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양승애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4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90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32.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of 190 nurses. Instrument included perception of death,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death attitude, burnout, terminal care attitude.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erminal care attitude,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stress. In additio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erminal care attitude,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burnout. Perception of death, death anxiety, terminal care stress & death attitude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is variables accounted for 32.7% of the variance in terminal care attitud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erminal Car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양승애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간호대학 에 다니고 있는 학생 147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임종간호 태도 정도는 기 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 불안(β=-.392), 자아존중감(β=.179), 죽음 학습경험(β =-.227)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18.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nursing students’ end-of-life care attitude. Methods: A sample of convenience of 147 nursing students, Instrument included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end-of-life care attitude. Result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end-of-life care attitude, death anxiety, death attitude. Death anxiety(β=-.392), self-esteem(β=.179) & experience of learning(β=-.227) about death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is variables accounted for 18.7% of the variance in end-of-life care attitud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end-of-life care.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과 임종간호태도가 공감역량에 미치는 영향

        모서우,방가영,윤일훈,문원희 한국융합학회 2024 미래기술융합논문지 Vol.3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환자에 대한 간호태도가 공감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대학 생 155명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4월 11일부터 총 34일 이 소요되었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검정, 일원배치 분 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더미변수인 ‘지인의 죽음 경험’을 통제한 결과, 임종간호태도가 높을 수록(B=.312) 공감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인의 임종경험(β=.226), 임종간호태도(β=.220)였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다(F=6.968, p<.001). 하나의 더미변수(지인의 임종경험)와 2개의 독립변수(임종간호태도, 좋은 죽임 인식) 는 공감능력을 10.4%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간호대학 생의 공감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determine how nursing students' good death awareness and nursing attitudes toward dying patients affect their empath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5 nursing student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metho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6. Higher attitude toward care of dying (B=.312)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athy capacity (p<.010). The variables that affected nursing students' empathy capacity were end-of-life experiences of relatives (β=.226) and attitude toward care of dying (β=.220).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6.968, p<.001), explained 10.4% of empath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the empathy capacity of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지순일,유혜숙,Ji, Soon Il,You, Hye 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G 광역시 일 종합병원에 종사하는 근무하는 23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태도, 영적건강, 결혼유무, 총 임상경력 순이었으며,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좋을수록, 기혼일수록, 총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52.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임종간호태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how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affect their terminal care str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 filled by 238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G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spiritual health, marital status, and clinical experience largely affect their terminal care stres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y scored on terminal care attitudes, the lower they scored on terminal care stress.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52.3%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study shows terminal care attitud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erminal care stress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s and spiritual health, which in turn would lower their terminal care stress or help them effectively cope with it.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안미숙,이금재,An, Mi Sook,Lee, Keum Ja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3

        목적: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요양병원에서 임종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10개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 3일부터 4월 22일까지 하였다. 연구 도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7문항, 죽음 및 임종간호 관련 특성 10문항,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좋은 죽음인식 척도 17문항, Frommelt(1991)가 개발한 임종간호태도 척도 30문항 등 총 64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상자의 좋은 죽음인식 정도는 평균 $3.13{\pm}0.33$점(4점 만점), 임종간호태도 정도도 평균 $2.94{\pm}0.27$점(4점 만점)으로 보통 이상이었다. 둘째, 좋은 죽음 인식 정도의 차이는 연령, 직무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임종간호태도 정도의 차이는 학력, 종교, 종교중요성 인지, 임종간호경험, 좋은 죽음 교육경험, 좋은 죽음 생각빈도, 임종간호 교육경험,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임종간호태도는 좋은 죽음인식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나, 좋은 죽음인식의 하위 요인인 친밀감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의 하위 요인인 임종정서와 좋은 죽음인식 간에는 역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임종간호수행과 좋은 죽음인식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좋은 죽음인식의 친밀감을 고취시킬 수 있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노인요양병원 특성에 맞는 교육과 다양한 중재전략이 개발되어야 한다. Purpose: We conduct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o determine a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wareness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which in turn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erminal care at geriatric hospitals. Methods: From April 3, 2013 through April 22, 2013,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nurses working at geriatric hospitals. Results: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good death,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sense of closeness, a subfactor of awareness of good death.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s regarding a deathbed, a subfactor of attitudes of nurses in charge of terminal patients, and awareness of good death. We fou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rminal care performance and awareness of good death. Conclusion: This study warrants the need for nursing education catered to characteristics of geriatric hospitals and development of diverse intervention strategies to help them to at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 death by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the concept of good death and enhancing job satisfaction.

      • KCI등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

        전민기,권명진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식, 사전의사결정 태도가 임종간호수행 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 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호스피스 간호사 200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면 설문지와 인터넷 설문조사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2021년 8월 9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 식, 사전의사결정 태도,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대상자 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임종간호수 행과 죽음인식(r=.22, p =.002), 임종간호수행과 사전의사결정 태도(r=.20, p =.004)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독립변수를 추가한 MODEL2에서 연령, 사전의사결정 태도, 죽음인식이 유의한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이었으며 이들의 설명 력은 10.4%이었다(F=3.90, p <.001). 호스피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영향요인을 고려한 중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end-of-life care stress, death awareness,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s of nurses at a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 have an impa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nurses working at a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9 to September 30, 2021, using two methods: written questionnaire and internet survey.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end-of-life care stress, death awareness,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death awareness (r=.22, p =.002),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r=.20, p =.004).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death aware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s death awareness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s increased,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creased, and end-of-life care stress did not appear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hospice nurses' ability to provide end-of-life care,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fluencing factors is required.

