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의 존재론적 증명 비판의 전개과정

        최소인(Choi, So-In)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칸트는 그의 초기저작인『새로운 해명』에서 이미 데카르트에 의해 수행된 전통적인 존재론적 증명을 비판한다. 이 저작에서 칸트는 크루지우스의 실재론의 영향 아래 라이프니츠-볼프의 합리주의로부터 거리를 두기 시작하며, 존재와 인식, 현존과 본질을 구분한다. 칸트는 실재적 근거와 논리적 근거를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존재론적 증명을 반박한다. 그러나 현존과 본질의 온전한 구분은 그 이후 저작인『유일하게 가능한 증명 근거』에서 비로소 완성된다. 여기서 칸트는 사물의 현존과 사물의 규정을 구분하면서, 주어와 술어의 관계를 정립하는 규정의 정립과는 달리 현존을 절대적 정립으로 설명한다. 현실성의 정립인 현존은 사물의 규정에 관계하는 순전한 가능성(사유가능성)을 넘어서는 것이며 가능성과는 전적으로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순전한 사유가능성으로부터 결코 현존이 추론될 수 없다. 이런 근거 위에서 칸트는 순전한 신 관념(신의 사유가능성)으로부터 신의 현존을 추론해내는 존재론적 증명을 비판한다. 이러한 비판은『순수 이성 비판』에서 이루어진 존재론적 증명에 대한 비판의 원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가능한 증명근거에서 칸트는 순전한 가능성이라는 지성 개념으로부터 신의 현존을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유일하게 가능한 증명으로 소위 선천적이며 종합적인 신 존재 증명을 제시한다. 비록 크루지우스의 영향을 받아 볼프의 독단주의로부터 벗어나기는 했지만 칸트는 이 당시에는 아직 지성계를 인식 가능하다고 생각했으며 경험적인 자연 세계의 근거를 지성계에 두었다. 『순수 이성 비판』에 와서야 비로소 칸트는 자신의 비판 사상을 완성하며 지성계에 대한 인식불가능성을 확정한다. 칸트의 비판사상이 완성된『순수 이성 비판』은 신 존재에 대한 모든 종류의 사변적 증명을 불가능한 것으로 확정하며, 오직 도덕적 차원에서의 신 존재증명만을 가능한 것으로 남겨둠으로써 신 존재 증명을 둘러싼 칸트의 고유한 사상이 완성된다.

      • KCI등재

        독자 현존재의 본래성 탐구

        김예진 ( Kim Ye-j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2

        이 연구는 Martin Heidegger의 존재론을 토대로 독자 현존재(Dasein)의 본래성을 탐구한다. 본고의 목적은 실존으로서의 유의미한 읽기를 실행하는 독자의 모습을 고찰함으로써 읽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간 현존재는 자신의 각자적인 본래성을 실현하는 현존재로 존재하기도 하며,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지 않고 비본래적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독자 현존재의 비본래성은 텍스트 읽기에 있어 다른 사람들의 통제를 받으며 세간적인 가치를 좇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비본래성에 제한된 독자는 첫째, 평균성에 의존함으로써 균등화를 출현시킴으로써 존재의 고유한 유의미성을 상실한다. 둘째, 공공성을 모든 가치의 기준과 척도로 삼아 빈말을 행한다. 셋째, 독자는 자신의 존재가능성을 망각하고 호기심에 탐닉하게 된다. 비본래성으로 인하여 독자 현존재는 텍스트 이해 내용과 이해 능력 면에서 획일화되며, 자신의 고유한 존재가능성와 관련 없이 텍스트 의미를 구성하거나 왜곡한다. 본고는 독자가 비본래성에서 벗어나 본래성을 실현하는 탈바꿈에 초점을 둔다. 독자 현존재의 본래성은 텍스트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 존재를 이해하고, 자신의 고유한 존재가능성을 기투하여 실존하는 데 있다. 본래성을 실현하는 독자는 첫째, 자신의 존재가능성을 텍스트 의미 생성의 기준으로 삼는다. 둘째, 텍스트 이해 과정에서 자신의 존재가능성을 자각한다. 셋째, 텍스트 의미 생성을 통해 존재가능성에 대한 마음씀을 실천한다. 결론적으로, 독자 현존재의 읽기 목적은 본래적으로 자기 존재의 이해에 있다. 의미의 공속적 생성 과정으로써 독자 현존재의 본래성은 실현될 수 있다. 독자는 자기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텍스트 존재 의미를 생성하여 은폐되어 있던 존재를 드러내고 기존의 세계로부터 초월한다. 즉, 독자는 자기 존재를 이해하기 위하여 읽기를 수행하며, 텍스트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능성을 깨닫고, 실존하기 위해 초월을 실제 삶 속에서 실행함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형성하며 변화한다.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Martin Heidegger is about the reader as the Authentic Das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by studying reading which is an existential performance. As the Dasein, the reader's authenticity is realizing his or her respective “being”. The reader's non-authenticity is in being controlled by others in reading texts and pursuing public values. First, equalisation emerges by relying on averaging. It makes the reader lose significance about his or her being. Second, publicness emerges as a criterion and measure of all values. The reader imitates others in reading without connection with being. Third, the reader forgets one’s being and indulges in curiosity. Therefore, readers are uniformed in text comprehension, constructing or distorting the meaning of the text regardless of their uniqueness about their be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reader who realize his or her authenticity of reading. Readers's authenticity lies in existing by understanding themselves in relation with texts. First, their respective possibilities about being are the criterion for generating meaning in reading. Second, they realize their possibilities about being in the process of meaning generation. Third, they try to actualize their possibilities about being.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reading lies in understanding reader-self about being. The reader's authenticity as the Dasein is a process of pursuing the Altetheia. By understanding the text in relation with himself or herself, the reader reveals the meaning of the text which was concealed. Reading is for understanding reader-self about being. The reader realizes his of her possibility about being and performs a new world by changing himself or herself as the transcendence.

