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적 인정과 법정책

        김정희(Kim Jung Hee),김향미(Kim Hyang Mi) 사회복지법제학회 2018 사회복지법제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적 인정의 당위성과 현행법을 고찰하여 법 정책 방향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적 인정은 Axel Honneth의 인정이론의 철학적 관점을 차용하여 제시하였다. 개인은 타인을 인정하며 또한 타인으로부터 인정받음으로써 자신의 정체성 형성을 완성한다. 정체성 형성은 자아실현의 원동력과 나아가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청소년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정은 청소년미혼모에 대한 자아실현을 가능하도록 하며 경제적, 사회적 자립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회적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복지의존도 벗어나도록 한다. 그러므로 청소년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정은 필연적이며, 사회적 인정의 토대는 청소년미혼모가 직면하는 사회적 위험의 해소를 돕는 안전망의 기제로 제시하였다. 현행법은 법률적 도구로써 청소년미혼모에 대한 지원을 명확히 규율하고 있으나, 여전히 미흡함과 보완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헌법에서 보장하는 모든 국민의 행복추구권 보장을 위한 현행법의 강력한 적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기본법은 교육에 대한 기회균등을 규율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의 임신은 교육기본법에서 규율하고 있는 교육권마저 학칙에 의한 박탈과 교육권 상실은 청소년의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기본지식 습득의 기회마저 빼앗는 기제가 되고 있다. 각 학교의 소극적인 대처와 현행법 적용의 한계로 말미암아 청소년미혼모의 자아실현이 훼손되고 있다. 청소년미혼모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법적효력 발휘를 제시하였다. 셋째, 한부모가족지원법이 청소년미혼모자 가정의 사회안전망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현행법의 보완을 제시하였다. 넷째, 아동복지법은 아동의 출생과 함께 사회적 차별을 불허하며, 또한 아동이 건강하게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규율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청소년미혼모자 가정의 아동은 보육을 비롯한 다양한 측면에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저해하는 문제를 촉발하고 있어 청소년 미혼모자 가정의 아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제시하였다. 살펴본 바와 같이 청소년미혼모를 위한 헌법, 교육기본법, 한부모가족지원법, 아동복지법 등의 법률적 토대는 이미 마련되어있다. 그러나 사회구성원들의 청소년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정의 미성숙, 사회적 무시, 법률 적용의 한계 등에 직면하고 있어 개입 방안으로 청소년미혼에 대한 법적 적용과 사회적 인정을 필요조건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legal policy direction and alternatives by examining the justification of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unmarried mothers and the current law. Social recognition of adolescent unmarried mothers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view of Axel Honneth s accreditation theory. Individuals acknowledge others and are recognized by others to complete their identity formation. The formation of identity is the driving force of self-realization and the driving force of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e social recognition of adolescent unmarried mothers enables self-realization of adolescent unmarried mothers and enables economic and social independence, thereby alleviating the burden of social costs and also relieving the dependency on welfare. Therefore, the social recognition of teenage mothers is inevitable, and the foundation of social recognition is the basis of safety nets to help solve the social risks faced by teenage mothers. The current law clearly regulates support for unmarried mothers as a legal tool, but suggests that it is still insufficient and complementary. First, it presented a strong application of the current law to guarantee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of all the peopl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Second, the Basic Education Act governs equality of opportunity for education. However, the pregnancy of adolescents is also a mechanism that deprives the educational right which is regulated by the Basic Education Act and the loss of education rights by the rules of school to take the chance of acquiring basic knowledge for adolescent labor market entry.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applying each school s passive actions and current laws, the self-realization of juvenile unmarried mothers is being undermined by the passive coping of schools and the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current laws. And to demonstrate the legal effect of guaranteeing the right of learning for unmarried mothers. Third, the Single Parent Family Support Act provides a complement to the existing law to enable the role of the social safety net of single-mother families. Fourth, the Child Welfare Act prohibits social discrimination as well as the child s birth, and also regulates the child to be a healthy member of society. However, the unmarried mother-in-law still suggests the transition of the perception of the child in the unmarried mother-child to the child because the child is triggering the problem of the child s healthy growth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child care. However, as social members face the limit of social recognition, social ignorance, and legal application of adolescent unmarried mothers, legal applica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unmarried youth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intervention.

