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홍순일(Soon-Il H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6 島嶼文化 Vol.28 No.-

          필자는 민속의 관점에서, 도서 · 해양문화의 생태적 생명성, 자연적 적응성, 개방적 다양성, 진취적 의식성에 주목했다. 그리고 바다와 연안에서 조기잡이를 하는 서해 도서민들의 구비전승물을 보고, 해양정서를 살폈다. 그 결과 도서의식 이, 도서적 인식과 해양적 실천의 산물인 구비전승불을 매개로 해양 정서화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작업은 부정적인 해양정서를 긍정적으로 선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보았다.<br/>   1) 구비전승물의 형성과 해양정서의 유통은 어장의 현재적 상황에서 구비 전승물이 구연되고, 이를 통해 해양정서가 구현된다. 그러나 시대 • 지역 · 상황면에서 볼 때 문화소통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서해 도서지역민의 해양정서를 긍정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어장의 현재적 상황’을 인식하는 도서정신의 구현과 해양문화장치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br/>   2)①생태적 생명성의 측면에서, 임경업 장군(위도지역)·최영 장군(추자도지역), ‘재수가 좋다, 재수가 나쁘다’(추자도지역)의 자료는 신앙의 상상을 통해 형성되었는데, 임경업 장군과 조기잡이의 논리적 신격화를 보여주었다.<br/>   ②자연적 적응성의 측면에서, 어장운세(추자도지역), ‘고기는 돈’(추자도지역)의 자료는 의례의 꿈을 통해 형성되었는데,선장과 어장일의 논리적 인격화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③개방적 다양성의 측면에서, 영광군 법성포 · 진도군 의신면의 칠산어장놀이(법성지역)와 띠뱃놀이(부안군 위도지역), ‘법성포 굴비’(법성지역)의 자료는 놀이의 언어를 통해 형성되었는데, 조기 잡는 사람과 조기 파는 사람의 교차적 교류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④진취적 의식성의 측면에서,황도붕기풍어제 배치기(태안군 안면도지역)·조도의 닻배노래[조기잡이노래](진도군 조도지역), ‘물반 고기반’(서남권, 남해 및 제주권) . ‘물 한 말에 고기가 석 섬’(서해권)의 자료는 노동의 소리를 통해 형성되었는데,서남권 조도와 서해권 안면도의 문화적 확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br/>   3) 서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은 해양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구비전승물에서 해양정서가 구현되기 때문이고,구비전승물은 문화소통체계의 구축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특히 도서[섬]중심의 구비전승물은 들[평야] 중심 문화와의 협력과 교류를 가능케 할 것이기 때문이다. The ecological vitality,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open diversity, and the vigorous consciousness in isles/marine culture were watched within the framework of folklore. Further, the marine atmosphere was reviewed in view of oral heritages of people in the isles regions in the Seohae, in other words, the Yellow Sea who catch yellow corvinas. In result, the isles consciousness seemed to be become emotionalized through the oral heritage which is the fruit of isles consciousness and marine practice. In addition, this procedure was expected to be the momentum to transform the pessimistic marine atmosphere to optimistic one.<br/> 1) As for the formation of oral heritages and the circulation of marine atmosphere, the heritage is narrated in the current situation of fisherie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age/region/circumstance, the cultural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seem to be in operation.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isles spirit and the establishment of marine cultural device which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of fisheries' are required to positively activate marine atmosphere of isles people in the Yellow Sea.<br/> 2) )①In a viewpoint of ecological vitality, the documents regarding the general Yim, Gyeong-Up (Wido regions)/the general Choi, Young(Chujado regions), ’fortune’, ’misfortune(Chujado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imagination of religion, which demonstrated the logical deification of the general Yim.<br/> ②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al adoptability, the documents of the fortune of fisheries (Chujado regions), ‘Fish is fortune. (Chujado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a ceremony, which shows the logical personification of the captain and fisheries.<br/> ③ In the sense of the open diversity, the documents of Chilsan Fisheries Festival (Bupseon regions) and the group boating (Wido regions in Buan-gun) at Bupseongpo in Younggwang-gun/Eusin-myeon in Jindo-gun and ’A dried yellow coriva (Bupseong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language of play, which presents the human intersectional interchange between fishermen catching yellow corvinas and people selling yellow corvinas.<br/> ④ In the angle of vigorous consciousness, the documents of Hwangdo Island Bunggi Pungeoje (Anmyeondo regions in Taean-gun)/Datbae song (a song for catching a yellow corvina: Jodo regions in Jindo-gun), ‘Half the water, half the fish’ (southwest regions, Namhae, or the South Sea and Jeju regions)/’Three sacks of fishes in one mal of the water' (the Yellow Sea regions) have been formed through labor songs, which demonstrates the cultural expansion of Jodo in southwest regions and Anmyeondo in the Yellow Sea regions.<br/> 3) The oral heritages in the Yellow isles regions can be said to maintain the marine cultural value, from which marine atmosphere is realiz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communication system is originated. Moreover, especially, the isles (islands)-oriented heritage seems to enable th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a field (a plain)-oriented culture.<br/>

