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 학술활동의 현황과 과제 :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양은용(梁銀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이 논문은 원불교의 학술활동상을 살펴 그 전망과 과제를 제기하는것이 목적이다. 이를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원광대학교 교책연구기관으로 1974년 설립된 원불교사상연구원은 원불교학의 센터역할을 해왔으며, 그 학술·연구활동을 살펴보면 원불교학계의 현황과 과제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학술활동은, 첫째 가 1982년부터 2010년까지 29회 열려 57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가 원광대학교와 일본의 불교대학 간의 학술자매결연에 의해 1973년부터 2009년까지 21회 열려 19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셋째 가 1974년부터 2010년까지 176회 열렸고, 넷째 그 밖에 특별 주제를 내건 학술회의가 1977년부터 2010년까지 15회 열려 8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연구활동은, 첫째 학술연구지『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를 1975년부터 2010년까지 45회 발간하여 587편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둘째『원불교사상연구원 원보』를 1979년부터 2010년까지 62회 발간하였고, 셋째 10권과 12권을 발간하였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은 성과에 있어서도 원불교학을 주도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0년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에 이 아젠다로 선정되어, 10년간 새로운 차원의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원불교학계가 안고 있는 현안의 여건과 관련해 보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첫째 연구인력의 육성, 둘째 연구방법론의 개발, 셋째 특수과제의 진행에 따른 원불교학 연구의 위축 등의 문제이다. 원불교 개교100년을 내다보는 시점에서 원불교사상 연구원은 원불교학계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바탕하여 학술·연구활동을 조직적으로 추진할 때 교단적인 협력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prospect and task of academic activities in Won-Buddhism by investigating it. It is mainly focused on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It is the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for policy of Wonkwang University at 1974, and has been played a role of center of Won-Buddhist studies. Therefore, investigating its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would manifest current status and tasks.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can be divided into academic and research. For academic activities, firstly, has been held 29 times with 572 presented articles between 1982 and 2010; secondly, has been held 21 times and presented 193 articles between 1973 and 2009 by academic alliance with Bukkyo Univesity in Japan; thirdly, has been held 176 times between 1974 and 2010; fourthly, other academic conferences for specific themes have been held 15 times and presented 85 articles. In research activities, firstly, a research journal, 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has been published 587 articles in 45 volumes between 1975 and 2010; secondly,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has been published 62 volumes between 1979 and 2010; thirdly, 10 volumes of the Collections of Won-Buddhist Thoughts Research and 12 volumes of Commemoration Journal have been published. Those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lead Won-Buddhist studies and brought an outstanding result. Especially, on 2010, its new agenda“ Mind Humanities: New Hope of Human Spiritual Civilization”has selected for Humanities Korea Supporting Project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nd will carry on new dimension of research for next ten years. However, considering current condition of Won-Buddhist studies, following tasks can be pointed out. Those are 1) upbringing of human resources for research, 2)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and 3) shrinking research on Won-Buddhist studies for development of special theme. On the point of com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Won-Buddhism,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s has to establish middle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future of Won-Buddhist Studies. On the such ground carrying on systematic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the Institute can attain help from order of Won-Buddhism.