      • KCI등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홍봉선,남미애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9

        The study is searching for programs to build community support systems helping young single mothers based on the viewpoint of eco-systems theory, using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The study examined 150 young single mothers' actual living conditions, needs and their usage of community support systems and also it tried to present community support systems appropriate for their needs. The result shows that Korea's young single mothers are a newly emerged poor class, who are out of reach the social welfare system. The life of single mothers at home is worse than those in institution since they don't have any type of support form community. However, they do their best to perform their role as parents and one third of them keep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s biological father. The needs and pressing problems of young single mothers at home and in institution vary from cases to cases, especially regarding to their future plan and self-sufficient pla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some support systems for young single mothers are presented. First, more favorable perception toward young single mothers should be formed among the public in terms of macrosystem level. Second, in terms of exosystem level, redirecting and revising laws on young single mothers and establishing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cooperation systems should also be implemented. Third, in terms of mesosystem, school support, one stop service, outreach, and case management programs are reinforced. Finally, more support for young single fathers, service reinforcement for strengthening of family ties, facilitating young adult parents' growth and consolid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ir families and community are considered in terms of microsystem level.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하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서베이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청소년양육미혼모의 지원체계 구축방안 모색에 유용한 효과적인 경험 및 내용을 추출하였다. 서베이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욕구 및 실태조사가 전무한 상황에서, 전국에 살고 있는 청소년양육미혼모 150명을 조사하여 그들이 당면한 당면문제 및 욕구, 지역사회서비스 이용 실태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청소년 욕구에 근거하여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면 청소년양육미혼모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정책방향 전환 및 관련법 개정, 지역사회내 청소년양육미혼모를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 및 협력체계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지원의 강화 및 지역사회기관차원의 one stop 서비스, 아웃리치, 사례관리 등 전문적 개입이 강화되어야 하며 미시적 차원에서는 청소년미혼부의 지원확대, 가족유지 서비스 강화,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발달 및 성장 촉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강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양육경험이 있는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홍봉선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2

        This study is to find out influences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which have impacts on depression, anxiety, life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mothers. The subjects are 14-24 year-old young single mothers who have had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living in the facilities for them, group homes or in the communities. 123 cases were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level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is thought to be better than worrying and the social capital differs from cultural on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ubjects'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trust and civic consciousness asp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contrary, the cultural capital didn't have effects. The results tell that social capital exerts direct influences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young single mother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me element when it comes to increasing young single mothers' adjustment and their social welfare.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경험이 있는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조사대상자는 14세 이상에서 24세 이하의 청소년이면서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미혼모였다. 조사대상자의 표집을 위해 전국 청소년미혼모시설이나 공동가정생활에서 생활하거나 지역사회에서 살고 있는 청소년미혼모를 조사하였고 총 분석 사례수는 123건 이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분석, 교차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수준은 우려할 만큼 열악한 수준이 아니었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경험이 있는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자본이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지만 문화자본의 영향은 지지되지 않았다. 즉 사회자본 중 신뢰는 조사대상자의 우울, 불안,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시민의식도 우울과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양육경험이 있는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자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라는 점은 확인되었으며 향후 청소년미혼모의 건강 및 복지 증진을 위해 사회자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청소년기 임신,출산에 대한 태도가 학생미혼모의 학습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고교생의 학생미혼모 접촉경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수정 ( Soojung Choi ),김지연 ( Jiyon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중·고교생의 청소년기 임신·출산에 대한 태도와 학생미혼모의 학습권 인식간의 관계에서 학생미혼모 접촉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중·고등학교재학생을 모집단으로, 교육통계를 활용한 층화집락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6,543명을 조사하였고 최종 6,412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기 임신·출산에 대한 태도는 학생미혼모의 학습권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생미혼모 접촉경험을 부분매개로 학습권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기 임신에 대한 태도와 학습권 인식 간의 관계에서 학생미혼모 접촉경험은 부분매개로 정적영향을 미치는 반면, 청소년기 출산에 대한 태도와 학습권 인식간의 관계에서 학생미혼모 접촉경험은 부분매개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고교생의 경우 청소년기 임신과 출산에 대한 이중적 태도를 보일 수 있고 학생미혼모 접촉경험의 매개효과 역시 임신, 출산에 있어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과 학생미혼모의 학습권 인식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ingle mother students`` contact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of attitudes towar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the single mother students’ perception of right to lear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6,54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educational statistics data analysis using stratified cluster sampling, and finally responses from a total of 6,41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ttitudes toward adolescent pregnancy and child birth directly influence the single mother student``s awareness of right to learn and the contact experience with the single mother student also influence the awareness of right to learn through partial mediation. In particular, in the relation of attitudes toward adolescent pregnancy and awareness of right to learn, the contact experience with the single mother student has positive effects through partial medi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 of attitudes toward adolescent child birth and awareness of right to learn, the contact experience with single mother student has negative effects through partial mediation. In other word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show ambivalent attitudes towards adolescent pregnancy and child birth,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tact experience with the single mother student also affect pregnancy and child birth in different way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author suggests follow-up research and provide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ingle mother students’ awareness of right to learn.

