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의 경험과 자기 모색의 글쓰기 : 최서해의 예술론과 후기 소설 재독(再讀)

        최은혜 ( Choi Eun-hye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0 No.-

        이 논문은 최서해의 에세이나 평론을 통해서 그의 문학론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 소설에 비해서 저평가되어 왔던 후기 소설을 재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임화가 신경향 문학의 한 갈래로 최서해적 경향을 언급한 이래로, 그동안 최서해 소설의 연구들은 주로 ‘신경향파 소설’로 분류되어 온 초기 소설에 집중되어 왔다. 초기 소설에서는 빈민의 삶에 대한 핍진한 묘사와 그러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려 저항하는 인물들이 등장했다면, 후기소설로 분류되는 작품들에는 기자나 지식인 등의 등장인물이 겪는 내적 갈등이 중요하게 나타난다. 초기 소설이 주목받을 수 있었던 데에는 실제로 빈민 생활을 했던 최서해의 경험이 반영되어있다는 점이 강하게 작동해왔다. 그로 인해 가난에 대한 핍진한 묘사와 강렬한 저항의식이 드러날 수 있다고 이해되어온 것이다. 이에 비할 때 후기의 ‘지식인 소설’은 작가 정신의 퇴보이자 현실에의 안주라는 측면에서 거의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이처럼 빈민 생활의 경험, 다시 말해 빈민 작가라는 최서해의 이력은 초기 소설에 대한 고평가, 한편으로는 후기 소설에 대한 저평가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최서해가 문단에 이름을 알리고 실제로 신문 기자나 잡지 편집자 등의 일을 하는 것과 동시에 최서해의 작품 세계가 변화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후기 소설에 또한 작가의 경험이 투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후기 소설에 등장하는 지식인 유형의 인물들은 이전 소설들에 등장했던 빈민들보다 결코 나은 삶을 살고 있지 않다. 그들은 가난에 허덕이고 끼니를 걱정하는 존재들이며 현실의 부조리에도 눈을 감지 않는다. 물론 초기 소설들의 인물들처럼 분노를 폭력이나 살인, 방화 등으로 분출하지는 않지만, 누군가는 궁핍할 수밖에 없는 부조리한 현실과 자신의 위치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이렇게 본다면, 최서해의 후기 소설들을 단순히 ‘퇴행’이라고 평가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소설적 변화는 그의 문학론이 변화하는 것과도 맞물려 있다. 초기 소설이 쓰인 당시에 ‘감정’의 역할을 강조하던 최서해는 후기로 갈수록 ‘인격’을 강조한다. 이때의 인격은 인간으로서 마땅히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기보다는 생활과 예술을 매개하는 ‘주체’로서의 의미를 전제한다. 즉, 최서해에게 인격이란 생활을 변화시키려는 의지와 그것을 예술로 표현하려는 욕구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생활을 진단하고 그것을 변화시키기 위한 실천적인 주체, 그리고 적극적으로 현실 상황 밖을 상상할 수 있는 예술적 주체를 상정하기 위해 ‘인격’ 개념을 사용했던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최서해에게 소설쓰기란 무엇이었는가’, 나아가 ‘최서해에게 글쓰기란 무엇이었는가’와 관련된 답을 얻을 수 있다. 초기소설을 쓸 당시 최서해는 빈민 작가로서 자신의 궁핍한 생활의 경험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그로 인한 분노를 표출하기 위해서 글을 썼다. 이에 비해 후기에는 ‘노동자’에서 ‘글 쓰는 사람’으로의 정체성 변화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위치를 성찰하기 위해서 글을 썼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변화 속에서도, 가난과 궁핍한 삶의 부조리는 지속적인 화두로 남아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terary theory of Choi Seo-hae based on his essays and critiques and reread his latter novels, which had been undervalued compared to his former novels. Ever since Im Hwa mentioned the Choi Seo-hae style tendency as one branch of the new tendency group's literature, the studies on the novels by Choi Seo-hae have mainly focused on his initial fictions which had been classified into 'the New Tendency Group Novels'. While the vivid description of poor people and the figures trying to overcome such a destitute situation appeared in his initial novels, the internal conflicts of the main characters such as journalists and intellectuals emerge in the works classified as the latter novels. The initial works were able to draw attention since the experience of Choi Seo-hae having lived a poor life was reflected. The public realized that the vivid description and the strong resistance spirit toward poverty can be revealed through it. On the contrary, the intellectual novels of the latter period were not able to draw much attention in the sense that they degenerated the spirit of writers and aimed to be satisfied with the reality. The experience of living a poor life - the background of Choi Seo-hae as a poor writer - brought about the overevaluation of the initial works and the underevaluation of latter novels. However,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Choi Seo-hae not only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nd worked as a journalist and magazine editor but also his literary world changed, his experiences are also reflected in his latter novels. The intellectual characters appearing in his latter works do not live a better life than the poor who emerged in the initial works. The intellectuals suffer from poverty, worry about hunger, and do not turn a deaf ear to the irrationalities of the reality. They obviously do not vent their anger in the forms of violence, murder, and arson but they choose the method of reflecting on the absurd reality and their own social status. In this regard, the latter novels of Choi Seo-hae cannot be evaluated as regressive. Such a change in the novels is related to the changes in his literary theory. Choi Seo-hae puts emphasis on the role of 'emotions' while writing his initial works but puts greater emphasis on 'character' in the latter novels. The 'character' in this context is not a virtue which all humans must possess but presumes the meaning of 'the main agent' who mediates life and art. In other words, for Choi Seo-hae, character is formed between the will to transform living and the desire to express it through art. He had used the concept of 'character' so as to diagnose living and presume the practical subject to change living and the artistic subject for actively imagining the situations outside the reality. Through it, one can ultimately provide the answers to the meaning of writing novels for Choi Seo-hae and the meaning of writing for Choi Seo-hae. He wrote to realistically describe his experiences as a poor writer and express the anger.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fictions, he wrote to objectively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identity from 'a laborer' to 'a writer' and reflect on his position. In spite of such a change, the absurdity of poverty remained as a main topic.

