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의 정체성과 시민교육네트워크(NECE)에 대한 고찰

        신두철 한독사회과학회 2010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0 No.4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정체성과 시민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어떠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독일연방정치교육원과 유럽연합 내의 시민교육기관이 공동으로 유럽의 시민교육과 ‘유럽 정체성’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설립한 유럽시민교육네트워킹(Networking European Citizenship Education, NECE)통해서 유럽연합의 시민교육활동을 분석해보았다. 유럽통합은 단기적으로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정치공동체를 건설하는 거대한 프로젝트이다. 이러한 정치공동체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문화적 동질성을 만들어 가는 것이 통합의 핵심과제이다. 유럽연합의 시민교육네트워크와 공동교육정책은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하게 하고 ‘유럽시민권’에 대한 의식을 보급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유럽연합의 시민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자신을 점차 유럽인으로써 인식하게 되면서 국가정체성을 유지하는 대신에 유럽정체성을 내면화하는 다층 정체성을 확립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유럽연합은 공동교육정책과 시민교육에 대한 예산, 인원, 이동 및 교류 기관 등을 더욱 확대시켜 왔고 앞으로도 계속 확대되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European Citizenship and European Identity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uropean Identity

        SonPhil LEE 한독사회과학회 2012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2 No.3

        이 연구는 유럽시민권 제도가 유럽정체성의 발전에 기여했는가를 산정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럽시민권은 유럽연합 회원국 시민들 사이에‘유럽인 의식’을 고무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유러피언 데모스’를 형성하기 위한 강력할 도구라고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유럽시민권과 유럽정체성은 서로 긴밀하게연계되어 있다고 가정되고 있다. 이 연구는 유럽시민권 제도의 형성 이전과 이후의 유로바로미터 여론조사를 평가하여 이러한 가정이 유럽 시민들의 태도와 신념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유로바로미터 조사 결과는 현실이 위에서 언급한 가정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유럽연합, 유럽연합의 상징과 정책에 대한 충성을 통해서 투영되어 나타나는 유럽정체성은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정체되어 있었고, 1980년대에 비해 많은 발전을 하지 못했다. 결국 유럽시민권 제도의 형성 이후 유럽시민들 사이에서 유럽시민 의식은 크게 향상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유럽정체성은 현재까지 약 60여년의 유럽통합 기간 동안 긍정적으로 발전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럽통합에 있어서 지역정체성 문제

        이원경(Lee, Won-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유럽연합은 구성원들을 결속할 수 있는 유럽정체성을 만들어나가기 위해서 정치, 사회, 교육 등 다방면에서 다양한 전략들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 “유럽적”이라는 개념의 정의에서부터 연합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목표의 규정에 이르기까지, 유럽연합에 대한 평가와 구상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유럽적정체성은 이렇게 다양한 인식의 경쟁 속에서 지역적, 국가적 정체성과 공존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과의 대립을 극복해야 하는 근본적인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억”이라는 요소를 중심으로 유럽통합에 있어서 지역정체성의 문제를 논의한다. 집단적 기억은 과거에 대한 상이한 관점과 해석이 경쟁을 벌이는 공적 담론의 장에서 형성되는데, 새로운 유럽에서 국민국가적 기억들이 유럽적 정체성과 미래적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유럽 공동의 기억문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한지 살펴보고 있다. 논의를 위해 조명하고 있는 지역은 노르딕이라는 독자성을 공유하면서 유럽통합에서 다분히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온 북유럽, 그 중 북유럽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유럽통합의 길에 동참한 덴마크이다. 덴마크의 예는 초국가적 기억의 장소가 유럽적 의미로 확대되는데 있어서, 기억의 상이함 자체를 존중하고 다양한 기억이 공존할 수 있는 적절한 소통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e European Union has used a variety of strategies in many fields like politics, society, education and so forth to form the European identity that can put its member states together. However, the evaluation and design of it, from defining the concept “European” to defining its ultimate goal, differs from nation to nation and from region to region. In this manner, the European identity, amidst competition for diverse kinds of awareness, should stand side by side with the national and regional identity. For this purpose, it has the task of getting rid of conflicts with these concepts of identity. This paper discusses the national identity in unifying Europe focusing on an element of “memory”. The collective memory is formed in an arena of public discourse in which different views and interpretations compete with each other. This paper addresses what meaning the national memories in new Europe has in forming the European identity and future values and what method the shared memory culture of Europe can exist in. The focused area for this discussion is Northern Europe which has the identity of “Nordic” in common and has shown a rather lukewarm attitude to European unification. Among other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Denmark, the first nation in Northern Europe to take leading part in European unification. The example of Denmark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n appropriate plan for communication through which a high value is placed on the difference of memory itself and there can coexist a variety of memories,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arena of transnational memories are expanded to the European meaning.