      • KCI등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남미애(Mi Ae Na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4

        본 연구는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14세 이상에서 24세 이하의 청소년이면서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미혼모이며 이를 위해 전국청소년미혼모시설이나 공동생활가정에서 생활하고 있거나 지역사회에서 살고 있는 청소년양육미혼모를 조사하였다. 최종 분석한 사례 수는 123건이며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으로는 양육 스트레스, 부모 지지, 공동생활가정 이용 유무, 미혼모에 대한 지역사회 편견과 차별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으로는 양육 스트레스, 부모 지지, 미혼모에 대한 지역사회편견과 차별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는 양육 스트레스, 부모 지지, 공동생활가정 이용, 미혼모에 대한 지역사회 편견과 차별 등 생태체계 요인들이 통합적으로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는 결과로서 향후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심리사회적 적응 및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eco-systemic factors effecting depression and global life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mothers. The sample consists of 150 young single mothers whose age range from 14 to 24 years and who are residing in Korea. One hundred and twenty three cases were utilized in the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co-systemic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young single mothers are parenting stress, parent support, experience living in a group home,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s young single mothers. 2) Eco-systemic factors influencing global life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mothers are parenting stress, parent support,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s young single mother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s that psychosocial adjustment and health of young single mothers can improve by integrating youth policy and practice that take eco-systemic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nd global life satisfaction into account.

      • KCI등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시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남미애 ( Mi Ae Nam ),홍봉선 ( Bong Sun H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청소년양육미혼모가 어려운 여건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다른 청소년미혼모와 달리 자녀 양육을 선택하고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 이유와 의미는 무엇인지,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시간체험을 중심으로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를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16세 이상 22세 사이의 청소년양육미혼모 8명을 2010년 5월에서부터 2011년 3월까지 5-8회에 걸친 심층면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van Manen의 현상학적 방법에 근거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시간체험은 ``시간의 강물을 거슬러 올라 내게 맞는 홀로서기를 향해감``으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과정은 시간적 순서에 따라 ``추락과 비상``, ``모성과 야망간의 줄타기``, ``내가 디자인하고 주도하는 알찬 시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보면 청소년양육미혼모가 인식하는 부모됨의 시간은 통상 사람들이 인식하는 부정적인 경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엄청난 시련과 맞서면서도 가족을 지키고 책임지겠다는 자신의 오랜 신념을 실천하는 시간이며 과거와 미래를 넘나드는 치유의 시간, 임파워먼트의 시간이며 타율이 아니라 자신의 시간에 맞춰 어른이 되어가는 독립의 시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청소년복지정책 및 실천에 있어 청소년양육미혼모에 대한 인식전환 및 건강한 가정으로 기능하며 살 수 있도록 개별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의 당위성을 뒷받침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di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using time experiences, on young single mothers who choose child rearing unlike most of those who stay away from them. The study observed young single mothers` motivation of choosing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even under negative circumstanc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children over a period of time. 8 young single mothers ranging from 16 to 22 years old residing in Korea are subjects to be thoroughly interviewed around 5-8 times starting May in 2010 and ending March in 2011. van Manes`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used in data analyses. The process of being parents of young single mothers is summarized as "Going forward against the flow of time river to be self-sufficient in the world." They are at first experiencing ``an emotional roller coaster``, then ``tug of war between maternal instinct and ambition``, and finally ending up with ``self designed and motivated life.`` The result above tells that the period of being parents of young single mothers is not simply negative experiences as people normally think, but is a meaningful time becoming a responsible person faced with great difficulties, a healing time of past, present and future, an empowering time of being a independent person who acts with her own willpower. The findings justify that integrated and individualize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young single mothers to help them build a healthy family with regard to youth welfare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 KCI등재