      • 쿠키 슈죠의 우연성의 존재론과 하이데거 비판

        서동은 ( Suh Dong-uh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존재론 연구 Vol.36 No.-

        쿠키 슈죠(Kuki, Shuzo,1888-1941)는 자신의 저서 『우연성의 문제』에서 서구의 전통적인 필연적 존재론의 구조에 상응하는 우연성의 세양상 곧 논리적 우연, 경험적 우연, 형이상적 우연을 서술하면서 서양의 전통을 지배했던 필연성 및 가능성의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해체하고 있다. 쿠키에게 있어 존재란 없어질 무(無)에 직면하여 매순간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개별성(Hecceitas)의 특징을 갖는다. 서구의 사상사에서는 이러한 우연의 존재가 자주 필연으로 인식되고 해석되기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인식론의 토대에는 동일률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필연성의 존재론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쿠키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필연성의 존재론과 구별되는 가능성의 존재론으로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쿠키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쿠키의 시도는 하이데거의 사상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흥미로운 것은 쿠키의 하이데거 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하이데거가 시도한 해체(Destruktion)에 입각하여 수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쿠키는 자신의 우연성의 존재론에 입각해서 현존재, 불안(Angst), 현존재(Dasein), 시간성 (Zeitlichkeit) 및 역사성(Geschichtlichkeit)에 대한 하이데거의 개념을 해체(Destruktion)하고 있다. Kuki Shuzo(九鬼周造,1888-1941) in The Problem of Contingency deconstructs the ontology of necessity and possibility, which has dominated the Western tradition of thought, by describing the three modes of contingency such as logical contingency, empirical contingency and metaphysical contingency, which correspond to the Western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ontology of necessity. For Kuki, being has a feature of hecceitas, which individually exists at every moment before the vanishing nothingness. The Western history of thought is a history of confusion, which has mistook such a being of contingency for that of necessity, because the law of identity lies at the foundation of its epistemology. In critically discussing on the ontology of necessity, Kuki highly evaluates Heidegger’s ontology, for his philosophy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ontology of necessity. However, Kuki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his ontology. In this context, Kuki’s critique is very meaningful in evaluat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Heidegger’s thoughts. What is interesting is that Kuki’s critical examination of Heidegger is carried out by Heidegger’s deconstruction(Destruktion). Overall, from his ontology of contingency, Kuki tries to deconstruct Heidegger’s main notions such as Dasein, anxiety(Angst), time(Zeitlichkeit), and historicity(Geschichtlichkeit).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개념을 언어분석적으로 해명

