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사회 대비 지구과학교육의 방향과 지구과학과 핵심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홍석영,곽영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에서 강조해야 할 지구과학교육의 방향과 지구과학과 핵심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30-2040년의 미래사회의 사회・기술・경제・환경・정치(STEEP) 분야별 변화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지구과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핵심개념에 대하여 현직 지구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2건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여 각 미래사회 분야별 변화에 따른 지구과학교육의 방향성과 지구과학 교과의 핵심개념에 대한 응답 빈도와 비율을 살펴보았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응답에서 나타나는 구조적인 관계와 의미 지형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지구과학교육 방향 측면, 미래사회 지구과학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개념, 이러한 핵심개념을 강조해야 하는 이유 등으로 구분하여 지구과학교사들 인식과 요구를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지구과학 교사들은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지구과학교육 방향으로 친환경 및 지속가능발전 교육, 글로벌 디지털 소양 및 시민의식 교육, 과학소양 교육 등을 강조하였으며, 지구과학교육의 일반화된 지식뿐만 아니라 이러한 지식을 탐구하고 활용하는 과정・기능 측면의 교육내용도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지향적인 지구과학교육의 방향성과 핵심개념, 그리고 후속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의 핵심개념 및 성취기준 비교 -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

        이성아,박재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7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에 제시된 지구와 우주 영역을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개념과 원리를 비교하여 해당 영역의 교육내용 구성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또한, 지구와 우주 영역을 다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NGSS의 수행기대를 개정된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비교하여 초등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과 기능을 진술하는 방식의 차이와 한계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지구와 우주 영역의 내용과 기능을 의미 있게 정합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에서 사용하는 영역의 명칭과 하위 요소를 구분하는 방식이 서로 달라 각 영역을 그대로 비교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NGSS에 수록된 내용을 검토한 후, 이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내용 체계에 맞게 재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개념(key concepts)과 성취기준(achievement standard)이 용어 사용의 개념적, 기능적 측면에서 NGSS의 교과 핵심 아이디어(disciplinary core ideas)와 수행기대(performance expectations)에 각각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이들 용어를 같은 개념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천연자원, 판구조론과 대규모의 시스템 상호 작용처럼 NGSS에서는 다루고 있지만,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은 교과 핵심 아이디어들은 NGSS에 수록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에서 공통으로 다루는 핵심개념이더라도 학습 내용의 구성과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NGSS에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수록된 핵심개념의 수와 내용 요소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GSS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핵심개념에 따른 학년별 성취기준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내용 요소 간의 연계와 더불어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 관계, 지구와 인간의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한편, 지구와 우주 영역을 다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의 성취기준을 개정된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지식 차원에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개념적 지식이, NGSS에서는 절차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인지과정 차원에서 NGSS에 나타난 유형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더 다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구와 우주 영역의 교육내용 구성 및 성취기준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김현종 ( Hyun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지구과학 내용 영역과 핵심개념의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국내외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천문 영역 학습 요소 비교·분석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면서 지구과학 교과목에 도입된 내용 영역 및 핵심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British Columbia(BC)주, 일본,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DP) 교육과정에 제시된 천문 영역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지구과학 내용 영역중 학생들이 가장 큰 매력을 느끼는 내용은 천문 영역으로 나타났다. 천문 관련 핵심개념에 가장 큰 흥미를 느낀다고 응답한 고등학생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천체관측 관련 내용이 삭제된 것에 대해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IBDP 교육과정이 가장 많은 양의 천문 영역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캐나다 BC주와 IBDP의 경우, 천문 영역을 독립된 과목으로 개설하며,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일본의 교육과정은 지구과학 과목에서 천문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천문교육강화를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학습 요소와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천문 관련 내용으로 지구과학 일반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영역은 다양한 학문의 배경지식이 요구되며 교과 연계 학습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천문학의 지식체계를 따라 진로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천문교육을 통한 과학소양교육 실현에 초점을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n the area of astronomy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anges in Earth Science core concepts over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stronomy for domestic and foreign Earth Science curriculum. Four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contents presented in Korea, the US, British Columbia (BC) in Canada, Japan,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IBDP)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core concepts of astronomy expressed a lot of regret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 were elimina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Korea and IBDP curriculum deal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earning elements in astronomy. In the case of BC in Canada and IBDP, astronomy wa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curriculums of Japan and Korea dealt with astronomy in the Earth Scienc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with astronomy-related contents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in order to strengthen astronomy education. Since astronom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wa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so that astronomy can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general Astronom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organize astronomy contents for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