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선교사의 고등음악교육과 한국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 찾기

        허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이화음악논집 Vol.22 No.1

        American missionaries had great effect on the education for early generations of Korean musician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mong the mission schools, Soongsil and Yeonhui for boys and Ewha for girls produced many musicians. The music education of Soongsil and Yeonhui was conducted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But Ewha which was established by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FMS) in 1886 was differentiated in that it developed a four-year curriculum as music conservatory. Music Department of Ewha Women’s Specialized College was launched in 1925 and became the first and only higher music education institution in colonial Korea.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strategies of the higher music education at Ewha and to interpret its effects on colonial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dual identity of Ewha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mission agency. First, I reveal how Ewha’s music educ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missionary work of WFMS, by looking into faculty members, curriculum, out-of-school activities, the careers of the graduates, etc. Second, I discuss how the education of woman missionaries motivated Korean women to construct a new female identity as educated women. Thus, I argue that although the women missionaries’ higher music education was a practical education for supporting the mission work, it provided, for the same reason, Korean Christian women with the opportunities to receive higher education and work in public sphere, imprinting the identity of “professional women” in Korean society. 1880년대 중엽 입국하기 시작한 미국인 선교사들은 구한말에서 대한제국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걸쳐, 정부 주도의 체계적인 서양음악교육이 부재한 상황에서, 초창기 한국 음악가의 양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선교사들이 설립한 미션스쿨 중에서도 특히 남자학교인 숭실과 연희 그리고 여자학교인 이화가 다수의 음악가를 배출하였는데, 숭실과 연희의 음악교육이 과외활동으로 진행된 반면 이화의 음악교육은 전문교육으로 차별화되었다. 미국 북감리회 여성이 조직한 미감리여선교회가 세운 이화학당은 이미 ‘대학과’ 시절인 1920년에 한국에 온 최초의 음악 전공 선교사인 메리 영(Mary Young)을 영입하여 음악교육의 수준을 높였으며, 1925년에 이화학당의 ‘대학과’와 ‘대학예과’를 통합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를 설립하였다. 이를 계기로 이화의 음악교육은 식민지 내 최초이자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이자 제도권 음악학교로 획기적으로 발전하였다. 이 논문은 이화여전 음악과가 갖는 교육기관이자 선교기관이라는 이중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춰 음악과에서 이루어진 교육의 내용과 목표, 그리고 그것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을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이화여전 음악과 교육의 구체적인 실제 -교원 구성, 교과과정, 교외활동, 졸업생의 진로 등- 를 분석함으로써 이화의 고등음악교육이 WFMS가 벌이는 사업과 어떻게 결부되었는가를 밝힐 것이다. 둘째, 여성선교사들의 교육이 선교현장이라는 제한된 테두리를 넘어, 한국 여성들이 새로운 여성정체성을 상상 또는 구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논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미국인 여성선교사들에 의한 고등음악교육이 선교사업에 기여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방편적인 교육에 머물렀지만, 같은 이유에서 한국여성에게 고등교육을 받고 사회에 진출하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한국사회에 ‘전문직 여성’의 정체성을 각인시켰음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이화학당과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중심으로 본초기 한국 여성작곡가 연구

        김은하 ( Eun Ha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09 한국음악사학보 Vol.43 No.-