      • KCI등재

        1923년의 최서해

        유승환(Yoo, Sunghwan)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이 글은 1923년 회령에서의 최서해의 행적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최서해라는 빈민 작가의 탄생 배경을 1920년대 조선의 문화사적 맥락 아래에서 살펴보려 한다. 그간의 연구에서 최서해는 주로 빈민 출신으로서 그가 가진 체험의 특이성을 중심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최서해라는 빈민 출신의 작가가 1920년대 중반이라는 시점에서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그러나 당대 조선의 문화사적 맥락 속에서 최서해의 활동을 검토해 볼 경우 최서해라는 독특한 배경을 가진 작가의 탄생은 그 나름의 맥락과 필연성을 가지고 있다. 1923년 회령에서의 최서해의 행적에 있어, 이 글에서 새롭게 밝혀낸 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 그가 1923년 8월 회령청년회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 연사로서 참석했다는 점, 둘째, 그가 회령 신우조라는 노동단체에 소속되어 회령역 부근에서 노동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 셋째, 신우조는 당시 회령 지역내 사회운동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서해’라는 필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신우조의 이러한 활동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본다면, 1923년의 회령은 당대 활발히 전개되었던 청년 · 사회 운동이 산출한 다양한 미디어들이 존재했던 공간이었으며, 최서해와 같은 정규 교육과정을 밟지 못한 가난한 노동자에게도 이러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그 나름의 지식과 교양을 쌓아나갈 수 있는 경로가 존재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회관의 지식’ 혹은 ‘빈민의 교양’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이러한 지식과 교양은 최서해의 소설 곳곳에서 드러난다. 이러한 교양과 지식은 정규 교육 및 문자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정규적 지식을 한편으로는 모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이를 전유하면서 스스로를 이와 구별짓기도 하는 복잡한 양태를 보인다. 1920년대의 식민지 조선에는 이러한 경로로 획득되는 고유한 지식과 교양을 통해 자신의 삶을 새로이 해석하고 삶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창출하려는 수많은 최서해‘들’이 존재했으며, 최서해의 소설이 보여주는 다양함과 복잡함은 이들이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었던 ‘회관의 지식’과 ‘빈민의 교양’이 가지는 성격 및 이러한 지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이 시기 최서해적 존재들의 복잡한 내면에 그대로 상응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e poor writer Choi, Seo-hae under the context of the cultural history of colonial Korea in the 1920s. In previous studies, he has been discussed focusing on his experience as the poor. Nevertheless, it was not discussed enough about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a writer from the poor in the mid-1920s. However, when we examine the activities of Choi, Seo-hae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of the time, the birth of a writer with a unique background of Choi Soo Hae has its context and inevitability. There are three new things in this article that have been revealed about him in 1923, Hoeryeong. First, he attended as a speaker at the debate association held in August 1923 hosted by Hoeryong Youth Association. Second, it assumed that he belonged to a labor organization called Hoeryeong Shinwoo-jo and worked as a porter at Hoeryoeng station. Third, Shinwoo-jo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movements in Hoeryoeng, and this activity of Shinwoo-jo was partly influenced in the process of making Choi"s pen-name "Seo-hae". To sum up these points, Hoeryong in 1923 was the space where various media were produced by the youth and social movements which were actively developed of the time. There were possibilities to use these media for poor workers who have not taken the regular education course like Choi Seo-hae, and to build up knowledges and refinements in their own ways. These knowledges and refinements, which can be called "knowledges of the association hall" or "refinements of the poor", have complex properties. On the one hand, they imitate the regular knowledge circulated through formal education and text media, while on the other they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by appropriating it. In colonial Korea in the 1920s, there existed a number of "beings like Choi Seo-hae" who interpreted their lives and created new prospects for their lives through their unique knowledges and refinements acquired through this path. The complexity of Choi"s novels corresponds to the intricate inner side of these beings, formed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knowledges of the association hall and the refinements of the poor, which they acquired and could utilize.

