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정남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eer specialist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strategies base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The survery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in the study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the 229 career specialist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in Daegu city. Total of 119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the SPSS/WIN ver. 25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all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specialist teachers system. The clarity of duties of career specialist teachers sould be heightened and the more professional career classes by career specialist teachers should be guaranteed. Second, the level of the expertise of the career specialist teachers should be heightened. Before becoming the career specialist teachers, teachers should meet the guide line to be an expertise of career education. Third, the main tasks of the career specialist teachers were not in the career education. Therefore, there should be the standard on the supplementary classe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진로전담교사제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8학년도 대구광역시의 229개 초등학교에 배치되어 있는 진로전담교사 229명이었으며 모든 진로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연구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사전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의 내용을 필요에 따라 수정하여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 자료 수집은 우편 발송 및 반송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11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집된 설문지는 빈도, 백분율, 평균 등의 기본 통계, 그리고 초등 진로전담교사로서의 역할과 직무에 대한 중요도 및 실제 수행 정도를 통한 Borich의 교육 요구도 분석을 사용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WIN VER. 25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전담교사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진로전담교사 업무의 명확성을 제고하고, 전문적 진로수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먼저 진로전담교사가 되기 전 진로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도록 하는 가이드가 필요하다. 셋째, 진로전담교사의 업무가 진로교육 중심이 아니다. 따라서 진도전담교사 업무가 그들의 전문성이 보장될 수 있는 범위에서 보결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 KCI등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허정철(Jeong-Cheol He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영역 가운데 결정성, 준비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현실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 하위 영역 가운데 탐색행동, 준비행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여대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을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how what influence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terminacy and readiness in the sub-area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lity.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loration and preparatory behavior in sub-area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ch results indicate that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o enhance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 organized research on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is needed and its utilization should be increased.

      • KCI등재

        대학생 진로타협과 진로스트레스와의 관계: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라영안,김경은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dec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stress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this aim, 454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levels of career compromise,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were assessed. We used Baron and Kenny’s mediation test procedure and Sobel test to analyze the data. A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stress. In addition, when demographic variables(age, gender, grade, major field) were controlled, we found the mediational effect of career decision (decidedness, comf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stress. With findings of this study, we offer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충청, 전라, 경상 소재의 13개 4년제 대학의 재학생 45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들의 진로타협,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수준이 측정되었다. 연구 자료는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검증방법과 Sobel Test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진로타협 정도와 진로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나이, 성별, 학년, 전공계열)을 통제하였을 때, 진로타협과 진로스트레스와의 관계에 진로결정수준(결정성, 편안성)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진로 상담 연구 및 실제에서의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상담 수퍼비전 구성요소에 관한 고찰

        최윤정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정서 상담과 구별되는 진로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진로상담 수퍼비전에 대한 구성요소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문헌고찰을 함으로써 진로상담 수퍼비전 구성요소와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첫째, 진로상담의 다양한 관점을 통해 진로상담의 본질적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진로상담 성과 연구와 국내외 진로상담 전문가 역량에 관한 문헌자료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특성들을 검토, 요약하였다. 끝으로,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특성들과 Bronson(2010)이 제시한 진로상담 수퍼비전의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진로상담 수퍼비전 구성요소들을 제안하였다. 구체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상담은 정신건강을 다루는 다른 형태의 상담과 유의미하게 다르면서도 개인 심리․정서 상담에 특별한 전문성이 추가된 상담의 형태로 합의되고 있다. 둘째, 과반 수 이상으로 언급된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특성은 진로발달 이론, 직업 정보 및 출처, 전문가 윤리, 상담기술(개인/집단/진로), 내담자 탐색을 위한 평가 기술, 내담자와 협력적 관계 형성과 유지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한 진로상담 수퍼비전의 구성요소는 (1) 수퍼비전 관계 (2) 상담기술 (3) 사례 개념화 (4) 평가 기술 (5) 직업 정보와 자료의 제공 (6) 개인적 문제와 진로문제의 적절한 조화 (7) 발달 단계별 진로 문제 다루기 (8) 구직활동 전략 (9) 진로상담 윤리의 9가지이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수퍼비전의 역할을 조명하고 향후 진로상담 수퍼비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article contains an overview of components of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for training of career counselor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emotional-social counselors. Discussion also focuses on perspectives regarding career counseling to identify the meaning of career counseling and qualities of effective career counseling to articulate the components of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Results indicate that career counseling is regarded 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forms of counseling and a specialized extension of personal counseling. It is described that the qualities of effective career counseling are as follow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work information and resources, career counselor ethics, major theories and models of counseling, job market information, counseling skills, assessment skills, mak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clients. Based on the qualities of effective career counseling and the component of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that Bronson(2010) introduced, it is addressed that nine components of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are as following; (1) supervision relationship, (2) counseling skills, (3) case conceptualization, (4) assessment skills, (5) information and resources, (6) interconnection between career issues and personal issues, (7) career issues across developmental stages, (8) work search strategies, and (9) ethics for career counselor. Implications for the training of career counselors and research with relation to the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are provided.

