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의 실천’으로서의 교육철학

        신춘호(Chun-Ho Shin)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3

        최근 교육철학계의 일각에서는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한 가지 견해, 즉 ‘교육철학은 실천철학이어야 한다’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이론철학’이 아닌 ‘실천철학’을 주장하는 이 견해는, 종래의 ‘이론 중심의 교육철학’을 ‘교육현장과 괴리된’ 철학이라고 비판하면서, 교육철학은 교육실천 안에서의 반성과 실천으로서 마땅히 교육실천의 개선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론과 실천의 구분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기반하고 있는 이 견해에서 ‘실천철학’은 ‘실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철학’으로 규정되지만, 그 ‘직접적 기여’가 무엇인가 하는 점은 그다지 분명하지 않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그 구분 역시 이론과 실천의 ‘관련’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중용」에 나타나 있는 교육에 관한 견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구분이 안고 있는 난점을 극복하는 관점을 보여주며, 이 관점은, 교육철학은 명백히 이론적 탐구활동이지만 동시에 ‘실천의 실천’(메타프락시스)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Recently, one view on the nature of educational philosophy has been raised. According to which the educational philosophy should be a practical philosophy. This view advocates ‘practice philosophy’ rather than ‘theoretical philosophy’, criticizes the conventional ‘philosophy of theory centered on education’ as ‘philosophy that is distant from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argues education philosophy should be the reflection within educational practice,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In this view, which is based on Aristotle’s view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practice philosophy’ is defined as ‘philosophy directly contributing to practice’, but it is not so clear what its ‘direct contribution’ . The division of Aristotle also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show the ‘rel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view of education shown in Zhongyong(「中庸」) shows a viewpoint overcoming the difficulties that Aristotle distinguishes. This view is that education philosophy is clearly a theoretical inquiry activity, but at the same time, has the nature of the practice as practice(metapraxis).

      • KCI등재

        우리의 철학과 철학실천

        김석수(Kim, Suk-s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40 No.-

        이 글은 우리 철학의 빈곤과 위기의 극복을 칸트, 헤겔 및 오늘날 현대철학자들이 ‘철학’ 혹은 ‘철학실천’에 대해 주장한 내용과 연계하여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 현대사를 살아온 우리의 철학자들은 국민국가와 시민국가의 과정을 거치면서 철학의 빈곤과 위기를 경험해야 했으며, 지금도 그런 과정 속에 놓여 있다. 이런 빈곤과 위기는 부당한 정치적-경제적 체계에서 비롯되기도 하지만, 이론과 실천, 사유와 현실을 매개하는 철학하기, 이른바 ‘학문으로서의 철학’과 ‘생활로서의 철학’을 종합하는 ‘철학실천’ 작업을 우리의 철학자들이 충실히 수행하지 못한 데서 연유하기도 한다. 그동안 철학실천가들이 자신들의 철학의 빈곤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철학실천’ 활동을 전개해왔듯이, 우리의 철학자들도 근자에 정치적-경제적 체계에 의해 식민화되는 생활인들의 아픔에 참여하는 ‘철학실천’ 활동, 그 중에서도 특히 철학상담 활동을 활성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 활동에서조차 우리의 ‘철학실천’은 이론과 실천을 매개하는 사례연구보다는 이론연구에 더 치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철학실천’은 ‘치유’에 더 치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철학의 본래적 활동인 ‘비판’ 활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또한 미래를 새롭게 모색하는 ‘창조’ 활동도 제대로 펼치지 못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우리의 철학의 빈곤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이론과 실천, 사유와 현실, 치유와 비판을 제대로 매개해야 하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창조적 활동을 수행하는 철학하기, 즉 진정한 ‘철학실천’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I will deal with the problem overcoming the poverty and crisis of our philosophy in conjunction with the “philosophy” and “philosophical practice” of Kant, Hegel, and contemporary philosophers. Our philosophers had to experience the poverty and crisis of the philosophy with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the national state and the civic state, and are still experiencing it. On the one hand, this poverty and crisis stems from the unjust political and economical systems. But on the other hand, they stem from the thing which our philosophers have not performed the ‘philosophical practice’ which mediates and harmonizes theory and practice, thinking and reality. That is to say, such a poverty and crisis stems from what our philosophers did not synthesize the ‘philosophy as a life’ and the ‘philosophy as a science.’ Just as Today’s philosophical practicers have tried to do the ‘philosophical practice’ in order to overcome the poverty and crisis of their philosophy, our philosophers are also trying to do the ‘philosophical practice’ participating in the pains of our living world colonized by the (political-economical) system. However, our ‘philosophical practice’ activities are more concentrating on the theory studies rather than the case studies.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our practical philosophers have also the possibility to weaken the critical activity of the philosophy because they tend to focus on the healing. Our practical philosophers can’t also go towards ‘creation’ activities that explore the future positively owing to this. We have to proceed towards the ‘philosophical practice’ which mediates theory and practice, thinking and reality, healing and criticism in order to overcome the poverty and crisis of our philosophy.