        초창기 한국 근대의 여성 음악가와 작곡가에 대해 논할 때 이화학당과 이화여자전문학교가 먼저 언급되는 이유는 이화학당이 개신교 선교사에 의해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교육기관이며 교과과정의 정립과 더불어 점차적으로 전문화된 음악교육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화여자전문학교 체제로 전환되면서 전공의 개념이 분명해졌고 1936년에 작곡전공이 개설되었다. 1941년 제1호 졸업생인 김순애를 배출시키면서 여성 전문작곡가의 시작을 알리게 되었고 이후 이화뿐만 아니라 다른 교육기관에서 공부한 여자 작곡가들의 활약이 50년대부터 주목되면서 오늘날 국내외를 통해 그 역량을 발휘하는 한국여성작곡가들로 그 계보가 이어진다. 본 논문의 취지는 개별 여성작곡가에 대한 연구라는 큰 스펙트럼을 위한 사료적인 접근으로서 이 땅에 서양음악이 처음 유입되고 그 음악을 배우고 익혀 여성전문작곡가가 등장하기까지 여성의 음악활동에 대해 알아보는 데에 있다. The reason that Ewha-Haktang (1886-1924) and Ewha-College (1925-1945) used firstly to mention when Korean modern women musicians and composers are discussed is that Ewha-Haktang was first Korean women educational institute founded by a western protestant missionary. And then, their specialized musical education had been gradually accomplished with the establishment of curriculum. As the switchover from Ewha-Haktang to Ewha-College program, the concept about specialized study had become more clearly. The major in composing was established in 1936. As first student Sun-Ae Kim in 1941 was graduated, it was the beginning of the generation of Korean women composer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as a historical approach for large spectrum of the study for each women composer is to investigate about musical activities of Korean women from that the western music was introduced and educated to that first women composer was appeared in Korea.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이화전문학교의 전통음악 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원 한국음악사학회 2010 한국음악사학보 Vol.44 No.-

        Ewha Women's Colleg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ith the foundation of department of music in 1925, the education of western music strengthened and in 1927,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was included within a curriculum.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at Ewha was comprehensive including vocal and instrumental training. Moreover the movement of ‘singing minyo’ 民謠 made widespread social impacts not merely confined to the music world. It was astounding that the songs of kisaeng 妓生, femaile entertainers in a lowly regarded class, were educated within a school.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started in 1927 with the introduction of a course “Korean Music” and many prominent teachers were invited such as Kim Ki-p'ung 金基豊, majored in hyŏn'gŭm 玄琴 also called kŏmun'go 거문고 (six-stringed zither), Yi Chae-gyu 李載珪 majored in kayagŭm 伽耶琴 (twelve-stringed zither), Kim Ye-sik 金禮植 majored in yanggŭm 洋琴 (Western dulcimer). They belonged to a group of gentlemen enjoying arts. Their life histories require further detailed researches. Such introduction of Korean music course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t Keijo 京城 Women’s Art College later on. Since 1930, many prominent artists such as Ham Hwa-jin 咸和鎭 from Yiwangjik Aakbu 李王職雅樂部 (Royal Conservatory of the Yi Household), Yi Chong-t'ae 李鍾泰, the founder of Keijo Orchestra 京城樂隊 in 1934, Hwang Chae-gyŏng 黃材景 from the department of music of Yŏnhŭi 延禧 College started to teach Korean music at Ewha. Moreover in 1939, Kim Ch'ŏn-hŭng 金千興, as a lecturer, gave instructions for one year. On November, 1939, a performance including kayagŭm, kŏmun'go, tanso 短簫 (vertical flute), changgo 杖鼓 (hourglass drum) and vocal music was played. Ewha Women’s College continued traditional musical education and later on established a department of Korean music within a college of music contributing to the nurturing of Korean traditional artists. The time of Ewha Women’s College provided a basis for traditional music education. 고등교육 기관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의 시작에 있어 이화전문학교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925년 음악과 신설을 계기로 이화전문학교에서는 서양음악 교육이 강화되었고, 1927년에는 교육 과정 속에서 전통음악을 학습하기 시작하였다. 이화전문학교의 전통음악 교육은 성악, 기악 분야에서 고루 진행되었는데 1920년대 시작된 ‘민요부르기’ 운동은 음악 사회 뿐만 아니라 전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안겨주기도 했다. 사회적으로 천대받고 있는 기생의 노래를 학교에서 부른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1927년 본격적으로 시작된 전통음악 교육은 한국음악이라는 교과목을 설치하여 현금 전공 김기풍(金基豊), 가야금 전공 이재규(李載珪), 양금 전공 김예식(金禮植) 등의 교사들을 초빙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서울 지역 풍류객으로 볼 수 있는데 이들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한국음악 교과목 개설은 이후 신설된 경성여자미술학교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을 이끌어 내기도 하였다. 이후 1930년부터 이왕직아악부의 함화진이, 그리고 1934년 이후 경성관현악단을 만든 이종태, 연희전문학교 음악부 출신의 황재경 등 저명한 예술가로 하여금 이화전문학교에서 우리 한국음악을 지도하게 된다. 또한 1939년에는 김천흥을 강사로 위촉하여 1년간 지도하였으며, 그 해 11월에 가야금, 거문고, 단소, 장고 등의 전통악기와 성악이 어우러지는 무대를 만들어 내었다. 학생들에게 전통음악 교육을 꾸준히 지속해 왔던 이화전문학교는 이후 이화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의 신설을 가져오고, 오늘날 전문적인 국악인을 양성해 오고 있다. 이화전문학교 시기 전통음악 교육이 바로 밑거름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서 셰익스피어 인식과 공연 양상 -1920~30년대 학교연극으로서 셰익스피어 극의 상연을 중심으로-