        청소년미혼모가 경험하는 사회적 무시와 인정: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은주희,임고운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at the form of social disregard and recognition experienced by youth single moth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qualitative case studies, and five youth single mother living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emi-structur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nalyzed according to the case study analysis procedure in Yin(2011), and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and three sub-topics, respectively, from the 2 themes of ‘social disregard’ and ‘social recogni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disregard experience of youth single mothers began in the form of a rejection of pregnancy at an early age that was not welcomed by people around them. This makes it difficult to continue studying due to pregnancy, connecting to discrimination against the role of caregiver for being young, and in the process, an unfair view as a social deviant.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recognition experience of youth single mothers has been newly felt by their children, supported by their families and friends, and helped and tried to learn and work from their surroundings. Through their own circumstances, they were able to recognize others and the socially minorities, causing to their own recognition of their valu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mation identity of youth single mothers in terms of social mutual recognition.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모가 자녀 양육의 책임자인 동시에 자아정체성 확립의 발달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청소년으로서 경험하는 사회적 무시와 인정 형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모라는 특정 사례에 초점을 둔 질적 사례연구로서, 목적표집을 통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5명의 청소년미혼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Yin(2011)의 사례연구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적 무시’와 ‘사회적 인정’이라는 2개의 주제에서 각각 4개와 3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미혼모들의 사회적 무시 경험은 어린 나이의 임신 사실에 대하여 주변으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거부 형태로 시작되었다. 이는 임신을 이유로 학업을 지속하기 어렵게 되는 것으로, 어리다는 이유로 양육자 역할에 대한 차별을 느끼는 것으로 이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일탈자라는 부당한 시선을 느끼게 되었다. 반면, 청소년미혼모들의 사회적 인정 경험으로는 자녀로부터 새롭게 느끼는 사랑과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 주변으로부터 학습과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고 노력하는 경험이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처지를 통하여 타인과 사회적 약자를 인식함으로써 자기 가치를 함께 스스로 인정하게 되는 경험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인정의 측면에서 청소년미혼모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미혼모 사회교육현황 및 Community Dance 적용연구

        김미령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10 모드니 예술 Vol.3 No.-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그들의 부모세대와는 상이한 경제적 배경과 문화적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다. 현대의 청소년들은 과거보다 더 어린 연령에 사춘기를 경험하고 신체적으로 조숙하고 일찍 성(性)에 눈을 뜨게 되나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어야 할 교육현장과 가정으로부터 받는 성지식이나 성교육은 상대적으로 피상적이다. 반면, 실질적으로는 선정적인 대중매체와 컴퓨터의 보편화로 인터넷을 통해 왜곡되고 과장된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이렇게 올바른 성에 대한 이해가 없는 현실에서 청소년 미혼모 문제는 성에 대한 무지와 호기심의 부정적 영향의 결과물이다. 미혼모들은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분만과 양육에 대한 불안에 빠지게 되며 사회의 비난에 대한 두려움과 수치심, 장래에 대한 절망감에 사로 잡혀 극심한 정서적 위기에 처하게 되고 미성년인 청소년 미혼모들은 대체로 뒤늦게 임신사실을 알게 되어 주위에 임신사실을 숨기다 가출이나 자퇴를 하고 보호시설 등에서 분만하게 된다. 후에도 집이나 학교로 돌아가지 못하고 시설에 남거나 은둔 생활 후 성년을 맞이하게 되는 경우가 흔하다. 임신이나 분만 당시 미성년임에도 불구하고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심리적으로 안정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임신으로 인해 학교생활이 어려워 교육의 기회가 박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의 기회 박탈은 성년으로의 성장 후 자립에 필요한 취업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청소년기에 바르게 정립되어야 하는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기술, 자기통제력의 부족으로 사회인이 되어서도 자신의 행동에 대한 죄책감, 미래에 대한 좌절감과 막막함으로 인한 자신에 대한 포기와 충동적 반응으로 재가출과 재임신등 사회문제의 중심에 있게 된다. 또한 미혼모에게서 태어난 아동은 입양되거나 혹은 유기 등에 의해 아동보호시설에 수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미혼모의 보호 하에 양육되더라도 사생아란 법적 지위와 결손으로 자라게 되므로 사회적응이 순조롭지 못하여 비행청소년이 될 가능성이 높아 또 다른 사회문제를 파생시키게 되며(홍혜경, 2003), 그들 역시 자라서 미혼모가 될 가능성이 높다(Levering, 1983)는 조사 발표는 사회계층, 남녀계층, 연령계층간의 갈등이 범죄 및 빈곤문제와 유기적이라는 대표적 사례이다.

