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추산도”와 “늪지”에 나타난 예술의 상대성과 절대성을 중심으로

        임만호(Manho 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논문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문학에서 지향하고자 했던 예술의 미적 가치에 대하여 작품 “추산도” 와 “늪지”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추산도”에서는 그림 ‘추산도’에 대한 시대와 장소라는 선입관의 유무에 따라 걸작에서 졸작으로 전락하는 예술의 상대성을, “늪지”에서는 그림 ‘늪지’에 대한 시간과 장소라는 선입관에도 불구하고 걸작이라고 평한 예술의 절대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예술의 절대성은“노로마인형”에서도 비유적으로 나타나는데, 비록 작품 외연 상 예술의 상대성이 서술되었다고는 하나, 노로마인형극 교겐 내용에서 말한 ‘진귀한 보석’은 보석의 특징상 영원불변의 성질을 가진다는 점에서 예술의절대성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추산도”의 ‘괴이한 추산도’, “노로마 인형”의 ‘진귀한 보석’ 그리고 “늪지”의 ‘황홀한 비장의 감격’은 아쿠타가와 문학의 미적 가치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aesthetic value of art in the literature of Ryunosuke Akutagawa, focusing on the works “Autumn Mountain” and “Swamps.” “Autumn Mountain” shows the relativity of art, in which a painting can go from being a poor work to a masterpie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one has preconceived notions about the time and place of the painting, while “Swamps” shows the absoluteness of art, in which a painting is considered a masterpiece despite having preconceived notions about the time and place of the painting. This absoluteness of art also appears figuratively in “Puppet of Noroma” and although the relativity of art is depicted in the work, it can be said that the ‘precious jewel’ mentioned in the stage (Kyogen) “puppet of Noroma” is the absoluteness of art in that it has an eternal and immutable nature, which is characteristic of jewelry. The ‘strange painting of autumn mountain’ of “Autumn Mountain,” the ‘precious jewel’ of “Puppet of Noroma,” and the ‘ecstatic thrill of the spleen’ of “Swamps,” are all examples of the aesthetic value of Akutagawa’s literature.

      • KCI등재

        한국사회 반개신교 현상의 해석학: 팽창적 절대성과 현대적 자아의 충돌

        김선한,최우영 한국공공사회학회 2023 공공사회연구 Vol.13 No.1

        이 글은 우리 사회의 반(反)개신교 현상에 주목한다. 개신교와 관련하여 조그마한 소재 하나라도 던져지면 금방 온라인 공간은 화약고에 불이 붙은 듯 폭발적인 적대의 현장으로 전화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뚜렷한 갈등 현상으로서 한국 개신교에 적대하는 흐름은 이미 낯설지 않은 우리 사회의 단면이 되었고, 그것은 새로운 사회갈등의 진원으로서 바야흐로 현재진행형이다. 우리는 바로 여기에 초점을 맞춰 그 원인과 작동 메커니즘을 이론 및 역사의 차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반개신교 현상을 종교장 내에서 발현되는 독특한 감정 아비투스의 산물로 정의하는데서 출발하였다. 그런 다음 반개신교 현상이 왜 생겨나는지를 개념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한국 개신교를 팽창적 절대성이라는 이념형으로 규정하고, 이 팽창적 절대성을 감각적 차원과 접합된 한국인의 현대적 자아와 대비시켜 설명하였다. 그 핵심은 현대적 자아의 중핵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율성, 그리고 그것을 이루는 개별적 자아 감각에 대한 팽창적 절대성의 침범이 바로 오늘날 한국사회 종교장 내 반개신교 갈등의 진원이라는 것이다.