        이정일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2 No.1

        Every student of St. Thomas Aquinas is impressed by the distinction he draws between the way things are and the way we think and speak of them.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is what Thomas means by Platonism ; their distinction lies at the basis of his epistemological realism. It is the distinction that he has in mind in order to justify the real distinction between existence and essence. If existence is not predicated in existential propositions this is because predicates are concepts. and there is no concept of existence. What then is being asserted in existential judgements? However, existence, the core of being reached at the very outset of the intellectual life, can be attained in the judgement when we return the abstracted essence to its existence. Our act of judging reflects in its structure the structure of reality where essence is composed with existence. Thomas assigns three meanings to esse : it can mean essence, the actuality of essence, the truth of a proposition. There is no point in speaking of existence as a predicate. If existence can only be conceived in a conception of an existential judgement (which does not involve a conceptus of existence), any talk of the predication of existence would be concerned with the predication of a proposition. Thus far we have considered the nature of the existential proposit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an interpretation of Thomas Aquinas which claims that existence cannot be a predicate because it cannot be conceived. Existence, on this view, is attained intellectually only in the judgement. Being is known in our judgement as the ground of truth because proposition truth depends on the real actuality of being. Transcendental turn and linguistic turn cannot explain why truth should follow the principle of actuality of esse. 존재는 우리 지성 안에 가장 자명한 것으로 알려진다. 존재는 명제진리의 현실적 충족근거다. 지성은 판단을 통해 존재를 진리로 알아듣고 수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념의 추상화 능력은 존재 현실성에 대해 가능적인 관계에 있게 된다. 지성의 존재에 대한 참여는 가능적으로 규정되는 개념이 그것을 앞서가는 근본 현실성에 대해서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방식으로만 그 타당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이다. 이 점에서 현실태의 가능태에 대한 관계는 존재가 규정하는 술어의 진리충족으로 드러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토마스는 이것을 지성의 존재에 대한 참여로 규정한다. 언어철학과 선험철학은 이런 토마스의 관계를 주관성의 지평에서 전도시키고 있다. 하지만 오늘의 언어전회는 존재론적 방향전환을 통해 결국 규정하는 술어의 진리연관을 존재에 기초지음으로써 존재론적 방향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이 세 입장간의 근본 관계를 재조명하지 않을 수 없다. 진리는 존재의 근원 현실성에 기초한다. 개념의 술어화하는 규정은 존재현실성을 판단을 통해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이 목적의 완성은 결국 개념화하는 술어의 대상관련과 규정충족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그렇다면 존재의 근원현실성은 지향성의 근거로서가 아니라 진리충족의 제일근거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 이 관점에 입각해서 토마스는 개념의 술어화 규정을 존재현실성에 대한 참여로 정당화하고 있다. 칸트는 가능성 현실성 관계를 주관적 전회를 통해 마련했지만 진리차이의 가능성이 어디서 유래하는 가를 충분히 밝히지 못했다. 언어전회 역시 칸트의 지평에 있는 한 이 오류를 극복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진리문제를 의미문제로 환원하려는 본래의 입장을 수정해서 결국 존재론적 방향전환을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 KCI등재

        존재부정 진술의 발화 진리조건과 양상적 내용의 구분 -크리민스의 얕은 척하기 이론에 대한 부분적 옹호-

        이풍실(Lee, Poong Sh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2 No.-

        크리민스는 얕은 척하기(shallow pretense) 이론을 통해서 존재부정 진술의 의미를 설명한다. 이에 대한 강력한 반론 중 하나는 존재부정 진술의 양상적 내용에 관한 비판이다. 크리민스의 이론이 옳다면 존재부정 진술은 그 진리조건 때문에 우연적으로만 참일 수 있다. 그러나 크립키에서 시작된 고유명의 고정지시에 대한 다수 입장에 의하면 존재부정 진술은 참이라면 필연적으로 참이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크리민스는 존재부정 진술이 갖는 발화진리조건과 양상적 내용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크룬은 이러한 구분이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크리민스의 구분은 자의적인 것이 아니며 충분한 근거를 갖고 있다. 본 논고에서 이러한 크리민스의 구분은 존재에 관한 양상적 진술이 표현하는 인식적 가능성과 형이상학적 가능성의 구분의 필요성을 통해서 옹호된다. 또한 리차드는 존재부정 진술에 대한 크리민스의 설명이 이상한 귀결을 낳는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이 비판 역시 성공적이지 않음이 논증된다. Crimmins accounts for identity statements, negative existential statements, and belief ascription utterances in terms of his notion of shallow pretense. In this paper, I argue that he can fend off the existing two objections raised against his account of negative existentials. The first objection is concerned with the modal content of a negative existential statement. If Crimmins’ theory is correct, then a negative existential statement can be true only contingently. However, to the extent that we hold the Kripkean view about rigid designation, such a statement must be necessarily true, if it is true. In response, Crimmins argues that the problem can be dealt with by distinguishing modal content from utterance truth-condition. Kroon claims that the distinction is ad hoc. However, I argue that Crimmins’ suggestion is reasonable because we need to discern epistemic possibility from metaphysical possibility. Secondly, Richard argues that Crimmins’ theory yields an incredible implication. I argue that this consequence is innocuous.

