인 경자는 그 당대의 타자로서 형상화되었다. 그러나 작품에서 실존적 고독자로서의 자신을 새롭게 인식하는 고아인 영식이나, 고혹적인 여성적 미로 남성을 유혹하는 양공주인 경자 역시 위험과 매혹을 동시에 느끼는 근대성을 보여줌으로써 타자를 통한 세계의 확대를 보여준다. [신화의 단애]의 주인공 진영 역시 그 당대의 타자로서 설정되어 있는 작품이다. 그러나 연구자들이나 평론가들에게 기아와 굶주림에 처한 극한 상황이라는 전제하에서 이루어진 진영의 남성과의 성적 편력이 윤리적인 문제로 쟁점화 됨으로써 극한 상황은 무화된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그 당대의 시대적 부산물이랄 수 있는 타자화된 이런 인물들에 대한 철저한 대상화가 필요한 것이다. 그 인물의 도덕적 윤리 문제보다는 부조리한 상황으로 인해서 철저히 타자화된 인물을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이것을 통하여 인간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별빛 속의 계절][신화의 단애]의 여성 인물들은 1950년의 전쟁 후의 미래가 불확실한 불안한 상황이 만들어 낸 인물이다. 인간을 인간답게 살 수 없게 만드는 부조리한 상황 속에서는 자기 자신으로 살아 갈 수 없다. 불가피한 도피를 통해 새로운 해방구를 만나게 된다. 이 공간은 윤리적인 인간관계 등 모든 것으로부터 해방되는 해방구이다. 두 작품에서의 여성들의 비정산적인 행위들은 바로 해방구에서 볼 수 있는 인물의 형태이다. The novels in 1950``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of the decade just by existing. Their normal trend was about the abyss created by the Civil War and the misery of human lives thrown into the abyss. These miserable scenes of human lives brought more importance on feeling the sorrow from them as human beings, than finding a philosophical and logical solution to take care of human beings and to face the reality by bringing these issues. Most of main characters from the novels are prostitutes, jobless, sick people, orphans and lower-and-middle class people who are isolated or eradicated and become helpless and dropped out of the society. And by selecting these miserable lives of them as subjects of novels, the sadness from misery of the war became a purpose itself to be felt responsible for them. To have special concerns about them is to listen to their appeal of silence. And this was well appealed because the sorrow from misery of the war is directly connected to oneself, one``s own family and neighbors. The authors themselves felt solitude of existence as orphans, Diasporatic strangers by losing their family, sweethearts and neighbors due to war. As Levinas claimed that human beings are inclined to consider about ``the others`` because of solitude inside them by nature, the authors saw the traces of themselves inside the others. In other words, the authors felt pains through watching and feeling the others`` lives. These pains led them to open towards the others and made them the others-oriented. By feeling the others as the authors themselves, they tried to get consolation by themselves through appealing the others`` pains. However, even if they got consolation, they can not get back to the original relationship. ``The seasons in the star light`` and ``A precipice of myth``, Han, Mal-suk``s debut novels, also gave shape to the others in the same era such as the orphan, Young-sik and the prostitute for Americal soldiers, Kyung-ja from ``The seans in the star light``. The author also showed an enlarged view towards the world through Young-sik who newly found himself as solitary human being and Kyung-ja who felt danger and attractiveness at the same time about her life showing modernized thinking. Jin-young, the main character of ``A precipice of myth`` is also one of the others in the time. But Jin-young``s life with many men``s sexual relationship brought controversy among critics and researchers even thought her life was based on the extreme poverty and starvation. The author needed stereotyping a character who became one of ``the others`` produced by this historical situation. She tried to make a character who had to become one of ``the others`` due to irrational circumstances rather than moral, ethical standards. Through this view, she requested a new insight of human beings.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two novels are people created by the instable circumstances with no vision of the future after the war in 1950. People can not live as themselves in a situation which do not lead them to live like themselves. They face a new exit for escape through inevitable change. And this exit for escape set them free from everything including ethical human relationship. Abnormal behaviors of the women in these two novels are exactly shown in front of the exit for escape.

      • KCI등재

        타자를 위한 존재로서의 교회 건축과 교회 공공성

        곽호철(Ho-Chul Kwa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88

        교회는 타자를 위해서 존재한다. 절대적 타자인 하나님과 자기 자신이 아닌 존재인 타자들을 위해 존재하도록 부름을 받았다. 타자를 위한 존재로서의 교회는 자기 과시성이나 자기만족을 지양하고 타자를 환대하고 타자를 위해 개방된 공간을 구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회 안팎의 타자들, 즉 일반 시민, 사회적 약자, 장애인, 여성, 죽은 자, 생태계의 보존 등을 배려한 공간 배정과 건축이 필요하다. 일반 시민들을 위해서는 벽을 낮춘 교회 혹은 벽을 허문 교회가 필요하고, 노숙인들과 가출청 소년들을 위한 공간도 추진해야 하고, 장애인들에게는 휠체어로 아무런 거리낌 없이 주차하고, 보행하고, 예배드리고, 친교할 수 있는 공간 구조가 필요하며, 여성들에게는 친교와 봉사를 남성들과 함께 할 수 있도록 친교실과 주방의 배치와 수유실을 따로 갖춘 자모실, 확장된 화장실 등이 필요하고, 생태계의 보존을 위해서는 기후 변화의 시대에 에너지 절약을 최대한 할 수 있는 방향의 건축이나 일반 건물의 공유 등이 필요하며, 죽은 자를 위해서는 납골당의 설치와 무연고자도 납골당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언급된 타자의 목록이나 타자에게 필요한 공간 등은 더 많은 대화를 통해 확장되고 확대되어야 한다. 타자에 대한 배려와 관심은 교회 공간을 통해서 구체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교회의 노력은 타자를 향한 교회의 사랑이 공간을 통해 구조화될 때 결실을 맺게 될 것이다. The church exists for the other. It is called to exist for God, the Absolute Other, and the others who are not themselves a part of the church. As a being for the other, the church should avoid selfishness or self-satisfaction, in order to welcome the other and create an open and safe space for the other. The church needs to work toward allocating and creating space for the others within the church: ordinary citizens,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e differently-abled, women, the dead and those grieving them, and the vulnerable nonhumans in an ecosystem. The church should provide homeless people and runaway teens with a welcoming and safe space, and the differently-abled with spacious parking spots. They should work to make the worship space comfortable and friendly with wide corridors for the unhindered movement of wheelchairs, and provide female members with a kitchen directly connected to a community room, a nursing room separated from a breast-feeding room, and more toilets compared to male ones.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build energy efficient buildings to reduce greenhouse gases. For the dead, the ossuary, which is open to nonmembers, should be installed in and around the church. The mentioned list of the others, or the specified space for the others, should be expanded through more lively discussions. The church space is the show-and-tell of the consideration and concern for the other for whom God’s love is substantiated and materially structured in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