      • KCI등재

        ‘분노’의 공(公)과 사(私): 최서해 소설의 ‘분노’의 기원과 공사(公私)인식을 중심으로

        한수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8 No.-

        In this paper, I try to reread and reinterpret Choi Seohae’s fictions in mid-1920’s. The key word which I suggest for rereading his works is “Anger”. As we know, Choi Seohae(hereafter Seohae) was one of the most impressive writer in the mid-1920’s and there were many good pieces of research in the value of his fiction. Although most literary historians evaluate the uniqueness and originality of Seohae’ fiction, but they are used to overlap it with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 of the “New Tendency Fiction” in 1920’s. In other words, most critics and literary historians repute that the value of Soehae‘s fiction shared with the fate of “New Tendency Novel”. As Im Hwa said, it is universally admitted that Soehae‘s fiction was the literary in transition period from outdated form to new proletarian literature. I regard it as appropriate, but I think it is not enough to prove the another meaning and value of his works. The first thing I would like to suggest in this paper is the cause of ‘anger’ in his fiction. So far, most critics found the cause of ‘anger’ from the extreme poverty and repressive condition with which the characters faced. I also agree that “extreme poverty” and “repressive condition” are the most important reasons of “anger”, but we can find many other reasons to cause the ‘anger’ in his fiction through the intensive reading. The protagonists in his works often in the end they flew into a rage because they were seized by deep despair. The ‘anger’ and the deep ‘despair’ is like the both sides of nickle in his story. His protagonists are deprived of basic human conditions such as food and shelter. They endure in frustration. When their patience reaches the limit, however, their anger and fury explode like a volcano. And their fury finds its expression in arson and murder. That was a typical procedure in his works. But, I argue that more fundamental reason of ‘anger’ is not only based on the extreme ‘poverty’ and repressive ‘condition’, but inhuman world without consideration and sympathy. In this case, ‘anger’ is no more a sort of emotion, rather, it has relation with rationality. On the other hand, we can assume that the probable cause of ‘anger’ is based on his idea of the public and private matters. Soehae had a traditional dichotomy based on Confucianism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matters . Many protagonists in Soehae’s novel were experiencing stress due to conflicts with the difficulty of the determination; which is the first thing between the public matter or private matter. Soehae could not find the appropriate solution for the conflict. Because the family(especially there mother) of protagonists always shackled the protagonists’ decision to take part in the revolutionary movement. Two senses of duty, one is to care for his own family and the other is to dedicate to revolutionary movement, always make big trouble to important characters in his novel. The ‘anger’, often, resulted from this ironical situation. I think that this contradiction reflects not only Soehae’s own limitation, but the condition of transitional period. At that time, while the traditional though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or the public and private matters was gone, new idea imported from Europe was not established yet. 최서해의 소설사적 위상과 가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와 비평이 이루어져왔지만, 그의 작품이 신경향파문학의 소설사적 가능성 및 한계와 운명을 같이 한다는 임화의 평가가 가장 일반적인 중평(衆評)이라고 할 수 있다. 최서해의 소설을 둘러싼 기왕의 연구와 비평이 일군 성과는 그 나름으로 충분히 의미가 있는 것이지만, 이 글은 기존의 해석과는 다른 맥락과 관점에서 최서해의 소설을 재독(再讀)하고자 한다. 이 글이 제시하는 재해석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분노’이다. 이 글이 최서해 소설에 나타나는 ‘분노’에 다시 주목하는 이유는, ‘분노’가 최서해의 1920~30년대 소설을 관통하는 가장 지배적인 정조(情調)라는 점은 누구나 동의하면서도, 그것이 항상 가난과 억압을 묘사하기 위한 후경(後景)이나 전조(前兆)로서만 다루어질 뿐, ‘분노’가 그의 소설에서 차지하는 서사적 기능과 의미에 대해 충분히 검토되어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분노’의 야기(惹起)와 해소를 둘러싼 인과관계가 거의 대부분 ‘가난’에만 초점을 두고 해석되어온 탓에, 그의 소설에서 ‘분노’가 촉발되고 점증(漸增)되는 또 다른 맥락과 이유들이 제대로 논의되어 오지 않았다는 점도 이유로 제시될 수 있다. ‘분노’를 둘러싼 연구와 비평의 이러한 공백을 메우고, ‘분노’를 중심으로 최서해 소설을 재해석하기 위해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논의들을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최서해 소설에서의 ‘분노’가 소설사 및 비평사에서 논의되어 온 ‘배제’의 논리에는 ‘감정’과 ‘이성’을 분리하고 ‘이성’을 ‘감정’의 우위에 두는 위계적 논리구조가 작동하고 있다. 그러나, 최서해 소설의 ‘분노’의 인과 관계를 섬세하게 재구성하면, ‘분노’는 단순히 주관적 감정의 분출이 아니라, 이성적 판단과 사유의 결과로 촉발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그보다 좀 더 중요한 것은, 최서해 소설의 ‘분노’가, 지금까지의 통설처럼 주인공 및 그 주변 인물들의 가난과 억압 때문만이 아니라, 인륜적 가치와 공동체적 윤리가 파괴된 현실에 대한 절망으로부터 비롯되는 부분이 크다는 사실이다. 이 문제는 작가 최서해의 ‘공/사(公/私)’인식과도 연결되는 것으로, 그의 소설에는 유가(儒家)사상 특유의 ‘공/사’인식이 지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그 두 범주의 합리적 상호 작용과 변증법적 통일에 이르는 ‘출구’를 찾지 못하는 주인공의 절망적 상황 인식이 곳곳에 드러나 있으며, 이것이 ‘분노’의 또 다른 이유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한편, 최서해 소설의 이러한 ‘공/사’인식의 특징은, 경향소설을 포함한 근대 한국소설이 안고 있는 소설 내 인물의 ‘변모’ 또는 ‘변신’과 관련된 독특한 ‘크로노토프’를 구성하게 된다는 점에서, 그의 소설이 지닌 또 다른 개성과 특징으로 지목할 수 있다. 요약하건대, 최서해는 소설사의 해석 관행을 넘어서서, 그의 소설적 개성과 특징을 새로운 관점에서 재해석할 여지가 아직도 많으며, 그러한 재해석의 한 가능성으로서, 이 글은 ‘분노’와 연관된 그의 사유구조와 소설 구성원리를 재구(再構)해 보기로 한다.