      • 이성교 시 연구

        최도식 한국지역문학회 201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이성교의 시가 강원영동지역의 지역적 특색을 통해 지역적 정체성과 지역의 정서를 내면화하는 시로 보았다. 그의 시는 강원영동지역의 지역적 특색과 특수성을 담고 있다. 또한 그의 시는 우리 민족과 인간 삶의 보편적 정서를 보여준다. 강원영동지역의 지형적 특색은 서쪽으로 높고 험준한 산과 동쪽으로 넓은 바다가 펼쳐져 있다. 영동지역 사람들에게 산과 바다는 넘어야 할 대상이며, 맞서 일궈내야 하는 대상이고 생존을 위한 공간이다. 그러므로 산과 바다는 주체가 극복해야 할 대상이다. 이성교의 시에서 산과 바다는 닫힘과 열림의 이원성을 지닌다. 산과 바다는 만남과 이별이 공존하고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며, 추억과 이상․평안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이성교의 시에서 강원영동지역의 정서는 풀린 마음, 트인 마음, 열린 마음으로 나타난다. 그 마음은 구수한 인심이 경계가 없이 인정으로 이어진다. 한편, 강원영동지역 해안가 사람들에게 바다는 단순히 동경․꿈과 같은 이상적 공간만이 아니라 생존하기 위한 공간, 삶을 영위하기 위한 투쟁의 공간, 현장성의 공간이다. This research emphasized that Lee Sung-gyo's poetry internalize regional identity and local empathy through specific features of Kang Won Young-dong(K, W, Y, D) province. His poetry treats not only certain local feature and speciality in K, W, Y, D province but also universal empathy of human life and Korea people. K, W, Y, D province has both high mountain areas in western and very wide sea in eastern part. These territorial features can be represent hardship to confront local people ,overcome and live together in same area. Therefore, these environment is being to be overcome for living. These mountain and sea has dualism to close and open simultaneously in his poetry. There coexist meeting and departing, past and future, and reminiscences and dreams in these environment. Empathy of K, W, Y, D province shows as sometimes released, correspondent, and open mind in his poetry. This empathy go on as understanding humanity without border in Kang Won seashore people. At the same time, with this empathy they try to struggle and overcome natural environment to survive and live.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정서적 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찬희 ( Lee Chan Hee ),이숙종 ( Lee Sook Jong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1 국정관리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활공간인 지역사회와 학습공간인 학교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청소년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는 그들의 정서적 역량 발달과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선행연구를 배경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3차년도(2012) 자료를 활용해 이들의 관계를 통계적 방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인식,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으로 측정된 청소년이 지각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학교적응과 정서적 역량 모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진로 정체감으로 측정된 정서적 역량은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학교적응 사이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계적 분석결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성장과 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지역사회 사회자본 가운데서는 특히 다문화에 대한 포용적 이해가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청소년의 정서 발달과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양질의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자치단체와 지역주민들의 협력 없이는 구축되기 어렵다. 본 논문은 지역 단위 중심의 청소년 사업 설계와 복지서비스 체계 구축을 통해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와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지역사회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학교 주변과 잘 연계된 지역사회 중심으로 청소년 대상 사회서비스 공공프로그램을 민관협력 방식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imate connection between community and school that is a living space and a learning space for adolescents. The existing studies have demonstrated how residential community life influences adolescents’ emotional competence development and school adaptation,. This study verifies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3rd yea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2012). Our analysis confirms that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perceived by adolescents, measured by community awarenes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has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both school adaptation and emotional competence. Emotional competence, measured by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i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school adaptation.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mmunity social capital influences adolescents’ life in building confident character and growing as a mature person. Among the components of community social capital, open minde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is found to be important. Building a good community where adolescents can live a healthy life requires the cooper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 We propose adolescent social service programs which are centered on a residential area linked to nearby school zones.