        이상우 ( Lee Sang-woo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5 No.-

        식민지 조선에서 셰익스피어 극의 공연은 매우 저조한 편이었다. 특히 전문극단의 상연은 극히 희소했다.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의 <베니스의 상인>(1933), 낭만좌의 <햄릿>(1938) 공연 정도가 손꼽을 만한 것이다. 그나마 <베니스의 상인>은 ‘법정장면’, <햄릿>은 ‘무덤장면’만 취택되어 작품 전체가 아닌 부분 공연이 이루어졌을 뿐이다. 식민지 조선의 극장에서 이렇게 셰익스피어 극이 외면 받았던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근대극 수용단계에서 서양의 근대극과 고전극 수용을 폭넓게 고려하지 못하고 입센 이후 근대극의 수용에 치우친 편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둘째, 그러한 이유로 1920년대 중반 이후에 셰익스피어 극의 번역과 상연이 모두 맥이 끊어진 상황이어서 일반 관객이 셰익스피어 극에 대한 관심을 갖기 어려운 실정이었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이화여자전문학교가 <베니스의 상인>(5막), <말괄량이 길들이기>(5막)를 전막 상연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화여전의 공연은 학생들의 인문교육, 영문학 교육을 목적으로 한 학교연극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전문극단조차 시도하지 못한 셰익스피어 고전극의 수용의지를 보여준 것이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셰익스피어 극의 상연은 신극단체나 전문극단보다도 오히려 여성고등교육기관인 이화여전에 의해 주도되었다. 특히 이화여전의 셰익스피어 극 상연이 의미가 있는 것은 첫째로 셰익스피어 극의 부분 상연이 아닌 작품 전막 상연을 지향했다는 점, 둘째로 영어극 상연이 아닌 한국어극 상연을 시도했다는 점, 셋째로 학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교내 공연이 아닌 일반인 관객을 포괄하는 일반 공연장 상연을 추구했다는 점이다. 이밖에 1930년대에 셰익스피어 극의 영어극 상연으로 연희전문과 이화여전의 공연이 꾸준히 전개되었다. 이는 이들 전문학교가 미국 선교사에 의해 설립되었기에 미국식 종합대학 교육체제를 지향하여 ‘문과’를 설치하고 영어와 문학, 인문학 교육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두 학교의 문과 교과과정을 통해 잘 나타난다. 특히 이화여전의 경우에는 다른 고등교육 기관에서 볼 수 없었던 ‘연극’ 과목을 문과 교과과정에 설치하였다는 점, 그리고 미국대학에서 영문학과 연극을 전공한 메이너 교수가 1930년경 문과 과장으로 부임하였다는 점은 주목의 대상이 된다. 즉, 식민지 조선의 셰익스피어 극 상연은 사립 고등교육기관의 인문교양 함양의 일환, 더 나아가 영문학 교육의 일환으로 전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희전문, 이화여전이 실천한 셰익스피어 극의 영어극, 한국어극 상연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더 나아가서 이화여전 학생기독교청년회가 주도한 두 차례에 걸친 셰익스피어 극 상연은 교내가 아닌 교외의 일반 공연장에서 일반 관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셰익스피어 원작 전체를 상연한 한국어 공연이었다는 점에서 식민지시대 셰익스피어 극 상연의 정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erformances of Shakespearian play in colonial Korea was very poor. In particular, performances of professional theatre companies were extremely rare. In the 1930s, the performance, such as "The Merchant of Venice", (1933)by Keukyesulyeonguhoe (the Theatre Arts Academy), and "Hamlet" (1938) by Nangmanjwa (the Romantic Theatre Group) are the most notable. However, only some(not the entire work) of Shakespeare's original works were performed in both of these performances. Shakespeare was not popular in colonial Korean theater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n the acceptance stage of modern drama, the acceptance of Western modern and classical dramas was not widely considered, and the bias toward acceptance of modern drama after Ibsen was shown. Second, for that reason, both the translation and performance of Shakespearian plays were cut off after the mid-1920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audience to pay attention to Shakespearian play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ery unusual phenomenon for Ewha Women College to fully perform "The Merchant of Venice" (Act 5) and "Taming the Tomboy" (Act 5). The performance of Ewha Women College aimed to be a school play for the purpose of humanities education and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showed the willingness to accept Shakespeare's classical drama, which even professional theatre companies could not attempt at the time. In colonial Korea, the performance of Shakespearian play was led by Ewha Women College, a women'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rather than professional theatre companies. In particular, it is for three reasons that Ewha Women College's Shakespearian play performances are meaningful. First, it was not a partial performance of Shakespearian play, but a full-version performance. Second, I tried to perform in Korean language, not in English language. Third, it was not an on-campus performance for members of the school, but a general performance hall that encompasses the general audience.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Ewha Women College opened a "theatre" subject in the liberal arts department’s curriculum, which was not found in othe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colonial Korea, and Professor Maynor, who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nd theatre,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liberal arts department around 1930. In conclusion, the Shakespearian play performance of Ewha Women College,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cultiv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and further English and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showed the peak of Shakespearian play performance in colonial Korea.