      • KCI등재

        그늘에 피는 꽃, 최서해 문학의 아포리아

        안용희 ( Yong Heui Ah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7 No.-

        1920년대 조선의 문학계에서 최서해 소설이 주목받은 결정적 대목은 그것이 당대 민중이 직면한 궁핍함을 체험을 통해 형상화한 데 있었다. 그의 소설 안에서 가난에 근거한 극단적 분노의 표출은 문학적 열정을 대변하는 동시에 현실에 대한 강렬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카프의 활동에서 이념이 우선시되면서 문단 내에서 최서해 식의 분노가 맡은 역할은 사실상 막을 내리게 된다. 이 점에서 초기 최서해 소설에서의 분노를 바라보는 당대 문학계의 시선은 가난을 둘러싼 근대국가의 통치술과 유사하다. 근대 국가체제 안에서 가난이 국가의 부를 위해 통제되어야 했던 것처럼 사회주의 문학 안에서도 분노는 이념의 문학적 형상화로서만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창작활동의 중ㆍ후반기에 주로 소시민적 정서를 다루었던 최서해는 여타 문인들로부터 초기의 신념을 잃고 현실과 타협하였다는 평가를 받게 되고 이는 최서해 소설을 파악하는 기본틀이 된다. 최서해 문학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그 문학적 본질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부터 다시 질문해야 한다. 최서해 문학의 출발점에는 간도에서의 빈궁 체험과 분노로 인한 폭력이 가로놓여 있는데, 이는 언뜻 세계에 대한 개인적 차원의 저항처럼 비친다. 이를 연애에 대한 낭만주의적 열정과 견줄 수 있다. 하지만, 최서해에게 폭력은 사회가 틀 지어놓은 개인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몸부림으로서, 이러한 사실은 초기부터 그가 문학을 대사회적 행위로 인식했음을 보여주는 근거이다. 소시민적 정서를 형상화하는 단계에서도 그는 소시민적 삶과 주변부의 삶을 병치시키면서 그것들의 동질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최서해는 주변부의 삶이야말로 배제와 포함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회를 유지하는 ``가난``의 다른 이름이며 소시민적 삶 역시 이와 다르지 않음을 설파한다. 최서해는 대상화된 가난이 공동체적 삶을 가로막는 비주권적 현상임을 인식하는 동시에, 그것이 폭력만으로는 해소될 수 없는 문제임을 깨달았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폭력과 같은 구체적 행동 방식을 찾지는 못했지만 최서해는 가난한 자들 사이의 동질감을 강조함으로써 최종심급으로서의 자본을 넘어 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나갔던 것이다. Choi, Seo-hae`s novels were definitely focused on in the 1920s` literary circle because they embodied the people`s poverty by Choi`s firsthand experience. In his novel, the expression of extreme anger against the poverty doesn`t represent only his literary passion, but also shows his intense recognition about the reality. However, as KAPF put the ideology above everything, effectively Choi`s role in litery circle came to the end. In this regard, the 1920s` literary attention for the anger in Choi`s novels was like the modern state`s governmental strategy surrounding the poverty. As, in the modern state system, the poverty have been controlled for the national wealth, the anger in the socialism literature was given significance to only as the literary figuration of ideology. So, Choi, who dealt with petit bourgeois`s sentiment mostly in his mid-to-late novels, was evaluated as that he com-promised with reality, losing faith. For the just evaluation about Choi`s literature, we should rethink from what was the point of that. The experience about poverty in Kando(間島) and the violence from the anger, which were situated mainly at the starting point of Choi`s literature, seem to be the individual resistance against the outside. Therefore, they can be compared with the romantistic passion for love. However, Choi considerde the violence as struggle for overcoming individual limit. This is the proof for that he thought the literature as social behavior from the early stage. Embodying the petit bourgeoi`s sentiment, he placed the petit bourgeoi`s lives and the lives of margin in juxtaposition, and paid attention to their homogeneity. By this, Choi stressed the fact that the marginal lives, that is to say the poor, maintained the society repeating exclusion and inclusion and ultimately were equal to the petit bourgeoi`s. Choi realized that the poverty as object was the non-sovereign phenomenon disturbing the community life and it couldn`t be settled only by the violence. Eventually, Choi couldn`t find out the specific behavior like violence, but he sought for the possibility for solidarity above capital as last instance, stressing the homogeneity between the poor.