      • KCI등재

        유럽 정체성의 형성에 관한 고찰

        조홍식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5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t the European Union level. It begins by examining whether a so-called European identity exists at all. Actually, an identity represented by a sense of belonging and a consciousness of solidarity towards Europe and Europeans has been reinforcing and is not necessarily in contradiction with existing national identities. It nevertheless should be underlined that, in electoral periods where certain political forces chose to define Europe and nations in contradictory terms, there are temporary clashes between them. The perceptions concerning Europe's future are various, from that of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to those of international power or a model of cosmopolitan federation. Second, Europe is in full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How to define Europe in history? Where are the spatial limits of Europe? What is European? These debates about the European identity are as much fluid and conflictual as most of the debates about identity. Third, Europe defines itself as a successful model of politics and economy in its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ries to promote its own way, that of a regional integration. Finally, to hav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uropean identity formation, one should examine in detail the interactions between macropolitical integration and the micropolitical strategy of identity formation. 이 논문은 유럽연합 차원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시도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현재 유럽 정체성이라고 불릴 수 있는 현실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제로 유럽에 대한 소속감과 연대의식으로 표현되는 정체성은 점차 강화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존의 민족 정체성과 반드시 대립하는 관계는 아니다. 다만 민족과 유럽을 대립적으로 규정하는 정치 세력의 전략에 따라 선거 시기에는 다소 대립적인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미래 유럽에 대한 인식은 국제 협력체에서 국제적 세력 또는 세계연합의 모델로서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둘째로는 유럽 차원에서 진행되는 정체성 만들기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역사 속에서 유럽을 어떻게 정의내리는가, 공간을 어디까지 규정할 것인가, 그리고 무엇이 유럽적인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통해 유럽 정체성이란 다른 정체성과 마찬가지로 유동적이며 분쟁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유럽은 타자와의 관계에서 자신을 성공적인 정치·경제 모델로 내세우는 것은 물론 다른 대륙도 유럽과 같은 지역 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길 촉구하고 있다. 결국 현재 진행형의 유럽 정체성 현상을 더욱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인 통합의 진전과 함께 미시적인 정체성 전략의 상호 관계를 상세히 연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유럽통합과 문화정체성

        신혜양 ( Hye Yang Shi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6

        지금의 유럽연합이라는 거대한 공동체로 유럽을 통합하려는 계획은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1950년대 초부터 추진되어 독일이 재통일 된 1990년 이후에 빠른 성과를 보이면서 진척되었다. 유럽 내 시장통합을 이루었고 정치 및 경제통합도 달성했으며 유로화를 도입해서 통화도 단일화 하게 되었다. 유럽대륙에서의 이러한 진보적 성과는 아시아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는 동경의 대상이기도 하다. ‘하나의 유럽’을 만들려는 계획은 그 역사가 장구하다. 이미 17세기 30년전쟁의 시기에 평화적인 결정에 의한 유럽통합이라는 구상이 나왔고, 그 이후로도 철학자나 작가 등의 지성인들이 하나의 이상으로서 유럽통합을 꿈꾸어왔다. 주장자에 따라 이이상적 유럽공동체의 내용은 다르지만 대부분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종교적 문화적 유럽공동체를 그렸다. 그러나 현재의 유럽연합은 우선적으로 정치적 경제적 통합체로서 각기 다른 언어와 문화를 지닌 유럽의 국가들을 문화적으로 통합하지는 못하고 있다. 유럽연합도 새로운 유럽에 맞는 새로운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이는 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이다. 유럽 내 다양한 문화와 지역사정을 유럽연합이 입법과 정책 집행에서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에 대해 여러 지성인들이 비판을 가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유럽통합 이전에 ‘하나의 유럽’을 이상으로 제기했던 유럽담론의 주요 인물들을 살펴보고, 20세기 후반에 유럽통합이 실제로 이루어지면서 어떤 면에서 이상적 유럽공동체가 되지 못하는지를 주요 비판자들의 관점을 통해 알아본다. 특히 유럽연합의 비민주주의와 경제정책중심주의를 비판했던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와 로베르트 메나세의 주장을 그들의 글을 통해 분석한다. 이어서 유럽의 문화정체성 논의와 연관하여 문화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문학에서 ‘유럽문학’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고찰하고 유럽의 시대별 지역별 문화유산인문학 작품들이 유럽 공동의 문화자산으로 갖는 의미를 진단하고 유럽 문학의 특징 및 문화정체성과의 연관관계를 밝힌다. 그럼으로써 유럽이라는 문화정체성에 기반한 새로운 문화공간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lan to integrate Europe into what has become the enormous community of the European Union (EU) was germinated in the early 1950s right after World War II and was rapidly facilitated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1990. As a result, Europe has unified its market, complet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and adopted a single currency - the euro - among its member countries. Such a remarkable progress can be an object of admiration for the people of Asia. The plan to establish “one Europe” has a long history. The idea of European integration based on a peaceful agreement was suggested by Europeans during the period of the Thirty Years`` War in the 17th century. Afterwards, intellectuals including philosophers and authors dreamt of European integration as their ideal. Although the specific idea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dvocates, they mostly conceived a religious and cultural European community based on Christianity. The European Union as 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tegrated system of today, however, fails to perform its role of culturally integrating the European countries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Although the European Union attempts to establish a new cultural identity to cope with the image of new Europe, this design cannot be achieved only by polices alone. Many intellectuals have criticized that the European Union has not been able to properly deal with diverse cult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egisl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This paper is aimed at figuring out, from the perspectives of major critics, who were the major advocates of the European discourses suggesting one Europe as the ideal before the European integration and what has prevented Europe from establishing an ideal European Union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This study will put much focus on Hans Magnus Enzensberger and Robert Menasse, along with their writings, who criticized the non-democratic aspects and economy-centered policies of the European Union. With regard to European discourses on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will then examine: how literature interprets the concept of ‘European literature’; what is the meaning of literary works - the regional cultural assets of Europe in each period - as the common cultural legacy of Europe;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European literature and its relation to European cultural identity. Finally, this paper will predict the creation of a space of transcultural communications based on the cultural identity of Europe in the contemporary times of global culture.

