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교육의 교육철학적 의미

        金泰希 韓國宗敎敎育學會 2002 宗敎敎育學硏究 Vol.15 No.-

        일반적으로 죽음교육의 논의는 인간의 생물학적 죽음 차원에만 한정짓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죽음교육을 대안이 없는 추락체험을 동반하는 거대한 ‘죽음이미지 증후군’으로서 인식하며, 이런 통찰이 기초가 될 때만이 죽음교육은 홀리스틱한 교육을 살릴 수 있는 지평임을 논한 시론이다. 다시 말하여, 이 글은 근대의 시각에서 매몰된 죽음교육의 지평을 새롭게 드러내고, 근대교육이 가정하는 전제로부터 탈주의 지평으로서 죽음교육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죽음의 지평은 어떠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성찰하는가라는 교육의 해석학적 지평이다. 이러한 ‘죽음의 해석학’은 근대교육을 근대 안에서 바라보는 동시에 근대교육 밖으로 탈주하게 하는 유일한 원점이다. 따라서 죽음교육은 근대문명의 ‘안티테제’로서 교육현실에 대한 사유의 혁명적 전환을 도모하는 관점에 서 있다. 이 탈주의 시공간이야말로 근대에서 금기로 경계지은 성찰의 공감지대이며, 제로섬의 무한경쟁으로부터 인류의 연대로 향할 수 있는 가능성의 지평이다. 이 글의 목적은 근대교육의 구도에 내재되어 있는 근본적 한계성 즉 금기의 공간으로 가리워지고 사장시키는 죽음교육의 세계를 교육의 본질적인 관점으로 현시하는데 있다. 근대에서 죽음은 패배와 소멸의 이미지이며, 이 구도의 이탈 자체는 우리에게 엄청난 공포와 불안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교육의 지평은 금기의 영역으로 벗어날 수 없도록 경계지우며, 아이들을 한 방향으로 몰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죽음은 인류역사상 죽음을 넘어서는 세계를 통해 성스러움을 도약하는 고뇌와 성찰의 공간이다. 근대교육의 구도에서 죽음교육의 현시는 우리로 하여금 근원적으로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새로운 초점을 제시할 수 있다. 죽음교육은 공교육을 새로이 자리매김하는 의미로서 작위적 문명으로부터 인간의 원형성을 찾아나아가는 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복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죽음에 관련한 논의의 중요성은 교육이 소수의 성공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오히려 교육은 죽음의 위기에서 수많은 도약을 발견하는 관점에 서 있다. 죽음의 세계는 근대에서 금기된 시공간이지만, 그 세계는 수많은 역사와 소외된 아이들의 세계를 살려나아가는 교육의 새로운 지평인 것이다. In general, death education is discussed only to the extent of the biological death of human beings. However, this study affirms the death education as a huge 'death image syndrome', an unavoidable experience of falling. This insight becoming the base, the death education will be a crucial factor for the holistic education. This paper proposed a new era of death education which has been forgotten from the modern viewpoint. In addition, it examined the meaning of 'education of death', which plays a role of a new starting out of the modern education. The scope of death is defined by how it is viewed and understood. This 'interpretation of death' makes the modern education understood within the scope of the modern time,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escape from the modern education itself. Accordingly, education on death is an 'antithesis‘ of the modern civilization and innovates ideas on educational reality. This transformative time and space is the shared area of contemplation which has been a forbidden boundary in the modern time. It is a new area of possibility towards the human history of infinite competition. Death Education has been forbidden and buried as a fundamental limit of the modern education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on death from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education. Death is an image of failure and disappearance in the modern time, and the deviation of this structure causes enormous horror and anxiety. In this regard, the scope of the modern education cannot include the forbidden area, driving children only one direction. However, death is a boundary of anguish and contemplation from which a human being overcomes the reality of death and leaps into the sacred world. The realization of death education in the structure of modern education will provide us with an important focus where we can explore a fundamentally important meaning of education. Death Education settles a new area of public education, and restores the original meaning of education, exploring the original humanity out of the artificial civilization.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iscussion on death is that education is not conducted just for a few success-makers. Rather, education is to find out numerous ways to overcome the crisis of death. The world of death is a forbidden area in the modern time, but it is a new starting area of education that can give opportunities of life for numerous children isolated from the human history.