      • KCI등재

        원측(圓測) 종성논(種性論)의 기본 구조와 몇 가지 특징 -『해심밀경소』 티벳어역 속의 신발굴자료에 대한 소개를 겸해-

        장규언 ( Gyu Eon J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1

        본 논문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가 주석 문헌이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원측(圓測) 종성론(種性論)에 대한 기존 논의를 비판적으로 보완하려는 것을 목표로 하여 그 기본 구조와 특징을 해명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삼무성관(三無性觀)의 관점에서 일승(一乘)의 의미를 해명하면서 종성(種性)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무자성상품(無自性相品)」과 「무자성상품」의 경문을 재인용하면서 그 의미를 재해석하고 있는 「지바라밀다품(地波羅蜜多品)」에 걸쳐 있는 원측 종성론의 기본 구조에 주목하였다. 이어서 종성론의 몇가지 주제에 한정하여 원측이 스승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현장(玄奬)과 어떤 관련이 있으며 또 흔히 종성론에 있어 원측과 대립된 입장을 지닌 것으로 이해되어온 규기(窺基)가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도 부가적으로 밝혀 원측 종성론의 특징을 상대적으로 부각시키려 하였다. 원측 종성론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다. 원측은 우선 『해심밀경(解深密經)』이 ``하나``와 ``셋`` 모두를 붓다의 진리로 보고 있기 때문에 료의경(了義經)이라는 해석학적 지평 위에서 출발하여, 그 위에 붓다가 말한 ``하나``와 ``셋``이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리일(理一)``과 ``도일(道一)·과일(果一)``의 관점을 정립하여 ``하나``를 단순히 순수한 가능성으로서의 불성으로 이해하는 규기와는 달리 이념적·수행적 차원의 동일성을 긍정하는 말로 이해하였으며 나아가 이 바탕 위에서 진제 진영과 현장 진영의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주장들을 교통정리하고 회통시킨다. 몇몇 종성의 주제에 대한 원측 해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법화경(法華經)』 구절 해석에 있어 원측은 소승과 대승 간의 현실적 차이를 절대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차이를 강조하는 규기와 대조적으로 온건주의자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무성유정(無性有情)의 성불 가능성에 대해 원측은 완전히 부정하지도 완전히 긍정하지도 않는 모호하고 신축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그 역시 현장, 규기와 마찬가지로 불교 주석가의 해석학적 곤경에 빠져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볼 때 원측은 삼승가(三乘家)와 일승가(一乘家)의 화쟁(和諍)에 기반한 온건한 의미의 오성각별론자(五性各別論者)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This paper is a expose of the basic structure and some characteristics of Gotra Theory in Woncheuk(613~696, 圓測 Wonch`uk; ch. Yuance(Yuan-ts`e); tb. Wen tshegs) aiming at critically complementing the established interpretations on that topic. For this, I, at first, have noticed the basic structure of his Gotra Theory that is discussed in MuJaSeongSang pum(無自性相品) and JiBaRaMilDa pum(地波羅蜜多品) of HaeSimMilGyeong so(解深密經疏), where the former chapter discuss the One-vehicle(一乘) in regard to Trinihsvabhava-yoga, and the latter chapter recall some passages from the former and re-interprete them. Next, I have exposed Woncheuk`s hermeneutical connection to his Master Xuanzang(600~664, 玄奬 Huantsang) and some characteristics of his interpretations relatively illuminated by comparison with his supposedly rival Kuiji(632~682, 窺基 K`ueichi) regarding some topics in Gotra Theory. The basic structure of Gotra Theory in Woncheuk is as follows. He starts on a hermeneutical horizon that Samdhinirmaocana-sutra is nitartha in that it regards both the doctrine of One-Vehicle and Three-Vehicle(三乘) as true, and continuously for exposing that the apparently contradictory teachings of ``one``(=same) and ``three``(=different) in sutras and sastras, in fact, are not contradictory one another, from a hermeneutical framework of Truth-Sameness(理一)(=Buddha-Nature as Truth 理佛性) and Way-Sameness(道一)·Attainment-Sameness(果一)(=Buddha-Nature as Practice 行佛性) has reinterpreted ``one`` as the ultimate sameness in both ideal truth and actual practice, distinguished from Kuiji who regards ``one`` as Buddha-Nature of all sentient being just in the context of ideal truth, and finally has tried to reconcile the serious conflicts between Paramartha and Xuanzang lineage thinkers. The features of Woncheuk`s interpretations on some topics regarding gotra are as follows. In interpreting a phrase of Saddharmapundarika-sutra, he appears as a moderate in contrast with Kuiji in that he regards actual difference between Hinayana and Mahayana practitioners as not absolute. But with regard to Enlightenment of agotra-sattva, he neither negate absolutely nor affirm actively the possibility of it. Probably regarding that problem he has also been in a hermeneutical predicament common to Xuanzang and Kuiji. Finally, from the above facts I have concluded that Woncheuk can be interpreted as a moderate in advocates of Five Gotra System(五性各別論) based on the reconcile of conflicts between One-Vehicle and Three-Vehicle lineage thinkers.

