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나타난 성평등 개념의 위험성: 상징정책의 관점에서

        이형우,유충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The content of public education should be carefully developed based on consideration of its societal impact and the impact on the next generation. This is because it is symbolic in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isk of teaching on the notion of gender equality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a cultur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e symbol that the notion of gender equality contains not only the rights of social minority, but also the philosophical claim that we should not constrain the pursuit of sexual desire at all. In addition, this study predicts the problems that will occur in our society when homosexuality becomes cultural ‘symbol.’ To this end, first, we critically examine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notion of gender equality by illuminating the revolutionary changes in Western philosophy that emerged in the 19th century. Second, drawing from symbolic policy perspective, we argue that education is symbolic in nature, and thus, the above-mentioned philosophical background must be accepted as truth. Lastly, we predicted the problems that may occur in Korea when gender equality is taught in schools. Finally, we concluded our study with the propositions as follows. The content of the public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universal truth or at least the universally accepted norms, given that its function is to integrate people in a country. If the vast majority of citizens agree on teaching on the notion of gender equality even if they know what will happen as we predicted in this study, then, it can be said to be okay to do so. 공교육의 내용을 정할 때에는, 당대의 사회적 파급효과는 물론, 다음 세대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상징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한 국가의 공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2022년 교과과정 개정 시안에 포함된 성평등(gender equality) 개념의 위험성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징’이라는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성평등이 단순히 성 소수자의 권리 보장이라는 의미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성욕의 무절제한 추구를 사회적으로 용인한다는 의미로 전달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또한, 본 논문은 성평등이 문화적 ‘상징’이 될 때 우리나라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접근방법을 통해 예측한다. 본 연구의 논리적 전개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성애를 옹호하는 성평등의 기저에 자리한 사상적 배경을 철학사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상징’이 갖는 문화적 파급효과와 중요성을 분석하고, 교육정책의 본질을 상징정책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즉, 성평등이 상징화되어 교육되면 그 배후에 담긴 철학적 배경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음을 논증한다, 셋째, 동성애가 정상적이라고 주장하는 성평등의 내용을 공교육의 일환으로 가르칠 경우, 사회 전반에 나타날 수 있는 파급효과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결론을 제시한다. 공교육의 목적은 지식의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통의 가치관을 중심으로 국민을 통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역시 보편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파급효과를 알고서도 평범한 대다수의 일반 대중이 성평등 교육에 동의하여야만, 성평등이 보편성을 가진 공교육의 내용으로 합당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소수자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미치는 종교의 영향에 관한 생애사 연구

        김나나,권수영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20-30대 성소수자들이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가하는 종교의 영향을 분석한 생애사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Troiden의 성소수자 정체성 형성과정 모델을 통해 참여자의 생의 이야기를 분석하였고, Lartey의 해방신학 방법론을 통해 사회를 분석하고 성경을 재해석하여 목회상담자들을 향한 실천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소수자의 정체성 형성은 ‘성소수성에 대한 인식-나를 확인하는 과정-종교와의 소통-삶의 핵심요소로 전환’의 과정으로 이뤄진다. 둘째, 종교는 Troiden이 제시한 정체성 혼란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참여자들은 성소수자를 향한 부정적인 인식 속에서 낙인을 경험하지만, 수용적인 관계를 통해 낙인에서 벗어나며, 다른 소수자를 위한 헌신의 길을 지향하게 된다. 넷째, 성소수자를 둘러싼 성경을 해석할 때 당시 사회는 남성우월적인 문화였음을 염두해야 한다. 다섯째, 목회상담자로서 성소수자들과 같은 위치에서 사회와 성경을 해석하고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외쳐야 한다. This study life history research analyzes the influence of religion on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mong LGBT in their 20s-30s. In this study, the stories of participants’ lives were analyzed through Troiden’s LGBT identity formation process model and tried to analyzed society and reinterpreted the Bible through Lartey's liberation theology methodology to suggest practice for pastoral counselors. First, LGBT identity formation consists of the process of 'perception of sexual minority-process of identifying myself-communication with religion-change to a key element of life’ Second, religion has a decisive effect on Troiden’s proposed period of identity confusion. Third, participants experience the stigma of LGBT, but escape stigma through receptive relationships and pursue a commitment to others. Fourth, when interpreting the Bible surrounding LGBT, it'd be noted society was a male-dominant culture at the time. Fifth, as pastoral counselors we‘d interpret society and the Bible from the perspective of LGBT and urge liberation.