      • KCI등재

        죽음에 대한 인간학적 성찰

        신승환 ( Shin Syng-hw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가톨릭철학 Vol.0 No.20

        이 논문은 인간에게는 필연적이며 절대적인 사건인 죽음에 대해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성찰해 보려는 글이다. 죽음 사건에 대해서는 실존철학뿐 아니라, 종교철학적 관점에 따라서도 끊임없이 논의해왔던 오래된 주제이다. 그럼에도 이 글에서는 구체적인 삶을 살면서 철학 작업을 수행하는 실존적 개인으로서의 문제의식에 따라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이런 논의를 모아보려 시도한다. 그것은 어떤 경우라도 죽음은 개별적 사건이면서, 사유하는 현존재의 가장 구체적이며 내밀한 사건이기에, 철학사적 논의와는 별개로 철학하는 존재로서는 반드시 개별적으로 논의해야할 문제라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우선 죽음 사건의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고, 죽음이 가져오는 절대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 자연적 죽음과 사회적 죽음을 고찰한 뒤, 죽음학에서 거론하는 일반적 죽음의 문제를 살펴본다. 이어 죽음이 있기에 문화적 삶이 가능하다는 논의를 죽음과 문화의 관계를 통해 고찰한다. 이어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죽음의 인간학적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이런 논의를 통해 죽음은 미래의 사건이지만 이를 현재화하는 가운데 인간적 삶과 존재의미가 드러남을 밝히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death, that is an inevitable and absolute accident of the human being. This reflection is formed of the view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This discussion about event of death is going on in the view of existential philosophy and philosophy of religion. Nevertheless the paper is to discuss the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at. The event of death is one of the main philosophical and existential subject of the human being. In all things the death is absolutely individual, concrete and confidential to the human being. Because of that the philosophy has to argument the event of death certainly and existentialy. For the sake of this point this paper will define the concept of death and discuss the absoluteness of death. Secondly it will be explain the natural and social death, successively the general problem of death in the thanatology. Afterwards the relation between death and culture in the view of the cultural life is possible to die. Finally on this argument it will be argument the meaning of death in the point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According this explanation the meaning of the human life is exposed in the present and the meaning of being through to exist of death, even if the death is an future event.

      • KCI등재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

        이명숙(Myoung-Suk Lee),김윤정(Yun-Je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연구는 좋은 죽음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좋은 죽음이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라는 연구 질문으로 시작 하였다.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50명을 대상으로, 2010년 9월부터 2011년 2월 까지 5개월에 걸쳐 ‘좋은 죽음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단일질문에 대해서 인터뷰를 하였다.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내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들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의 하위범주는 ‘배우자와 비슷한 시기에 함께 하는 죽음’, ‘어느 누구에게 폐치지 않는 죽음’, ‘다른 사람에게 좋은 사람으로 기억되는 죽음’, ‘적당한 수명을 누리는 죽음’, ‘명을 다하는 죽음’, ‘내 집에서 맞이하는 죽음’, ‘편안한 죽음’, ‘잠자는 듯한 죽음’, ‘아프지 않는 죽음’, ‘임종과정이 길지 않는 죽음’, ‘준비된 죽음’, ‘삶의 최선을 다하고 맞이하는 죽음’, ‘삶을 즐기고 맞이하는 죽음’, ‘베푸는 삶을 살고 가는 죽음’, ‘신앙 속에서의 죽음’, ‘자손이 잘되는 것 보고 가는 죽음’등 16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 되었으며, 이는 다시 ‘주변사람을 배려하는 죽음’, ‘천수를 누리는 죽음’, ‘내 집에서 맞이하는 죽음’, ‘편안한 모습으로의 죽음’, ‘준비된 죽음’, ‘원하는 삶을 누리다 가는 죽음’ 등 6개의 범주로 묶여졌다. his study has been peformed to identify meanings of good deaths among 350 old people aged 65 from September, 2010 until February, 2011.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good meanings of death based on qualitative study of free format, and their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similar content area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subjects felt that the good death is a dignity death not weighing burdens to others, memorized as a good life, until th end of my life, a death receiving at home, comfortable death, a death like a sleep, with out pain, not long, a prepared process, a death after doing my best, receiving after doing my best, death after offering benevolence to others, within my beliefs, and finally a good death is after seeing good life of my descendent. These 16 free answers were also categorized into 6 meaningful areas such as considering others, at my home, comfortable scene, prepared, and death after living my wanted time.