      • KCI등재

        유럽연합의 다중언어정책과 회원국의 언어 다양성 분석: 불가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이하얀,송현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ultilingualism policy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actual language use in member countries to derive its implications. To this end, we review major domestic and prior foreign studies on the language policy of the European Union. The union regards every language and culture of member countries as an invaluable asset from the beginning since preserving the identity of the language could be beneficial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in educational, vocational, and economic sectors of member countries. Moreover, the union is trying to deepen understanding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with multilingualism policy. As a result, the union adopted the languages ​​of all individual members as official that there are currently 24 official languages based on ‘Unity in diversit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multilingualism policy to see how this policy affects member countries. We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 in language diversity of Bulgaria, which joined the European Union in 2007. By analyzing the case in Bulgaria, we investigate current challenges in multilingual society and predict future challenges of the multilingualism policy of the European Un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연합의 다중언어정책과 회원국의 실제 언어 사용현황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의 언어 정책에 대한 국내외 주요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언어 정책 중에서도 유럽연합이 강조하고 있는 다중언어 정책에 대해 분석했다. 유럽연합에서는 다중 언어 정책(multilingualism)이 회원국 개별국가의 언어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동시에 회원국 시민들의 교육, 직업, 경제 분야에서 더 많은 기회를 얻는 데 유리하며, 언어 다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다문화 간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유럽연합은 그 탄생 시점부터 지금까지 각 회원국의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럽연합만이 가지는 자산으로 간주하여, ‘다양성 속의 통일(Unity in diversity)’을 기조로 모든 개별 회원국의 언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했으며, 현재 공식 언어는 24개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책이 실제 회원국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007년 유럽연합에 가입한 불가리아의 언어 다양성을 시대별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수십 개의 공식 언어가 공존하는 언어사회가 통합되는 과정에서 어떤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는지 불가리아의 실제 언어 사용 사례와 시대별 언어 다양성을 분석하여 유럽연합과 회원국의 향후 과제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유럽통합과 문화정체성

