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체육에서 질적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 질의 평가

        이서희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시작하는 초보 연구자들을 위해 질적 연구의 기본적인 배경 학적 이론과 방법의 틀을 제시하고, 특수체육에서 질적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첫째, 질적 연구의 기본이 되는 인식론의 이해를 설명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자료 수집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셋째, 질적 연구에서 자 료 분석 방법과 타당성 확보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체육 영역에서 활용되는 질적 연구 질의 평가 기준 을 제시하였다. 국 내외 특수체육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고 그 중요성 또한 계속 강조되고 있 다. 질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참여자들을 관찰, 이해, 분석 그리고 해석하는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의 본질적인 이해와 연구 방법론의 습득이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인 질적 연구의 질의 평가로 좀 더 깊이 있는 질적 연구의 결과물이 특수체육 분야에 적용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provide the basic segments of qualitative research to assist the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and to provide implications of indicators (i.e., criteria) to determine the rigor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n the area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PE). This paper was divided into five sub-categorie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e qualitative research, which were (a) the epistemological stances, (b) the data collection methods (c) the data analysis (d) the trustworthiness and (e) the implication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Taxonomy (APAT) in APE. Qualitative researchers deliver their understanding of human experience and knowledge by means of text rather than number so their explanations and understanding tend be subjective and distinct from otherwise interpretaotherwise (Crotty, 1998; Pitney& Parker, 2009). Examining the rigor of qualitative research is therefore concerned due to the complexity of understanding of reality (Goodwin 2020; Zitomer & Goodwin, 2014). In the meantime the roles of qualitative research have been highlighted in educational research including the area of APE because qualitative research enables researchers to examine different voices of school members (e.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parents teachers Goodwin ,2020; Hodge et al., 2019; Zitomer & Goodwin, 2014).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의 질적 탐색

        이은택,임상훈,이두섭,유영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그동안 수행되어온 교육공학 분야의 질적 연구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고 앞으로 교육공학분야의 질적 연구의 성숙을 위한 방향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저자의 특성, 연구제목, 질적 연구에 대한 정의 부분, 연구방법, 연구목적, 연구자의 연구개입 정도(연구도구로서 연구자), 연구에 대한 평가(제언)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간성과 공간성의 기준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 수행의 인식 변화과정과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의 성찰과정이기도 했다. 시간적 흐름은 질적 연구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이해하는 과정으로 데이터-방법적-방법론적 단계 변화가 있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질적 연구의 방법론적 성장에 촉매제가 되었다. 공간적 제약은 양적 연구가 다수인 교육공학 분야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연구의 정당성을 위한 양적 연구자 설득하기, 질의 양화를 통한 연구의 객관성 입증하기, 소극적인 결론 제시를 통한 양적 연구 회귀하기와 같은 현상들이 발견되었다. 향후 교육공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성숙된 발전을 위해서는 질적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 질적 연구에 적합한 심사기준 마련과 방법론 교육, 방법론 수용에 있어 유연성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수용은 개인적 노력을 넘어서 학문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학문공동체의 질적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의 질적 연구방법 교육내용 개발

        김갑선,Kim, Kaps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 교과목의 교육내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문헌정보학 대학원 과정의 질적 연구방법 교과목 개발에 일조하고자 한다. 국내 대학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76편의 질적 연구방법 교과목 강의계획서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교육 경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핵심내용으로 질적 연구패러다임, 연구설계, 다양한 질적 연구 유형, 자료수집과 분석의 다양성, 글쓰기, 질적 연구의 평가준거를 제시하고 교수전략을 논하였다. 좋은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순환적, 창조적, 성찰적인 연구 실제가 가능하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질적 연구의 토대로서 질적 연구의 다양한 패러다임과 철학적 이론적 전통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질적 연구자는 자신의 질적 입장(qualitative stance)을 인식하고 질적 연구를 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pproach to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QR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draw trend of TQRM, 76 course syllabi collected in the research oriented universities' master and doctoral program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study proposes both common topics and essential strategies for TQRM in terms of the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design, wide range of approaches to QR, diversity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writing, and evaluation criteria.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qualitative stance and to understand paradigms and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frameworks of QR for conducting QR reiteratively, creatively, reflectively.