      • KCI우수등재

        원측(圓測) 법화경(法華經) 일승(一乘) 인식의 특징과 그 교판적 의미

        장규언(JANG, Gyu-eon)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4 No.-

        이 글은 원측 (圓測, 613-696) 법화경 (法華經) 일승 (一乘) 인식의 특징을 조명하고 그의 인식이 해심밀경 (解深密經) 의 ‘ 삼시 교판 (敎判)’ 해석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 지를 밝히려는 시도이다 . 이와 관련하여 필자가 주목한 것은 일승을 명시한 「방편품 (方便品) 」의 핵심 구절 “十方佛土中, 唯有一乘法, 無二亦無三, 除佛方便說.” 해석에서 원 측이 자신이 지지하는 관점의 경증 (經證) 으로 진제 (眞諦, 499-569) 섭대승론석 (攝大 乘論釋) 구절을 인용하고 있는 반면 이와 대립되는 규기 (窺基, 632-682) 해석을 지지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 필자는 이곳에서 법화경 일승 설법에 대한 원측 인식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났다고 보고 이하에서 그가 어떤 의도에서 진제를 경증으로 인 용하였으며 또 반대로 왜 규기의 해석을 수용하려 하지 않았는지를 해명하려 한다 . 먼저 원측이 어떤 맥락에서 문제의 법화경 구절을 경증으로 인용하거나 해석 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 원측은 「무자성상품」 경문 속 일승의 의미를 밝히기 위 해 문제 구절을 경증으로 인용하면서 그 일승의 의미를 삼승 (三乘) 수행자의 ‘ 해탈신(解脫身) 의 평등 ’( 결과의 동일성 ), 삼승 수행자의 ‘ 리취 (理趣) 의 평등 ’( 수행의 기반 또 는 수행의 궁극 이상의 동일성 ), 삼승 수행자의 ‘ 리취를 향한 길 [理趣道] 의 평등 ’( 궁 극의 이상을 향한 수행의 동일성 ) 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셋 모두 ‘ 진여 (眞如) 의 평등 ’과 연관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 다음으로 원측 해석의 연원을 추적하기 위해 진 제 섭대승론석 인용의 전후 맥락을 확인하고 그것과 연관된 , 진제 수행론 속을 관통하는 ‘ 진여 ’ 의 의미와 진제가 삼시 교판 체계 안에서 법화경 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간략하게 살펴본 결과 , 진제는 진여의 보편성의 관점에서 소승 (小乘) 의 수행 역시 결국 불승 (佛乘) 의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하며 , 또 같은 맥락에서 법화경 일승 설법의 근본 의도 역시 대소의 차별 의식으로 인한 갈등을 잠재우기 위해 소승과 대승의 연속성과 동일성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 이어서 문제의 구절 , 규기가 일승의 의미로 제시한 보신 (報身), 원측 자신이 일승의 의미 중 하나로 제시한 해탈 신 등에 대한 규기의 해석을 고찰하면서 거기서 원측과 대비되어 상대적으로 두드 러지는 해석 경향을 밝힌 결과 , 규기의 파이귀일 (破二皈一) 의 입장은 일승 설법을 타 자인 이승 (二乘) 을 배제함으로써 불승의 유일성을 자각시키려는 의도에서 행해진 것으로 이해하며 , 또 같은 관점에서 불과 이승 수행자의 ‘ 해탈신 ’ 을 각각 ‘ 진해탈 (眞 解脫)’( =보신 ) 과 ‘ 가해탈 (假解脫)’ 로 구별하여 우열을 가리면서 양자 간의 궁극적 차 이를 강조하고 있다 . 결론적으로 원측은 문제의 구절을 해심밀경 경문 속 ‘ 일승 ’ 해석의 경증으로 활용함으로써 해심밀경 의 ‘ 일승 ’ 을 상이한 삼승 수행자의 ‘ 궁극적 이상 및 수행 기반의 평등 ’, ‘ 궁극적 이상을 향한 수행의 길의 평등 ’, ‘ 해탈신의 평등 ’ 으로 해석하 고 있는데 , 이는 진여의 보편성의 관점에서 대승과 소승의 연속성을 강조하며 법화 경 의 일승 설법이 대소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보아 그것을 ‘ 삼시 교판 ’ 체계의 제 3 료의 (了義) 로 귀속시킨 진제 사유를 계승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반면 원측은 대승과 소승의 차이를 강조하는 규기의 일승 해석은 증익 (增益) 의 극단에 빠 질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수용하지 않은 듯하다 . 이처럼 진제의 사유를 계승한 원측은 문제의 법화경 구절을 삼시교판 체계에서 최상의 가르침으로 인식된 해 심밀경 경문 속 ‘ 일승 ’ 해석을 위한 경증으로 활용하면서 ‘ 진여의 평등 ’ 이라는 입 장에서 그 ‘ 일승 ’ 의 의미를 상이한 삼승 수행자가 공유하고 있는 ‘ 궁극적 이상 [理趣] 또는 수행의 기반 [法界] 의 평등 ’, ‘ 궁극적 이상을 향한 수행의 길 [理趣道] 의 평등 ’, ‘ 해 탈신의 평등 ’ 으로 해석하고 있다 . 동시에 이를 통해 법화경 일승 설법 역시 해심밀경 과 같은 최상의 가르침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 This paper is a trial of exposition on characteristics of Woncheuk's view on ekayāna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nd appreciation of its meaning from a viewpoint of Theory of Third Buddha-cakras in Saṃdhinirmocana-sūtra. As for this, I noticed a famous passage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 十方佛土中 , 唯有一 乘法 , 無二亦無三 , 除佛方便說 .” Because in exposing his view on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the very passage, Woncheuk ( 圓測 613-696, Ch. Yuance) quoted a passage from Shedashenglun-shi ( 攝大乘論釋 ) of Vasubandhu, which was translated and added by Paramārtha ( 眞諦 499-569, Ch. Zhendi) as canonical evidence for a second interpretation, which he supported, and on the contrary, does not support the first interpretation, that of Kuiji ( 窺基 , 632-682). I believe Woncheuk’s view on ekayāna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is most outstanding in this point, and so I illuminate with what intention he cites a passage from Paramārtha and why he would not accept Kuiji’s interpretation. For this, first I investigated in what context Woncheuk presents the very passage as canonical evidence for the meaning of “One” in Saṃdhinirmocana-sūtra. I found that in his thought ekayāna in both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nd Saṃdhinirmocana-sūtra means the Equality of Ideal ( 理趣 ) (=Buddha’s ultimate Enlightenment) or of Base ( 法界 ) (=Buddha-nature as source of cultivation), the Equality of Liberation-body ( 解脫身 ), and the Equality of Ways to Ideal ( 理趣道 ). I also found that these three are all based on the Equality of tathatā. Second, in tracing the origin of his interpretation, I consulted the context of the citation from Shedashenglun-shi of Paramārtha; the meaning of tathatā in his Buddhist practice system, and his interpretation of Ekayāna Doctrine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into Theory of Three Buddha-cakras in Saṃdhinirmocana-sūtra. Paramārtha emphasizes that the practice of Hearer's Vehicle will be succeeded to the ultimate result of Buddha's Vehicle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versality of tathatā, and, subsuming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under the Third nitārtha, understands that Buddha preached the continuity and equality between Hearer's and Great Vehicle to reconcile the earnest conflict between the two Vehicle practitioners. Third, to expose the outstanding tendency of Kuiji's interpretations relative to that of Wocheuk, I scrutinized his understanding of the very passage, Enjoyment-body ( 報 身 ), and Liberation-body. Contrary to Paramārtha, Kuiji throughout stresses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groups of practitioners mentioned above to invoke that the one and only Buddha's Vehicle (=Enjoyment-body) is superior to Hearer's Vehicle, and intentionally discriminates Liberation-body of the former, “True Liberation” ( 眞解脫 ) (=Enjoyment-body) from that of the latter, “Metaphorical Liberation” ( 假解脫 ), emphasizing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conclus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Equality of tathatā, Woncheuk interprets the meaning of “One” in Saṃdhinirmocana-sūtra as the Equality of Ideal or Base, the Equality of Ways to Ideal, and the Equality of Liberation-body between the two groups of practitioners in terms of employing the very passage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s canonical evidence. In this sense, Woncheuk is believed to be a continuer of Paramārtha that subsumes Ekayāna Doctrine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under the nitārtha in Theory of Three Buddha-cakras in Saṃdhinirmocana-sūtra for emphasizing the continuity between the two Vehicles. On the other hand, he refuses Kuiji’s interpretation of the very passage because he believes that such interp