      • KCI등재

        최서해 문학의 반식민주의 혁명의식

        표언복 ( An Bok Py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최서해 문학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는``빈궁제재의 신경향파 문학``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 자신의 극빈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는``소재주의 문학``이라는 설명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명은 최서해 문학의 본질적 특징과 전모를 드러내는데 불충분하다. 그리고 그것은 최서해가 반복적으로 재현해 낸``빈궁``제재에 압도된 까닭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빈궁이란 최서해가 자기의 의도를 주제화하기 위해 끌어들인 제재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최서해가 궁극적으로 드러내고 싶어 한 의도는 작품의 이면에 은유 되고 절제되어 있다. 논자는 그것이 항일 혁명의식임을 논증해 보이고자 했다. 서해는 당시 조선민중이 겪고 있던 모든 현실 모순이 일제의 식민주의 때문이라고 믿고 있었다. 따라서 이 식민주의만 극복하면 빈궁이나 유이민 현실과 같은 모든 현실모순을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빈궁현실을 단순히``보고``하거나``폭로``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타개하고자 하는 실천적 현실인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 점에서 최서해 문학의 바탕을 이루는 근본정신은 항일혁명의식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지금껏 대부분의 논의에서 거의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서해의 수필이나 평론과 같은 2차 자료들을 통해 논거를 더욱 탄탄하게 보완할 수 있었다. 최서해는 이들 2차 자료들의 행간에 자신의 혁명의식을 자주,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암시해 두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항일독립운동소설들을 통해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최서해 연구는 이들 2차 자료들을 지나치게 무시하고, 독립 운동소설들 속에 암시된 작가의 의도를 가벼이 보아 넘김으로써 최서해 문학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해 내는 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So far, Choi Su-hae`s literature is frequently defined as Anti-conventional novel or destitution novel. In fact, his works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anti-conventional literature which was popular in that time. More than anyone else he expressed positive intention to the reality of extreme poverty. Such evaluation is not too wrong. However, such facts can not reveal the essential quality of Choi Su-hae`s literature. Rather, his literature could be seen as anti-Japan revolution literature to overcome the reality of extreme poverty. I can find out this issue from the secondary material that was ignored most of the discussion. Thus, his intention was decolorized actively. We can consider his literature as independence movement novel rather than destitution novel. Even though, so far his novel- which was based on independence movement material- was not illuminated correctly and was pushed out from the core of the discussion. His trial to make the class consciousness as a theme through some of his works could be seen that he trusted the meaning or value of the class release movement. However, he believed the national independence through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secret to solve all conflicts in reality. He considered the class release movement was merely a means of national release movement. His firm conviction and deep attachment are based on the historical awareness that was caused from the loss of national right. He made certain of the matter from the experience of Manchuria migration.

      • KCI등재

        최서해의 낭만적 열정과 자기해방적 글쓰기

        이형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人文硏究 Vol.0 No.106

        이 글은 최서해 문학에 관류하는 낭만적 열정과 낭만적 주체성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최서해 문학에 관류하는 낭만적 열정과 낭만적 주체성은 자신의 의지를 불합리한 제도와 같은 다른 의지에 종속시키지 않고 온전한 주체를 정립하려는 원동력이었다. 이 과정에서 최서해는 문학을 자신의 열정과 신념을 표현하는 창구로 재전유하였다. 재전유된 문학은 계급과 민족이라는 정치적 이념, 내용과 형식이라는 예술 본질의 문제로 환원되지 않는다. 최서해에게 문학은 서술 주체의 생활, 인격과 같은 존재 양태와 관련되는 것으로 의미화되었다. 따라서 최서해는 생활과 인격을 문학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근간으로인식하였다. 주체는 문학의 변화를 모색하고, 문학의 근간인 생활과 인격은 주체의 실천 과정 속에서 주체성의 이행을 촉발한다. 이런 상호 변화의 작용 속에서 최서해의 글쓰기는 자신의 이상과포부를 실현하는 데 있어 질곡인 인습과 불합리한 제도를 인식하고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동반자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서해에게 문학이란 자기해방의 강력한 수단이자 자기를 표현하기 위한 목적인 것이다. 이를 자기해방적 글쓰기라고 명명할 수 있다. 자기해방적 글쓰기란 정치적 이념이 만연한 문학의 각축장 속에서도 문학을 통해 자기 서사를 드러내고, 그런 과정에서 억압적인사회 제도와 인습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해 주체의 이행을 모색하는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began by exploring what the romantic passion and romantic subjectivity of Choi Seo-hae literature aim for. The romantic passion and romantic subjectivity that flowed through Choi Seo-hae’s literature were the driving force to establish a complete subject without subordinating one’s will to other wills such as unreasonable institutions. In this process, Choi Seohae reappropriated literature as a window to express his passion and belief. Reappropriated literature is not reduced to the political ideology of class and ethnicity, or the essence of art, which is content and form. For Choi Seohae, literature was signified as being related to the life and personality of the narrative subject. Therefore, Choi Seo-hae’s life and personality were recognized as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perfection of literature. The subject seeks changes in literature, and life and personality, the basis of literature, trigger the transition of subjectivity in the course of practice of such a subject. In the midst of this mutual change, Choi Seo-hae’s writing can be said to be a companion that helps him to recognize and overcome the conventions and irrational systems that are fetters in realizing his ideals and aspirations. As a result, for Choi Seo-hae, literature is a powerful means of self-liberation and a purpose for self-expression. This can be called selfliberating writing. Self-liberation writing can be said to be writing that reveals self-narrative through literature even in the arena of literary competition where political ideology prevails, and seeks to fulfill the subject in order to be liberated from oppressive social systems and conventions in the process.

