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9년∼2018년 학술지 중심으로

        송건(Song Jian),정진자(Chung Jin-Ja)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의 연구 분야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의 최근 10년간(2009∼2018)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한국과 중국의 학술지 논문 33편을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학술지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시각장애연구지, 중국은 现代特殊教育이 연구중심지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자 수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2인 공동연구, 중국은 단독(1인)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대학교수, 중국은 특수학교 교사가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유형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 중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는 한국과 중국 모두 통합교육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중국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시각중복장애유아 연구동향 분석 연구 또는 다른 장애유형 유아 연구 동향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시각장애 유아에 대한 조기교육, 진단평가, 교육환경 및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는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associated with the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examine th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tudy of Korea and China s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 last 10 years(2009-2018) in Korea and China Journa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sociated with the serving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re were treated with 33 journal articles section of the final selection of Korea and China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z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journals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Korea showed the research center for the visual impairment and China for modern speci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Korea has the most two-person research and China has the highest number of independent researc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by researchers,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by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in China was the largest. Four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study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and China. Fifth, the type of trend research results are Korea s research, China showed the greatest literature. Sixth,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Korea and China had the most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al themes. Seventh, as a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Korea and China showed the most themes that studied inclusive education for infants. Eigh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Korea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opics for inclusive education us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and China us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up studies ne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disorders or to compare them with other trends in young childhood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tents of early educ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thod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and to apply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in China.

      • KCI등재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공연의 연구 동향 분석

        시유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무용공연 관련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토픽모델링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무용공연 마케팅전략 및 발전방안 연구, (2)무용공 연 공간 및 공연만족 재관람요인 연구, (3)무대환경이 무용공연의 대중성 활성화와 기여도 연구, (4)무용공연 현황 및 무용단 운영사례 융합 연구, (5)다양한 소셜미디어 활용한 무용공연 확정성 연구, (6)기술적용 무용공연 콘텐츠 방향 및 개발 연구 6 개의 주요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에 무용공연을 비롯해 무용 분야 관련 연구의 시기, 사회 변화에 따른 연구 트렌드와 주제를 파악하고, 연구자들의 변화 관심 주제의 주요 핵심어를 추출해 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시기별 주요 키워드를 비교 분석하였 다. 이에 다각화되고 융합되면서 신기술이 적용되는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발전적 연구의 필요성을 고민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research topics related to dance performanc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big data and examines research trend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e results derived from topic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1) Six major topics were derived: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 plans for dance performances, (2) a study on the re-watching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spa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3) a study on the popularity and contribution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stage environment, (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convergence of dance group operations, (5)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dance performances using various social media, and (6)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applied dance performance contents. Accordingly, research trends and topics related to dance, including dance performances, social changes, key keywords of researchers' change interests were extracted, and keywo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academic change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ly, the need for research to apply new technologies was emphasized as it diversified and fused.