      • KCI등재

        미국인 선교사와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 한국 근대 양악사의 "한국 뛰어넘기"

        허지연 ( Jeeyeon Huh ) 한국음악학학회 2012 음악학 Vol.20 No.2

        이화여자전문학교(이하 이화여전) 음악과는 식민지 시기 한국에서 정부의 인가를 받은 유일한 전문음악교육기관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한국 근대 양악사 연구에서는 그 위상에 합당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일차적으로 근대 양악사가 한국 땅에서 한국인에 의해 이루어진 음악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필자는 이화여전 음악과를 연구 대상으로 상정함으로써, 한국과 한국인의 테두리를 뛰어넘는 한국 근대 양악사 서술을 제안한다. 이화여전은 식민지 시기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운영된 교육기관이기에, 미국 및 일본의 근대(음악)사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화여전과 선교사가 펴낸 1차 자료를 중심으로 이화여전 음악과가 식민지 조선 사회에서 어떤 성격의 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는가를 검토할 것이다. 당시 이화여전 음악과에서는 미국계 교육이 실시되었고, 피아 노 교육이 중심에 놓였으며, 음악중등교원이 배출되었다. 다음으로 이화여전 음악과와 관련하여 앞으로 어떤 논점들이 다루어져야 하는가를 제안함으로써, 이화여전의 음악교육이 정치·문화적 제국주의의 맥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강조할 것이다. Although Music Department at Ewha College was the only registered music institution in college level in the colonial Korea, it has been sparsely discussed as a part of Korean modern music history. The lack of discussion regarding Ewha Music Department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narrow scope of music historiography, which was confined to the musical activities only by Korean, and held in Korea. Investigating the musical activities of Music Department at Ewha College, I attempt to broaden the scope of previously written Korean modern music history: As Ewha College was an institution governed by American missionarie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music education there was strongly involved with the (context of) American and Japanese modern music history. I trace how Music Department at Ewha College constructed its own characteristics within Korean society in these complex circumstances, by reviewing the materials published by Ewha College and documents left by missionaries. Shedding light on the neglected part of Korean modern music history, I argue that the music education at Ewha College wa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and cultural colonialism.