      • KCI등재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임고운 ( Im Kowoon ),은주희 ( Eun Ju-hu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2

        청소년부모란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모두 만 24세 이하로, 이들은 아동이 있는 가구이면서 아직 부모가 미성년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취약한 대상이다. 이 연구는 삶에 필수적인 주거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부모가 주거지원을 받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주거지원 전후로 인식하는 삶의 변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민간단체에서 연계한 주거지원제도와 서비스를 경험한 청소년부모 10가구(부부 2가구, 미혼모 8가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론에 따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총 3개의 영역, 11개의 범주, 그리고 4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주거지원 이전에 주거환경, 경제적,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정서적 이유에서 불안정하게 정처 없이 떠도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모바일 검색이나 지인 활용, 행정기관 문의 등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를 스스로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민간단체의 도움으로 주거지원을 받아 안전하고 주거환경에서 살게 되었다. 주거지원 이후 정서적ㆍ사회적 변화, 경제적 상황의 변화도 경험하며 장래를 계획하고 도전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지만, 이들의 도전과 시도를 가로막는 장애와 한계도 여전히 있었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한부모 또는 미혼모 복지시설의 부부 입소, 공공임대주택 보급 확대와 주거보증금 대출지원 기준 완화, 청소년부모 대상의 특수성에 대한 행정기관 담당자의 이해 역량 강화, 기타 양육 및 교육 지원 간의 서비스 연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young mothers and fathers in the blind spot of residential welfar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housing support. Plus, it aims to explore what life change they perceive before and after housing support are.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consisting of 2 couples and 8 unmarried mothers, who have used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the private organizatio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olog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alyzed data were classified into 3 domains, 11 categories, and 42 subcategories. Results showed that young parents had not stably settled down becaus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 situation, social relations, and emotional reasons before the use of housing support service. Also, they looked for stable housing by themselves through mobile search use, acquaintances, and information gained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As a result of these behaviors,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a private organization enabled them to live in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after the use of housing support, they had changes in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s, and also, a plan for the future.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till obstacles and limitations on their challenge and attempt.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ed that welfare facilities for a single parent or an unmarried mother would allow couples to use them,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ould be expanded, the criteria for loan support on housing deposit would be lowered, the capability that allows public official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adolescent parents would be strengthened, and parenting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al support service would be linked.

      • KCI등재

        청소년 미혼모의 대안학교 경험에 관한 연구

        성정현 ( Jung Hyun Sung ),김지혜 ( Ji Haye Kim ),신원우 ( Won Woo Shi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3 No.-

        본 연구는 현재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대안학교에서 수학하고 있는 미혼모를 대상으로 대안학교에 참여한 동기 혹은 계기 대안학교에서의 경험 진로계획 , , 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미혼모자시설에서 운영하는 대안학교 두 곳의 참가자 6명과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면접대상자는 현재 대안학교에 출석하고 있는 15세부터 19세까지의 미혼모들이다. 면접은 인 구사회학적 특징과 미혼모가 된 과정, 경험, 그리고 대안학교에 진학한 동기, 경험, 애로점이나 제안사항 등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미혼모와 미혼부중에는 부모의 사별, 별거, 불화, 무관심 등과 같은 부정적인 사건을 경험한 경우가 많았으나 임신 전 학교생활에 대해서는 원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 참여하게 된 동기는 학업지속을 통해 가족의 기대에 부응하고 스스로도 새로운 출발점을 찾기 위함이었다. 또 가족과 본인 모두 최소한 고등학교 졸업 학력은 소지해야 취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면접참가자의 절반은 출산후 원적학교로 복귀하기를 원했다. 대부분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학교당국과 불화를 겪고 있었으며, 대안학교는 이 상황에서 일종의 완충지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의 수업과 관련하여, 교육내용과 교사에 대해 만족하지만 수업시간이 짧은 점, 고등학생의 경우 실업고와 인문고를 구분하지 않고 통합교육을 진행하는 점에 대해서는 단점으로 꼽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결과를 청소년 미혼모의 교육권의 측면에서 논의하고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unmarried mother`s alternative schooling.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unmarried mothers attending in alternative schools. By using the qualitative methods, we could find several results as follows.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re studying in alternative schools to act up their parents` expectations and to make a new starting opportunity in their life. They and their parents think a certificate as an essential requirement to have a job and to live as independent person. But they have several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public schools. The responses from schools depend on their perceptions to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Several schools reject their return to school, but the other schools accept their students` situations and make support systems for their tests and achievements. In these cases,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have plan to return to their original schools after departing the facilities. The alternative school`s professionals make a buffing role between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nd the public school teachers in difficult situations as above. We discuss the results with reference to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educational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