        신혜양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科學 Vol.0 No.56

        The plan to integrate Europe into what has become the enormouscommunity of the European Union (EU) was germinated in the early 1950sright after World War II and was rapidly facilitated after the reunification ofGermany in 1990. As a result, Europe has unified its market, completed the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and adopted a single currency – the euro– among its member countries. Such a remarkable progress can be an objectof admiration for the people of Asia. The plan to establish “one Europe” hasa long history. The idea of European integration based on a peacefulagreement was suggested by Europeans during the period of the Thirty Years'War in the 17th century. Afterwards, intellectuals including philosophers andauthors dreamt of European integration as their ideal. Although the specificidea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dvocates, they mostly conceived a religiousand cultural European community based on Christianity. The European Unionas 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tegrated system of today, however, fails toperform its role of culturally integrating the European countries with differentlanguages and cultures. Although the European Union attempts to establish anew cultural identity to cope with the image of new Europe, this designcannot be achieved only by polices alone. Many intellectuals have criticizedthat the European Union has not been able to properly deal with diversecult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egislation and policyimplementation. This paper is aimed at figuring out, from the perspectives of major critics,who were the major advocates of the European discourses suggesting oneEurope as the ideal before the European integration and what has preventedEurope from establishing an ideal European Union in the process ofEuropean integr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This study will put much focuson Hans Magnus Enzensberger and Robert Menasse, along with theirwritings, who criticized the non-democratic aspects and economy-centeredpolicies of the European Union. With regard to European discourses oncultural identity, this study will then examine: how literature interprets theconcept of ‘European literature’; what is the meaning of literary works –the regional cultural assets of Europe in each period – as the commoncultural legacy of Europe;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Europeanliterature and its relation to European cultural identity. Finally, this paper willpredict the creation of a space of transcultural communications based on thecultural identity of Europe in the contemporary times of global culture. 지금의 유럽연합이라는 거대한 공동체로 유럽을 통합하려는 계획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1950년대 초부터 추진되어 독일이 재통일 된1990년 이후에 빠른 성과를 보이면서 진척되었다. 유럽 내 시장통합을 이루었고 정치 및 경제통합도 달성했으며 유로화를 도입해서 통화도 단일화 하게 되었다. 유럽대륙에서의 이러한 진보적 성과는 아시아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는 동경의 대상이기도 하다. ‘하나의 유럽’을 만들려는 계획은 그 역사가 장구하다. 이미 17세기 30년전쟁의 시기에 평화적인 결정에의한 유럽통합이라는 구상이 나왔고, 그 이후로도 철학자나 작가 등의 지성인들이 하나의 이상으로서 유럽통합을 꿈꾸어왔다. 주장자에 따라 이이상적 유럽공동체의 내용은 다르지만 대부분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종교적 문화적 유럽공동체를 그렸다. 그러나 현재의 유럽연합은 우선적으로정치적 경제적 통합체로서 각기 다른 언어와 문화를 지닌 유럽의 국가들을 문화적으로 통합하지는 못하고 있다. 유럽연합도 새로운 유럽에 맞는새로운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이는 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이다. 유럽 내 다양한 문화와 지역사정을 유럽연합이 입법과 정책 집행에서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에 대해 여러 지성인들이 비판을 가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유럽통합 이전에 ‘하나의 유럽’을 이상으로 제기했던 유럽담론의 주요 인물들을 살펴보고, 20세기 후반에 유럽통합이 실제로 이루어지면서 어떤 면에서 이상적 유럽공동체가 되지 못하는지를 주요 비판자들의 관점을 통해 알아본다. 특히 유럽연합의 비민주주의와 경제정책중심주의를 비판했던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와 로베르트 메나세의주장을 그들의 글을 통해 분석한다. 이어서 유럽의 문화정체성 논의와 연관하여 문화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문학에서 ‘유럽문학’이라는 개념을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고찰하고 유럽의 시대별 지역별 문화유산인문학 작품들이 유럽 공동의 문화자산으로 갖는 의미를 진단하고 유럽 문학의 특징 및 문화정체성과의 연관관계를 밝힌다. 그럼으로써 유럽이라는문화정체성에 기반한 새로운 문화공간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영국 농민을 통해 본 브렉시트와 국가정체성

        김원동(Kim, Won D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8 農村社會 Vol.28 No.2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영국의 농민시장 참여농민들에 초점을 맞춰 이들의 입장에서 브렉시트와 영국인의 국가정체성이 갖는 의미를 파악해 보는 데 있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의 실현을 위해 3가지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했다. 국가정체성의 관점에서 본 영국의 다민족국가로서의 발전 과정, 영국 농민의 시각에서 본 브렉시트와 농업, 그리고 영국인의 국가정체성이 그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인의 압도적 다수를 구성하는 잉글랜드인들이 브렉시트에 찬성했고, 나머지 지역에서도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을 동시에 지닌 영국인들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유럽회의주의와 연계된 브렉시트는 현실화될 수 있었다. 둘째, 영국 농민들 사이에서는 브렉시트에 대해 대체로 반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농민들은 신뢰할 만한 유럽시장의 상실, 유럽연합으로 부터의 영농보조금 단절, 먹거리 안전 위협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더불어 영국의 농업과 소비자들의 식탁을 엄습할 적신호에 주목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농민시장 같은 대안시장을 주된 판로로 삼고 있는 농가는 국제농산물시장을 상대로 하는 일반 농가보다 브렉시트의 타격을 적게 받을 것으로 농민들은 예상했다. 셋째, 농민들의 눈에 비친 영국인들은 선조나 지역에 토대를 둔 개별적 민족정체성과 다양성을 상호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영국인으로서의 국가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이었다. 이러한 영국인의 국가정체성에는 역사적, 언어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나의 국가를 유지함으로써 얻게 되는 경제적, 안보적 이익에 대한 공통된 인식이 내재해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Brexit and British State Identity in the light of farmers participating at farmers’ markets. I tried to do this work in three aspects. They are a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UK as a multi-national state, Brexit, Agriculture and British Identity in view of British farm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Brexit could be got through was that the English composing of an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British voted ‘yes’ for Brexit and that residents having dual identities of both national identity and state identity were quite a lot in the rest of the British. Second, the farmers raised voice of dissent and concerns against Brexit on the whole. They thought that the UK would lose a reliable Europe market, farming subsidies from the EU, and food security and that warning signs came on in both the British farming and table with great uncertainty. Meanwhile, farmers anticipated that farms having an alternative market such as farmers’ market as a main outlet would not suffer as much as those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agricultural markets from Brexit. Third, according to the British farmers, the British were people who shared the State identity as the British with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for the regional national identities and their diversities. I could find out the shared recognition in the British State identity that what they continued to be an unified State on the basis of historical and linguistic background would be distinctly favorable to them in their economic and security views.