      • KCI등재

        불교와 칸트의 철학 체계 비교연구 - 불교 공성과 칸트 선험성의 절대성을 중심으로 -

        표석환 새한철학회 2024 哲學論叢 Vol.115 No.1

        불교와 칸트의 철학적 유사성으로부터 양자 간의 비교연구가 광범위하게 수행되었다. 이율배반과 무기, 무아와 윤회와 같은 아포리아에 관한 연구, 세계관, 인식론, 도덕론 내지는 실천철학, 선(禪) 등 양자의 공통된 철학적 기반에 관한 연구 등이 그것이다. 불교는 연기적 세계관에 입각한 공(空)을, 칸트는 경험(經驗)과 분리된 선험(先驗)을 핵심 사상으로 각각 제시할 수 있는데, 이를 직접 비교하여 수행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불교와 칸트의 철학적 근간 원리이자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공성(空性)과 선험성(先驗性)이 공유하는 절대적 속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철학적 전개의 유사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절대성과 상대성의 이원적 체계와 이원성의 종합이 공통됨을 규명하였고, 이원성의 종합에 따라 전개되는 세계관의 종합 전개 등을 논의하였다. 상술하면 절대성은 공사상에서는 절대적 부정성으로, 선험성에서는 경험에 독립하여 나타난다. 이원적 체계는 공사상에서 공과 색, 진여와 생멸로, 선험성에서 선험과 경험으로 나타난다. 이원성의 종합은 공사상에서 색불이공(色不異空), 불이공지유(不異空之有)로, 선험성에서 선험적 종합으로 나타난다. 세계관의 종합적 전개는 공사상에서 사구긍정과 원융무애(圓融無礙)로, 선험성에서 선험적 인식형식과 자유로 나타난다. 칸트 선험성은 칸트 당대부터 지속적으로 비판을 받아 왔고, 칸트 사후에도 이를 계승하면서 현대적으로 발전시킨 철학 사조는 찾아보기 어렵다. 칸트의 선험사상이 불교의 공사상과 절대성을 공유한다는 점만으로도 칸트철학 전반을 선험성 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체계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서철학이 소통하는 철학적 통섭의 전기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선험성에 기초한 칸트철학 체계의 재정립과 이를 현대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mptiness and transcendenc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undamental philosophical principles and concepts of Buddhism and Kant, based on the concept of absoluteness. First it was established that the dual system and the nature of no-difference of absoluteness and relativity are common. Second it discussed the phenomenon of unity of mind, which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no-difference of the dual system. In detail, absoluteness appears as absolute negativity in emptiness, and as independent of experience in transcendence. The dualistic system appears as emptiness and matter, truth and existence in emptiness, and as a priori and a posteriori in transcendence. The synthesis of dualistic system appears as matter being not different from emptiness[色不異空] and existence not different from emptiness[不異空之有] in emptiness, and as the relation of a priori and a posteriori in transcendence. The world view of synthesis appears as the affirmation of four dialectic propositions and complete unobstructed interpenetration of things[圓融無礙] in emptiness, and as a priori cognitive form and freedom in transcendence. Kant's transcendence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since Kant's time, and his death. The fact that Kant's transcendental thought shares absoluteness with Buddhism's emptiness philosophy makes it possible to reconstruct and systematize Kant's entire philosophy around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Therefore, it will possibly provide a turning point for philosophical consilience through which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communicat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establish Kant's philosophical system based on transcendence and modernize i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적 공동체주의의 보편화를 위한 성찰과제 - 유교 공동체주의와 서양 개인주의 논쟁 -