      • KCI등재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박시내(Park, Sin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4

        오늘날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은 생명경시문제, 교육에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인식되어,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죽음교육이 비교적 소극적인데, 그 이유는 어린이 역시도 죽음과 긴밀한 연관을 가진 죽음에의 존재라는 것에 대한 인식의 부족에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는 어린이를 죽음과 긴밀한 관계를 가진 존재로서 재인식을 통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어린이는 어른과 필연적으로 구분되는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다. 어른과 어린이의 구분은 어린이를 보호하고, 교육받을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의도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어린이가 어른에 비해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는 존재라는 의미는 아니다. 어린이는 그 자체로 전인적인 완전한 인간으로, 단지 발달론에 따라 단계적으로 발달해가는 존재가 아니라, 비약적, 수직적인 성장의 가능성 또한 가진 존재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9살 전후의 어린이는 죽음에 대한 지식적인 의미를 거의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죽음이라는 대상과 실존적으로 만나 고뇌하는 존재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죽음과 긴밀한 관계를 가진 어린이에 대한 이해는, 어린이에게 죽음교육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무엇보다도, 어린이에게 있어서 죽음이라는 문제는, 제도적인 죽음교육을 논하기 이전에 이미 어린이 스스로가 전심전령으로 대면하고 있는 실존적인 과제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In modern society,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s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way to overcome diverse problems in education, and is actively implemented in such regions as Europe, the U.S., and Japan. In Korea however,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s relatively inactive and the reason for this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that children are also mortal beings closely related to death. Armed with this critical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through new understanding that children are closely related to death. First, children are not disparate beings inevitably distinguished from adults. The distinction between children and adults is artificially made in order to protect children and children’s right to receive education, so it does not mean that children are inferior to or more defective than adults. Children are holistic perfect humans in themselves, and are beings not merely developing by stages but also having the possibility of rapid and vertical growth.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children around the age of nine not only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but also agonize over encountering death existentially. Analysis of children proves that the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death and highlights the fact that providing death education for children is not only possible but also necessary. Above all thing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 issue of death is an existential task which children have already faced with all of their heart and strength, long before institutional death education is given.

      • KCI등재

        연구논문 : 죽을 권리와 죽일 권능 -용어의 정리를 제안하며-

        황도수 ( Dos Su Hwang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2013 世界憲法硏究 Vol.19 No.2

