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 마케팅 교과과정 특성화 방안

        김영재(Kim, Young-Jae)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2

        상품의 유통 및 판매 활성화를 통한 매출수익 증대를 지향하는 마케팅 영역을 문화콘텐츠 교육과정에 어떻게 접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는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함께 지향하는 문화콘텐츠 교육과정의 정립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고에서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필요로 하는 창작ㆍ기획 역량을 갖춘 융합형 핵심 전문 인력 양성이라는 문화콘텐츠 교육과정의 역할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마케팅 교과과정의 특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문화콘텐츠 마케팅은 광의의 문화마케팅이나 기업목적 달성을 위해 문화를 활용하는 마케팅 활동과는 변별되는 개념이며, 문화콘텐츠 생산 이후 유통관리, 광고, 판촉 및 소비 활성화에만 관심영역이 국한되지도 않는다. 문화콘텐츠 마케팅의 개념은 가치의 창조 및 제안이라는 마케팅 본래의 핵심 개념에 기반을 두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적용되어야 하며, 이는 문화콘텐츠 마케팅 교과과정이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소비자 가치를 제안하는 문화콘텐츠 창작기획 핵심 인력의 콘텐츠 컨셉 기획ㆍ개발 역량 배양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 holds both cultural value and financial value orientation, the discussion on desirable marketing course specialized for the culture content curriculum is critical in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system for culture content major. The maximization of sales revenue by culture content is important for survival and growth of industry, but too much emphasis on financial value can sometimes can hamper the cultural value of culture content, which ironically results in the failure of financial value creation. For the discus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marketing cours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accomplishment of goal of culture content curriculum, which is to train the key industry specialist with the convergent competence of content development and creation.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 marketing from the broad understanding of culture marketing and marketing program using cultural theme for improving the company image or increasing product’s sales revenue. Also, the scope of culture content marketing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istribution, advertising, promotion and boosting consumption or sales of culture content. Instead, the main focus of culture content marketing should be placed on the concep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 by creating and delivering the customer value of the content as the marketing is defined by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Therefore, the marketing education course for culture content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enhance the students’ capability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onsumer needs in content market for development the marketing concept as the producer for culture content creation and development.

      • KCI등재

        소셜미디어의 효과적인 콘텐츠 마케팅 융합연구 -채널별 콘텐츠 활용 특징을 중심으로

        김정민(Kim, Jeong Min),김규정(Kim, Kyu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5

        소셜미디어는 대중의 상품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기업들은 대중의 구매 욕구 촉진을 위한 도구로 소셜미디어 채널들을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나 체계적인 채널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콘텐츠 활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마케팅목적과 소셜미디어 채널별 특징에 따른 효과적인 콘텐츠의 활용을 위한 채널 간 유기적인 통합 미디어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포스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중 4가지 이상의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온라인 콘텐츠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내외 기업인 오늘의 집, 이니스프리, 레드불의 소셜미디어 채널별 콘텐츠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채널 간 상대적인 장단점, 특징을 파악하였고, 이를 콘텐츠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채널 간 유기적 연계를 통한 통합 콘텐츠 마케팅 방안을 수립하였다. 통합 콘텐츠 마케팅 방안은 소셜미디어 채널에서 기업의 마케팅목적에 따라 유형별로 홍보형, 정보형, 소통형 콘텐츠로 분류하여, 채널별 콘텐츠 간의 연계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보형 콘텐츠는 트위터로 기업 신제품 소식제공, 페이스북의 사진, 광고영상, 카드뉴스 활용,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챌린지 활용,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shop기능 등을 통합 활용한다. 둘째, 정보형 콘텐츠는 트위터로 간략한 브랜드 소식 제공, 포스트로 브랜드 관련 전문지식 발행, 인스타그램으로 브랜드 컨셉 사진 제공, 페이스북의 이벤트 탭 활용, 유튜브의 인플루언서 x 기업 상품 활용 영상 제공 등을 통합 활용한다. 셋째, 소통형 콘텐츠는 트위터의 RT기능, 인스타그램의 스토리라이브, IGTV 기능, 페이스북의 댓글 이벤트, 그룹관리 기능 등을 통합 활용한다. 결과적으로, 채널 간 유기적 연계성을 기반으로 한 통합 콘텐츠 마케팅 방법은 효과적으로 기업의 마케팅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Social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mean of determining the purchase of goods by the public. Companies are managing content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channels as a tool to arouse customers’ interest, but the effective use of content through the systematic channel analysis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rganic integrated media strategy between channels to utilize effective content according to the marketing purposes of enterpri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al media channe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content utilization by social media channels of Today"s Home, Innisfree, and Red Bull, which are leading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at are conducting online content marketing, to identify the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hannel, and to effectively reflect them in content marketing. established a plan for integrated content marketing through organic linkage between channels. The integrated contents marketing plan was classified into promotion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tents by type according to the marketing purpose of the company in social media channel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contents of each channel was identified.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omotional-type content can utilize the provision of news on new corporate products through Twitter, the use of Facebook"s photos, advertising videos, card news, Instagram"s hashtag challenge, and Facebook and Instagram"s shop functions. Secondly, Information-type content can utilize the distribution of brief brand news through Twitter, brand-related expertises’ issues through post, brand concept photos through Instagram, Facebook"s event tabs, and videos using YouTube"s influencer x corporate products. Thirdly, Communication-type content can utilize RT function of Twitter, Story Live of Instagram, IGTV function, comment event of Facebook, group management function, and etc. In conclusion, an integrated content marketing strategy through organic linkage between channels allow the company to achieve its marketing purposes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인 문화마케팅 전략 연구