        염승준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58 No.-

        기존의 유교적 공동체주의에 관한 담론은 예(禮)와 의(義)의 기강을 통해 위계화 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서 논의된다. 결국 공동체주의는 경제, 제도, 규범 등의 형이하학적측면에서 논의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형이하학적 측면에서 논의되는 유교 자본주의와 경제, 관습과 사회적 관계, 유기체적 자연관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을 비판한다. 동양과 서양의공동체주의는 초월적 자아와 같은 형이상학적 개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동서양을 아우르는 공동체 의식의 보편적 원천을 ‘주체주의적 유심론’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 유교의 ‘주체주의적 유심론’은 도심(道心)의 의미와 같이 마음의 절대성과 초월성을 강조한다. 서양에서의 개인은 사적인 욕망과 이기주의를 초월하는 근본적 요소로 ‘자유의지’를 강조한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일체의 외적인 권위와 억압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해방시키는 절대성과 초월성의 요소가 포함된다. 절대성, 초월성 그리고 자유는 동서양의 공동체를 가능하게하는 보편적이고 핵심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The existing discourse on Confucian communitarianism has formed from hierarchical social relations through the discipline of courtesy and righteousness. Confucianism emerged from a non-metaphysical viewpoint such as the economy, system and norms. This study criticizes the naturalistic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apitalism, customs and social relations, organic view on the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universal source of communism that encompasses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subjectivity spiritualism. The Confucianism of Korea, dosim(道心, dàoxīn), emphasizes the absoluteness and transcendence of the individual mind. In the West, it emphasizes human freedom that can overcome or transcend personal desires and selfishness. The freedom includes elements of absoluteness and transcendence that liberate oneself from all external authority and oppression. Absolute, transcendent, and freedom can be universal and central elements that enable the community of the East and the West.

      • 평화의 의미 - 기독교적 조화적 상대성의 관점에서

        이수봉 ( Soo-bong Lee ) 기독교통일학회 2019 기독교와 통일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평화의 의미를 제시하는 것이다. 평화의 문제는 인류역사와 같이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성경에 의하면 최초의 인류인 아담과 하와는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열매와 관련하여 하나님과의 평화가 깨지는 문제를 경험했다. 그리고 1948년 이후 분단의 역사를 이어가는 한반도에도 평화는 여전히 중요한 화두다. 한반도는 70년이 넘게 평화의 문제를 풀지 못하고 있다. 현대 평화 연구는 대부분 요한 갈퉁의 평화론에 신세를 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갈퉁의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의 가치를 평가하고, 한계점들을 논구함으로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평화는 조화적 상대성에 의한 평화다. 상대성을 주목하는 이유는 절대성의 폭력성 때문이다. 절대성을 해결하지 않으면 평화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한편, 상대성은 유한한 인간 관계에 필연적 속성이라고 보았다. 개체가 스스로의 상대성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타자와 협력의 공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상대성만 갖는다고 하면 공동체 안에 질서가 없어지고, 건강한 가치를 향한 방향성을 잡지 못할 수 있다. 이것은 절대성 못지 않게 평화를 위협한다고 본다. 그래서 상대적 가치들은 조화를 이루어야 질서와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조화적 상대성만으로 만들어진 질서와 방향성은 건강한 가치를 담보하지 못한다. 그래서 기독교적 가치를 지향할 때 하나님의 평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독교적 조화적 상대성을 창조와 새창조와 종말에 관한 말씀들에서 지지를 확보하려고 시도하였다. 기독교적 조화적 상대성이 평화의 모습을 그려내지는 못하지만 뼈대가 될 수는 있다고 본다. 이 논문을 통해 기독교적 평화의 의미에 대 한 관점이 하나 더해지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new meaning of peace with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Harmonic Relativity. One of the most recurring questions in human history is how to define and maintain peace. Peace has been generally defined as a state w/o war or violence, or a state of reconciliation w/o conflict or antagonism. However, this article attempts to reconsider such general understanding of peace and suggests a new meaning of peace by employing the concept of Christian Harmonic Relativity. Here, relativity is a contrasting concept to absoluteness. Harmony is a state of order, or a state of reconciliation w/o conflict or antagonism in a community. And Christianity defines peace in light of God’s order of creation and recreation.