        죽음이 운명의 문제로 다가왔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 죽음은 인간의 선택 내지 결정의 문제로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운명으로서의 죽음을 운명의 문제로 인식하였던 시대에 정의되었던 안락사 개념은 더 이상 오늘날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정확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존엄사 개념이 안락사 개념에 더하여 죽음의 문제에 접근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충분한 설명이 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죽음이 인간의 선택 내지 결정의 문제라는 점을 정면으로 인정하는 데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의 전환은 죽음의 문제에 대한해결책을 우리 헌법이 이미 포함하고 있었음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 헌법 제10조에서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진다’라고 밝히고 있는데, 우리 헌법에서 상정하는 인간상은 먼저, 국민들 자신이 스스로 인생관, 사회관을 선택하여 자신의 인생을 결정한다는 것이고, 그 다음에 그 첫 단계를 전제로 하여, 국민들이 사회공동체, 국가공동체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헌법의 가치관에 따르건대, 죽음에 대한 문제 또한 개개 국민들의 개별적 의사결정이 국가의 의사결정에 우선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보는 것이다. 스스로의 결정을 존중하는 것으로부터 죽음의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헌법의 이념과 가치에 부합하는 것이다. 국민 개개인은 죽음의 문제에 대하여 스스로 의사를 결정할 기본권을 가진다고 이해되는 것이다. 이처럼 죽음의 문제에 대한 국민의 권리, 간단히 말해서 죽을 권리가 헌법적으로 인정되고 있다는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죽음에 대한 결정 문제는 크게 죽을 권리와 죽일 권능(?)으로 구분된다고 하겠다. 죽을 권리는 논리적으로 ‘자기 자신이 스스로’의 의사결정에 의한 죽음의 선택‘만을 의미할 뿐이기 때문이다. 죽을 권리는 자기 자신의 생명에 대한 결정이고, 죽일 권능은 타인의 생명에 대한 결정이다. 전자는 권리의 행사인데 반하여, 후자는 국가로부터 수권받은 국가권력의 문제이다. 전자가 보호하는 법익은 인간의 주체성에 근거한 자율성, 내지 의사결정권이고, 후자의 보호법익은 타인의 생명이다. 죽을 권리의 행사는 자살의 문제이고, 죽일 권능의 행사는 타살의 문제이다. 법적인 관점에서, 죽음에 대한 결정 문제는 기본적으로 죽을 권리에 해당되는 영역과 죽일 권능에 해당되는 영역으로 구분되어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이러한 결론에 기초하여, 존엄사 개념은 죽을 권리의 영역에 해당되는 개념이고, 안락사 개념은 죽일 권능의 영역에 해당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Unlike past, death itself became one of the choices of humankind these days. The word ``Euthanasia``, which was defined in the past. does not give appropriate meaning as solving today`s death problems. Lately, The term ``Death with dignity`` was added to euthanasia to approach to problems, but it seems that it could not be explained fully. This passage was started by acknowledging that death is one of the humans right and trying to solve the problems. Change of attitude against death problems are already sited in the Constitutional Law. At Article 10 Constitutional Law, it was cited as “each and every of individuals has their own dignity and value as human”; it supposes that each and every individuals have their own determinations by different views and also they share responsibilities as one of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Law, death problems should also be one of the individuals` right over nation`s right. By Being able to choose their own destiny and approach the death problems, individuals can finally live according to ideology of Constitutional Law. Based on the fact that right to die are guaranteed as fundamental right by Constitutional Law, death problems could be divided in to two big categories: right to die and power to kill. Right to die is matter of ending life themselves, and power to kill is the matter of deciding whether to kill other individuals or not. The former individuals are exercising their own right of dying and the later individuals are execute the power of nation. The former individuals are deciding about their own lives, while the later individuals are deciding other individuals` lives. Right to die is the problem of committing suicide, but power to kill is the problem of murdering other individuals. At the point of view of law, death problems should be separated and treated differently as right to die and power to kill.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passage, death with dignity is part of the right to die; euthanasia should be used as power to kill.