      •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 :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오혜정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관련 연구과제를 발굴,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주제 학술논문 264편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자 동향, 학술지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주제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전반적 동향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특히 2011년부터 2013년의 3년 동안 연구가 매우 활발하였다. 둘째, 연구자 동향을 살펴본 결과, 1인 단독 연구가 상당수였고 연구자 대부분은 교수, 대학원생 등 대학에 소속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 동향을 살펴본 결과, 문헌 연구로의 연구방법 편중이 심했다. 넷째, 연구주제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초반에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의 개념과 정체성, 역할, 이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근거, 관련 역사 등의 주제가 활발히 다루어진 반면 2010년대부터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실천(사역) 전략과 방법, 구체적 프로그램 또는 사업, 사역의 효과성 검증, 사례 탐구, 목회·선교와 연계한 고찰, 대상별 기독교사회복지 또는 교회 사회복지 방안 등 연구주제가 다양하게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뮤지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3년~2023년 국내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김수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2013년 08월-2023년 02월에 걸쳐 국내 대학에 등재된 뮤지컬 관련 석·박사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뮤지컬 시장의 발전에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논문은 2023년 05월 20일-2023년 05월 27일에 걸쳐 국회전자도서관의 전자목록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연구자의 전공 및 연구주제와는 무관하게 논문 제목에 “뮤지컬”이라는 단 어를 포함하는 기준으로 629편을 선정하였고,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자 특성, 연구연도, 연구주제, 연구방 법 등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뮤지컬 관련 연구는 “순수 예술”, “공연예술·경영”, “교육”, “기타 전공”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으나 2020년부터는 논문 편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추 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별로는 뮤지컬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작품분석·이론”, “소비자 마케팅”, “전문가 양성” 분야에서의 연구가 463편으로 약 2/3를, 뮤지컬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초·중등교 육”과 “기타 주제” 분야에서의 연구가 166편으로 약 1/3을 차지하였다. 특히 “작품분석·이론” 분야에서는 뮤지컬에서의 ‘음악·춤·연기’에 대한 연구가, “소비자 마케팅” 분야에서는 관객들의 ‘관람의도·만족도’ 에 대한 연구가, 그리고 “전문가 양성” 분야에서는 배우들의 ‘발성·신체훈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셋째, 연구방법으로는 사례 분석에 의한 질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문헌 연구, 양적 연구, 혼합 연구 순으로 많았다. 국내 뮤지컬은 2000년대 초기부터 대중적인 공연예술로 자리 잡으면서 꾸준히 성장해 왔으나 최근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운 상황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 고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뮤지컬이 갖는 구조적인 한계를 진단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찾아야 하는 위기의 시기를 맞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뮤지컬 관련 연구 및 시장의 발전 방향을 찾는데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토대로 향후 뮤지컬의 발전과 시장 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다 더 실질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musicals registered in domestic universities from August 2013 to February 2023 and to present the research directions necessar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usical market. From May 20, 2023 to May 27, 2023, 629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electronic list of the National Assembly's electronic library and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of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and analyzed Research trends based on researcher characteristic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musical-related research was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ure art,” “performance art and management,” “education,” and “other majors,” but the number of papers has been rapidly decreasing since 2020. Second, by research topic, 463 studies in the fields of “work analysis and theory,” “consumer marketing,” and “expert training” directly related to musicals accounted for about two-thirds, and 166 studi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other topic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musicals accounted for about one-third. In particular, research on ‘music, dance, and acting’ in musical in the field of “work analysis and theory,” research on audience ‘watch intention and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consumer marketing,” and research on actors’ ‘vocalization and physical training’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training“ were the most important. Thir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case analysis accounted for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Musicals, which have continued to grow as a popular performing art since the early 2000s, have not only recently suffered a sharp contrac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but are also facing a crisis in which they must diagnose structural limitations and find future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nd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usical-related research and markets through analysis of trends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s more practical and future-oriented follow-up research that can help the development and market expansion of musicals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의 연구동향

        문정희(Mun Jeoung-Hee),이혜숙(Lee Hye-Suk),박경희(Park Gyeong-Hee)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5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논문분석은 2003년부터 2017년까지 학술지 논문 30편 및 석·박사 학위 논문 47편으로 총 77편으로 연도별 및 전공별 동향, 대상자 동향, 종속변인에 대한 동향, 연구 방법에 대한 동향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도별 및 전공별 연구동향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 연구는 2003년 시작으로 2017년까지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학술지 논문 보다 학위 논문의 연구가 많았으며, 예술치료학과의 전공자가 많았고 학술지 중에서는 예술심리치료연구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주제별 동향에서는 초등학생 연령이 가장 많고, 남·여학생을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참여자 수는 7명-11명이 가장 많았다. 셋째 종속변인의 연구 주제별 동향에서는 자기관련 변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의사소통 및 관계 변인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 방법에 대한 동향으로 실험 총회기는 10-19회기, 주 1회 실시, 한회기 당 60분, 연구대상 선별기관은 학교, 예술기법은 2가지 이상 사용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예술기법은 미술기법이, 통계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연구를 계획하고 진행하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the arts related to integrated art therapy for adolescents in Korea. Thirty journal articles and 47 volumes of a dissertation thesis from 2003 to 2017 were analyzed based on-, year and major, trends of subjects, trends of subordinate variables, and research methods. First, research on integrated art therapy for adolescents in the research trends by year and major has been steadily studied from 2003 to 2017. However, there have been much more thesis studies than journal articles, and there were many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 mong the academic journals, research on art psychotherapy was the most studied area.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s, male and female student studies and 7 to 11 participant studies were the most frequent ones. Third, self - related variables were the most frequent variables in the study subjects trends, and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variables also used. Fourth, trends in research method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eneral meeting washeld 10-19 times, weekly, 60 minutes for one session. Fifth, the most selective screening institutions were schools, and the method of using more than two artistic techniques was the most used technique; the drawing technique was the most used artistic technique. Finally, Wilcoxon sign rank verification was the most use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rt therapy for young people in the future, and will be a base for researchers planning and conducting such research.