      • KCI등재

        연구논문 : 임상철학의 정체성 연구- “임상철학”의 규정에 대한 국내외 자료 연구

        박대원 ( Dae Won Park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3 No.-

        이 논문은 ‘임상철학(clinical philosophy)’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이다. 철학의 실천적 활동들 가운데는, ‘철학실천(philosophical practice), 철학상담, 철학치료, 철학치유, 철학교육, 철학카페’ 등처럼 대체로 ‘철학~~’ 형태의 어법으로 표현되는 것이 있는가 하면, ‘임상철학’처럼 ‘~~철학’ 형태의 어법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전자와 달리 후자의 어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임상철학’이 유일하다. 이처럼 표현에서 상이한 어법 차이를 보임에도 기존의 대다수 연구서들에서는 ‘임상철학’이 넓은 의미의 철학실천이나 철학상담의 다양한 세부 활동 영역들로 분류되고 있다. 필자는 전자와 후자의 어법 차이에 궁금증을 가지고 그 해결을 위해서 국내외의 연구서들을 살펴보았지만 대부분 제대로 해명해주지 못했다. 따라서 필자는 ‘임상철학’에 대한 기존의 개념적 규정들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에 따라 기존의 규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려고 하였다. 그 결과 학자들마다 ‘임상철학’이라는 명칭을 아무런 규정도 하지 않은 채 막연히 사용하거나, 아니면 철학실천이나 철학상담의 세부 활동명칭으로서 아주 협의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에, 임상철학은 철학의 실천적 활동들 중 하나를 지칭하는 활동명칭이 아니라, 실천철학의 몇몇 하위 분야들 가운데 하나인 실천철학적 분야명칭일 뿐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임상철학은 상담·치료·교육·카페활동을 철학적으로 수행하는 철학상담·철학치료·철학교육·철학카페처럼 그 주된 활동을 지칭하기 위한 활동명칭이 아니라, 오히려 저런 활동명칭을 포함해서 임상적 활동들과 연관된 분야 전체(마음·고통·상담·치료·치유·예방·교육·카페활동 등)를 지칭하기 위한 실천철학의 하위 분야명칭이다. 가령, 철학을 큰 주제 중심으로 분류할 때 이론철학과 실천철학으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기존 실천철학의 하위 분야는 윤리·도덕·법 철학, 사회·정치·경제 철학, 미·예술·문화 철학 등으로 나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별개로 그간 제대로 주목하지 않았던 임상(상담·치료·교육·카페활동)철학이라는 새로운 철학 분야가 지금에서야 제대로 주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그간 이 분야에 대한 포괄적 규정과 명칭을 ‘철학실천’이나 넓은 의미의 ‘철학상담’으로 이해·사용하면서 오히려 이것의 하위 분야이거나 아니면 또 다른 별개의 세부 분야로서 ‘임상철학’이라는 분야가 존재하는 것처럼 오해하곤 하였다. 그러다 보니 학자들마다 ‘임상철학’이라는 명칭을 편의에 따라 아무런 규정 없이 막연히 사용하기도 하고, 좁게는 철학실천의 다양한 하위 활동들 가운데 하나의 세부 활동명칭으로 사용하기도 한 듯하다. 그러나 이처럼 무분별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관행을 지금에서라도 끊어낼 필요가 있다. 새롭게 이 분야를 접하게 될 많은 사람들도 필자처럼 기존의 저 혼란스런 개념 사용 때문에 당혹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임상철학’을 ‘철학실천’뿐만 아니라 ‘철학상담·철학치료·철학카페·철학교육’ 등의 활동명칭을 모두 포함하는 ‘실천철학의 하위 분야명칭’으로 사용할 것을 다시 한 번 제안해본다.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clinical philosophy’. Generally, in the practical activities of philosophy it is ‘philosophical practice, philosophical counseling, philosophical therapy, philosophical healing, philosophical education, philosophy cafe, etc’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name of form of ‘philosophy ~’. But ‘Clinical philosophy’ was used by the wording of the form of ‘~ philosophy’.Nevertheless, it might be considered to be similar with the rest activities of the family. I have examin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the data for ‘clinical philosophy’. The philosophers and practitioners have used indiscriminately the name. Some people are using it as a field name of practical philosophy, but the rest of the people are using it as a sub-title of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or practic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break such practices to be understanded and used indiscriminately. I’m thinking that clinical philosophy be able not to be called one of the practical activities, but should be called one among some sub-areas of a practical philosophy. Specifically, clinical philosophy is not one name of activities to practise philosophically ‘counseling, therapy, education, cafe activities’ like ‘philosophical counseling, philosophical therapy, philosophical education, philosophy cafe’, but is an field name to consider clinical and theoretic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ose areas, including clinical thema(mind, suffering, counseling, therapy, education, cafe activities, etc).