        심상민(Shim Sang-min)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본 연구는 문화예술인이 주체가 되는 문화마케팅 전략을 다루고 있다. 문화예술인 범주에는 창작과 연구, 개발, 기획, 제작 등 활동을 담당하는 문화산업 종사자도 포함된다. 문화ㆍ예술인의 문화콘텐츠 유형과 방식을 P.I.M.M.A., 즉, P(Product), I(Image). M(Message). M(Metaphor). A(Aura)와 같이 5가지 차원과 영역과 유형으로 나누었다. 프로덕트(Product)는 문화ㆍ예술인들이 문화콘텐츠 자체를 구체적인 제품으로 인식하고 마치 보통 기업들이 상품을 직접 홍보하고 광고하는 것처럼 마케팅하는 유형이다. 이미지(Image)는 문화ㆍ예술인들이 마케팅 대상인 오리지널 문화콘텐츠를 홍보, 광고하기 위하여 또 다른 형태의 메타 콘텐츠를 만들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기존 미디어(광고 등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논법을 따르는 형태의 유형이다. 메시지(Message)는 문화ㆍ예술인들이 문화콘텐츠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콘텐츠를 통해 사회ㆍ문화적 의도를 발신하는 것 자체를 마케팅적 활동으로 여기는 형태이다. 메타포(Metaphor)는 문화ㆍ예술인들이 문화콘텐츠를 통해 직접적으로 뚜렷한 메시지를 발신하기보다는 은유적으로 메타포를 통해 문화, 예술의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마케팅적 효과를 추구하는 유형이다. 아우라(Aura)는 문화ㆍ예술인들이 문화콘텐츠를 이용하지 않고도, 혹은 이용하지 않는 듯 보이게 하면서 의도하는 마케팅적 효과를 추구하는 형태다. 이들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유형별로 다음과 같은 마케팅 전략 기조와 실천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는 집요한 아마추어리즘이라는 자산의 활용이다. 두 번째는 반다이의 캐릭터 마케팅 사례에서 볼 수 있었던 미디어 매니지먼트의 예술화와 경기도 모세혈관 문화운동에서 확인한 사회, 문화적 캠페인 차원의 접근이다. 세 번째는 문화와 산업간 융합이다. 네 번째는 하이컬처라고 부르는 창조적 유행을 발신하는 저력이다. 다섯 번째는 문화, 예술인의 자존심과 새로운 디지털, IT 시대 주역의 고유한 실험 정신이 멋지게 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도전의 중요성이다. This research dwells on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y for the player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industry including content area. Contrast to the marketing strategy of general corporations using cultural content, the marketing strategy of culture and art industry is representing the genuin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itself that is pursuing aesthetics and influence for the sake of self-achievement. With this point, this paper set the model of P.I.M.M.A, P(Product), I(Image). M(Message). M(Metaphor). A(Aura). Such 5 type show each different approach and case of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player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industry. Aa conclusion, this paper find the following implication ; 1) the victory of amateurism 2) the social movement and media management 3) the convergence of industry and culure 4) the capacity to generate creativity 5)the future step with the spirit of experimentalism.