      • KCI등재

        아동미술치료 프로그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미진,강영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아동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향후 아동미술치료 연구의 발전과 임상 현장에서의 프로그램 진행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그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지인 [미술치료연구]와 [예술심리치료연구] 중 2004~2013년 최근 10년간 아동미술치료 프로그램 관련 논문 총 138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동향은 2005년부터 증가하여 2009년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연구대상 동향은 일반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장애유형 중 발달 및 학습장애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다. 연구대상 인원은 1명, 집단의 경우 5~1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의 연구동향은 대부분 혼합연구로 되어졌으며, 연구 설계는 개인을 제외하고 단일 집단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치료회기는 개별의 경우 16~20회, 집단의 경우 11~15회, 16~20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주당 회기는 개별 집단 모두 주1회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치료시간의 경우 개별은 41~50분을, 집단의 경우 61~90분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개별의 경우 4~5개월, 집단의 경우 2~3개월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정서와 행동 문제를 다룬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그림투사검사와 객관적 측정도구를 혼합하여 측정하였다. 치료기법은 대부분 혼합기법을 사용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udy of child art therapy by proposing the result of analysis of domestic trend of child art therapy program and to enhance the efficiency when it is used for actual program in clinical environment. For the subject, the study analyzed 138 research papers related to child art analysis from 2004 to 2013, which were of [Art Therapy Study] and [Art Psychological Therapy Study] register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years of studies, from 2005, the number of studies on child art therapy had been increased and the studies were progressed the most in 2009. Second, regarding the subject of the studies, the most studies were progressed with general subjects of disability type studies, development and learning disability studi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About the number of the subject, studies with one subject were the most, and group studies had 5 to 10 subjects. Third, for the research method trend, most of the studies were mixed method, and research plan used single subject research, excluding individuals. Regarding the number of therapy, 16 to 20 times were the most for individuals, and 11 to 15, 16 to 20 times were the most for groups; for a week, both individuals and groups preferred once a week the most, and the duration of therapy were 41 to 50 and 61 to 90 for individuals and groups, respectively. Study length was 4 to 5 months for individuals and 2 to 3 months for groups. Fourth, for study content trend, studies handled emotion and behavior problems the most, and most studies measured with picture projected test and objective measuring tools. Most therapy used mixed method.

      • KCI등재

        영유아 사교육 연구동향

        정옥경(Jung Ok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관심과 사교육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2000년대 이후 관련 연구가 지속해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사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이 분야의 연구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2001년에서 2018년까지 발행된 영유아 사교육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129편이었다. 연도별로 발행 편수, 연구대상, 연구내용, 연구방법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이동 평균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편수의 동향 분석 결과, 영유아 사교육 연구는 2001년부터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9년경 정점에 이르렀고, 이후 2015년까지 감소했다가 최근 다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부모 대상의 연구가 과반수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원, 영유아 및 아동, 기타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내용별 동향 분석 결과, 영유아 사교육 연구 초기에는 인식 및 실태 연구가 많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영유아 사교육 실태, 인식, 영향 및 효과, 참여요인 연구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었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 분석 결과, 조사연구 방법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이상 연구동향 분석 결과에 나타난 특성과 그 원인,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s interest in privat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the size of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grew, related research has continued to increase since th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the research on privat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o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in this field,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a total of 129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published in 2001-2018. Frequency analysis and moving average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number of papers, research subject,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method by year.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volume, the study on privat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egan to increase in 2001 and peaked around 2009, and has since declined until 2015 before increasing again recently.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rends by study subjec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was done on parents, followed by teachers, early childhood and children, and the other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rends by research content,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on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studied, but later on, studies were evenly distributed among perception, current status, influence & effect, and participation factor.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rends by research method, survey studi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he above research trend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동향