      • KCI등재

        교육철학의 "실천적 전환": 해석학적 철학하기를 중심으로

        김상섭 ( Sang Sup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교육철학의 위기에 맞서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일련의 "실천적 전환"에 주목하면서, 특히 교육철학의 정체성 위기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러한 노력을 연장하고 가능하면 보완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 해석학적 철학하기를 하는 필자의 모습 자체를 재구성하고 반성적으로 성찰함으로써 교육철학의 방법론적 위기를 재인식하고 재조명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해석학적 철학하기는 철학만의 고유하고 우월한 방법론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대신에 일상적인 실천에서 이미 작동하고 있는 ``이해하기``에 기반을 둔 철학하기를 시도한다. 하지만 일상적인 이해하기를 보다 의식적이고 보다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해석학적 순환에 보다 충실함으로써 실천적 전환에 합당한 철학하기에 도달하고자 한다. 그런데 해석학적 철학하기를 통해 도달하게 되는 이해나 인식은 객관적이거나 궁극적이지 않다. 그것은 다만 의미의 가능성을 의식의 차원으로 끌어올림으로써 교육실천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 즉 해석의 다양성과 깊이를 덧보태고자 할 뿐이다. 다시 말하면 철학적 이해하기를 통해 도달한 인식은 새로운 실천과 해석적인 상황에 투입 가능한 자료일 뿐이다. 이렇듯이 해석학적 철학하기는 실천에서의 유의미성을 지향하는 방식으로 실천적이다. 그런 의미로 교육실천을 위한 철학하기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주장을 펴기 위해 치러야 할 대가는 결코 작지 않다. 최소한으로 인식의 상대성과 임시성 그리고 가변성을 떠맡아야 한다. 나아가 엄정하고 절대적인 의미의 비판의 가능성을 어느 정도 희생해야 한다.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해석학적 철학하기는 교육이라는 실천적 텍스트에 대한 지속적인 해석과 의미부여 및 의미발견을 확장하고 자극하는 것으로 교육철학의 실천적 전환에 나름의 기여를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actical turn`` which seems to be proposed recently as a remedy for the crisis in philosophy of education. Supposed that recent researches are inclined to discuss with the crisis of ``productiv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the focus of this paper lies on the crisis of ``ident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because it is assumed that a solution to the later problem can also contribute to the former one. Hermeneutical philosophizing is discussed as an example of educational philosophy to confront the crisis of ident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more practically. Hermeneutical philosophizing is here exemplified as a helpful means to the crisis of ident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because it is methodologically characterized by the ``understanding`` which it has in common with the everyday practices. Hermeneutics is however eager to make the methode of understanding better by using methodological hermeneutics more intentionally and skillfully on the one hand and by committing itself to the hermeneutical circle between text and interpret more productively and creatively on the other hand. Hermeneutical philosophizing can therefore contribute to the practical turn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the crisis of ``identity`` in educational philosophy. However its costs are not little, because hermeneutics can not insist on the universal knowledges about educational practices. This paper has to be satisfied with the result that it can widen and enrich the horizon of the understanding and its meanings for educational practices. Moreover the result of this paper might do a better job for the practical turn in educational philosophy if there were no other way for us to accept such knowledges about educational practices as relative, moving, and variable on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ve situations and interprets. Certainly it`s too much for this paper.