      • KCI등재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김갑선,Kim, Kaps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학술지에 발표된 질적 연구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발전의 지향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헌정보학을 대표하는 4개 학술지의 2016년까지 총 73편(1.4%)의 논문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1) 질적연구로 가장 선호하는 주제는 정보행태(39.7%)와 사서업무(20.5%)이다. 2) 연구 목적은 경험의 이해(60.2%)가 우세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현황 개선(30.1%)이다. 3) 선호하는 연구방법은 '일반 질적 연구'(26.0%), '무언급'(21.9%), 근거이론(13.6%), 현상학(10.9%), 사례연구(10.9%) 등 이다. 4) 연구의 참여자는 사서가 41.0%로 매우 우세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전문직 종사자(13.6%)이다. 5) 가장 선호하는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20.5%), 면담(13.6%), 심층면담과 내부자료(9.5%)이다. 연구 결과, 문헌정보학 분야 질적 연구의 스펙트럼은 매우 다양하여, '느슨한 질적 연구'와 '과학성을 지향하는 질적 연구'가 공존하고 있었다. 문헌정보학의 질적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에서는 질적 연구자의 인식 고양, 엄격한 연구방법(자료수집, 분석과 해석, 타당성과 신뢰성)의 적용이 요구된다. 제도적 차원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의 교과목 설치, 심사자와 연구자의 질적 연구 수행과 이해를 돕기 위한 문헌정보학 질적 연구지침과 표준 제작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four representative journals in Korean LIS from 1970 to 2016. 73 papers(1.4%) were analyzed focusing on publication year, subject areas, research purposes, authors, qualitative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s, data analysis methods, and methods of valid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formation behaviour(39.7%) was the most researched topics, followed by librarians work(20.5%), and bibliotherapy & reading education(13.6%). 2)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purpose was for understanding experiences(60.2%) and for improving current state(30.1%). 3) 'Grounded theory'(13.6%) and 'phenomenology'(10.9%), 'case study'(10.9%), were used frequently, while 'non-specified qualitative method' was 26.0% and 'not indicated' was 21.9%. 4) Librarians (41.0%) were the most researched participants, followed by professionals(13.6%). To collect qualitative data, in-depth interview(20.5%), interview(13.6%), and in-depth interview & internal documents(9.5%) were frequently used. There are 'loose qualitative research' group and 'scientific qualitative research' group. LIS researcher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hould consistently make efforts to increase qualitative theory and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and to apply rigorous research metho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ampling, data satur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Institutionally, It is to provid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urse and to develop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LIS qualitative research authors and reviewers.

      • KCI등재

        사제관계 기반 질적 연구자 되기 과정

        이동성(Dongsung Lee)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이 글의 목적은 사제관계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 전문가로 성장 및 발달해 가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로 이야기함으로써 한 질적 연구자의 변환적인 과정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입문 단계(起): 현장교사였던 나는 한 스승의 진정성 있는 격려로 질적 연구방법론에 입문할 수 있었다. 성장 단계(承): 질적 연구 초심자였던 나는 스승의 전문적인 도움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의 세부 절차와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또한, 나는 스승을 통해 단편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질적 연구방법론자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자질을 갖추게 되었다. 발달 단계(轉): 전임교수가 된 나는 스승의 학문적 리더십으로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세대전이 단계(結): 질적 연구방법론자가 된 나는 스승의 학문적 열정을 거울삼아 또 다른 스승으로서 후세대를 양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제관계를 기반으로 한 질적 연구자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교수 및 학습 전략을 제공하고, 질적 연구방법론의 전승과 발전을 위한 경험적 및 이론적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transitional process of becoming a qualitative researcher and its meaning through autoethnography based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o teach and learn qualitative research.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Introduction stage 1: I as a doctoral student and school teacher had become a master’s pupil owing to authentic encouragement of a professional who was a master in qualitative research domain. Growth stage 2: I as a novice qualitative researcher and dispatched teacher could have learned methodic procedures and skill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professional help of my master. Also, I as a qualitative researcher could have built expertise to become a proficient research methodologist with master’s help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evelopment stage 3: I who became a professor in a university could have expanded and extended research topics and methods such as autoethnography and life history research thanks to master’s academic leadership.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stage 4: I who became aa master in qualitative research could have taught next generation who want to be a qualitative researcher by mirroring my master’s academic enthusiasm. The results of this paper could be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exemplar in teaching and learning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y shedding light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researcher in term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질적 연구 윤리로서의 윤리적 주체-되기