      • KCI등재

        신라 원측의 생애에 대한 검토

        조경철(Jo Gyung-cheoul)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원측의 신분에 대해선 왕손설과 사족[6두품]설로 크게 나뉘지만, 낭혜화상의 예를 들어, 왕손설이 나온 배경을 추론하였다. 원측이 예전에 왕손이었으나 후에 6두품으로 편제된 모량부 박씨의 후손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왕손설과 사족설을 모두 받아들였다. 원측의 3세 출가와 15세의 유학은 단석산신선사의 미륵신앙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량부 박씨의 불교적 분위기와 원측의 구법의지가 반영되었다. 신문왕대 원측의 귀국요청이 있었지만 귀국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그의 출신 부인 모량부의 탄압뿐만 아니라 그의 일체성불설과 반대입장에 있었던 오성각별설의 백제 출신의 승려 경흥의 반대를 상정해 보았다. 원측에게 승직을 주지 않았다는 기록은 그의 제자인 도증의 와전이었다. 경흥은 원측과 달리 현장-규기로 이어지는 유식계열이었고 신라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오성각별설을 주장하고 있었다. 경흥은 자기와 반대 입장에 있었던 원측의 귀국을 바라지 않았으며, 뒤에 원측의 제자인 도증이 귀국했을 때도 모량리 익선아간의 사건을 빌미로 도증에게 승직을 제수하지 말것을 요청했을 가능성이 있다. 경흥은 도증 이후 편찬된 『무량수경연의술문찬』에서 규기의 저술을 34회나 인용하였지만 원측의 저술은 한 번도 인용하지 않았다. 경흥은 자신과 반대 입장에 있던 원측의 저술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이다. Discussing abut the social rank of Woncheug(612~695), some said that he came from royal family[王孫] and others said he came from sajog[士族, yukdupum六頭品]. According to Nanghyewhasangbi[朗慧和尙碑], Nanghyewhsang's ancestors had been a jingol[眞骨] at one time but he was demoted from jingol to yukdupum. Terefore, Woncheug's ancestors were originally from the royal lineage but Woncheug's family became sajog rank later on. His family name was Park. He belonged to Moryangbu[牟梁部]. Owing to Moryangbu's Buddhistic tradition and his will he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and went to abroad for study in China. Although King Sinmun(r. 681~692) and King Hyoso(r. 692~702) wanted him to come back, Woncheug didn't return home. In fact he attained an advanced age. Also Monk Gyunghyung[璟興] objeted him. Both monks were on the opposite side. Woncheug insisted that all people could attained Buddhahood but Gyunghyung insisted that all could not.