      • KCI등재

        교육철학: 교육학에 대한 학(學)

        강성훈 ( Seong Hun K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최근 교육철학 내에서 하나의 경향을 형성하고 있는 ``실천철학으로의 전환``의 흐름은 새로운 교육철학이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학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철학 내에서 이 흐름을 주도해왔던 영국의 교육철학자 Carr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론철학의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교육적 실천에 대한 단일한 연구를 지향하는 이와 같은 아리스토텔레스적 기획은, 그것이 보증하는 교육학에 대한 긍부정을 떠나,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의 정체성을 명징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 실천철학론을 주도하는 연구자들의 이와 같은 카의 연구에 대한 이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오류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카의 기획이 현존의 교육철학들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존의 교육과학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그로 인해 카의 작업이야말로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임을 또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카의 연구에 대한 평가와는 무관하게 국내에서 실천철학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실천철학의 필요성을 현존하는 교육철학들이 교육적 실천을 연구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한 교육적 실천에 대한 영향력 상실에서 찾고 있는 것은, 자칫 이론의 진위를 실천으로 검증하려는 조야한 도구주의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할 여지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천철학을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교육철학은 교육학에 대한 학이 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Nowadays ``a current of conversion to practical philosophy`` making a tendency in philosophy of education is not new philosophy of education, but aims at new science of education. It can be ascertained in the studies of British philosopher of education, Carr at the head of this tendency. This Aristotelian project, separating from the realm of theoretical philosophy and intending a sole study of educational practice, has showed the identity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Such understanding of Carr`s study that domestic scholars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have showed seems implicit errors in two aspects. First,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fact that Carr`s project was not converting existing philosophi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but existing scienc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Second, they also could not know Carr`s work is truly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In addition, domestic scholars who are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criticize existing philosophies because they don`t study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ult in loosing influence in educational practices. However, there is some possibility of doing that this approach reproduces vulgar instrumentalism which verifies the truth of theory through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point out the above stated problems of the domestic scholars leading practical philosophy and prove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become science of educational scienc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철학과 마음의 치유

        김정현(Kim, Jyung-hyun)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5 No.-

        마음의 병과 삶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현대의 상담, 혹은 치유(치료) 영역은 삶의 지혜, 삶의 예술, 철학실천(철학상담), 철학치료, 정신분석, 심층심리학에 기반한 심리치료, 철학에 기반한 심리치료(로고테라피, 현존재분석, 실존적 심리치료), 정신의학 등 실로 다양하다. 이 글은 주로 철학실천과 삶의 예술, 철학치료(혹은 철학적 심리치료)가 철학의 실천적 활동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점검하며 그 다양한 운동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삶의 문제해결 혹은 마음의 치유/치료에 관한 철학적 실천활동의 지형도 전체를 염두에 두면서, 철학실천(철학실천, 철학상담)과 삶의 예술(삶의 지혜, 철학 카페, 삶의 예술), 철학치료(철학에서의 치료연구, 철학적 심리치료, 임상철학) 등에 대한 내용과 활동, 그리고 그 정신적 계보 및 문제점 등을 주로 살펴보았다. 현재 아헨바하에 뿌리를 두고 있는 철학실천운동은 한계를 보이고 있고, 삶의 예술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는 다양한 시도들은 아직 그 이론적 성숙을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현재 진화하고 있는 이러한 철학 실천의 활동에는 수많은 심리치료의 성과들을 극복하는 문제가 놓여 있고, 그 가운데 철학 실천 고유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문제가 놓여 있으며, 또한 다양한 방법을 찾아내는 과제가 여전히 놓여 있다.