      • KCI등재

        한국에서의 죽음학

        Jun Byung sul(田炳述)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4

        전통적으로 농경사회에서는 자신이 평생을 거처하던 방에서 가족들이 둘러앉아 지켜보는 가운데 임종을 맞이하면서 생을 마감하였고, 장례 의식은 마을의 축제와 같은 분위기를 자아냈다. 마을 공동체는 의례를 통하여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었을 뿐만 아니라 유가족들의 슬픔을 함께 나누어 자연스럽게 상실에 대한 치유의 역할까지 담당하였다. 그러나 태어나고 죽는 과정이 모두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이른바 '죽음의 의료화(Medicalization)현상'하에 병원에서의 죽음은 의료행위의 실패로 여겨지고, 이어지는 형식적인 애도과정은 인간의 존엄성에 근원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또한 남겨진 자는 슬픔을 표현하고 감정을 추스를 틈도 없이 일상으로 돌아오길 강요받는 등 유가족들의 상실과 슬픔에 대한 치유 과정도 생략되어 죽음은 더욱 부정적인 형태로 남게 된다. "이렇게 해서 죽음은 인간으로부터, 사회로부터 추방되었다."는 아리에스의 말이 절실하게 들리는 시점에 '죽음학(Thanatology)'이 등장한다. 현재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Thanatology' 관련 연구와 활동은 상장례 문화의 변화,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중심의 안락사(존엄사) 문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호스피스 완화의료 활동 등 임상중심 혹은 구체적인 사안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죽음학' 혹은 '죽음교육' 관련 저서도 나오고 있지만 대개 번역서 아니면 편저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실천에 있어서도 죽어가는 과정과 죽음 후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어서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 삶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려는 목표에 도달하기 버겁다. 현재 우리 학교와 사회는 분노표출과 폭력이 일상화되고 자살이 만연하고 있는데 그 배후에는 근원적으로 삶의 의미 상실이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삶과 죽음을 아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 예컨대 자살이나 타자에 대한 폭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체 및 생명에 대한 의의와 가치를 이해하고, 남과 소통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삶의 의의에 대한 충분한 함양을 통하여 누구나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쓸모 있는 사람이고 행복한 사람임을 자각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을 해치거나 타인과 사회에 위해를 가하지 않게 되며, 궁극적으로 진취적이고 낙관적인 가치관을 함양하여 타인과 사회 및 자연과 아름다운 관계를 정립할 수 있게 된다. Traditionally in Korean agrarian society, people faced death surrounded by family members. The funeral ceremony was like a festival of the village. Community members not only prayed for the souls of the departed through ceremony but also tried to heal the pain of loss by sharing sorrow of the bereaved. However, because of so-called 'Medicalization of Death', through which both birth and death take place at hospital, death in hospital means failure of medical treatment. The following formal grieving process also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regarding human dignity. Also, the bereaved are forced to come back to everyday life even before they express sorrow and pull themselves together. As proper healing process for the pain of loss and sorrow is omitted, death remains as a negative form. At this point where Aries's remark "In this way, death is exiled from human and society" seems true, 'Thanatology' comes on. Studies and activites regarding 'Thanatology' in Korea at this point deals with clinical or concrete matters such as, change in bier funeral, euthanasia(death in dignity) centered on stopping meaningless lifeprolonging treatment, writing advance directives, and palliative care at hospice. Writings about 'Thanatology' or 'Death Education' are released but most of them are translation or compilation. In addition, social action only centers on the stage of dying and problems after death so it is dificult to achieve the main goal to derive change in life attitude through introspecting death. Right now, anger expression and violence are becoming more of the norm and committing suicide is becoming a rampant phenomenon. The fundamental loss of meaning of life lurks behind all that. Therefore, education that covers both life and death is necessary. 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suicide or violence on other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body and life. They also need to know concrete means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other words, through finding the meaning of life, everyone should feel that they are useful and happy in the society they belong. That way, people do not harm themselves, others, and the society. Ultimately, they can establish beautiful relationship with others, society, and the nature by developing enterprising and optimistic values.

      • KCI등재후보

        흥행영화와 죽음 : 2000년대 전반기 한국 흥행영화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의미작용