      • KCI등재

        원/엔 통화선물시장에서의 수익률, 거래량 및 미결제약정간의 선도 : 지연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원/엔 선물시장 수익률, 거래변화량, 미결제약정변화량과 원/엔 현물시장 수익률사이의 단기적인 선도-지연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1999년 6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최근월물 원/엔 선물시장 일별 시계열자료와 원/엔 현물가격 자료를 사용하여 VAR모형에 기초를 둔 Granger 인과관계분석, 충격반응함수 및 분산분해분석을 도입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엔 선물가격, 거래량, 미결제약정 및 원/엔 현물가격 수준변수(level variables)사이에는 장기적인 균형관계, 즉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Granger 인과관계분석결과, 원/엔 선물시장 거래량정보가 수익률 변화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원/엔 선물시장이 원/엔 현물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산분해분석결과, 원/엔 선물 미결제약정변화량보다는 원/엔 선물 거래변화량정보다 원/엔 현 선물의 수익률 변화에 대하여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원/엔 선물 수익률의 정보가 다른 시계열변화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앞의 Granger 인과관계 분석결과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충격반응함수결과, Granger 인과관계와 분산분해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원/엔 선물 수익률의 영향력이 다른 변수에 대하여 지배적이며 원/엔 선물 미결제약정보다는 원/엔 선물 거래변화량 정보가 원/엔 현물과 선물 수익률변화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Copeland(1976)의 순차적정보가설을 지지하는 간접적인 증거로 볼 수 있으며 Abhyankar(1995)와 문규현, 홍정효(2007), Basci et al.(1996) 등의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tests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trading volumes and return in Won-Yen currency futures market as well as Won-Yen currency spot market. For this purpose, i employ the Granger causality test, Variance Decomposition and Impulse Response Analysis with Vector autoregressive(VAR) analysis.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find that there is a co-integration relation among level variables in Won-Yen spot and futures markets. Second, i find that the returns of Won-Yen futures market has an impact on the movement of Won-Yen futures trading volume. I also find that the trading volume of Won-Yen futures market have a great predictability on the returns of Won-Yen futures. The impact of trading volume to returns of Won-Yen futures market is much more strong and persistent than that of returns of Won-Yen futures market to trading volume. The test results using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s similar to that of Granger causality test. To understand the lead-lag relationship among the trading volume, open interests and returns in Won-Yen cash and futures markets are helpful for the investors to build up a risk management system and investment strategy.