      • KCI등재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 : 일원론적 역사유물론의 극복 시도로서의 두 ‘다원론적 실천철학 체계’에 대한 비교 검토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0 사회와 철학 Vol.0 No.19

        이 글은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을 ‘우회적인 방식’으로 소개해 보려는 의도에서 기획된 것이다. 여기서 우회적인 방식이란, 인간중심철학의 내용을 직접 소개하기 보다는, 오늘날 서구 사회철학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실천철학계에서도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철학 체계로 ‘잠정’ 평가 받고 있는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상호 비교 고찰하는 방법을 통해 ‘비판적으로’ 소개해 보고자 하는 철학적 방식을 가리킨다. 이처럼 이 글이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을, 현재도 여전히 실천철학적 의미가 있다고 보이는 ‘마르크스(주의) 실천철학의 한계 극복 및 대안 제시’라는 사회철학적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 사회이론과의 비교 검토 작업을 통해 성찰해보고자 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곧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한계에 대한 치열한 비판적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새롭게 정립된 인간중심철학이 거둔 철학적 성과와 기여, 의의와 의미 등이 비판적 사회이론에 견주어 그리 작다고만은 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 보여주고, 그에 대한 한국 사회철학계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 봄으로써 여전히 학문적 무관심과 경시, 저평가의 대상에 머물러 있는 인간중심철학의 현 상황이 조금이라도 개선되도록 하는데 일조하기 위해서이다. 동시에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의 비교 속에서, 인간중심철학의 학문적 · 철학적 수준을 실제로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보려는 데에도, 이 글의 집필 의도가 또한 자리하고 있다. 이 글에서 특히 인간중심철학과의 비교대상으로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을 설정한 이유로는, 인간중심철학과 비판적 사회이론은 둘 다 실천철학사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마르크스(주의) 역사유물론의 시대적 한계와 이론적 · 실천적 난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넘어서고자 기획 · 정립된 대표적인 실천철학 유형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게다가 두 사회철학 체계는, 노동(생산)이라는 협소한 ‘일원론적(一元論的) 패러다임’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인류의 역사 및 사회의 발전적 전개과정을 분석 · 해명하고 새로운 사회상을 제시하는 도정에서 마르크스(주의) 실천철학이 드러낸 결정적인 한계와 난점들을 통찰하고 그에 대한 대안적(代案的) 방안으로서, ‘다원론적 패러다임’의 구도, 즉 ‘이원론적(二元論的) 패러다임’ 혹은 ‘삼원론적(三元論的) 패러다임’을 새로운 사회철학 체계의 근본 토대로 각각 설정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 ‘이론 구성적 공분모’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적극 고려되었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introduce Hwang's Inganjoongshim(Human-centered) Philosophy critically in the indirect method. At this place, the indirect method designates the philosophical way which goes in for the critical introduction of Hwang's practical philosophy by carrying out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Inganjoongshim Philosophy and Critical Theory of Society that is estimated temporarily today as the most influential social philosophy in the community of Korean practical philosophy as well as in the world of Western social philosophy, rather than introducing directly the contents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This paper thus is intended to accomplish the mutual comparisonexamination work between Hwang's social philosophy and Habermas's practical philosophy, focused on the social philosophical subject of 'the overcome of limits of Marxist practical philosophy and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to that philosophy', which is still regarded as significant today. The main reason to carry out such a social philosophical work is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I reveal that the philosophical outcomes, contributions and consequences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which is critically constructed newly on the basis of the intensive critical consciousness on the limits and problems of Marxist practical philosophy, are not so slight as compared with those of Habermas's Critical Theory of Society. Secondly, I am helpful toward improving the current unfavorable circumstances in which Inganjoongshim Philosophy is placed owing to the academic indifference to itself, by arousing the philosophical interests in Hwang's practical philosophy in the community of Korean social philosophy. Thirdly, I provide the opportunity to judge really the academic and philosophical level and degree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in the comparison with Habermas's Critical Theory of Society.