        김소연(So yeo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2

        본 연구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윤리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구 윤리 지침들과 연구 윤리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윤리를 핵심과제로 다루는 철학에서는 윤리를 무엇이라고 규정하고 있는지, 윤리적 행동의 근거는 무엇이며, 윤리적 인간과 비윤리적 인간의 차이는 어디서 출발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실제 상담자로서 연구 현장에서 질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고민하는 윤리적 문제들은 무엇이고, 그러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살펴보았고. 질적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 명의 연구참여자와의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자와 연구참여 자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들여다보았다. 마지막으로 철학적 담론과 논리를 근거로 면담내용에 대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우리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태도와 실천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보편성과 동일성을 담지하는 의무로서의 윤리인 윤리 규정이나 선행 질적 연구자들이 제시한 지침들을 아무런 반성 없이 준수 하는 절차주의적 윤리 실천 행위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그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 요구되는 윤리로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하여 지금-여기 삶의 현장에서 여전히 붙들고 있는 나의 존재 방식을 반성하고, 나와 마주하고 있는 절대적인 타자의 얼굴에서 전달되는 무조건적인 환대에 대한 요청을 받아드림으로써 ‘또 다른 나’가 되기를 결단하고 실천하는 차이 생성적 실존 양식인 ‘윤리적 주체-되기’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thical issues that researchers face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counselors and seek relevant countermeasures to address the issue.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xplored the existing research ethics guidelines and precedent studies conducted on the topic of research ethics and how ethics are defined in philosophy that studies ethics as a key issue. The study also examined what the basis of ethical behavior is and where the difference stems from to distinguish ethical person from unethical person. As a practicing counselor, the author has interviewed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research field, to identify what kind of ethical problems they are facing and which efforts they are exerting to solve the ethical problems they encounter. The author also interviewed a researche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o look into the perspective gap between the researcher conducting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conclusion,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based on philosophical discourse and logic.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the ethical stance and practices required for the researchers wh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selor.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rocedure-based behaviors in ethical practice had their limitations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cilor, as the behaviors mean following ethical regulations or guidelines provided by predecessors without self-reflection, accepting it as responsibilities to imply universality and identity. The author, therefore, proposed “becoming an ethical subject,” a différance-generative way of existence to become an “alter ego”, as a work ethic required for a researche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selor. This can be achieved by introspecting one’s own way of existence that the person adheres in this life of here and now and embracing the implicit request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expressed in the face of “the absolute other (totaliter aliter)” facing the self.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박미화,강성종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2

        This study analyzes academic dissertations that were registered on the website of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from the year 2000 to 201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 special education and suggest future projects on the basis of these trend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a database of 125 dissertations was searched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hermeneutics, cultural technology papers,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ethnomethodology, life history, narr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e hundred ten qualitative dissertation matched one or more of these keywords and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is yielded several significant trends. First, the largest number of grounded theory studies, 37(33.6%) of the total number of studies between 2000 and 2011), were registered in 2005. Second, regarding topics of study, 7 projects dealt with and 47 focused on regular areas further, 35 topics were selected and 11 theoretical studies were performed. Third, regarding the duration of the studies, the most common length of a study was less than two months, and 19(17.3%) projects were of this duration. Fourth, regard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on the studies, the most frequent range, selected by 17(15.5%) of the studies, was two to five participants. Finally, regarding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procedures for testing the veracity of the data, the method used most frequently was consultation or in-depth interviews. This method was used by 43(35.5%) of the studies. Further, (43.6%) of the dissertations implemented testing.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can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qualitative studies on Korean special education. First, the range of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a greater diversity of academic disciplines. Second, diverse topics of study should be included to enhance the comprehension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ield. Third, should be undertaken for a sufficient period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research. Fourth, the number of participants should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topic of study. Fifth, the veracity of studie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resolve shortcomings. I believe that these recommendations for future qualitative research will significantly improve Korean special education. 이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학계에 본격적으로 질적 연구논문이 게재된 시점인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홈페이지에 등재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근거로, 한국 특수교육학계의 발전적 연구를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한 특수교육관련 질적 연구논문 검색은 해석학, 문화기술지, 현상학, 근거이론, 민속방법론, 생애사, 내러티브, 질적 연구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총125편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이 연구 조건에 부합하는 110편의 질적 연구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적 연구논문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을 설정하여 추진한 연구 결과는 첫째, 질적 연구유형의 동향은 2005년을 기축으로 확대되었고, ‘근거이론 연구’가 37편(33.6%)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둘째, 장애영역 및 연구 주제의 동향은 7개 장애영역과 47개 일반영역 그리고 35가지 연구 주제가 수행되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구기간은 2개월 미만이 19편(17.3%)으로 가장 선호하는 기간으로 나타났고 넷째, 연구 참여자는 1명이 11편(10.0%)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자료 수집 방법 및 진실성 검증 여부는 면담/심층면접이 43편(35.53%)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연구의 진실성 검증 여부는 전체 분석대상 논문 중 48편(43.6%)이 실천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특수교육학계의 질적 연구에 대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연구 확대를 위한 한국 특수교육학계의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한국 특수교육 현장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구 주제의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 연구의 질적 측면을 담보할 수 있는 충분한 연구기간 확보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의 질적 연구 주제에 따른 연구 참여자의 확대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질적 연구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의 진실성 검증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질적 연구의 향후 과제는 특수교육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믿는다.