      • 인간 존재, 가능성 그리고 시간

        조형국(Cho, Hyung-Kook)(번역)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6 철학과 문화 Vol.12 No.-

        What does it mean human being? What is we regard human as possible being and temporal being?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being of Dasein in M. Heidegger and the narrative(imagination) in P. Ricoeur. According to Heidegger, the being of Dasein is Care(Sorge). Heidegger expressed the characteristic of human life as Care. This means that the way of being of Dasein is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lies in its “to be”. Also human as existence can anticipates toward death. At this point, human are disclosed as temporal being. And so, Heidegger analyzed temporality as the ontological meaning of care. These temporality of human life is expressed through his or her narrative. Therefore, in his book, Time and narrative, Ricoeur argued that human live not physical time, but narratived time. While human can live in time, he or she makes narrative of their own life. The narrative of one's life becomes the text of his or her life. The intention of these two actions is hermeneutics of the self. The final destination of hermeneutics of the self is self-understanding. 인간으로 존재함은 무엇을 뜻하는가? 인간을 가능적 존재로 이해 하고 시간적 측면에서 인간존재를 탐구함은 무엇을 말하는가? 반호저(K.J. Vanhoozer)는 이 글에서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과 리쾨르의 가능성과 상상력 개념을 통해 이 두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의 존재는 염려이다. 하이데거는 인간의 삶의 현상(드러남, 나타남)을 염려라고 표현한다. 이것은 인간의 거기에 있음(Dasein)이 실존(Existenz)이라는 말이다. 그리고 실존의 의미는 그의 ‘존재해야 함’에 있다. 실존으로서의 인간 존재는 앞서 결단함을 통해 본래적 삶을 살 수 있다. 특히 인간 현존재는 죽음에로 미리 앞서 달려가 볼 수 있는데, 이 점에서 인간은 시간적 존재로서 폭로된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시간성을 염려의 존재론적 의미로서 분석한다. 인간은 시간의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간의식은 (인간)자신의 세계-내-존재로서의 가능성과 상상력(이야기)을 통해 드러나게 마련이다. 그래서 리쾨르는『시간과 이야기』에서 인간은 물리적 시간이 아닌 이야기된 시간을 산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은 시간 속에 살며,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자신의 삶의 이야기는 바로 자신의 삶의 시간의 텍스트가 된다. 이러한 인간 현존재의 삶의 이야기 만들기 혹은 쓰기는 다름 아닌 ‘자기의 해석학’이다. 자기의 해석학의 최종목표는 자기 이해이다.

      • KCI등재

        인간, 죽음을 향한 존재: 하이데거의 죽음 이해

        양명수(Yang Myung S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5

        무가 되는 죽음은 삶의 한계이기보다는 오히려 삶의 의미를 충만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이데거는 죽음의 실존론적 의미를 중시한다. 죽음의 의미는 존재 가능에 있다. 무연관적인 자기 곧 무아가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이다. 내가 사라진 존재의 가능성이 죽음으로부터 열어 밝혀져 있다. 내가 사라진 나의 존재는 말하자면 무아(無我)이고, 거기서 참나(眞我)의 가능성이 열린다. 인문주의는 공동체 속의 자아를 염두에 두고 참사람이 되기를 요구하지만, 하이데거는 참사람이 아닌 참나를 지향한다. 인간화가 아닌 개인화를 주장한다. 나는 이미 무아의 가능성으로 나를 이해하고 있고, 결단을 통해 가능성을 가능성으로 만든다. 그러나 완전하게 무아가 되어 참나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때때로 우리가 무아를 경험할 수는 있지만 완전하게 무아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무아의 현실성은 언제나 가능성으로서 확실하게 증언되지만, 오직 가능성일 뿐 실현은 불가능하다. 내가 있으면서 내가 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불가능한 가능성이다. Death which leads life to nothing is not just the end of life but reveals the meaning of life. Heidegger’s point is the existential meaning of life, for which the biological death serves as momentum. The meaning of death consists in the possibility of Being. Unrelated self or non-self is what Heidegger calls as Being. Being without I, identified with authentic self, is revealed though and from death. It does not concern moral humanization or true man but amoral individuation or the true self that matters in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I already comprehend my self as the possibility of non-self and makes the possibility possible through resolution. However, the totality of non-self is impossible. We can instantaneously experience the non-self but becoming totally non-self is impossible. Reality of non-self is always attested as possibility with certainty but its total realization is impossible. This is because I must turn into non-self, while remaining my self. In this respect, the non-self is impossible possibility.