      • KCI등재

        철학실천의 위험성

        박병기(Park, Byeong-Ki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7 No.-

        이 글의 목적은 1980년대 이래 구미 각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철학실천운동의 규범적 성격을 드러내고 그 난점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밝힘으로써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철학실천은 상아탑 속에 잠들어 있는 철학을 깨워 우리 일상의 생활 속으로 내려오도록 하고 삶의 방식으로서의 철학을 복원하여 철학이 우리 삶 속에서 살아 숨 쉬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철학의 도구화나 상업화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장에 나온 철학상담은 소비대상 영역이 불분명하다는 난점이 있고 그 자체 철학을 왜곡할 위험이 있다는 해결과제를 남기며, 소크라테스대화를 활용한 조직컨설팅은 철학의 제도화를 다시 초래할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철학실천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상업부문의 철학실천을 극소화하고 비상업부문, 즉 공공부문의 철학실천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그 방안의 하나로 필자가 잠정적으로 제안하는 것은 철학상담사나 소크라테스촉진사를 개인상담소나 컨설팅업체를 개설하여 영업활동의 일환으로 철학상담이나 컨설팅을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나 지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활동하게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c groundwork for averting a peril that Philosophical Practice might have by defining the normative nature of the Philosophical Practice Movement being actively developed in Europe and America since the 1980s, and for identifying and solving its problems and tasks. Philosophical Practice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restore philosophy to its role as a way of life by bringing it down from its ivory tower to operate as a living force in daily life. But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emerged as a crass instrumentalism or commercialization of philosophy is problematic due to the uncertainty of whom it targets as a consumer, and opens up the question of how to avoid the danger of distorting philosophy. Organized clinical consultations using Socratic dialogue contain the risk of bringing about yet another institutionalization of philosophy. To solve this problem, the desirable direction for Philosophical Practice is to greatly minimize its market sector, and maximize to every extent its non-market, or public, sector. The writer provisionally advocates that one way to achieve this is to forego the establishing of philosophical counseling companies and companies for the promotion of Socratic facilitator as counseling centers or consulting firms in order to use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consulting as a part of business activities, but to receive support from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and employ it as a state-subsidized project.

      • KCI등재

        인간다운 삶을 위한 철학적 대화로의 초대

        노성숙(Nho Soung-su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0 인간연구 Vol.0 No.19

        최근 철학의 새로운 분야로 부상하고 있는 철학상담은 1981년 아헨바흐(Achenbach)에 의해 ‘철학실천’이라는 용어로 시작되었다. 철학상담은 상담자인 철학자로 하여금 학계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애초에 실제 삶의 맥락으로부터 시작되었던 ‘철학함’을 회복시키고자 노력한다. 본 논문은 ‘왜 오늘날 철학실천으로서의 철학상담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천착한다. 우선적으로 오늘날 철학 안팎으로 ‘철학상담’이 새롭게 시작되는 배경을 폭넓게 알아본다. 그러고 나서 이러한 역사적 맥락으로부터 창안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으로서의 철학상담에 대한 구상을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그리하여 그가 왜 ‘철학실천’의 문을 열었는지, 철학상담에서 ‘철학함’과 ‘철학자’는 어떤 의미로 이해되는지, 나아가 그가 왜 ‘실천’이라는 용어를 강조해서 사용하려 하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이와 같이 시작된 ‘철학실천’이 여타의 상담들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르게 전개되는지를 밝혀 본다. 앞으로 철학상담은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지혜의 자양분을 바탕으로 일상적인 삶의 고민과 갈등, 실존적 위기 등에 처한 사람들에게 ‘인간다운 삶’, ‘잘 삶’을 위한 유익한 대화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Philosophical counseling, initially coined as “philosophical practice” by Achenbach in 1981, emerged recently as a new field of philosophy in its own right. It attempts, by recasting the philosopher as a counselor, to bring philosophy back from academia and recover the ancient notion of “doing philosophy”, in a real-life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the question of why philosophical counseling as philosophical practice is required in the contemporary world. First, it seeks to introduce the background for the beginning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in and without the academic world of philosophy. Next, it investigates Achenbach’s concep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s philosophical practice that appears in historical context, focusing on why he opened the door to “philosophical practice”. It also investigates the meaning of “philosophizing” and “philosopher” in his practice, as well as why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e” instead of “counseling”. Furthermore, it pays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philosophical practice and other forms of counseling.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deep insight and human wisdom will give people in existential crisis or in problems of everyday life a useful opportunity to maintain dialogues that will improve their “well-being” and fulfill the realization of an authentic “human life” in the future.