      • KCI등재

        최서해 초기 소설에 형상된 공포와 파국의 상상력

        김재영 ( Jae Yeong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자연주의에서 프로문학에 이르는 과도적 문학으로서의 ‘신경향파’, 그리고 ‘신경향파 최대의 작가로서의 최서해’라는 임화의 정식은 여전히 최서해 문학 이해의 통념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신경향파의 과도성’이 레닌이즘의 역사적 전망에 바탕한 최서해 문학의 전유 방식이 었음을 생각한다면, 그 유효성은 이제 인정되기 어렵다. 초기 최서해 소설의 지향은 <토혈>을 개작하여 <기아와 살륙>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난다. 이 개작에서 가장 공들여 하고 있는 작업은 잔혹한 상황의 생생한 장면화이며, 이를 특정한 의미의 공포와 연관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잔혹성과 공포의 결합이 야말로 최서해 초기 소설들의 가장 큰 특징이 된다. ‘파국’ 또는 ‘전복’에 대한 상상과 최서해의 공포는 연관되어 있다. 이미 그 전복의 방향을 알고 있는 자로서 그 상황들을 임박한 전복의 증좌로 읽으려 할 때 이른바 ‘과도기로서의 신경향파’ 명제는 성립한다. 하지만 서해의 소설들은 그 ‘전복’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 최해 소설에 나타나는 모든 공포는 작품의 끝에 존재한다. 그것은 작품을 통해 수습될 수 있는 형식의 공포가 아니다. 이 작품들에서 상상되는 ‘전복’이 ‘더 나은 세상’에 대한 어떤 비전과도 연결되지 않는다. 그것은 단지 파국일 뿐이다. 앞의 작품들의 그 처참한 상황 자체는 그런 점에서임박한 전복에 대한 증좌라기보다는 그 파국의 예시에 가깝다. 그렇게본다면 서해가 상상했던 ‘전복’은 프로문학자들이 갖고 있었던 역사적낙관에서는 꽤 먼 거리에 있는 것이었다. 오히려 프로문학자들이 자연주의라고 이름 붙였던 그 어떤 작품들보다도 이 작품들에서 서해는 ‘절망’에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 Im Hwa’s formularization of New Tendency as a transitional school from an autogenetical resistant literature to proletariat literature, as well as his positioning Choe Seo-hae as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New Tendency, is still influential as a generally accepted idea. Considering that the “transitionality of New Tendency”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Leninist view of history that premises teleological, linear development, Im Hwa’s formularization and it’s validity should be reconsidered.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Choe Seo-hae relates cruelty with terror that is best represented in his <Poverty and Massacre>, which is the revised version of <Tohyeol>. In this revision, Choe spends his labor spectacularizing cruel situation as well as associating it with a specific terror, which best characterizes his early novels. Scholars who have followed Im Hwa’s formularization read this terror as related to a subversive impulse and characterize it as a tendency toward proletaria t literature. Choe’s description of terror casts, however, not a prospect for a new order, but the extreme despair. In this sense, the disastrousness in Choe’s novels should be reassessed as related to the maximized pessimism rather than to optimismabout historical development.