      • KCI등재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 사례로 살펴본 문화콘텐츠 브랜드 마케팅 전략

        한순호(Han, Soon Ho)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5

        오늘날 지식과 정보의 창출 및 활용이 모든 경제활동의 핵심이 되는 지식기반 경제로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산업은 21세기의 새로운 유망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화콘텐츠상품에 대한 마케팅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문화콘텐츠상품의 경우 일반상품과는 달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지 못할뿐더러 소비자가 상품의 품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는 상품이기 때문에 소비자선택 시 ‘리스크 회피’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문화콘텐츠상품이 시장에 넘쳐남에 따라 경쟁이 치열해지고, 소비자들은 상품선택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상품은 일반상품에 비해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지기 때문에 초기 마케팅 비용이 늘어나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콘텐츠상품에 있어서도 일반제품과 마찬가지로 브랜드가 갖는 중요성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문화콘텐츠 브랜드가 된 영화 <해리포터>의 예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77억 달러 (한화 8조 4천 7백만원)의 흥행 수입을 올렸고, 국내에서는 2612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그리고 OSMU 전략에 따라 게임, 머천다이징, 테마공원 등으로 확산, 엄청난 경제적 효과를 가져왔다. 본고의 목적은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를 통해서 브랜드 마케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문화콘텐츠상품의 브랜드 마케팅에 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의 브랜드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브랜드 마케팅 실현단계를 중심으로 해리포터의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심벌 구축 및 통합적인 브랜드 액션을 통한 제작, 크리에이티브, 홍보, 온라인, 프로모션 및 배급 전략 등을 분석하였다. 영화 <해리포터>의 브랜드 마케팅을 통해 첫째, 소설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심벌들을 로고, 칼라, 슬로건, 상징을 이용해 브랜드 심벌의 성공적인 구축을 하였으며, 둘째, 영화와 원작의 일관성 유지로 충성도 있는 고객의 형성하였고, 셋째, 인터넷을 활용한 소비자와의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입소문을 적극 활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AOL 타임워너사의 전체 조직을 이용한 통합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Today’s economy is a knowledge-based economy that creation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become the core of all economic activities. Under new economy, culture industry based on creativity is emerging as a new industry with great prospects and as it grows, the marketing of culture contents product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an before. Unlike general product, as culture contents product is not uniform in quality and its quality can not be evaluated correctly, customer has strong intention to avoid risk. The overflow of various contents products in the market and tough competition make customer difficult to choose product. The life cycle of contents product is much shorter than that of general products and initial marketing cost is increasing. With above reasons, the importance of brand on contents product is getting bigger. Under this situation, the case of movie 〈Harry Potter〉 that becomes internationally beloved culture contents brand has great implications. Movie 〈Harry Potter〉 series gathered 7.7 billion dollar boxoffice internationally and recorded 26 mil admissions in Korea. As an OSMU strategy, game, merchandising and theme park brought huge economic effe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culture contents brand marketing by movie 〈Harry Potter〉 series. To analyze brand marketing strategy of movie 〈Harry Potter〉 series, brand marketing action has been used for the study. This study analyzed brand value of Harry Potter, brand symbol build-up and the marketing strategy of creative, publicity, promotion, online activity and distribution. As a result of study, the brand marketing of movie <Harry Potter> series shows 1) successful brand symbol build-up by logo, color, slogan and other symbols, 2) creating loyal customer by making consistent adoption of novel with movie, 3)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 by internet, 4) integrated brand marketing strategy of AOL Time Warner.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특구 부산 금정구의 장소마케팅 방안