      • KCI등재

        1930년대 여류악단(樂壇) 형성과 구성 원리: 이화여자전문학교와 신문·잡지를 중심으로

        송현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30s, a musical scene was formed and a social organization of professional musicians were formed. This chapter distinguished ‘non-musical’ from ‘musical,’ and set a certain musical value.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maintenance of such a band played a similar role in the literary circle. In particular, newspapers and magazines have addressed various events that constitute the music industry of the colonial Joseon dynast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usicians, suggested points of refl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and suggested that modern media through networking. I realized the logic of forming and maintaining a musical band while selecting ‘music’ and ‘not music.’ Over time, these band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various criteria such as their academic background, taste, personal interests, and worldview. In early 1930s, the so-called ‘female music scene’ was one of them. The term ‘female music scene,’ which was formed and used at the time, was a sign of female artists who are going to be gradually performing. As time went on, the contents of the ‘female musicians’ and ‘female music scene’ gradually increased in the commentary area of ​​the music world. This means that the New Home(新家庭) And in February 1934 issue of New Home(新家庭), the “Total Evaluation of Womans Music,” and was used in the context of introducing and discussing female musician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is study, I think that the formation and cause of female music scene are in the modern school education at Ewha Womans College,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Modern media formed and spread the discourse and planned and imagined a chapter. School education was a system that realizes modern education. Therefore, the formation of female music scene is related to ① the influences of women’s literature in literary circles in early 1930s, ② the graduation of Ewha Womans College established in 1925, and the advancement of society. In addition, I asked the question, “Who made female music scene?” and discussed ③ The principle behind the composition of the female music scene is the discursive role of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he resulting community of imagination. 일제강점기 중 1930년대가 되면서 음악가들의 사회를 뜻하는 ‘악단’(樂壇)이 형성되며 직업적 음악가들의 사회적 조직이 만들어졌다. 이 장(場)은 비(非)음악적인 것으로부터 ‘음악적인 것’을 구분하고 일정한 음악적 가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이러한 악단의 생성과 유지의 원리는 문학계의 문단과도 비슷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신문과 잡지는 식민지조선의 음악계 내부(악단)를 구성하는 여러 사건을 거론했고, 음악가들의 현황을 살폈으며, 음악계의 발전을 위한 반성의 지점과 제언을 하며, ‘근대 매체’와 ‘음악’이 상호공명적 네트워킹을 통해 ‘음악’과 ‘음악 아닌 것’을 선별하는 가운데 악단의 형성과 유지의 논리를 실현하였다. 당시 형성되어 사용하기 시작한 ‘여류문단’(文壇)이라는 말과 음악의 여류악단이라는 말은 서서히 진행될 여성예술가들의 활약을 암시하는 징후와도 같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악단을 논평하는 지면에서도 ‘여류음악가’들과 ‘여류악단’에 대한 내용들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여류악단의 형성 원인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한 것은 ‘이화여자전문학교’라는 근대식 학교교육과 ‘신문’과 ‘잡지’라는 근대 미디어에 있음을 밝힌다. 근대 미디어는 담론을 형성·전파하며 하나의 장을 기획하고 상상하게 하였으며, 학교교육은 근대적 교육을 현실화하는 제도였던 것이다. 따라서 ‘여류악단’의 성립은 ① 1930년대 초반 문단 내 여류문단의 영향 관계와 직·간접적인 관계에 놓여 있으며, ② 1925년 설립된 이화여전 음악과 졸업생들의 사회(음악계) 진출과 그 속에서의 활약과 맞물려 있음을 논한다. 이와 함께 ‘그렇다면 누가 여류악단을 만들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 ③ 여류악단의 구성 원리로서의 신문과 잡지의 담론적 역할을 논한다.