      • 일 지역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 요인

        안영혜,서순림 한국장기요양학회 2018 한국장기요양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 요양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수행, 공감역량, 임종간호장애요인, 연명의료태도의 정도와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원으로 부터 인증평가를 획득한 2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로 210명을 편의 표집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3.73(±.43)점이였으며, 임종간호장애요인은 5점 만점에 3.00(±.49)점, 임종간호수행은 4점 만점에 2.70(±.42)점, 연명의료 태도는 5점 만점에 3.37(±.39)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임종간호수행 정도는 연령(F=8.42 ρ=.000), 결혼(t=-3.234, ρ=.001), 종교(t=-3.239, ρ=.001), 총 임상경력(F=3.703, ρ=.026),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수행과 공감역량(r=.654, ρ<.001)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1단계 위계에서는 일반적 특성을, 2단계 위계에서는 독립변수를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단계 모형에서 근무형태가 3교대 인 간호사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1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2단계 모형에서는 공감능력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52% 설명력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요인으로 공감역량이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근무형태에서 3교대근무 간호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하여 공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the care of the dying in nursing students

        김지현(Kim, Jihyun),양야기(Yang, Ya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죽음에 대한 태도, 임종간호 태도 정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이며, G 광역시와 J도 소재 3개 간호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삶의 의미는 142.17점(184점 만점), 죽음에 대한 태도는 2.74점(4점 만점), 임종간호 태도는 2.30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r=.27, p<.001)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는 임종간호 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28, p<.001), 다중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 만족도(만족)(β=.34, p<.001), 죽음에 대한 태도(β=.25,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4% (F=8.03, p<.001)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 함양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삶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태도를 고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eaning in life, death attitude, and attitudes toward the care of the dying in nursing students and explain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the care of the dying.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80 nursing students at 3 universities located in Korea.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r=.27, p<.001), a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death attitude and attitudes toward the care of the dying (r=.28, p<.001).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the care of the dying were identified as satisfaction on major (satisfied) (β=.34, p<.001), death attitude (β=.25,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model was 14%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8.29, p<.001).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erminal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and attitudes on death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positive attitudes on terminal care among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함미영(Ham, Mi-Young),임소희(Lim, So-Hee),고숙정(Ko, Suk-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는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을 간호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죽음인식과 죽음태도 및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이다. 양적연구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기술통계, Wilcoxon 부호순위검정, Spearman’s rho으로, 질적연구는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로는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을 분류, 범주화하여 명명 작업한 결과는 1. 죽음의 부정적인속성 : 외로움, 허망함, 죽음 임박에 따른 고통, 2. 죽음의 긍정적인 속성: 삶의 과정, 새로운 시작, 영원한 휴식, 3. 희망하는 죽음 : 평화로운 죽음, 준비가 되어진 죽음, 존엄성이 지켜진 죽음, 4. 예비간호사로서의 임종간호 : 임종자에 대한 두려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직무만족, 삶과 간호에 대한 가치관, 영적간호로 나타났다. 따라서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은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ospice education including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death, attitude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for nursing students.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that quantitative research used frequency, percentage, Wilcoxon, Spearman’s rho using SPSS 18.0 WIN program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contents analysis. At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hospice education including death preparing program showed to significant increase its terminal care attitude of th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giving their names and categorizing of the hospice education including the death preparing program of the participants showed such as, 1. Negative characteristics of death: loneliness, falsehood, death s agonies, 2. Positive characteristics of death: life process, new start, eternal rest, 3. Hopeful death: peaceful death, prepared death, death with dignity, 4. End-of-life care as pre-nurses: fear for the deathbed person, satisfaction of his or her s roles, value for the life and care, and spiritual care. In conclusion, a hospice education including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program in enhancing the attitude of death and the terminal care attitude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계화,김연자,Jo, Kae Hwa,Kim, Yeon Ja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4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인간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임종간호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1개 도시의 3차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172명을 편의 표집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에는 품위 있는 죽음, 도덕적 민감성, 임종간호수행을 포함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로서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덕적 민감성, 품위 있는 죽음태도, 교육수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이 높고, 품위 있는 죽음 태도가 긍정적이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웰빙에서 웰다잉으로 사회적 관심이 옮아가는 시대적 요구에 비추어 볼 때, 임종간호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을 배양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의료현장의 복합적인 의사결정 과정에서 간호사의 옹호자 역할 수행을 위해 의사-간호사간의 상호 역기능적 갈등을 조정하는데 필요한 효율적인 임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nurses'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moral sensitivity affect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172 nurses who work at university hospitals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 through August 13, 2012 using the Dignified Death Scale, Moral Sensitivity Scale,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9.0 program. Results: Factors affecting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cluded moral sensitivity, dignified death and education level. Conclusion: Moral sensitivity, dignified death and education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