        서곡숙 영상예술학회 2009 영상예술연구 Vol.15 No.-

        죽음은 인간의 종말이자 유기체의 완전하고 총체적인 소멸이며 필연적 현상이다. 죽음은 제한적, 유한적인 삶에 아름다움, 존경, 가치를 부여한다. 죽음에 대한 공포는 죽음을 기호, 은유, 상징 등으로 금기시하게 만든다. 죽음에 대한 선행 연구는 철학, 종교, 문학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철학은 서구와 한국의 죽음관, 육체와 정신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고, 종교는 각 종교의 죽음관, 죽음 이후의 세계, 극복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고, 문학은 작품에 드러나는 죽음의식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한다. 본고는 2000년대 전반기 흥행영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죽음의 의미작용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죽음은 이 영화들의 내러티브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죽음의 의식과 의미작용에서는 죽음의 유형, 과정, 방식, 의미, 삶과의 연관성 등이 드러난다. 첫째, 죽음의 유형은 자연적/비자연적 죽음, 내적/외적/거짓 죽음, 비참한/위엄 있는 죽음 등이다. 흥행영화에서 인물의 죽음은 대부분 비자연적 죽음, 외적 죽음, 비참한 죽음이다. 죽는 인물은 대부분 착하고 정의롭고 사랑받는 인물들(=희생양)이거나 혹은 사회의 범죄적 존재에서 정의로운 존재로 변화하는 인물들(=속죄양)이다. 둘째, 죽음 의식의 과정에서 선하거나 정의로운 인물의 죽음은 공동체를 폭력적이고 위태로운 상황으로 만들 때 이러한 상황은 희생양/괴물/왕의 죽음으로 종료된다. 죽는 인물들은 희생한다-자신의 절망이 아니라 사랑하는 타인의 생명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린다. 그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속에서 다른 인물의 사랑과 현존재를 인식한다. 셋째, 죽음에 대한 표현 방식에서는 주인공의 죽음은 느린 템포와 비장감으로 다루어지지만, 그들의 죽음 이후의 결과는 비극적인 결말이 아니라 낙관적인 전망으로 표현되고 있다. 넷째, 죽음의 의미는 폭력성, 인간과 사회 사이의 갈등, 부조리한 삶 등을 통해 개인/집단, 남/여, 전통/근대의 갈등을 드러낸다. 다섯째, 인물들의 죽음은 삶/죽음, 생성/소멸, 체제/남성성의 관계를 통해 유한한 존재인 인간, 생명 경시 풍조, 혼돈된 세계를 보여준다. 이제 죽음은 하나의 가벼운 사건으로 여겨지고 일상화·사물화됨으로써 망각되고 있다. 오늘의 죽음은 죽음의 망각, 의례의 불완전성과 결여, 삶/죽음의 단절, 열린/닫힌 죽음의 대립을 보여준다. 그래서 2000년대 전반기 죽음이 호명되는 이유는 죽음의 변형, 조작, 원한을 진혼제, 희생제의로 풀고자 하기 때문이다. Death is an end of human, perfect and total extinction of organism, and an inevitable phenomenon. Death gives beauty, esteem, and value to restrictive, limited life. Fear of death makes death to be prohibited from expression by a sign, a metaphor, and a symbol. The preceding studies on death have researched in the field of philosophy, religion and literature. In philosophy they have studied on the point of view about death between the West and Korea, the subject of the body and the spirit are studied in philosophy, in religion they have studied on the point of view about death in each religions, the world after death and overcoming death are studied in religion, and in literature they have studied on a death ritual and meaning of death. This study wants to research a meaning operation of death in the Korean blockbuster in the early 2000's. We should be worthy of notice death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ilms. The types, process, modes, ways, meaning of death and relation of life are revealed in the death ritual and meaning of death. The first, the types of death are divided into natural/unnatural, internal/external and miserable/dignified death. In blockbuster the types of death are mostly unnatural, external and miserable death. The characters to die are mostly the good, right and beloved persons(=scapegoats) or the persons to turn criminals into right ones(=victims). The second, good or right characters' deaths make communities violent and critical, these circumstances are ended by deaths of victims/a monster/a king. They get sacrifices-they die not because of despair of themselves but because of the life of person that they love. And they realize love of another person and ‘Dasein(=thrown present being)’ in situations of their fear and horror about death. The third, in the expression modes about death, the protagonists' deaths is represented by the slow tempo and the pathetic mood, but the result after their deaths is expressed not by the tragic ending but by the optimistic prospect. The fourth, the meaning of death shows the conflicts between the individual/mass, the male/female, the tradition/modern by the violence, conflict between the person and the society, irrational life, and so on. The fifth, the death of the characters shows the limit of the human, tendency of contempt of the life and the chaotic world by the relation to the life/death, the creation/ extinction and the system/man. Nowadays the death is thought to be a trifle incident and then it is forgotten. The death shows oblivion of death, imperfection and lack of ritual, discontinuity between life and death, and confrontation between open death and close death. So death is appeared in the early 2000's blockbusters because of sacrifice ritual and a service for the repose of souls about transformation, a fabrication and resentment of death.