      • KCI등재

        이화여전 글리클럽 연구: 1927-1935년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1

        This study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Glee Club at Ewha College from 1927 to 1935. Ewha Hakdang, established by Mary F. Scranton in 1886, was reorganized as the first women's specialized college with the Liberal Arts Department and the Music Department in 1925. As Choseon’s folksongs were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Choseon’s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music research and the Glee Club were introduced as a curriculum for the Music Department. Since 1927, Ehwa College, led by Mary E. Young and Gi-Yong Ahn, published Choseonminyohabchanggogjib as record albums, which was a modern act. Moreover, the concert, which toured the country by arranging Choseon folk songs in chorus, generated a syndrome so-called ‘the Folksong Choir of the Joseon New Women,’ drawing a huge public response. However, these acts of Glee-Club were criticised and condemned by patriarchal society and the Christian community. It is possible that behind the criticism has been the response of discipline authorities who have been wary of girls producing social meaning through music. Nevertheless, as of 1935, when Ewha College was relocated to Sinchon, the Glee club’s activities have turned around to reproduce and imitate Western choir music. Also, by the end of the 1930s, when the energy of war was at its peak, it was mobilized for state-led music events such as ‘National Music Night’ and ‘The Night of the Feast’ and joined the ranks of the Empire’s faithful people. Although it’s been less than 10 years, Glee Club’s movement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Western music-centred community’ as they tried to achieve their goal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riticism and condemnation by the conservative society were possibly made by their fear of Glee Club’s liberal movement. Thus, the success of the glee club project in this period and the resistance of the institutional community to this period are also signs of colonial modernity, which was once again in conflict and confusion, such as ‘traditional society’ and ‘modern society,’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Christian) music,’ ‘women’s social advancement’ and ‘resistance of paternal discipline power.’ 본 논문은 1927-1935년 사이 이화여자전문학교(梨花女子專門學校) 글리클럽(Glee Club)에 대한 연구이다. 1886년 스크랜턴(Mary F. Scranton)에 의해 설립된 이화학당은 1925년, 문과와 음악과를 갖춘 여성 최초의 전문학교로 재정비한 후 조선민요를 조선 전통문화의 요체로 인식하면서 국악연구 및 글리클럽을 음악과의 커리큘럼으로 도입하였다. 1927년 이후, 이화여전 음악과는 선교사 메리 영과 안기영의 합작(collaboration)으로 『조선민요합창곡집』을 출판하고 레코드로도 전곡을 취입하는 등 매우 근대적인 행보를 이뤄내었다. 또한 전국순회 연주회를 통해 ‘조선 신여성의 민요합창’이라는 신드롬을 일으키며 대중으로부터 큰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글리클럽의 음악활동은 음악계 및 기독교계 모두로부터 비난과 공격을 받았다. 음악계에서는 조선 재래음악을 오선보로 만들고 합창음악으로 편곡하여 서구화하였다는 이유로, 기독교계로부터는 미션스쿨 여학생들의 민요합창이 기생을 연상시킨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결국 1935년 이후 글리클럽은 서구 합창음악을 재현하고 모방하는 레퍼토리로 전환하고 1930년대 말에 이르면 ‘국민음악의 밤’이나 ‘기원절봉축의 밤’ 등 관주도의 음악행사에 동원되면서 제국의 충실한 국민이 되어가는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비록 10년이 채 못 되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이 시기 글리클럽의 활동은 서구음악의 일방적 수용자를 넘어 한국의 전통음악을 통해 선교지 현장을 반영하려고 시도했던 음악적 성취였다. 당시 제도권 사회의 공격과 반발은 글리클럽의 사회적 행보에 불편함과 위기의식을 느낀 가부장제 사회의 반발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글리클럽 프로젝트의 대중적 성공과 이에 대한 제도권 사회의 저항은 ‘전통사회’와 ‘근대사회’, ‘전통음악’과 ‘서구(기독교)음악’, ‘여성의 사회진출’과 ‘가부장제 규율권력의 저항’ 등 갈등과 혼돈을 거듭하던 식민지 근대성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신여성 방신영의 업적과 사회활동