        윤영득(Yoon, Young Dea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이러한 공간을 방문하거나 체험하는 공간의 수용자, 그리고 소통의 매체로서 장소가 되어야 하는 공간과 그와 결부된 장소관련 문화콘텐츠로 구성된다. 부산 금정구는 수려한 자연과 도시서비스, 공업, 농업, 교육, 관광 등이 어우러진 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농복합지역으로서 2013년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교육특구로 지정되어 각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큰 잠재력과 정부지원을 받는 지역의 발전은 전략적인 장소마케팅의 견지에서 검토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그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금정구는 체험사회를 대표하는 제3의 공간의 특징인 몰링, 컨셉트 라인, 코어 어트랙션에 유의해서 공간배치와 활용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금정구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그것을 확장하여 부산금정구의 매력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산금정구의 고유하면서도 매력적인 문화콘텐츠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부산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를 발굴하거나 새롭게 인식하여 확산하여야 한다. 이 때 부산 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그것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와 그것의 산업화는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의 이식과 확장, 그리고 향후 금정구 지역을 넘어서서 부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과 공감대 형성을 이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일의 추진 과정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과 기업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금정문화위원회를 결성하여 산학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e which should become place as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with the place. Pusan Kumjungku is city-rural complex region which is composed with city services, industry, agriculture, education, and tourism, and so has big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has been nominated as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year of 2013.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such big potential and government support can be realized enough only when the policy is supporte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gion with the strategic plac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san Kumjungku as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Pusan region and has the large symbolic meaning and importance In Pusan Kumjungku , the allocation and use of space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to the concepts of mall, concept line, and core attra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experience society. Nextly, the attractiveness of Pusan Kumjungku should be heightened up through searching and expend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 to the place. At this time, cultural primitive type related with Pusan Kumjungku should be searched and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and utilized not only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in cultural industry. This kind of cultural contents and its commercialization should, not just finish as itself, but excercise the power of affection all through the Pusan, so achieve strong propelling power and consensus. In the process of these job, the governance system of cooperation among citizen, bureaucracy academic and industrist through forming Kumjung. Cultural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이러한 공간을 방문하거나 체험하는 공간의 수용자, 그리고 소통의 매체로서 장소가 되어야 하는 공간과 그와 결부된 장소관련 문화콘텐츠로 구성된다. 부산 금정구는 수려한 자연과 도시서비스, 공업, 농업, 교육, 관광 등이 어우러진 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농복합지역으로서 2013년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교육특구로 지정되어 각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큰 잠재력과 정부지원을 받는 지역의 발전은 전략적인 장소마케팅의 견지에서 검토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그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금정구는 체험사회를 대표하는 제3의 공간의 특징인 몰링, 컨셉트 라인, 코어 어트랙션에 유의해서 공간배치와 활용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금정구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그것을 확장하여 부산금정구의 매력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산금정구의 고유하면서도 매력적인 문화콘텐츠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부산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를 발굴하거나 새롭게 인식하여 확산하여야 한다. 이 때 부산 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그것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와 그것의 산업화는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의 이식과 확장, 그리고 향후 금정구 지역을 넘어서서 부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과 공감대 형성을 이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일의 추진 과정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과 기업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금정문화위원회를 결성하여 산학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e which should become place as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with the place. Pusan Kumjungku is city-rural complex region which is composed with city services, industry, agriculture, education, and tourism, and so has big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has been nominated as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year of 2013.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such big potential and government support can be realized enough only when the policy is supporte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gion with the strategic plac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san Kumjungku as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Pusan region and has the large symbolic meaning and importance In Pusan Kumjungku , the allocation and use of space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to the concepts of mall, concept line, and core attra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experience society. Nextly, the attractiveness of Pusan Kumjungku should be heightened up through searching and expend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 to the place. At this time, cultural primitive type related with Pusan Kumjungku should be searched and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and utilized not only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in cultural industry. This kind of cultural contents and its commercialization should, not just finish as itself, but excercise the power of affection all through the Pusan, so achieve strong propelling power and consensus. In the process of these job, the governance system of cooperation among citizen, bureaucracy academic and industrist through forming Kumjung. Cultural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기업 콘텐츠 마케팅이 소비자 지각된 가치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서림,이병원 한국전산회계학회 2023 電算會計硏究 Vol.21 No.3