      • KCI등재

        원달러 현물시장(spot market)의 거래량과 수익률간의 영향력분석

        홍정효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국내 원달러 현물시장 내에서의 거래량 및 수익률간의 가격발견기능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달러 현물시장 수익률 및 거래변화량의 일별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Granger 인과관계 및 충격반응함수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Granger 인과관계 분석결과에 의하면 원달러 현물시장 수익률과 원달러 현물시장 거래변화량 사이에는 다소나마 피드백적인 상호의존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달러 외환시장 거래변화량의 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이 원달러 수익률의 거래변화량에 대한 예측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하고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달러 수익률과 거래량간의 선-후행성관계는 순차적 정보가설을 지지하는 간접적인 증거로 보여 진다. 다음으로 충격반응함수 분석에서는 원달러 현물시장 수익률 한 단위 변화에 대하여 원달러 거래변화량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인 후 3일 후부터는 점차 하락하여 6일까지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달러 거래량 한 단위 변화에 대해서 원달러 수익률은 하루가 경과한 후 반응을 보인 후 10일까지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달러 현물시장(spot market)에서의 수익률 및 거래량간의 가격발견기능에 관한 연구는 투자자 및 기업들의 환위험관리 및 투자전략 수립, 외환시장 금융정책 담당자들에게 다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This study tests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trading volume and return in Won-Dollar exchange markets. We introduce the Granger causality test and Impulse Response Analysis with Vector autoregressive analysis (VA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We find that the returns of won-dollar spot market has an impact on the movement of won-dollar trading volume. We also find that the trading volume of won-dollar cash market have a great predictability on the returns of won-dollar. The impact of trading volume to returns of won-dollar is much more strong and persistent than that of returns to trading volum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using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the impact of the trading volume to returns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of the return to trading volume of won-dollar spot market.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chanism among the trading volume, and returns in won-dollar cash market might be informative for the investors, policy maker and companies to set up risk management system and investment strategy.

      • KCI등재

        원치 않은 임신에 대한 아이의 부

        봉영준 대한의료법학회 2011 의료법학 Vol.12 No.2

        “Wrongful conception” is a medical malpractice claim in which the plaintiff is the parent of a normal, healthy infant whose conception was unplanned and unwanted. Medical malpractice in wrongful conception can be the result of a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failure to properly perform a surgery, or a physician's negligent handling of a patient's problems. In the concrete, wrongful conception cases fall into two categories; those involving pre-conception negligence, such as a failed contraceptive, sterilization or failing of the controlling of embryo-number on the IVF, and those involving post-conception negligence, such as a failure to diagnose a pregnancy or to perform an abortion procedure. In addition, Medical malpractice can be the result of a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When bad results occur by medical malpractice or failure to provide informed consent to a patient, the range of recovery of damages is decided by a traditional civil liability law. However the calculation of damages for wrongful conception is not easy because the high value of life is included in that case. So many courts opinions in foreign country and Seoul High Court decision in 1996 allow damages for the pregnancy, birthing process and sterilization costs, but refuses to allow damages for child rearing expenses. As to the range of recovery of damages for wrongful conception, one approach says that to allow damages in a suit such as this would mean that the physician would have to pay for the fun, joy and affection which plaintiff will have in the rearing and educating of the plaintiff's baby. To allow such damages would be against the dignity of the baby based o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However another approach says that damages are recoverable for all expenses related to child birth as well as for child rearing costs. Because the damages that the parents should bear a burden to the tort damage done is not a baby itself but child rearing cost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baby is healthy or not, economic burden of the parents can not be disregard. And denial of compensation for costs of child rearing may invalidate the role of liability law, grant the physician with a exemption certificate of liability. As a result, the medical field of procreation can be easily isolated from a liability of reparation. Therefore, on the liability law like the other medical malpractice action, parents who became pregnant or gave a birth by physician, wrongfully performed sterilization operation, etc. should be compensated for all damages relevant to unplanned and unwanted conception or birth as well as costs of child rearing.

      • KCI등재

        고려·조선시대 원등(圓凳) 연구

        홍선아(Hong, Sun-ah)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본 논문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원등에 대해 통사적으로 고찰하여 원등의 시대별특징을 살펴 본 것이다. 삼국시대에는 북위(北魏), 북제(北齊)의 반가사유상의 좌구에서 영향을 받은 가운데가 잘록하게 들어간 장고형태의 요고등(腰鼓凳)이 6세기 중반 경의 반가사유상의 좌구로 나타난다. 고려시대에 사용된 원등은 불교회화에서 가장 많이 보이며 일반회화나 공예품의 문양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원등은 중국 명식가구(明式家具)의 영향을 받아 사대부의 문방이나 정원에 놓여져 사용되었는데, 나무로 만든 칠기제 원등의 모습을 일반회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원등은 중국 고대와 중세의 원등과 마찬가지로 불교사원에서 승려나 수행자의 선정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조선시대의 원등은 당시의 지배계층에서 주로 사용됨으로써 앉는 사람의 권위를 상징하였다.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a round stool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to the Chosun period. In the Three Kingdom period, a waist drum stool contracted in the middle, influenced by the seating furniture for the Pensive Bodhisattva of the Northern Wei and the Northern Qi appears as the seating furniture for the Pensive Bodhisattva in the 6th century. The round stool used during the Koryo period appears the most in the Buddhist paintings and also appears in the general paintings, the patterns of craftwork. Influenced by the Ming style furniture, the round stool of the Chosun period was used by placing it in a study or a garden, and a lacquered round stool made of wood can be seen in the general paintings. The round stool of the Koryo period is supposed to be used for the meditation of Buddhist monks or ascetics at a Buddhist temple, like that of Chinese ancient and medieval times, and the round stool of the Koryo and Chosun periods symbolizes the authority of the person who sits on it, mainly used by the ruling class.