      • KCI등재후보

        죽음의 이해 가능성에 관한 철학적 접근

        구인회(Ku In-Hoe) 한국생명윤리학회 2010 생명윤리 Vol.11 No.2

        본 논문은 글로써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피력했던 몇몇 철학자들의 죽음관을 오늘의 시각에서 다시 읽고, 그 속에서 죽음이 무엇이며, 현대의 우리는 죽음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내기 위한 목표에서 시도되었다. 그러한 작업은 죽음에 대한 우리의 시야를 넓혀줄 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해줄 것이라는 기대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죽음의 문제에 관한 단순한 철학적 정리 작업을 넘어서 새로운 시각으로 죽음을 바라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인간이 극복하기 어려운 최대의 문제 중 하나인 죽음의 극복을 위한 철학자들의 노력, 다시 말해 죽음과 더불어 삶을 사는 방법을 찾고자 한 철학자들의 노력을 기반으로 해서 찾아낸 죽음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결국 생명의 길을 찾는 데 있다는 결론이다. 그러나 과연 어떻게 하면 생명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우리에게 하나의 숙제로 남겨져있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works of some philosophers, who expressed their thoughts on the death,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happens during death, and how we can understand death. Such an action expands our view of death as well as our understanding of life. Through this study, I attempt to find a way to see death from a new perspective beyond a simple philosophical approach. Humans have difficulties to overcome death, which i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On the basis of the efforts of philosophers to overcome death, in other words, the efforts of philosophers to find a way dealing with death I propose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end of life, i. e. a way of life. If, however, and how we will be able to find the way of life is still a problem, which we have to solve.

      • KCI등재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권미연(Kweon, Mi-Yu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8 No.2

        오늘날 발달한 의학기술로 인해 우리는 연명치료와 호스피스 · 완화의료 등 죽음과 관련된 의료, 즉 웰다잉(Well-dying)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웰다잉 문제의 핵심은 임종기 환자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죽음의 질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에게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증대와 관련하여 법적, 제도적 과제와 함께 임종기 환자의 죽음교육의 문제를 제기한다. 이 논문은 연명치료 중단과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서 비종교인에 대한 죽음교육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비종교인들이 내세 관념 없이도 평안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죽음의 두려움을 어떻게 극복하는가의 문제이다. 이 논문은 비종교인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문제를 니체와 에피쿠로스의 철학을 통해 살펴본다. 니체는 “삶을 완성시키는 죽음”, “주인으로서 당당하게 맞이하는 죽음”을 위해 이성적이고 자유로운 죽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니체의 죽음관을 통해 연명치료 중단의 철학적 근거를 살펴보고 ‘죽음의 의료화’에 의해 야기되는 현대인의 소외된 죽음에 대해 니체의 사상을 통해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내세 관념이 없어도 죽음에 대해 두려워할 근거가 없음을 논거를 통해 제시하는 에피쿠로스의 철학을 살펴본다. 에피쿠로스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주고, 니체는 죽음이 삶의 끝이 아니라 삶의 완성임을 일깨워준다. 우리는 이 두 철학자의 가르침을 통해 연명치료 중단과 호스피스 · 완화의료를 선택할 때의 정신적 위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철학적 위안이 환자 및 환자 가족에 대한 의미 있는 죽음교육의 근거가 될 것이다. With the advance of medical technology, prolonged life spans and palliative care, people started showing an interest in what constitutes and contributes towards a good death, or “well-dying”. The issue of well-dying concerns not only one’s quality of life, but also the quality of death at the end of one’s life. These issues raise legal and social questions regarding the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and palliative care, as well as death education for terminal patients. This paper deals with the topic of death education regarding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and increased focus on palliative care, for non-religious people. For non-religious people to peacefully accept death without believing in an afterlife, they must overcome their fear of death. This paper examines how non-religious people can overcome their fear of death through Nietzschean and Epicurean philosophy. Nietzsc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ational and free death, in order to “proudly embrace death as one’s own master” and achieve a “death that completes life.” Through such views on death advanced by Nietzsche, we explore the philosophical grounds for the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and formulate an alternative to “medicalized death” that is commonly experienced in our modern world. Furthermore, we scrutinize the Epicurean philosophy that explains rationally why death should not be feared, even if the afterlife does not exist. Epicurus frees us from the fear of death, whereas Nietzsche reminds us that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but rather its completion. Through the teaching of these philosophers, we can find spiritual solace and comfort when opting for palliative care and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This philosophical consolation will form a meaningful basis of death education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후보