      • KCI등재

        초등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나장함,김진호 한국학교수학회 201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9 No.1

        90년대 중후반 이후 질적 연구법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이후, 질적 연구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실제로 적용된 질적 연구물에 대한 분석이나 방법론적 논의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 방법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질적 연구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에서 의도한 목적 달성과 연구 결과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회지인 초등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2012년 게재된 논문 5편을 대상으로 샘플링 선정,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방법 등을 중심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그 결과와 논의점을 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into educational journals, especially focusing on research articl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 mid 90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As a resul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becoming one of the mai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quite different from before the mid 90s tha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mselves alone were undisputed research methods. However, such change in research methods also lead to a matter of concern, the rigor and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identify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this study carefully selects and analyzes 5 article that used qualitative methods and were published b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in 2012. Several leading scholars' ideas and theorie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used in the analytical process, with careful attention paid to every detailed element of 5 selected articles. In sum,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 KCI등재

        질적 방법론과 회계학연구

        김석웅(Kim Seok-wo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도 질적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질적 연구가 사회학, 간호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회계학계에도 일부가 발표되고 있지만, 질적 방법론의 분야에서 방법론, 이론, 연구방법, 자료조사방법, 자료해석방법 등에 관한 개념들이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고 혼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질적 방법론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 연구현황을 살펴서 한국의 회계학계에 질적 방법론과 연구방법의 이해와 확산을 촉진하고자 한다. 질적 방법론은 비판적 방법론과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해석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자의 체험을 통해 경험현실을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질적 방법론인 해석적 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은 해석학과 현상학이고, 주로 이용하는 이론은 사회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화이론, 일상생활방법론, 제도이론, 행위자연결망이론 등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민속지학, 실행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이고, 자료수집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현장연구, 문헌조사 등이며, 자료분석방법은 해석학, 서사분석, 기호학(내용분석, 대화분석, 담론분석) 등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내용분석해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지학(ethnography)은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종족지학이라고도 하는데, 연구대상인 사람(회계담당자)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배경에 대해 연구자가 (비)공개적으로 그들의 삶에 일정한 기간동안 참여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방법이다.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실행연구에서는 연구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해석적 방법론의 사례연구(case study)는 연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해석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주관성, 일반성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결합하는 Q방법론, 삼각측정(triangulation) 등의 혼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Nowadays, Qualitative method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Nursing, Education in Korea. In Accounting, Although som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their concept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 method, theory, data researching method and data interpreting method have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method in the Korean accounting community through clarifying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methodology by content analysis of prior accounting researches. The qualitative methodology means both the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owever it mean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in a narrow sense. It is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the researched and to interpretat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experiencing through lived experienc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r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Theories used in qualitative methodology are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symbolic interactionism, structuration theory, ethnomethodology, institutional theory, actor- network theory. The research methods are action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In this paper, the research methods of qualitative methodology are the research focus. The ethnography i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life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d people(accountants) through lived experience participating the phenomena and life of them during some periods. The action research is the process to pursue th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at the field. The case study of interpretive methodology is to research the case at which the researcher have participated during some period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as some problems such as subjectivity and lack of genera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Mixed methods such as Q methodology, triangulation have been used.

      • KCI등재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구별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

        이남인(Nam-In Lee)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5 No.-

        지난 수십년 사이에 인문사회과학의 다양한 영역에서 질적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연구의 연구대상인 질과 양적연구의 대상인 양이 정확하게 어떻게 구별되는지 불투명한 상태에 있으며 그러한 한에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가 정확하게 어떻게 구별되는지 하는 점도 아직 불투명한 상태에 있다. 이 논문의 목표는 바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구별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해명하고 그와 더불어 질적연구의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해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우리는 우선 1절에서 양적연구 프로그램으로 규정될 수 있는 Descartes의 과학론적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거기에 이어 2절에서 양과 질의 구별에 대한 Aristoteles의 견해를 검토하면서 질적연구 프로그램으로 규정될 수 있는 Aristoteles의 과학론적 프로그램을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3절에서 Descartes의 양적연구 프로그램과 Aristoteles의 질적연구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면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구별에 대한 두 가지 오해를 살펴볼 것이다. 거기에 이어 우리는 4절에서 현상학적 관점에서 볼 때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구별하는 기준이 다름 아닌 태도라는 사실을 해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5절에서 질적연구의 정체에 대한 규정과 관련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Aristoteles의 질적연구 프로그램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질적연구의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해명할 것이다. It is the aim of this paper to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qualitative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one hand, and to show that there are abundant possibilities to carry out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other. In section 1-2, I will delineate the Cartesian research program as quantitative and the Aristotelian one as qualitative. There are some misunderstandings concern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qualitative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refore, in section 3, I will deal with two of them. In section 4, I will show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qualitative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is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attitudes. In section 5, assessing the Aristotelian qualitative research program, I will show that there are truly abundant possibilities to carry out a qualitative research from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