      • KCI등재후보

        특집 : 식민지 시기 "예술" 개념 수용과 문학장의 변동; 1920년대 초 동인지 문인들의 예술론에 나타난 예술과 자아의 관계 -예술의 미적 절대성의 획득과 상실의 과정-

        박슬기 ( Seul Ki Park ) 한림과학원 2013 개념과 소통 Vol.0 No.12

        이 글은 동인지 문인들의 예술론이 근대적 미적 주체의 기원이며, 이 과정이미적 자율성에 의거하여 절대적 자아를 산출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는 기왕의 견해에 의문을 제기한다. 자아의 절대성과 미적 자율성의 일치란 결국 미라는 보편성 속에서 자아가 소멸되는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적 자율성의 획득이 예술을 창조하는 주체의 소멸에 근거하고 있다면, 근대적 개인의 내면 표현이자 고백이라는 근대예술의 내적 기원은 증명 가능한것인가. 따라서 이 글은 동인지 예술론을 재검토하면서, 미적 절대성의 획득과 상실이라는 두 가지 과정이 절대적 자아와 근대적 사유 주체라는 두 자아의 탄생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questions the received wisdom that the aesthetic theories of early modern Korean writers, published in literary or artistic special interest magazines from the 1920s, constitute the origin of the modern conception of aesthetic subjectivity in Korean literary history. It also doubts whether these writers focused their theoretic endeavors upon characterizing the absolute self, which is considered to derive from the idea of aesthetic autonomy. This widely accepted argument is unconvincing in that the exact correspondence between the absolute self and aesthetic autonomy ironically entails the annihilation of the self in its defense of the universality of aesthetic beauty. Thus, it is hard to argue that modern art originates from the modern conception of the individual, defined as the subject who confesses and expresses that which arises in his or her interiority, while simultaneously maintaining that aesthetic autonomy is produced in the annihilation of aesthetic subjectivity. Through a re-evaluation of the aesthetic theories developed in the coterie magazines from 1920s Korea, the twofold process of producing and then losing aesthetic absoluteness is shown to correspond to the birth of two modern conceptions of the self: absolute selfhood and the modern subject of thought.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 민사법의 호주권 기능-메이지 민법의 「家」제도와의 비교분석적 접근-