        죽음과 노년에 대한 문학적 연구 —김태수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이은경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6

        It is natural and proper to say that one of literature's important purposes is pursuit of social values, even without the need to borrow Hegel's argument that literature is the son of the era. In this era when aging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playwrights should pay attention to senior issues. The problem humans can never overcome is aging and dying, and therefore the topic of aging is not only tiring and but also attractive. However, plays where an elderly person appears as a protagonist and whose main subject is death are very rare. This thesis examined the elderly and aspects of death with the texts in plays written by Kim Tae-soo, a contemporary playwright good at communicating with the audience, such as When the Sun Sets, the Moon Rises, A Flower Carriage Runs and A Famous Actor Hwanggeumbong. These works approach the issue of old age and death from realistic perspectives. When the Sun Sets, the Moon Rises and A Flower Carriage Runs present a controversial topic of dialogue from new perspectives of old age like "recklessly running old person" and "young, elderly person". In order to reflect the reality of old age in a detailed manner, the playwright has new elderly persons who are in contrast with common-sense images of old age appear on the stage. In particular, given that a decade ago when they were created, such senior issues were not raised, they show that his realistic intuition is very excellent. A Famous Actor Hwanggeumbong depicts Hwanggeumbong's lonely life, looking straightly on the problematic reali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 are accustomed to their committing suicides, stricken by poverty, illness and loneliness. All the elderly characters in his works become faced with death. Their aspects of death vary from death from disease to suicide but the playwright's standpoints about the elderly's attitudes toward death are clearly revealed. He understands death with a viewpoint of pancosmic spirit and describes ecological death, thereby presen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death.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life and death are the same; When humans reach death, their capability of sympathy that reveals human dignity expands. Dying of old age is an irresistible scientific principle of the Nature. We only contemplate about our will and choice regarding how to become old and prepare for death. The works by Kim Tae-soo contain the playwright's insight into such contemplations. ‘문학은 시대의 아들’이라는 헤겔의 주장을 빌지 않더라도 문학이 지향해야 할 중요한 목적의 하나가 사회적 가치의 추구라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노령화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 시대에 희곡작가는 당연히 노인과 죽음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인간이 절대로 극복할 수 없는 문제가 나이 들어 죽음에 이르는 것이기에 이는 식상하지만 매력적인 주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노인이 중심인물로 등장하고, 죽음을 소재로 한 희곡작품이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시대 관객과의 소통성이 뛰어난 작가 김태수의 희곡 <해가 지면 달이 뜨고> <꽃마차는 달려간다> <명배우 황금봉>을 텍스트로 노인과 죽음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작품들은 노년과 죽음의 문제를 현실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해가 지면 달이 뜨고> <꽃마차는 달려간다>는 노년을 ‘폭주노인’과 ‘젊은 노인’이란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여 문제적 화두를 던진다. 보편적이며, 상식적인 노년의 이미지와 대비되는 신 노인을 등장시킨 것은 노년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특히 이 작품들이 창작된 10여 년 전에는 이러한 노인문제의 가능성이 제기되지 않았다는 것을 고려하면 작가 김태수의 현실적 직관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또 <명배우 황금봉>에서는 황금봉의 외로운 삶을 그려 독거노인의 문제적 현실을 직시한다. 가난과 병, 외로움으로 지친 독거노인의 자살은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사건이다. 그리고 작품 속 노인들은 모두 죽음과 마주한다. 병사, 자살 등 양상은 다르지만 죽음에 대처하는 노인들의 태도에 작가의 관점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죽음을 범우주 영혼관으로 이해해 생태적 죽음을 그린다. 이로써 죽음에 임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제시한다. 생태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삶과 죽음은 하나이며, 죽음에 이르러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드러낼 수 있는 공감능력이 확장된다. 늙어서 죽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자연의 순리이다. 단지 어떻게 늙고, 어떻게 죽음을 준비해야 하는 지에 대한 의지와 선택의 문제가 중요하다. 김태수의 작품 속에는 이러한 고민에 대한 작가의 통찰력이 담겨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