      • KCI등재

        지속가능성 모형의 철학적 의미와 쟁점 - 가치론, 존재론, 인식론을 중심으로 -

        장석길 ( Jang Seok-gil Denver ) 한국환경철학회 2021 환경철학 Vol.- No.32

        오늘날 국제 사회에 널리 확산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개념의 가장 큰 특징은 다의성(多義性)이며, 단일 관점 또는 단일 모형으로는 그 의미가 명료하게 파악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인다. 하지만 지속가능성은 현재 지속가능발전의 형태로 실천적 영역에서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발전 이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따라서 지속가능성 개념의 의미에 대해 공동의 합의를 위한 철학적 기반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의 개념적 틀인 지속가능성 모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성 개념을 가치론, 존재론, 인식론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종합하여 지속가능성의 실현을 위한 철학적 함의를 제시한다. 이는 지속가능성의 틀 안에서 인간사회와 자연의 관계를 재구조화하고, 현세대와 미래 세대의 수요를 균형적으로 고려하기 위한 이념적 근거를 시사한다. The best feature of the sustainability concept, which has been widely spread internationally, is equivocality. It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its meaning from a single point of view or a single model regarding sustainability. However, in the way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ility has been applied as a development ideology and policy agenda representing modern society. Thus, a philosophical basis for a common consensus on the meaning of the sustainability concept is urgent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sustainability concept in aspects of axiology, ontology, and epistemology, based on a sustainability model, which is a conceptual framework of sustainability, and to provide philosophical implic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ility. This could contribute as an ideological basis for restruc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ociety and nature within the framework of sustainability, and considering the needs of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in a balanced way.

      • KCI등재

        쿠키 슈죠의 우연성의 존재론과 하이데거 비판

        서동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6

        Kuki Shuzo(九鬼周造,1888-1941) in The Problem of Contingency deconstructs theontology of necessity and possibility, which has dominated the Western tradition ofthought, by describing the three modes of contingency such as logical contingency,empirical contingency and metaphysical contingency, which correspond to the Westerntraditional structure of the ontology of necessity. For Kuki, being has a feature ofhecceitas, which individually exists at every moment before the vanishing nothingness. The Western history of thought is a history of confusion, which has mistook such abeing of contingency for that of necessity, because the law of identity lies at thefoundation of its epistemology. In critically discussing on the ontology of necessity, Kukihighly evaluates Heidegger’s ontology, for his philosophy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traditional ontology of necessity. However, Kuki also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hisontology. In this context, Kuki’s critique is very meaningful in evaluating the historicalmeaning of Heidegger’s thoughts. What is interesting is that Kuki’s critical examinationof Heidegger is carried out by Heidegger’s deconstruction(Destruktion). Overall, from hisontology of contingency, Kuki tries to deconstruct Heidegger’s main notions such asDasein, anxiety(Angst), time(Zeitlichkeit), and historicity(Geschichtlichkeit). 쿠키 슈죠(Kuki, Shuzo,1888-1941)는 자신의 저서 『우연성의문제』에서 서구의 전통적인 필연적 존재론의 구조에 상응하는 우연성의 세양상 곧 논리적 우연, 경험적 우연, 형이상적 우연을 서술하면서 서양의 전통을 지배했던 필연성 및 가능성의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해체하고 있다. 쿠키에게 있어 존재란 없어질 무(無)에 직면하여 매순간 개별적으로 존재하는개별성(Hecceitas)의 특징을 갖는다. 서구의 사상사에서는 이러한 우연의 존재가 자주 필연으로 인식되고 해석되기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인식론의 토대에는 동일률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필연성의 존재론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쿠키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필연성의 존재론과 구별되는 가능성의 존재론으로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쿠키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쿠키의 시도는 하이데거의 사상의역사적 의미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흥미로운 것은쿠키의 하이데거 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하이데거가 시도한 해체(Destruktion)에 입각하여 수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쿠키는 자신의 우연성의존재론에 입각해서 현존재, 불안(Angst), 현존재(Dasein), 시간성(Zeitlichkeit) 및 역사성(Geschichtlichkeit)에 대한 하이데거의 개념을 해체(Destruktion)하고 있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사이존재로서의 인간과 불안