        오카자키 마유미 한국법사학회 2013 法史學硏究 Vol.47 No.-

        ‘Ie(「家; Household」)’ constituted by a House Head and its family members in the Meiji Civil Code was transmitted to Korea based on the law of census registration (Min-Seki-Hou; 民籍法) in 1909. After that, the composition of ‘Ie’ of the Meiji Civil Code was transferred to Korea, and Min-Seki–Hou was gradually revised. Eventually, Chosun Census Registration (Koseki-rei; 朝鮮戸籍令) was enforced in 1923. Concerning those processes, most researchers have asserted that the system of ‘Ie’ in the Meiji Civil Code had been completely conveyed and implanted in Chosun Korea. But the core concepts of ‘Ie’ of the Meiji Civil Code are based on both ① the system of succession of the House Head status through a male descendant and ② the House head’s right which has absolute authority toward his family members. In the past decades, many researchers studying the household system have focused on comparing ① the succession system or the regulations of census regist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seems that there is no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 head and its family members’ or the House Head’s rights of functioning his authority. Therefore, this article discusses the functions of the House Head’s right in supporting the ‘Ie’ in Meiji Civil Code, and how it worked in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House Head’s right which can legally exclude or reject his defiant family member to return to his own household, and its absolute authority as the base of constituting the ‘Ie’. As a result, I attempt to argue that the House Head’s right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in Meiji Civil Code. The House Head’s right for forming the ‘Household’ in Korea could not be approved whereas that in Meiji Civil Code was regarded as the core function. In addition, the right in the Meiji Civil Code has been defined as absolute authority. Nevertheless, the right of House Head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latively depended on his family custom due to the traditional value of honoring seniors in the family. Overall, focusing on the House Head’s rights, I demonstrate the fallacy of those arguments in saying that the ‘Ie’ system of the Meiji Civil Code, which admits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House Head or the right for forming the ‘Ie’, has been transferred and implanted into Korea. Because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House Head’s right in Japan and those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호주와 가족원’으로 구성된 메이지 민법(明治民法)의 「家」는 식민지 조선에 籍을 근간으로 도입 되었다. 1909년에 시행된 민적법(民籍法)은 조선에 신분 등록적 성격의 籍을 적용하여, ‘호주와 가족원’으로 구성된 「戸」를 형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보면, 메이지 민법의 ‘호주와 가족원’이라는 「家」의 구도가 조선에 도입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민적법은 점차 개정되며, 1923년에는 조선호적령(朝鮮戸籍令)이 시행되었는데, 이러한 일련의 호적 법규 정비를 内地의 호적 법규와 비교하여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가 조선에 온전히 이식된 것이라 보는 기존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의 근간은 호주의 지위가 장자 단독 상속제(家督相續制)에 의거한다는 것과, 호주권이 「戸」에 속하는 가족원에 대하여 절대적이며 권력적인 지배 관계를 확립하는 것에 있다. 기존 연구는 호적 법규의 체재의 비교나 상속 제도의 비교를 통해 일본 内地와 조선에 있어서의 호주에 대하여 언급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호주의 구체적인 권한이나 ‘호주와 가족원’의 구체적 관계성에 대해 언급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에 본고에서는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를 유지했던 호주권의 구체적 기능-「家」의 구성권으로서의 離籍權․復籍拒絶權 및 호주권의 절대성-에 주목하여, 그것이 메이지 민법에 어떻게 규정되어 있으며, 식민지 조선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는 조선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된 호주권은 메이지 민법의 호주권과는 이질적인권한이었다는 결론으로 집약할 수 있다. 즉, 호주권의 구체적인 내용에 주목해 보면, 메이지 민법의 호주권 기능 중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되었던 「家」의 구성권-離籍權․復籍拒絶權-은 조선에서는 호주권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호주권의 효과면에서도, 메이지 민법이 근대 법전으로서의 성격을 관철하면서도 「家」의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가부장적이며 전근대적인 성격을 띠는 호주권의 절대성을 규정할 수 있는 装置를 마련했던 반면, 조선의 호주권의 효과는 宗族制에 의거하는 長幼의 序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가족원에 대하여는상대적인 권한으로 형성되었다. 메이지 민법의 「家」의 구도가 籍이라는 제도를 통해 식민지 조선에 도입되고 조선에서 ‘호주와 가족원’이라는 신분 관계가 형성됐다는 외관상의 사실에 입각해 보면, 「家」가 이식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 内地와 조선의 호주권의 구체적 기능을 비교해 보면, 「家」의 구성권이나 호주권의 절대성을 바탕으로 유지되었던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가 조선에 전면적으로 유입되었다는 주장은 상당한 오류를 내포한다. 일본 内地와 식민지 조선의 호주권 기능을 견주어 볼 때,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와 전혀 다르게 기능한 식민기기 조선의 호주권의 독자적인 구체적 특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 민사법의 호주권 기능