      • KCI등재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Jong-Un Kim),신옥순(Ock-Soon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 및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소재한 H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 각 1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정서조절 집단상담을 12회기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정서조절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12회기에 걸친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측정도구로는 정서표현성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 집단상담은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정서조절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초기 청소년의 정서표현성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서조절 집단상담의 모델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on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steem, and aggression of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effect does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ve on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steem and aggression? To proceed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12 children who were joining in the center of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at H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located in Suyeong-gu, Busan, and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Then, researcher divided those students into different study program. Then, this study applied 12 sessions of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group member s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steem and aggression.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in any way. The measurement used in this study are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self-esteem scale and aggression scal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ANCOVA in accordance with SPSS Ver. 21.0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ale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Second,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aggression of male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Third,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self-esteem of male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I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shows that the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helps male children in local child center.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 사례 연구

        윤혜선 ( Hye-sun Yoon ),윤현서 ( Hyunseo Yoon ),이연정 ( Yeonjeong Lee )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2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 대상 해피아트테라피(Happy Arts Therapy:이하 H.A.T.) 프로그램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건강한 심리정서 발달 지원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분석 및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보고하는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2019년 9월부터 프로그램 내용구성을 거쳐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서울시 성북구에 위치한 M지역아동센터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총 54회 시행된 H.A.T.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H.A.T. 프로그램의 내용구성’ 과 ‘H.A.T. 프로그램 경험을 통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주요변화’, ‘H.A.T. 프로그램 평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H.A.T.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특성과 H.A.T.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단계별 목표를 ‘긍정적 대인관계’, ‘정서표현’, ‘정서 조절’, ‘긍정적 자기인식’으로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 주차별 세부 주제 활동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둘째, H.A.T. 프로그램의 경험과정에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주요변화 분석은 시행 초기에 관찰된 아동의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프로그램 시행 과정에서 관찰된 긍정적 변화양상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H.A.T. 프로그램의 단계별 목표를 토대로 ‘대인관계’, ‘정서표현’, ‘정서조절’, ‘자기인식’의 주제별로 분류하여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셋째, 이 연구의 H.A.T. 프로그램 평가 분석은 프로그램 지도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평가, 참여아동의 만족도, 학부모 설문 조사, 프로그램 지도자 평가 및 지역아동센터 담당자 평가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각적 관점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평가 과정을 통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선 사항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건강한 심리정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및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nalysis and effects of art healing programs to support the health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local children's center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Happy Arts Therapy(Hereinafter referred to as “H.A.T.”) program for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This study applied an in-depth case study method that utilizes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tructured beginning in September 2019, and from January 2020 to December 2021, 19 children at M region children's center located in Seongbuk-gu, Seoul participated. A total of 54 H.A.T. sessions were conducted and studied. Through this study, ‘H.A.T. program contents’, ‘Major changes in children of local children’s centers through H.A.T. program experience’, and ‘H.A.T. Program evaluation’ were the focus of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H.A.T. program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hildren's center childre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prior research of H.A.T., the program's step-by-step goals were set a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 self-awareness'. Second, the analysis of major changes in the children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during the H.A.T. program experience process analyzed the psycho-emotional difficulties of the children observed at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and the positive changes observ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Based on the step-by-step goals of the program, the changes were confirmed by classifying them under the them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awareness’. Third, the H.A.T. program evaluation analysis confirmed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from multiple perspective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evaluation of the program leader,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children, the parent survey,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leader, and the evaluation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staff. Also,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program, improvement items were explored to find an effective operational plan for the arts healing program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dopted as useful data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 application methods of art therapy programs that can promote the health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local children's cent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의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이주연,장성예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1