        [연구목적]최근에 기업의 마케팅 전략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기업이 콘텐츠 마케팅을 이용하는 경향을 걸쳐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 콘텐츠 마케팅이 소비자의 심리적 요구 또는 소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기업이 미래의 마케팅 개발 전략을 최적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 콘텐츠 마케팅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 콘텐츠 마케팅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한다. 그리고 제품 관여도의 조절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와 AMOS 26.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업 콘텐츠 마케팅의 정보성, 소통성, 오락성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업 콘텐츠 마케팅의 정보성과 오락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지각된 가치의 경우 기업 콘텐츠 마케팅의 정보성, 소통성, 오락성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관여도는 기업 콘텐츠 마케팅에 따라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조절효과를 나타났다. 즉, 제품 관여도가 높은 제품의 경우 기업 콘텐츠 마케팅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더 큰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기업 콘텐츠 마케팅,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브랜드 아이덴티티, 그리고 제품 관여도에 관련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업 마케팅 전략의 개발에 적합한 도움을 수립하도록 한다. [Purpose]Nowadays, companies use content marketing to create awareness and attract more consumer brand interaction. Based on this, exploring the impact of enterprise content marketing on consumer psychology and behavior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optimize their future marketing development strategies.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company content marketing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brand identity based on the impact of company content marketing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brand identity. It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ed perceived value and brand identity of company content marketing. It also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Methodology]In this paper, the onlin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oftware. [Findings]The results show that the company’s content marketing significant positively affects consu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identity. It also prov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for products with higher product involvement, corporate content marketing has a more substantial effect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brand identity. [Implications]This paper summarizes the relevant theories of company content marketing, consumer perceived value, brand identity, and product involvement, and provide useful references for enterprise development.

      • KCI등재

        다채널 미디어 환경에서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의 유형에 관한 연구

        이승영(Lee, Seung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다채널 미디어 환경에서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의 이론적 고찰, 현황, 국내외 활용사례를 조사하여 유형을 세분화하고, 다양한 관점에서의 브랜디드 콘텐츠의 마케팅 전략의 유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범위는 국내 기업의 브랜디드 콘텐츠를 대상으로 온라인과 SNS 플랫폼의 디지털 미디어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은 문헌적 자료를 중심으로, 사례분석 관련 자료는 주로 인터넷을 통한 D/B 검색을 활용하였으며 객관적 자료를 위한 통계는 관련된 분야의 통계 자료를 인용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과 소셜 채널에서 브랜디드 콘텐츠의 유형은 브랜드가 운영하는 블로그(카페), 브랜드와 웹툰, 브랜드와 1인 미디어, 브랜드와 웹드라마, 브랜드와 뮤직, 브랜드와 게임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최근 브랜디드 콘텐츠는 상업 광고에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소비자들이 광고라는 것을 자각하지 못하게 하면서 단순히 제품을 노출시키는 형식에서 벗어나 각종 엔터테인먼트 장르에 접속시켜 스토리 속에 브랜드 이미지를 투영시키는 방식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브랜디드 콘텐츠 전략의 유형은 신뢰감 확보, 존재감 확보, 높은 가치제공, 지원서비스, 커뮤니티 지원의 5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많은 브랜드들이 신뢰감 확보를 위한 콘텐츠 마케팅 위해 다양한 콘텐츠를 브랜드 마케팅에 적용하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 확보를 위하여 고객의 시선을 끌고 참여를 이끌어내는 존재감 확보를 위한 콘텐츠 전략을 가장 활발하게,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높은 가치 제공을 위한 콘텐츠전략과 지원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전략에 적극적이지 못한 실정이며 현재 많은 기업이 홈페이지보다는 블로그, 카페, 페이스북 등을 운영하고 관리하여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는 긍정적 관계 구축과 유지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한 브랜디드 콘텐츠 전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가 향후 다채널 미디어 환경에서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type of a marketing strategy for branded contents from diverse perspectives after subdividing a type through surveying the present status and the application cases at home and abroad along wit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branded contents marketing in multi-channel media environment. To do this, a scope of the research was progressed a research by being limited to digital media in online and SNS platform targeting branded contents in the domestic enterprises. In terms of a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made focusing on documentary materials. The data relevant to a case analysis was utilized the D/B search mainly through internet. The statistics for objective data were quoted statistical materials in a relevant fiel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type of the branded contents in online and social channel can be segmented into the blog(cafe) of being operated by brand, the brand & webtoon, the brand & one-person media, the brand & web drama, the brand & music, and the brand & game. The branded content is recently inducing consumers" interest to a method of projecting brand image into a story through allowing them to connect to several entertainment genres with escaping from a form of simply exposing a product while consumers of hav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 commercial advertisement fail to perceive that it is advertisement. A type of a branded contents strategy can be classified into 5 things such as securing trust, obtaining sense of existence, offering high value, supportive service, and a support for community. Many brands are applying various contents to the brand marketing aiming at the contents marketing for securing trust. A contents strategy for obtaining sense of existence, which attracts customers" eyes and participation in order to secure brand awareness, was surveyed to be progressed most actively by utilizing diverse contents. The country is in the real situation of failing to be positive yet in a contents strategy for offering high value and in a contents strategy for a supportive service. Many enterprises were surveyed to make a great effort now for the branded contents strategy in order to form community of implementing and maintaining a positive relationship that gives trust to consumers through operating and managing blog, cafe and Facebook rather than homepage. According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fundamental research data to establish a branded contents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호텔의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이 브랜드 가치, 고객 만족도,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은정(Kang, Eun-Jung),이병민(Lee, Byung-Mi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3 觀光硏究論叢 Vol.35 No.1