      • KCI등재

        최서해 소설에서 가족 살해와 사적 폭력의 의미

        석형락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5

        This paper revealed the meaning of family murder and private violence in Choi Seo-hae's novel. The family murder in Choi Seo-hae's novels inherited family murder motifs such as tales and new-novels, but its aspects are different. Choi Seo hae's novels dealing with family murder are classified into works that feel the urge to kill the family and works that carry out family murder by its aspects. And works that carry out family murder are classified into family abandoning and family killing.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ese novels can be divided into the case of defending pre-modern ideology such as retributive justice and prosaic justice, the case of advocating as well as criticizing pre-modern ideology, and the case of criticizing the absence of modern institutions. The impulse to kill a family specifically depicts the poverty and suffering of a family and expresses its tragedy realistically. However, family abandonment is hard to find any other meaning except escape. Family murder implies a quantitative sense of advocacy and criticism of pre-modern ideology. Extreme family killings, in particular, accuse the absence of modernity as an institution in which human beings can live to humanize. And the absence of modernity inevitably leads to private violence. In Choi Seo-hae's novels, private violence can be read as an expression of the absence of modern institutions and the hope of establishing and just executing them rather than as an expression of madness and anger. Private violence accuses the absence of a modern medical system, the absence of a system to comfort and support the flood victims, and the fact that Gando is a lawless zone where the system is absent. In Choi Seo-hae's novels, the self-punishment urges of the characters coincide with the urge to kill the family, which is based on love and responsibility. This is why the extreme act of family murder emphasizes the miserable lives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nd draws sympathy from the readers. The impulse of self-punishment in characters can be seen as the least morals that Choi Seo-hae can present. 이 논문은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가족 살해와 사적 폭력의 의미를 밝혔다. 최서해 소설에 나타나는 가족 살해는 설화, 신소설 등의 가족 살해 모티프를 계승했지만 그 양상이 다르다. 가족 살해를 다룬 최서해의 소설은 양상에 따라 가족 살해충동을 느끼는 작품과 가족 살해를 실행하는 작품으로 구분되고, 가족 살해를 실행하는 작품은 양상에 따라 가족 유기와 가족 살해로 구분된다. 이 소설들의 주제의식은 인과응보․권선징악 등의 전근대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경우, 전근대적이데올로기에 대한 옹호와 비판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근대적 제도의 부재를비판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가족 살해 충동은 한 가족의 빈곤과 그에 따른고통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그 비극성을 사실적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가족 유기는 현실도피 외에는 달리 의미를 찾기 어렵다. 가족 살해는 전근대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옹호와 비판의 양가적 의미를 내포한다. 특히 극단적 가족 살해는 인간이인간답게 살 수 있는, 제도로서의 근대가 부재함을 고발한다. 근대의 부재는 필연적으로 사적 폭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최서해 소설에서 사적 폭력은 단순한광기와 분노의 표현이라기보다는 근대적 제도의 부재를 고발하고, 제도의 확립과정당한 집행을 희망하는 표현으로 읽을 수 있다. 사적 폭력은 근대적 의료 제도의부재, 수재민을 위로하고 지원하는 제도의 부재, 간도가 제도가 부재하는 무법지대라는 사실을 고발한다. 최서해 소설에서 인물의 자기 처벌 충동은 가족 살해 충동과 동시에 일어나는데, 그 바탕에는 사랑과 책임감이 있다. 여기에 가족 살해라는극단적 행위가 소설 속 인물들의 비참한 삶을 강조하고 독자들의 공감을 끌어내는이유가 있다. 인물의 자기 처벌 충동은 최서해가 제시할 수 있는 최소한의 모랄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최서해와 만주 -장소와 여성표상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이경재 ( Lee Kyung-ja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2

        최서해는 여러 편의 만주배경소설을 창작하였으며, 이들 소설은 대부분 최서해의 대표작들이다. 이 글은 공간과 장소 개념 그리고 장소 상실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최서해의 문학에 나타난 만주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공간과 장소의 형상화에 젠더적 이분법이 겹쳐지는 양상을 통해서, 최서해 소설의 고유한 간도 인식이 서사화되는 방식과 그 효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최서해의 만주배경소설은 안정감과 정체성의 원천인 장소를 갖지 못한 사람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최서해의 만주배경소설에서 만주행은 안정과 정체성의 근원인 장소를 찾아 떠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힘들게 찾아간 만주에서 조선인들은 가난과 중국인 그리고 일제의 영향으로 어떠한 장소감도 발견하지 못한다. 이러한 장소상실의 경험은 어머니와 아내 혹은 딸과 같은 여성인물의 처참한 몰락과 고통을 통해 반복적으로 표상된다. 이것은 인류가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는 젠더적 표상의 관습과 연결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장소를 젠더적으로 여성과 관련시켜 이해해 왔기 때문이다. 본래 공간과 장소는 서로 반대항이 아니라 상호 구성적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인류는 장소를 여성의 영역으로 바라보는 남성중심적 관점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처음 조선인들에게 만주는 조선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안정감과 의미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소로서 상상된다. 그러나 실제 만주에서의 삶은 그 곳이 장소와는 무관한 곳임을 보여준다 그것은 무엇보다 장소를 표상하는 여성인물들의 처절한 몰락을 통해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외에도 만주의 추운 날씨와 집의 해체는 만주에서 조선인들이 체험한 장소 상실을 실감나게 드러내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간도가 장소로서의 기능이 소멸되는 과정을 통해, 조선은 새로운 장소로 새롭게 재구성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조선인들이 애당초 조선을 장소로 경험할 수 없었기에 간도행을 선택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아이러니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Choi Seo-Hae created several Manchurian background novel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Manchuria in the literature of the Choi Seo-Ha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pace and place and the placelessness. In addition, through the aspect of overlapping gendered dichotomy with the shaping of space and place, we tried to examine the way in which the unique cognition of the novel is based on narrative. The Manchurian background novel of the Choi Seo-Hae is shaped by those who do not have a place that is the source of stability and identity. In Manchurian background novels of the Choi Seo-Hae, Manchurian can be regarded as an act of leaving for the place that is the origin of stability and identity. However, in Manchuria, which is hard to find, the characters do not find any place sensitivity due to poverty, Chinese and Japanese influence. This experience of loss of place is repetitively expressed through the terrible downfall and suffering of a woman, such as a mother and wife or daughter. This can be understood as linked to the custom of gender representations that mankind has had for a long time. We have understood the place in relation to women as gender. In spite of the fact that space and place are not mutually contradictory but mutually constitutive, humanity has had a male-centered view of the place as a woman`s domain. For the first time, the Manchurian can be imagined as a place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and meaning that can not be experienced in Korea. But life in Manchuria shows that the place is irrelevant to the place. It is evident through the desperate decline of the female figures who represent the place. In addition, the cold weather of Manchuria and the collapse of the house reveal the loss of the place that Koreans experienced in Manchuria.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rough the process of the disappearance of the function of the place as a place, the Joseon is newly reconstructed as a new place. This is ironic and at the same time an example of the most nationalistic consciousness, considering that the Koreans could not experience Joseon as a place in the first place.