        김성은 ( Kim Sung Eun ) 한국여성사학회 2015 여성과 역사 Vol.- No.23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광학서포, 1917)은 1917년 처음 출판된 이래 수차례의 개정증보를 거쳐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장충도서출판사, 1960)이 33판으로 출간될 때까지 50여 년 동안 꾸준히 인기를 누렸다. 방신영의 주요 업적은 『조선요리제법』의 저술과 출판, 그리고 이 책의 진화(개정 증보)에 있다고 하겠다. 방신영이 처음 이 책을 출간했을 때 음식솜씨가 뛰어났던 어머니에게서 전해들은 요리법을 그대로 옮겨 기록한 것이었다. 『조선요리제법』은 이 책 자체만으로도 전통 가정음식의 집대성 및 체계화, 요리책(또는 음식조리법) 의 출판과 판매, 근대식 출판시스템을 통한 대량생산과 서점가 배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조선요리제법』은 근대식 인쇄 및 출판시스템에 의해 출간된 최초의 한국요리책이었다. 1670년경 이시명의 처 안동 장씨가 지은 한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41면)이 필사본 1책으로 전해진 지 240여년 만에 인쇄본으로 출간된 최초의 한국음식조리서로도 의의를 갖는다. 가정에서 계승되어오던 한국음식조리법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해 『조선요리제법』으로 저술한 이가 정신여학교를 졸업한 신여성이었다는 점도 흥미롭다. 늘 가까이에 있어 그 가치를 간과하기 쉬운 전통음식문화의 가치를 일찌감치 깨달아 집안 대대로 전해 내려오던 한국전통가정음식요리법을 구술로 풀어내는 어머니의 지식과 경험을 한글 기록으로 남겨 후대에 전한 이가 근대교육과 서구문물의 수혜를 받은 신여성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후 방신영은 일본에 유학 가서 영양학을 전공했는데 영양학 지식은 식단 짜기 등으로 『조선요리제법』의 개정 증보에 반영되었다. 뿐만 아니라 방신영은 개정 증보된 『조선요리제법』의 말미에 서양음식 만드는 법도 부기해 가정에서 주부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전통 음식조리법과 근대 영양학의 결합, 전통과 근대의 조화, 전통의 근대적 계승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군다나 『조선요리제법』은 개정 증보를 거듭하며 어머니의 요리 지식과 경험에 바탕을 둔 조리법에 방신영의 요리 경험과 근대의 영양학 이론이 더해진 실전용 가정요리책으로 진화해갔고 그 명성과 입지가 한층 더 강화되었다. 방신영은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 교원으로 부임해 가사과와 가정학을 자연과학 계통의 고등교육과정으로 정립하고 여학생들에게 실습교육을 실시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방신영은 전통가정요리책을 저술하는 한편 여성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조선여성교육회에 참여해 활동하거나 직접 지역 현장에서 여자야학을 운영하는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이후 정식 교사가 되어 정신여학교 교사로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로 교육현장에서 여학생들을 가르치는데 헌신했다. 뿐만 아니라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YWCA)와 근우회의 여성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의 삶은 전통의 계승과 근대의식, 여성교육과 여권의식, 근대주부의 양성과 근대가정의 확산을 목표로 한 가정학 교육, 한국전통음식조리법의 근대적 체계화와 대중화로 요약된다. Bang Shin-Young was the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of Ewha Woman`s College. Especially she was famous for the author of Korean cookbook for almost 50 years. She wrote Korean recipe book according to her mother`s oral statement. Her mother was a excellent housewife on the Korean dishes. The leader of Korean national movement and the teacher of Bang Shin-Young`s brother gave counsel to her advised, she began to write down her mother`s recipe on Korean food. She published her own Korean cookbook, fought for 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copyright against act of reproduction by lawsuit, and won. Her book was the first modern cookbook by mass printing technology. It became very popular on Korean people, was sold out, and was issued in a revised and an enlarged edition again and again for 50 years. The Korean cookbook was the required reading and cooking guidebook at Korean home, the textbook at girls` school and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of Ewha Woman`s College, and the bestseller and steady seller in Modern Korea. The book was revised and enlarged by her own cook experience as the years rolled by. The meaning of the Korean cookbook and social phenomenon surrounding it wa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 culture and transforming new Korean modern culture. And she contributed to identifying Home Economics at Ewha as an academic and practical training. She has the sense of women`s rights and responsibility for improving Korean women`s illiteracy and low status as a New Woman and intellectual. So she performed her education service like establishing night school for women as a teacher and manager for free and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association of Korean female education, YWCA and Geun woo Association. Additionally she established women`s employment agency and trained women about skill like knitting for earning money and improving her economic condition.

      • KCI등재

        식민지기 여성 고등교육의 지향점으로서 교사 양성 -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중심으로 -