        This study confirms the intervention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affect of children 's perceived risk factors on emotional problems using the data of regional child center pan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panel data of the second regional child center,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424 subjects, The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influence and mediating effec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to analyze the contro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risk factors and emotional problem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problem and ego-resilience. Second,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factors on children 's emotional problem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s personal developmental risk factors and developmen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were factors affecting attention, aggression, social anxiety, depression, and total emotion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risk factors perceived by the child, the higher the level of attention, aggression, social depression, and depression. Third,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affect of perceived risk factors on children 's emotional problems. The results showed that ego-resilience i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factors and emotional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effect was also verified in the sobel test results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Finally,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emotional problems affected by the perceived risk factors of children in the local children 's center. The results suggest that ego-resilience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elopmental risk factors and child 's emotional problems, which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elopmental risk factors and emotional problems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ego-resilience.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동들이 지각하고 있는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2기 지역아동센터 패널데이터의 총 424명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영향력과 매개효과를 검증,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이 지각하는 위험요인과 정서문제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정서문제와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이 지각하고 있는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개인발달적 위험요인과 발달환경적 위험요인이 주의집중,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전체 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위험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문제인 주의집중,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수준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이 지각한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들이 지각하고 있는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도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 결과에서도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이 지각한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이 개인발달적 위험요인과 아동의 정서문제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으로, 개인발달적 위험요인과 정서문제의 관계가 자아탄력성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정서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제공 경험

        양심영,양소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6

        This study explores perceptions and service provision experiences of directors who dealt with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Discussion is focused on how workers should provide emotional support for solving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participant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ematic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uncertainty in definition and category of emotional difficulties. Furthermore participants faced a various spectrum of emotional difficulties and experienced a dilemma, which caused by ambiguous intervention boundary. As for the results, the main themes of emotional support experience were analyzed into ‘ambiguity in emotional intervention of children’, ‘an approach to emotional needs(assessment of emotional needs and direct intervention among children, difficult partnership with parents, community resources network relied on individual competencies)’, and ‘resolve the gap between limitation of reality and systematic emotional suppor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s are elements to effective emotional support in community child centers : clarification of concepts for the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of emotional difficulties; building partnership with parents; development of system for networking community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manuals for emotional problem solving and education and programs for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were discussed in order to develop an integrated support service that could effectively help child’s emotional stability.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정서적 문제에 대처하는 종사자의 서비스 제공 경험을 탐색하고 아동의 정서적 문제해결을 위한 정서지원이 어떠한 방향으로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사용하였으며 8명의 종사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정서문제의 정의와 범주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종사자들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정서문제와 마주하고 있었으며 불명확한 개입의 경계로 인해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정서지원 경험의 핵심주제는 아동 정서개입에 있어서의 모호성, 정서적 욕구에 대한 대응(아동의 정서적 욕구사정과 직접 개입, 쉽지 않은 부모와의 협력, 개인 역량에 의존하는 지역자원 연계), 현실적 제약과 체계적인 정서지원을 위한 간극 해소 방안으로 분석되었다. 효과적인 정서지원을 위해서는 정서문제의 정의와 범주화에 대한 명확화, 부모와의 협력관계형성, 자원연계를 위한 시스템 마련, 정서문제 해결을 위한 매뉴얼과 종사자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정서적 안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통합적인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지역 사회 참여 활동과 지역 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에 대한 연구