        본 연구는 호텔의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의 5가지 하위 속성(공감성, 정보성, 오락성, 창의성, 간접성)과 브랜드 가치의 매개 효과 세부항목으로서 고객 만족도, 지속 이용의도 간의 관계가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브랜드 콘텐츠 마케팅 속성은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엔터테인먼트>공감>정보>간접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콘텐츠 마케팅 속성은 창의성>엔터테인먼트>공감>정보>간접성 순으로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콘텐츠 마케팅 속성은 창의성 > 공감 > 오락 > 간접 > 정보 순으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콘텐츠의 창의성과 오락성은 이용자의 긍정적인 의도와 강화된 행동을 촉진하는 데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콘텐츠 마케팅 속성과 고객만족, 지속적 이용의도 간 영향관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호텔브랜드 콘텐츠 이용자들은 호텔의 높은 브랜드 가치, 나아가 고객만족도, 지속적 이용의도 등을 창의적이고 흥미롭고 열린 공감, 소통, 친근감을 유도하는 잘 형성된 스토리텔링, 유익하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통해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호텔 브랜드 콘텐츠 마케팅 속성이 호텔 브랜드 가치, 브랜드 품질 및 향후 영구적인 비즈니스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이론적,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참고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판단한다.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양질의 브랜디드 콘텐츠를 통해 이용자들의 만족도, 브랜드 선호도, 이용 의도 등을 강화하는 데 마케팅 노력과 역량의 집중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호텔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 속성이 호텔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요소별로 분석한 본 연구는 호텔의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품질, 경영 성과 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primarily verified the influence of hotel branded content marketing attributes and five content marketing factors (empathy information, entertainment, creativity, indirection) on brand equ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e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it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eq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ed contents marketing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anded content marketing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equity, in the order of creativity>entertainment>empathy>information>indirectness. Second, branded content marketing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creativity>entertainment>empathy>information>indirectness. Third, branded content marketing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tinuance use intention, in the order of creativity>empathy>entertainment>indirection>inform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reativity and entertainment of branded content have great effects on promoting positive intentions and intensified behavior of users. Fourth, brand equity was analyzed to hav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among branded content marketing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continuance use intention.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it can be seen that hotel branded content users can recognize the high brand equity of hotels and furthermore have higher level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e intention through well-formed storytelling and informative and interesting contents that induces creative, interesting, open sympathy, communication, and familiarity. Through the above analyses, this study provided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such as reference materials that help hotel branded contents marketing attributes to improve hotel brand value, brand quality, and business performances.