        김정인 ( Kim¸ Jeong-in ) 강원사학회 2021 江原史學 Vol.- No.37

        근대 여성 고등교육은 식민지기에 개신교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1910년부터 1937년까지 약 28년간 개신교계 학교인 이화학당 대학과와 이화여전에서 유일하게 여성 고등교육이 이뤄져 왔다. 이화여전은 문과·음악과·가사과·보육과 등을 중심으로 미국식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을 실시했다. 이와 같은 여성 고등교육은 현실적으로 개신교계 학교에서 가르칠 교사를 양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화여전은 여성에게 한정된 직업으로 인식된 유치원 교사, 학교는 물론 선교 활동을 위해 필요한 음악 교사, 여성의 가정 내 역할을 근대식으로 가르치는 가사 교사, 서구적 교양인으로서의 영어 교사를 키워냈다. 이화여전이 배출한 졸업생들은 전국의 유치원과 사립여자고등보통학교 등에서 교사로 활약했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극히 제한되었던 시절, 교사로 살아가던 이화여전 출신 졸업생들은 스스로를 여성 지식인으로 자부했고 또한 사회도 그렇게 대우했다. 또한 여성고등교육의 실현과 졸업생의 교사로의 진출은 여성들이 사회진출의 발판으로서 고등교육을 선택하는 계기로 확고히 자리를 잡아갔다. Modern-style Higher education for Korean females were initiated by Protestant missionar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From the year 1910 through 1937, Higher education for women was only conducted at the Ewha Hakdang Collage and the Ewha Women’s Special School - which we e schools aligned with the Protestant church- for 28 years. Status of the latter was unique, earning the school a reputation duly recognized by every school girl who aspired to be enrolled at the school. Ewha Women’s Special School conducted American-styled Cultu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through individual schools dedicated to respective majors such as Liberal arts, Music, Housework and Childcare, etc. Primary goal of this fashion of higher female education was to train teachers who could teach and serve in the future at Protestant schools. Ewha Women’s Special School was able to turn out countless teachers who would perform education in various areas, not only as kindergarten teachers (which had usually been females anyway) but also as Music teachers who could engage in missionary activities, Housework teachers who could teach students the role of modern-style females at home, and English teachers who could teach them the Western culture. Graduates of the Ewha Women’s Special School continued to teach at kindergartens and private women’s high schools all around the country. At the time females were only able to cultivate limited careers in the society, but Ewha Women’s Special School graduates who became teachers proudly considered themselves as female intellectuals, and the society too considered them as such. As time progressed, more females chose higher education, became teachers, and advanced their own careers in the society.

      • KCI등재

        식민지조선의 서양음악의수용 - 조선인의 고등음악교육의 실태를 중심으로

        김지선 ( Kim Jiesun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翰林日本學 Vol.0 No.36

        본 연구는 조선 최초의 전문음악교육기관이었던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 졸업생과 일본에 있는 음악학교에 유학한 조선인 음악가가 식민지 조선의 서양음악 수용에 미친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의 졸업생과 일본의 음악학교에 유학한 조선인들은 엘리트 음악가로서 활동을 하였고, 해방 전후의 고등음악교육기관에서 서양음악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예를 들어, 그들이 집필한 음악이론서는 구미의 음악이론서를 일본어로 번역되어 일본에서 쓰였던 것을 참조한 것으로 음악 용어 또한 일본어로 번역된 것을 그대로 조선에서 쓰게 된다. 일본이 이미 수용한 일본식 서양음악의 이론이 그대로 조선인 유학생을 통해서 전해져 그 영향이 깊게 침투한 결과, 현재에 이르기까지 당시의 음악 용어 등이 통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한국인은 그것을 일본식 서양음악이 아니라 서양음악으로 인식하여 정착하였다. 이상으로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 졸업생과 일본의 음악학교에 유학 경험을 가지고 있는 조선인 음악가에 의한 활동은 식민지 조선의 서양음악의 수용과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considers one aspect of the reception of western music in colonial Korea, focusing on Korea’s first department of music in Ewha Women`s College, as well as analyzing the roles of Korean musicians who studied abroad to music schools in Japan.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music in Ewha Women`s College and Koreans who studied at Japanese music schools acted as elite musicians, great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western music in higher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or example, today this influence is still felt within the western musical terminology and western music theory that had been introduced by these Koreans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Japan’s modernized and musical westernization influenced music schools and books on music theory in Korea and resulted in Korea’s current situation of music theory typically being translated into Korean from Japanese. The Japanese version of western music theory that Japan had already incorporated into their own education system passed through Korean foreign exchange students, as well as Japanese music teachers in Korea, and was directly transmitted to colonial Korea. The resulting influence from this interaction was deep and today the same music terminology is still in cir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