        조보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and 31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s, research types, research contents, related variables, and program trend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honor students was actively conducted between 2007 and 2011 and between 2017 and 2021. Second, the trend by study subject was the highest among four-year students, followed by four-year freshmen, cyber college students, and four-year graduates. Thir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study.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most of th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honor students were conducte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the us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confiden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high, and the university honor student program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Sixth, when designing programs for honor students, the development of a portfolio management system,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continuous program quality management were emphasiz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seek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uggests implications.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국내 학술지 31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내용, 관련변인, 프로그램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는 2007년부터 2011년도와 2017년부터 2021년 사이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4년제 재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4년제 신입생, 사이버대 재학생, 4년제 졸업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양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대학 우수학생 특성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대학 우수학생 프로그램이 종속변인으로는학업성취도와 진로확신도의 활용이 높았다. 여섯째, 우수학생 프로그램 설계시 포트폴리오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 협동적인학습환경 구축, 지속적인 프로그램 질 관리 등을 강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있다.

      • KCI등재

        한국의 생태관광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이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2

        이 연구는 생태관광에 관한 논문이 게재된 국내 관광학 분야의 학술지(Tourism field: 93편)와 비관광학(Non tourism field ; 타학문)분야 학술지(122편)를 대상으로 5개의 분석 유목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한 것이다. 연구목적은 한국의 생태관광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연구과제에 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위해 한국 관광연구동향 및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했고, 분석자료는 국내의 대표적인 전자 저널 (DBpia와 KISS) 검색창에서 “생태관광”을 입력하여 찾아낸 총 215편(1992-2018)의 개별논문(KCI등재지로한정)으로 삼았다. 분석유목 체계는 학술지, 조사대상,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급성장하고 있는 생태관광 연구동향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특히: 연구주제 및 방법론적동향), 미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 있는 연구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와 연구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관광연구가 다양한 학문분야를 통해서 다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관광연구동향에관한 선행연구보다 비교적 범학문적 접근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런 점은 생태관광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관광의 의미가 포함된 융합관광 (convergence tourism)패러다임을 미래의 연구지향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연구과제를 시사한다. 둘째, 관광분야학술지는 관광객 연구가 많고 비관광분야 학술지에는 문헌자료를 조사대상으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래의 생태관광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사대상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도 연구과제이다. 연구대상은 습지가 가장 많았지만 비교적 다양한 대상들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주제는 관광행동심리, 관광자원개발전략, 정책제언이나 상품개발 등에 관한 논문이 많은 편이지만, 다양성의 경향이 있어서 기존의 관광동향 선행연구들 보다는 균형적이고 편중성이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세째, 관광학 분야 학술지의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접근과 설문조사를 활용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관광 연구동향의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그 빈도가 낮은 편이다. 그것은 관광학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 양적 접근이 우세하지만비관광 분야 학술지에서의 질적 접근방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관광학술지의 경우 설문지법을 이용한 조사연구가 많다는 점에 유의하여 관광객과 지역주민 등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이나 관찰, 현지조사 등을 활용하여 여러 측면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결과 도출에 대한 연구과제가 있다. 또한 표본추출 방법에서는 비확률표본추출방법으로서 편의표본추출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생태관광 연구는 설문조사와 같은 손쉬운 방법뿐만 아니라 문헌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와 같은 다양한 조사방법을 활용한 연구와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확률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한 연구도 활성화할 해야 할 과제가 있다.

      • KCI등재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정민영(Jung, Minyoung),조영종(Cho, Young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계에서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다르게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차별점을 가지며, 최종적으로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연구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의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분석대상 논문은 총 84편으로, 1차~3차 검증 절차를 통해 선정되었다. 결과 도출을 위해 김선은(2019)과 하혁, 박대원(2020)의 연구방법론을 참고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기술통계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Excel 이다. 분석준거는 양적 변화 동향,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대상 동향이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중기~후기 구간에 발행된 논문이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교육과정 분석이었다. 셋째,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된 연구물이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연구논문의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문서였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들은 심층적이고 다방면에 걸쳐 시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 극복을 위해서 연구자료를 더욱 충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e research trend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nalyz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esearch trend. Methods This study, 84 papers were selected. Study method is research trend analyze method. Specifically, first, trends of quantitative. Second, trends of major area and topics. Third, trend of research method. Fourth, trend of research subject. Results This study results. First,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search is steadily increase, and more than half of theses are publishehd in the mid-late period. Second, the major research area and topics was curriculum analyze. Third, among the research methods, 69 papers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documents centerd on curriculum, textbooks, and research papers. Conclusions In the future, research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ed to be conducted in a more in-depth and multi-faceted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