      • KCI등재

        공연예술콘텐츠의 플랫폼 활성화 방안

        송은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관객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공연예술 시 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 관객선호도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기반 한 공연예술 마케팅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관객선호도 파악을 통해 공연예술 관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구축은 관객에 만족도를 향상시 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플랫폼에 대한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사용자의 관객 선호도 조사를 통해 공연예술콘텐츠의 관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서 실증 분 석하였다. 설문결과의 회귀분석결과 유의수준 10%에서,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이용시간은 공연예술콘텐 츠플랫폼의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과거의 공연에 대한 관람의사’, ‘플랫폼에서의 공연예술콘텐츠 이용가격’, ‘공연예술교육정도’, ‘콘텐츠 감상 후 피드백 가능여부’, 그리고 ‘플랫폼에서 문화콘텐츠 지식 의 습득가능 여부’ 등은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채택하 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는 이러한 관객의 변화를 고려하여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운영할 때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의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예술가와 관객, 예술단체, 공연예술콘텐츠플랫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 인 터넷 중심의 생활에 익숙한 스마트폰 사용자를 통해서 공연예술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요구의 내용을 선 도적으로 파악하고 공연예술 시장의 변화를 예견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 new paradigm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is expected to emerg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hanging lifestyle of the aud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change in audience preference for performing arts,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marketing based on this. By grasping the audience preference, we will develop a program that can meet the needs of the performing arts aud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a performing arts content platform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audience preference of the performing arts contents through a survey of the audience preference of the smartphone or Internet users on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At a significance level of 10%, ‘Smartphone or Internet use time will affect the use of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Hypothesis 1)’ was rejected, ‘Intention to watch past performances’, ‘Performing art content on the platform’, ‘The usage price’, ‘The degree of performing arts education’, ‘Whether feedback is possible after appreciating the content’, and ‘Whether the platform can acquire knowledge of cultural contents’ were analyzed a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the performing arts platform and were adopt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and operat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performing arts content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such changes in the audienc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be satisfied by artists, audiences, art groups, and performing arts platform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사회적 크라우딩과 전문가 생성 콘텐츠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

        육묘(Miao Lu),육기(Qi Lu)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23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5 No.1

        소셜 미디어 마케팅은 통합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기업과 소비자 간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고자 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전문 블로거가 생성한 콘텐츠를 체험 관련 콘텐츠와 프로모션 관련 콘텐츠로 구분하고 소비자의 제품 정보 및 리스크 인식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그들의 정보 채택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콘텐츠 마케팅 과정에서 외부 환경은 소비자 가치 및 리스크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 콘텐츠 유형에 따라 적절한 환경을 선택하여 소비자의 정보채택 의도를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 흔한 볼 수 있는 사회 현상인 사회적 크라우딩을 시각으로 휴리스틱 체계적 모델 이론을 적용하여 사회적 크라우딩과 전문 블로거 생성 콘텐츠 유형이 소비자의 정보 채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3가지 실험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되었다. 즉, 전문 블로거 생성 콘텐츠 유형과 사회적 크라우딩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정보 처리 유창성이 전문가 생성 콘텐츠 유형과 시회 크라우딩이 소비자의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지식수준이 전문가 생성 콘텐츠 유형과 사회적 크라우딩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있는 결과를 검증됐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그라우딩 및 콘텐츠 마케팅 분야의 연구를 풍부하게 되고 기업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도 제공하였다. 즉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사회적 크라우딩 상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Social media marketing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The study focuses on categorizing content generated by professional bloggers into experiential and promotional types, considering that consumers’ levels of product information and risk perception vary, influencing their intent to adopt information. Therefore, businesses should select appropriate environments based on the type of product content to enhance consumer’ willingness to adopt information. Consequently, the exploration of how to effectively increase consumers’ intent to adopt information by selecting environments is a relevant issue. In this study, the common social phenomenon of social crowding is explored visually, applying the heuristic-systematic model theor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ocial crowding and professional blogger content types on consumers’ intent to adopt information.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validated through three experiments, demonstrating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fessional user-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influences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Furthermore, information processing fluency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on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The study also verified a moderating effect of consume knowledge levels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fessional 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on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Theoretically, this study enriches research in the fields of social crowding and content marketing, providing insights for businesses in formulating marketing strategie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ppropriate social crowding situations for various types of content market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