      • KCI등재

        헤겔 실천철학에서 세 가지 타자개념

        권영우 ( Kwon Young Woo ) 한국헤겔학회 2016 헤겔연구 Vol.0 No.40

        헤겔철학에서 타자개념이란 그의 이론철학과 실천철학을 망라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 글을 통해 헤겔철학에서의 타자개념을 모두 해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헤겔철학의 실천철학적 맥락에서, 특히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타자개념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실천적 맥락에서 포착될 수 있는 `의식의 타자`, `사랑이라는 상호인정 관계 속에서의 타자` 그리고 `자기의식의 타자`가 제시될 것이다. 그리고 이 타자들이 `자아의 자기복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고찰될 것이다. 헤겔 실천철학에서의 타자개념을 해명함으로써 헤겔철학적 관점에서 타자의 실천적 의미와 중요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무한경쟁이 모든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 시대에 헤겔 실천철학에서 타자개념이 주는 시사점은 `타자의 제거가 아닌 타자를 인정함이 건전한 자기긍정이다`라는 매우 상식적인 언명이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바람직한 인륜적 삶을 살도록 환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바로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헤겔철학의 타자개념이 지니는 실천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실천철학적 맥락에서의 타자개념을 해명하는 것은 헤겔철학의 현재성을 밝히는데 하나의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Der Begriff des Anderen ist ein wichtiger Begriff, der sowohl Hegels theoretische als auch praktische Philosophie betrifft. Es ist unmoglich, in diesem Aufsatz die ganze Bedeutung des Begriffes des Anderen zu erlautern. Also wird der Begriff des Anderen im Sinne der praktischen Philosophie bei Hegel insbesondere der Phanomenologie des Geistesabgehandelt werden. In diesem Aufsatz stellen sich drei Arten des Anderen dar, die in den drei praktischen Kontexten erfasst werden konnen. Außerdem wird gezeigt, dass diese Anderen fur die Ruckkehr des Ich zu sich eine wichtige Rolle spielen. Indem der Begriff des Anderen in der Hegelschen praktischen Philosophie erklart wird, will der Verfasser die praktische Bedeutung und Wichtigkeit des Anderen im Hinblick auf Hegels Philosophie auffinden. Fur das jetzige Zeitalter, in dem die unendliche bzw. furchtbare Konkurrenz allmahlich mehrere Lebensbereiche der Menschheit beherrscht, zeigt der Begriff des Anderen in der Hegelschen praktischen Philosophie einen aktuellen Sinn auf, dass nicht die Beseitigung des Anderen, sondern die Anerkennung des Anderen eine gesunde Affirmation des Ich ist. Dies lasst uns gut und sittlich leben. Aus diesem Grunde will der Verfasser in dieser Abhandlung die praktische Bedeutung des Begriffes des Anderen in der Hegelschen praktischen Philosophie erlautern. Diese Erlauterung kann als ein guter Ansatzpunkt dafur gelten, den aktuellen Sinn der Hegelschen Philosophie aufzuzeig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