      • KCI등재

        특성 불안이 대학생의 진로 미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 : 진로 정체감의 매개효과

        어윤경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is study examines trait anxiety and career identity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Whether trait anxiety has an effect o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would be affected in adults' career indecision are tested. 800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s according to trait anxiety. In particular, even when we consider career identity level, trait anxiety i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level.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career identity mediates between the two variables, trait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 The relation model between trait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 can b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not only career variables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but also career variables from the behavioral perspective.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the career counselor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for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 미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개인의 성격적 특성인 특성 불안과 대학생 시기에 달성해야 할 중요한 발달과업인 진로 정체감을 설정하였다. 즉, 특성 불안이 진로 미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와 특성 불안, 진로 정체감, 진로 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 정체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전국적으로 균등 할당 표집하여 총 800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특성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 미결정 상태에 머무르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연구분야에서 빠뜨릴 수 없는 진로 정체감 요인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 특성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 정체감 형성을 방해하고 이것은 다시 진로 미결정에 이르게 하는데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 정체감은 진로 미결정에 대한 부분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진로 미결정은 향후 개인이 진로준비 행동을 실천하는데 사전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특성 불안, 진로 정체감, 진로 미결정 변인 간의 관계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는 향후 행동측면의 변인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정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진로 미결정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특성 불안을 적절하게 잘 다루어 진로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적절한 개입활동을 통하여 진로결정 수준을 높인다면 향후 진로준비 행동을 실천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부모진로지지와 대학생의 성격요인이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전미리(Mee-Ri Jeon)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ccording to the assumptions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Self-Management model. The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variables set in this study are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personality factors are Extro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448 students (male: 203, female: 245)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ffec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rough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indirectly. Second, personality factor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rough the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be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Extrovert personality factor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for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t is important to improve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in career counseling to promote college studen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Emotional Stability, Conscientiousness,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을 촉진하기 위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인지 진로자기관리모형의 가정에 따라 환경 맥락적 지지, 성격요인,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선택몰입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환경 맥락적 변인은 부모의 진로지지이며, 대학생의 성격요인은 외향성, 성실성, 정서 안정성이다. 부모진로지지와 대학생의 성격요인은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단, 자율성과 심리적 독립이 중요한 대학생들의 특성상 부모진로지지는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를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수도권과 충청권의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448명(남: 203명, 여: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의 진로지지는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선택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 매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경쟁모형이 채택되었다. 둘째,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선택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성격요인은 성실성, 정서 안정성으로 나타났다. 외향성 성격요인은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선택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 촉진을 위한 진로 상담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정서 안정성과 성실성, 부모진로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문대학 진로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분석