      • 요한 바오로 2세의 몸의 신학을 통해 바라본 인격적 만남

        이현수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제2차 바티칸 공의회「사목헌장」 22항과 24항에서는 "새 아담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 아버지의 신비와 그 사랑의 신비를 알려 주는 바로 그 계시 안에서 인간을 바로 인간에게 완전히 드러내 보여 주시고 인간에게 그 지고의 소명을 밝혀 주신다. 이 지고의 소명이란 인간이 자기 자신을 아낌없이 내어 주지 않으면 자신을 완전히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을 드러내 준다."이라고 말한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이 소명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인간 사랑에 대한 숙고를 바탕으로 인격들의 만남, 무엇보다도 남자와 여자의 사이의 사랑의 연결된 무수한 경험들을 통하여 그 경험이 주는 심오한 의미를 찾아내도록 우리를 안내해준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교황에 즉위한 1년 후 선포한『수요 교리서: 남자와 여자로 인간을 창조하셨다. 인간 사랑에 관한 교리(Uomo e donna lo creò, Catechesi sull'amore umano)』를 통해 몸의 신학을 발전시킨다. 이 교리의 내용은 창세기에 나오는 창조 이야기에서 인간이 자신을 찾아나서는 과정을 통해 창조되기 이전부터 하느님께로부터 준비된 선물에 해당되는 '원경험'에 집중하게 된다. 이 원경험은 원죄와 더불어 인간의 주체성과 다른 성을 가진 인격과의 만남을 통해 발견한 정체성과 어떤 소명을 받은 존재인지를 밝혀내기 위한 근원적인 힘을 말한다. 원경험에 속하는 '원고독(la solitudine originaria)', '원일치(l'unità originaria)', '원순수ㆍ원벌거벗음(la nudità originaira)'이 뜻하는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은 우리의 몸이 왜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성(sessualità, 성적 특질)을 가진 존재로 창조되었고 서로를 향한 인격적인 친교로의 부름에 응답할 수밖에 없는지를 일깨워준다. 인간은 우리 안에 내재되어 있는 원경험을 다시 찾아내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하느님께 받은 선물이 얼마나 소중한 것이며 하느님의 모상임을 깨닫게 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원경험을 발견하고 그 선물을 바탕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지고의 소명을 실현해 나가는 것은 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값진 보물을 찾는 길이다. 그 보물을 찾아내는 길은 나를 도와 일생의 동반자가 될 또 다른 모상과의 만남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그 인격적인 만남을 통하여 인간은 자기 자신을 제일 잘 알 수 있게 된다. 복자 요한 바오로 2세는 우리가 가진 무한하고 폭발적인 사랑의 힘을 원경험을 통해 되찾을 것을 호소한다. 우리가 고독 속에서 저 가슴 깊이 묻어두었던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느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신 그 순간부터 내 안에 내재되어 있는 성적 타자를 찾아나서는 강한 열망을 찾아내라고 한다. '나'라는 몸을 가진 주체가 이 세상의 여느 피조물과는 다른 권한을 받았음을 인식하며 '나'라는 존재에 국한되었던 한계에서 벗어날 준비를 갖추게 된다. 아담과 하와의 만남으로 대표되는 남자와 여자의 만남은 이 한계를 넘어서는 신비의 힘이 인격들의 친교(Communio Personarum)를 통해서 이루어짐을 알려준다. 그리고 친교의 부름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남자와 여자가 겪는 부끄러움은 원래 알몸이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던 아담과 하와처럼 상대방의 성적 가치의 착취가 아닌 진정한 자기 내줌의 초대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임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는 이 선물을 통하여 완전한 충만함에 도달할 수 있다. Gaudium et Spes 22 says that "Christ, the final Adam, by the revelation of the mystery of the Father and His love, fully reveals man to man himself and makes his supreme calling clear." This vocation manifested that man can not fully find himself except through a sincere gift of himself See, Gaudium et Spes, 24. John Paul II invites us to find an answer to the deep meaning of the vocation of man through the interpersonal encounter, especially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Thank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e learn the importance of human experience that connects to the meaning of life. From 1979 to 1984, John Paul II, during the public audience on Wednesdays, addressed this subject. This catechesis was later published under the title, "Man and woman he created them." The main content of the original 129 Catecheses concentrates on 'the original experience' as a gift prepared by God in the creation account in Genesis. This experience reveals the identity of man with vocation of being in relationship with others especially with the opposite sex. The meaning of being sexual is to be called to personal communion with one another. In other words of John Paul II, the original experience involves 'original solitude', 'original unity' and 'original nakedness'. In fact, man acknowledge having received the gift from God and being in the image of God thanks to the original experience. In this regard, the highest vocation of man is accomplished and through this gift, man discovers his treasure. If we continue this journey of interpersonal encounter, we also come to know ourselves because the other perso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nvites us to discover the meaning of who man is. John Paul II calls us to rediscover our enormous capacity to love forever through the original experience. In other words, if we ask ourselves the question, deep in the solitude of our heart, 'who am I ?', we will notice our strong desire to meet another sex driven object in our search for God's original intention vis‑à‑vis sexuality, from the beginning of creation. However, man recognises the power he has received from God to be that of a very different creature with a different body to all other creatures. Man cannot live alone in solitude and must get out by himself thanks to the encounter with a woman. So the encounter between Adam and Eve represents the mystery of 'Communio Personarum' between man and woman. The call to interpersonal communion between man and woman also teaches the value of sex is an invitation to give oneself without exploitation. To give oneself to another means to receive his body as a gift of God. In conclusion, only this gift will bring us to the fullness of man.