      • KCI등재

        1920년대 소설과 폭력의 신화-임노월과 최서해를 중심으로

        이경림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8

        이 논문은 임노월과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폭력 표상의 특징을 문학사적 맥락 안에서 분석하고 그 의의를 규정하려 한 논문이다. 이는 1920년대 문학의 이식성과 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기존 관점과 거리를 두고, 1920년대 문학 내부를 가로지르는 공통의 선(線)을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임노월과 최서해의 폭력 표상은 공통적으로 낭만주의적 폭력 표상으로부터 전개되었다. 낭만주의적 폭력 표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의 의지’라는 새로운 강조점과 ‘순응해야 하는 세계 구조는 없다’는 인식의 결합이다. 낭만주의적 폭력 표상은 ‘범죄’ 혹은 ‘부도덕’과 같은 도덕적(전근대적)․법적(근대국가=제국적) 의미망으로부터 폭력을 다시 ‘정당한’ 힘으로 복권할 단초를 놓았던 바 있다. 임노월과 최서해의 폭력 표상은 이 ‘정당화’를 수행하는 다양한 분기들을 대표한다. 임노월로 대표되는 악마주의적 경향은 낭만주의적 의지를 보다 강력하게 밀고 나가 ‘세계를 파괴하고 새로 창조하는 힘’을 예술에 다시 부여했다. 임노월 소설에서 이 미학적 힘을 대표하는 형상은 악마와 예술가, 그리고 남녀관계의 틀 안에서 살인 등 극단적 폭력을 불사하며 자기의지를 관철하려는 악마주의적 인물들이다. 이러한 형상들은 관념적 차원에서 폭력을 창조하는 힘으로 복권하는 효과를 낸다. 최서해로 대표되는 ‘신경향’은 낭만주의적 의지가 사회주의와 접합하는 국면을 보여준다. 그러나 최서해에게서 두드러지는 것은 사회주의가 회수하지 못하는 ‘초과’들이다. 최서해 소설에서는 ‘계급’을 초과하는 복잡한 주체성들이 두드러진다. 이로 인해 이들이 행사하는 폭력은 확고하게 ‘정당화’되지만, 동시에 그 폭력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끊임없이 질문하는 효과를 부수하게 된다. 이처럼 상이하고 산만해 보이는 가지들은 이들이 “폭력은 제국=근대국가의 것이 아니다”라는 1920년대적 ‘폭력의 신화’의 일부임을 알 때 비로소 정돈되어 보일 수 있다. ‘폭력이 제국=근대국가의 것이 아니라면, 누가 폭력을 가져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임노월과 최서해로 대표되는 흐름들은 각각 상이한 대답을 제출했다. 그러나 이들은 근본적으로 같은 질문에 대한 대응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violence representation in the 1920s Korean fictions focusing on Im Nowŏl and Ch'oe Sŏhae's works within history of literature. This is an attempt to discover a new theme that 1920s fictions have in common despite of its diverse outeriors. The representation of violence in Im Nowŏl and Ch'oe Sŏhae's works developed from the common source, romantic representation of violenc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romantic representation of violence is the new emphasis on human will and the recognition that there is no world structure to conform to. Romantic representation of violence has restored violence as justified one from previous semantics such as crime or immorality. Im Nowŏl and Ch'oe Sŏhae's images of violence represent various branches that carry out this justification. The decadence tendency, represented by Im Nowŏl, pushed the romantic will more strongly, giving art the omniscient power to destroy and create the world. In his fictions, figures representing this aesthetic power are demons, artists, and devilish figures who seek to carry out their will, regardless of extreme violence such as murder, within the framework of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These figures have the effect of restoring violence as creative power on a conceptual level. New Tendency [Shin'gyŏnghyangp'a], represented by Ch'oe Sŏhae, shows a phase in which the romantic will joins socialism. What stands out from his texts, however, are the excesses that socialism cannot retrieve successfully. In his fictions, complex subjectivity exceeding typical "class" stands out. This will firmly justify the violence they exercise, but at the same time, it asks constantly who is the justified subject of the violence. These disparate and distracting branches can only appear to be organized when we recognized them as parts of the 1920s myth of violence which manifests that the modern state or Japanese empire is not justified subject of violence. In response to the question, "Then who is the justified subject of violence?" the trends represented by Im Nowŏl and Ch'oe Sŏhae submitted different answers arrayed in broad spectrum. However, they are fundamentally same responding to the same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