      • KCI등재

        유럽통합을 위한 역사교육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운석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7

        Until the 1980s, ‘the European dimension’ was not representedsufficiently in German history textbooks. This problem improved in the1990s. The textbooks concentrated no longer on national history,showed a greater interest in the common development of Europe, andenhanced a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the history of other Europeanstates and regions. Greater attention was given to the contacts ofEuropeans with other cultures, such as Islamic civilization or AmericanIndian culture, which enhanced European identity. In striving for European integration, until the 1908s, ‘Europe’primarily meant Western Europe. But with the expansion of Europeanintegration into Eastern Europe, the Byzantine empire, GreekOrthodoxy, and, moreover, the conflicts and exchanges with Islam wereconsidered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the European tradition. German history textbooks now lay more emphasis on the political andeconomic necessity of European integration, the history of thought, andorganizations for European integration and their functions andproblems. The formation of European identity has been a long and ongoingprocess which requires great endurance. It needs not only scientificresearch but also educational efforts. Reg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European Council and the European Union, national educ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German Kultusministerkonferenz, and privateinstitutions such as Georg-Eckert-Institut for International TextbookResearch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promotion of Europeanconsciousness in the youth. We can learn much from these experiencesin our efforts to build an East Asian Community and to support thisprocess through history education. 1980년대까지도 독일의 교과서 서술에서 ‘유럽적 차원’은 불충분하게 반영되었다. 여기에 분명한 개선이 이루어진 것은 1990년대에 들어서였다.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동서 대립의 종식, 그리고 유럽연합의 대규모 확장은 유럽통합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개선과 유럽정체성의 강화를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교과서의 개선은 민족사에 대한 집중으로부터 벗어나 유럽공통의 발전에 대한 서술에 지면을 늘리고, 자국과 다른 유럽 국가들의 역사와의 비교사적 고찰을 강화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중세 이후 이슬람과의 접촉,식민주의 시대에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접촉 등 타문화와의 접촉이 유럽인의정체성을 형상하는 데 비친 영향도 중시되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유럽통합운동에서 ‘유럽’은 주로 서유럽을 의미했다. 그러나 이러한 서구중심적 유럽사관으로는 독일 청소년들에게 유럽연합의 확장 이후 유럽의 새로운 현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없다는 비판이 강해졌다. 1990년대에 유럽통합이 동유럽으로 확장되면서 비잔틴제국과 그리스정교회 그리고 이슬람과의 대립과 교류도 유럽적 전통의 형성에 중요한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제 유럽적인 것을 찾는 작업은 훨씬 더 복잡해졌으며어려워졌다. 따라서 공통의 문화적 뿌리를 찾는 것과 더불어 유럽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유럽통합의 정치적·경제적 필요성에 대한인식과 1945년 이후 유럽통합사상과 조직들이 발전해온 역사와 그 기능과 문제점들에 대한 인식과 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유럽적 정체성의 형성은 인내를 요하는 장기적인 과정이었으며 현재도 진행되고 있다. 그것은 학술연구뿐만 아니라 교육상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유럽평의회, 유럽연합, 독일의 문화부장관회의, 게오르그-에커트 국제교과서연구소는 청소년들에게 유럽의식을 길러주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우리는 동아시아공동체를 만들어가고 그 과정을 역사교육을 통해서 뒷받침하는 데 이러한경험에서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