        김병숙,정태욱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4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velop career curriculum for junior college students who feel like having their career barrier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order to encourage their employment efficac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evious research was performed. This was consisted of six parts such as career assesment, career aspiration, acquirement of vocational information, interview skill, determination in major, determination in vocation and every session had a pre-class(20minutes orientation by on-line), a major class(2hours lecture by experts), a post-class(1hour group counseling by counseling professors). This regular class was maintained during the one semester which had 16 week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one control group and three experiment groups were involved. After carrying into effect the curriculum, the resul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loyment efficacy for the experiment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psychological trait(career maturity, self-identity, decision-making pattern), the result was different. The employment efficacy for the students who were high level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students who were average and low level. The students who were rational decision-makers got high employment efficacy. Finally, it was verified that the junior college students could be encouraged their employment-efficacy by the career and employment curriculum.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이 직업세계로의 진입에 필요한 취업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문대학생의 취업효능감 증진을 위한 진로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의식조사, 취업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등의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였으며, 진로사정, 진로포부, 직업정보획득, 면접기술, 전공선택확신, 직업선택확신 등으로 구성하였다. 교육과정 운영의 방법은 사전수업(온라인 20분), 본 수업(전문가 특강 2시간), 사후수업(상담교수의 조별 집단상담 1시간) 등으로 진행하였으며 한 학기 16주 정규수업(교양 2학점)으로 운영하였다. 진로교육과정에 대한 효과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먼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사전-사후 취업효능감 향상 효과 검증 결과 통제집단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 3개 모두 취업효능감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성숙, 자기정체감, 합리적의사결정 수준별 취업효능감은 높은 집단이 보통이나 낮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의사결정 유형별 취업효능감은 합리적 의사결정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나타난 결과로 전문대학생 취업효능감을 높이는 데 진로인식에 바탕을 둔 진로교육과정의 방법적 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 진로발달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박소희 ( Park Sohee ),이진실 ( Lee Jinsil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발달의 하위요인인 진로관심도, 진로계획성, 진로효능감, 진로독립성을 중심으로 대학생 진로발달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진로발달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발달 지원방안 모색 시 고려해야할 사항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의 5차∼10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관심도의 종단적 궤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평균적으로 변화하지 않으나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계획성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점이 진로계획성 초기치에, 부모진로 관심도가 진로계획성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도권 대학여부가 진로계획성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효능감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부모진로관심도, 학점, 전공, 성별이 진로효능감 초기치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로독립성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수도권 대학여부가 진로독립성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가구소득은 진로독립성 초기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생 진로발달 지원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change trajectories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career interest, career planning,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indepen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and based on this, it reveals the things to keep in mind when designing a support plan. To this end, the 5th to 10th data of the Youth Panel Survey (YP)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Latent Growth Model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ongitudinal trajectory of career interest does not change on average,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the rate of change of career interest. Second, it was found that career planning increased linearly, and the grade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planning, and parents' career interest had an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planning and the rate of change. Also, whether or no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had an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career planning. Third, career self-efficacy decreased linearly and parents' career interest, grades, majors, and gender had an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the career self-efficacy. Fourth, it was found that career independence increased linearly and whether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had an effect on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career independence, and household income had an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independen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upport plan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적 통제성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

        신선영,송명자,이현림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hich was to improve the self-efficacy, internal control and caree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first, to verify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on the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o verify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on the inter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o verify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est these specific goals,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15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were arranged at random. There were 45 students of D middle school in Daegu.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a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his program was made up 12 sessions(ninety minutes per session).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2.0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was verified with a F-test among the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observing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improved the self-efficac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enhanced the inter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improved the caree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level. Second,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as useful in enhancing the participants' internal control level. Third,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as helpful in improving the participants' career development level.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적 통제성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가설은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은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향상될 것이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내적 통제성은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향상될 것이다. 셋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진로발달 수준은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향상될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K중학교 1학년 학생들로서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내용과 연구목적을 알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4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Sherer, Maddux, Merchandante 등(1982)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검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진로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Crites(1978)의 CMI(Career Maturity Inventory)를 이현림(199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내적 통제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행동과학연구소(1981)에서 제작한 학생용 내적 통제척도를 김이천(1987)이 긍정적 문장과 부정적 문장을 혼용하여 2단계 척도로 수정,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내적 통제성 및 진로발달 수준 향상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를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집단 간 평균 차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을 한 후, Tukey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이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내적 통제성이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셋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진로발달 수준이 비교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이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학생들이 자신과 직업세계를 이해하고 진로를 현명하게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이 생김으로써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진 ( Do Jin Kim ),송성순 ( Seong Sun Song ),최헌철 ( Heon Cheol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4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의사결정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척도, 진로성숙도척도를 사용하여 진로비전스쿨프로그램이 시행되기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약4개월 뒤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첫째,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은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 진학 및 장래의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학생 혼자독립적으로 하는 것보다 진로탐색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상황에 대한 정보탐색 뿐만 아니라 실제적이고 논리적인 의사결정과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성숙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성숙은 어느 한 시점에서 발달하기보다는 이전의 발달단계에서부터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발달을 통해 진로성숙이 이루어진다고 볼수 있으며,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되는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으로 높은 진로성숙도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성숙은 성별 특성 이외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This research purports to investigate how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an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argeting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the preliminary 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measures of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fore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was conducted. After around 4 months, the post test was performed as wel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that first, it has appeared that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outcome has shown that if students join Career Exploration Program in the process of deciding to go to high school or selecting a future career rather than doing it independently, they can make decisions more logically and think more rationally through self-introspection and information on multiple situations.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not influenced career maturity, different from the results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this result, it can be translated that it is hard to expect career maturity with a one-off program by considering that career maturity cannot emerge at one moment all of a sudden but is created continuously from the previous development stage. Second, when it comes to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t has appeared that female students have shown greater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that in male students, but there has be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refore, the program has an effect both on male and female students. Moreover, it can be considered that career maturity is influenced not only by characteristics of genders but also by psychosocial variables each individual 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