      • KCI등재

        원측(圓測) 연구의 비판적 재고와 새로운 연구 방향

        이수미(Lee, Sumi)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3 No.-

        본 논문에서는 원측(圓測, 613∼696)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이분법적 구도를 전제로 하여 양자택일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서 원측이 양측의 입장을 모두 평등하게 수용하고 있다고 보는 관점을 취하는 세 부류의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원측 연구에 대한 시각이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신라 출신 승려로서 동아시아 유식전통의 격동기에 살다간 원측에 대한 학계의 해석은 이에 대한 근대적 연구가 시작될 당시부터 이분법적 구도 하에 진행되었다. 즉, 『송고승전(宋高僧傳)』의 원측의 전기문이 왜곡된 것이라는 사실은 서명파와 자은파의 대립을 배경으로 한다는 인식 하에 고찰되어졌고, 원측 저술에 구유식 논사 진제(眞諦, Paramārtha, 499∼569)의 인용문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원측의 주요 사상적 기반이 신유식이 아니라 구유식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후 원측 저술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원측이 신유식 사상에 충실하였다는 반론이 제기되었고 현재까지 원측 교학의 신유식적 측면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원측과 진제의 사상적 연계성이나 원측과 신유식 논사 자은기(慈恩基, 632∼682)의 견해의 상이성이 여전히 지적되고 있어 구유식과 신유식 가운데 원측의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시도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구유식과 신유식이라는 이분법적 구도 하에 원측 사상에 대해 양자택일적 해석 방식을 취한 지금까지의 시도와 달리, 원측이 구유식과 신유식의 양측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원측을 고찰하는 연구들이 있다. 이 연구들은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원측이 어떻게 모두 수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각기 다른 세 가지 시각 하에 조망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구유식과 신유식의 이분법적 구분 자체에 대한 역사적 교리적 문제점이 학계에서 지적되어 왔다는 점에서 이러한 관점의 연구는 더 주목된다. 이 각각의 새로운 시각 하에서 원측이 어떤 근거와 이유를 가지고 상호 모순적으로 보이는 양측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는지를 정리함으로써 원측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Wŏnch’ŭk 圓測(613~696) was a Silla exegete wh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ast Asian Yogācāra tradition. Since modern scholarship on Wŏnch’ŭk began,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his Yogācāra thought has undergone dramatic changes. The dishonorable image of Wŏnch’ŭk described in the Sung Kao-seng chuan has been reevaluated based on a discovery of new biographical materials, and Wŏnch’ŭk’s scholarly position in modern times has been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Paramārtha’s (499∼569), an exegete of Old Yogācāra. In the 1990’s, a new perspective was raised, positing that Wŏnch’ŭk’s doctrinal position was based on the New Yogācāra, in contrast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While this novel argument trul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Wŏnch’ŭk’s doctrinal views, it fell short of explaining the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Wŏnch’ŭk and Ji 基(632~682). Given that we cannot determine Wŏnch’ŭk’s commitment to either the Old or New Yogācāra, this article seeks a new perspective through which Wŏnch’ŭk’s scholasticism may be explained. To do this, first I critically review previous scholarship on Wŏnch’ŭk, examine the problems unresolved in the current research literature and finally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