        하일선(Ha Il Seon)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1

        궁극적으로 이상적인 다문화사회를 지향하는 본 연구는 기존해 있는 다문화교육에 관한교육철학연구의 대표적 흐름을 타자물음과 상호문화교육으로 구별하였다. 현상학적 논의를 통해 타자존재에 대한 이해와 회복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국외의 연구들과 함께 서구 형이상학의 역사에서 동일성(Identitaet)을 진리로 구조화한 인식론 및 이를 계승하는 관념주의, 주체주의, 합리주의 등을 해체(비판)하는 방법으로 타자존재를 논의하는 국내의 연구방향을 타자물음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커다란 틀에서 다문화사회의 핵심적인 주제를 문화와 문화의 문제혹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관계로 파악하고 다문화 교육에 이론적 근거와 구체적 목표 및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연구방향을 상호문화교육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타자물음과 상호문화교육이 간과하고 있는 21세기 사이의 세기에 살고 있는 인간이 직면한 보편적 현상인 불안으로부터 접근하고자 한다. 교육을 가르침과 배움이라는 사건의 발현으로 이해할 때 가르침과 배움의 주체인 인간에 대한 이해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교육철학분야에 불안이라는 현상을 연구 과제로 요구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사이존재로서의 인간의 존재 규정으로부터 불안을 이해하고자 하므로 스스로를 사이물음이라칭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물음은 인간의 존재를 사이존재로 규정하였을 뿐 아니라 사이를불안의 근원으로 규명함으로써 불안을 인간의 실존적 보편 현상으로 설명한 키에르케고어의인간이해를 연구 대상으로 정하였다. 특히 그의 실존, 사이존재, 관심, 불안 등의 개념을 탐구함으로써 21세기 인간을 규정하는 사이존재와 이러한 인간이 실존적으로 직면한 보편적 현상인 불안을 존재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와 문화 사이의 배타, 지배 등을 나(자아)와 너(타자) 사이의 낯섦에서 생겨나는 불안으로부터 이해하고, 다시 이 불안의 근원을 존재(유, 있음, 삶)와 비존재(유, 없음, 죽음) 사이의 불안 즉 ‘이 세상에서 영원히 존재하고자 하는 열망’ 혹은 ‘이 세상에서 아무도 아닌 자(실패자)가 되지 않으려는 절망’으로 드러내고자하였다. 그럼으로써 입시교육 혹은 입시전쟁 그리고 나아가 승자독식, 학벌주의 등의 사회문제 역시 다문화교육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하는 과제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dem 21. Jahrhundert, das man das Jahrhundert des Zwischen benennt, stehen dem Menschen sowohl die allerei Möglichkeiten als auch die Angst als das existentielle Phänomen des Menschen entgegen. Diese Untersuchung nimmt den Anfang an diesem Phänomen der Angst, die sich in diesem globalisierten Zeitalter überall spürbar zeigt. Und dennoch fehlt es den leitenden Untersuchungen der interkuturellen Erziehung an der Aufmerksamkeit auf der Angst des Menschen. Die Aufgabe der interkuturellen Erziehung kann sich nur dem Menchen nah bringen, wenn dem Menchen die Möglichkeit sich öffnet, die Angst zu verstehen und überwinden. Diese Untersuchung erörtert den Begriff der Existenz bei Sören Kierkegaard, der sie nichts anderes als durch das Zwischen-Sein charakterisiert und weiter hin das Zwischen den Ort der Angst erklärt. Bei Kierkegaard ist der Mensch das Da-sein, das in seinem Sein durch das Zwischen (Da) bestimmt ist. Und diese Bestimmtheit durch das Zwischen (Da) bedeutet nichts anderes, als dass der Mensch sich selbst in der Existenz versteht, in der er durch das wesentliche Zwischen, nämlich durch das Zwischen zwischen Selbst und Anderem und durch das Zwischen zwischen Sein und Nichts bestimmt ist. Das Hauptanliegen dieser Untersuchung liegt darin, die Möglichkeit sich zeigen zu lassen,, womit sich das Zwischen zwischen Selbst und Anderem bei dem Menschen als die Nähe erschliesst, für die sich die Angst als das Sinnesorgan konstituiert indem sie den Menschen als den nach dem Sinn des Seins seiner selbst Fragenden begreif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