        이영원(Youngwon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1

        본 연구는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역사회 관여도와 정서적 유대감을 통해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지역 매체를 포함한 대중 매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관여도가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이나 사교성의 친목활동 모두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유대감에 따른 지역 사회 활동은 사교성의 친목 활동에만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사회 관여도와는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남성 보다는 여성의 지역사회 내에서 사교성 친목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과 친목 활동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중, 장년층의 지역 사회 활동이 보다 다양하고 활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력에 따른 지역 사회활동은 사회, 교육 분야 등 대외적 지역 활동에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 고학력자일수록 개인적 사교 모임 보다는 사회적 목적을 가지는 지역 사회 활동에 대한 참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매체 이용 효과는 지역사회에 관심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사회 활동 면에서는 대외적 지역활동이나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활동이 다양할수록 지역 매체 이용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정서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많았으며, 지역 사회 활동 중에는 사교적 친목 활동이 많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매체 이용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식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SNS 활용도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로운 것은 지역 활동 중 사교성의 친목 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 매체를 포함한 SNS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대외적 지역 활동 보다는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 sense of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and the emotional connection, and on the use of local media, SNS, and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th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emotional connection to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as positiv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higher age,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hich means that the aged group has the diverse and active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higher education, the more 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effects of a sense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media use shows that the mor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local media use. It also shows that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local media use, which means that the diverse local community activities encourage the local media use. In contrast, the higher the emotional connection,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more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effect of the local community interaction on the use of S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정서적 역량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정민회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72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이 정서적 역량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을 청소년의 정서적 역량과 학교적응과 같은 발달과제의 자원이 되도록 적용 가능한 사회복지 실천방법을 찾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2013년 제 4차 한국 아동ㆍ청소년 초등학교 4학년 패널조사 자료인 중학교 1학년 2017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의 정서적 역량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정서적 역량에 유의하고 직접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청소년의 중요한 발달적 자원임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정서적 역량은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여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도움이 되는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향상, 정서적 역량을 높이는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함의와 제언을 후반부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community social capital, adolescents’ emotion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with a focus on mediating the role of adolescents’ emotion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N=2017) in the 2013 Korean Children-Youth Panel Survey (KCYPS). This study found that community social capital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on their emotional competence and that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is important adolescents’ developmental resource. The other founding was that the adolescents’ emotion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causal mode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promote community social capital for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emotional competency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 정체성이 지역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이영원 ( Young Won Le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4 언론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지역 정체성이 지역에 대한 평가 및 태도로 나타나는 지역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 정체성은 지역적 특성과 함께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반영하는 개념으로,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분석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민들이 인지하는 내재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지역 정체성은 지역 애정도와 지역관여도, 지역사회와의 정서적 유대감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역 이미지는 젊고 진취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활기찬 이미지, 전통성과 함께 따뜻한 정감을 포함하는 감성적 차원의 친근한 이미지, 강인함을 바탕으로 한 평가적 차원의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각각 구분되었다.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는 지역사회 활동이 활발할수록 보다 역동적인 지역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의 현안에 대한 논의나 지역사회 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 미래에 대해 평가적 차원에서 긍정적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사회 내에서 지역민과 유대 관계가 깊고 정서적 교류가 많을수록 지역에 대한 감성적 인지성향이 높아져 지역에 대한 친근한 이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 신뢰도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는 활기찬 이미지나 친근한 이미지, 미래지향적 이미지 모두에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감성적, 평가적 차원의 지역 이미지 효과가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local image of the residents according to the local identity which consists of the intera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identity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The study can provide the differential perspective of the local image in terms of the analysis the intrinsic local image of the residents, which is contrary to the analysis of the external local image such as the local symbol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intrinsic local image consists of the young image which implies the enterprising spirit, the traditional image which implies the emotional warmth, and the future-oriented image which implies the strong and vivid spiri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of the local identity and those of the local image are al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the local identity on the intrinsic local image show that the more local activities, the more active local image of the resident. The more involvemen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local activities, the more positive local image in terms of the evaluative dimension. It also shows that the mor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the affective interaction with the residents, the more emotional ties with the residents.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community has the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the all the components of the local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