        오카자키 마유미(岡崎まゆみ) 한국법사학회 2013 法史學硏究 Vol.47 No.-

        ‘호주와 가족원’으로 구성된 메이지 민법(明治民法)의 「家」는 식민지 조선에 籍을 근간으로 도입 되었다. 1909년에 시행된 민적법(民籍法)은 조선에 신분 등록적 성격의 籍을 적용하여, ‘호주와 가족원’으로 구성된 「?」를 형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보면, 메이지 민법의 ‘호주와 가족원’이라는 「家」의 구도가 조선에 도입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민적법은 점차 개정되며, 1923년에는 조선호적령(朝鮮?籍令)이 시행되었는데, 이러한 일련의 호적 법규 정비를 ?地의 호적 법규와 비교하여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가 조선에 온전히 이식된 것이라 보는 기존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의 근간은 호주의 지위가 장자 단독 상속제(家督相續制)에 의거한다는 것과, 호주권이 「?」에 속하는 가족원에 대하여 절대적이며 권력적인 지배 관계를 확립하는 것에 있다. 기존 연구는 호적 법규의 체재의 비교나 상속 제도의 비교를 통해 일본 ?地와 조선에 있어서의 호주에 대하여 언급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호주의 구체적인 권한이나 ‘호주와 가족원’의 구체적 관계성에 대해 언급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에 본 고에서는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를 유지했던 호주권의 구체적 기능-「家」의 구성권으로서의 離籍權ㆍ復籍拒絶權 및 호주권의 절대성-에 주목하여, 그것이 메이지 민법에 어떻게 규정되어 있으며, 식민지 조선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는 조선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된 호주권은 메이지 민법의 호주권과는 이질적인 권한이었다는 결론으로 집약할 수 있다. 즉, 호주권의 구체적인 내용에 주목해 보면, 메이지민법의 호주권 기능 중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되었던 「家」의 구성권-離籍權ㆍ復籍拒絶權-은 조선에서는 호주권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호주권의 효과면에서도, 메이지 민법이 근대 법전으로서의 성격을 관철하면서도 「家」의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가부장적이며 전근대적인 성격을 띠는 호주권의 절대성을 규정할 수 있는 ?置를 마련했던 반면, 조선의 호주권의 효과는 宗族制에 의거하는 長幼의 序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가족원에 대하여는 상대적인 권한으로 형성되었다. 메이지 민법의 「家」의 구도가 籍이라는 제도를 통해 식민지 조선에 도입되고 조선에서 ‘호주와 가족원’이라는 신분 관계가 형성됐다는 외관상의 사실에 입각해 보면, 「家」가 이식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 ?地와 조선의 호주권의 구체적 기능을 비교해 보면, 「家」의 구성권이나 호주권의 절대성을 바탕으로 유지되었던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가 조선에 전면적으로 유입되었다는 주장은 상당한 오류를 내포한다. 일본 ?地와 식민지 조선의 호주권기능을 견주어 볼 때, ‘메이지 민법의 「家」제도’와 전혀 다르게 기능한 식민기기 조선의 호주권의 독자적인 구체적 특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Ie(「家; Household」)’ constituted by a House Head and its family members in the Meiji Civil Code was transmitted to Korea based on the law of census registration (Min-Seki-Hou; 民籍法) in 1909. After that, the composition of ‘Ie’ of the Meiji Civil Code was transferred to Korea, and Min-Seki?Hou was gradually revised. Eventually, Chosun Census Registration (Koseki-rei; 朝鮮ㆍ籍令) was enforced in 1923. Concerning those processes, most researchers have asserted that the system of ‘Ie’ in the Meiji Civil Code had been completely conveyed and implanted in Chosun Korea. But the core concepts of ‘Ie’ of the Meiji Civil Code are based on both ① the system of succession of the House Head status through a male descendant and ② the House head’s right which has absolute authority toward his family members. In the past decades, many researchers studying the household system have focused on comparing ① the succession system or the regulations of census regist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seems that there is no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 head and its family members’ or the House Head’s rights of functioning his authority. Therefore, this article discusses the functions of the House Head’s right in supporting the ‘Ie’ in Meiji Civil Code, and how it worked in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House Head’s right which can legally exclude or reject his defiant family member to return to his own household, and its absolute authority as the base of constituting the ‘Ie’. As a result, I attempt to argue that the House Head’s right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in Meiji Civil Code. The House Head’s right for forming the ‘Household’ in Korea could not be approved whereas that in Meiji Civil Code was regarded as the core function. In addition, the right in the Meiji Civil Code has been defined as absolute authority. Nevertheless, the right of House Head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latively depended on his family custom due to the traditional value of honoring seniors in the family. Overall, focusing on the House Head’s rights, I demonstrate the fallacy of those arguments in saying that the ‘Ie’ system of the Meiji Civil Code, which admits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House Head or the right for forming the ‘Ie’, has been transferred and implanted into Korea. Because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House Head’s right in Japan and those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