      • KCI등재

        김동리 정치 소재 소설 인물의 초월성 연구 -‘성 바보’ 모티프 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전계성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1

        김동리의 「해방」(1949.9~1950.2)은 정치적 현실을 추수하여 노골적으로 우익 편향성을 드러낸 작품이다. 그런데 「윤회설」(1946.6)과 「형제」(1949.3)에서 드러나는기독교 인유의 흔적과 「해방」의 이장우에게 덧씌워지는 십자가 희생의 이미지를함께 고려하고, 김동리의 제3기 휴머니즘론을 일제강점기에서 해방기까지의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볼 경우 「해방」은 새로운 인간관의 한 모형인 인신(人神)을 구축하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인신은 「술」(1936.8)에서 도스토예프스키 『악령』의 키릴로프를 인용하며 간접적으로 제시된 바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무녀도」의 모화에 해당하며 김동리는 이를 신을 내포한 인간이라고 규정했다. 같은 시기에 발표된 「산화」와 「바위」 또한 신을 내포한 인간을 묘사한 작품이다. 하지만 김동리가 창조한 초기 소설의 인물들은 전근대적 분위기와 현실과의 괴리감 때문에 제3기 휴머니즘론의 현실성을 떨어뜨린다. 이에 김동리는 해방기 정치소재 소설을 창작함으로써 현실 속에서 상정 가능한 인신의 유형을 제시하게 된다. 「윤회설」에서는 순결을 지향하는 가치관과 자유에 대한 갈망이 결합된 종우의성 바보적인 측면이 드러나고, 「형제」에서는 좌익을 박해하는 자에서 좌익 인사의자녀를 용인하고 도리어 우익에 핍박당하는 자로 전환되는 비합리적 장면을 통해인봉의 성 바보적 측면이 제시된다. 「해방」에서는 예수의 십자가 희생에 견줄 수있는 이장우의 희생을 통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인신의 성격이 더욱 심화된다. 이는「무녀도」나 「사반의 십자가」에서 기독교 대항성을 토대로 김동리가 내세우고자 하는 여신적(與神的) 인간의 가치를 부상시킨 전략과도 유사하다. Kim Dong-li's "Liberation"(1949.9~1950.2) is a work that pursued the political reality and openly showed right-wing bias. Considering the traces of Christian allusion revealed in "Reincarnation Theory"(1946.6) and "Brothers"(1949.3) and the image of the sacrifice of the cross over Lee Jang-woo in "Liberation, Kim Dong-li's 3rd humanism theory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liberation period If it is a continuous movement up to, "Liberation" can have a meaning as a process to build a divine human, a model of a new human view. The human god was suggested indirectly by citing Dostoyevsky's Evil Spirit in "Sul"(1936.8), but in reality it corresponds to the mother of "Munyeodo", and Kim Dong-li defined it as a human being with a god. "Forest Fire" and "Rock", which were published at the same time, are also works depicting humans with God.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 early novels created by Kim Dong-li reduce the reality of the theory of humanism in the 3rd period due to the pre-modern atmosphere and the sense of distance from reality. In response, Kim Dong-li presented the types of human gods that can be assumed in reality by creating political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Reincarnation Theory", Jong-woo's stupid saintly side, which combines values o r i e nted toward purity and a longing for freedom, was revealed. In "Brothers", Inbong's foolish saint is revealed through an irrational scene in which a persecutor of the leftist turns into a person who embraces the child of a leftist figure and is persecuted by the rightist. In "Liberation", through Lee Jang-woo's sacrifice, comparable to Jesus' sacrifice on the cross, the character of a realistically possible human god reached the advanced stage. This is similar to the strategy that raised the value of divine human beings, that Kim Dong-li wanted to put forward based on the anti-Christianity in "Munyeodo" or "Cross of Shab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나이다 기피우스 시에 나타난 여성과 여성성의 문제: 시 「여성적인 것은《없다》」, 「여자-성」, 「영원히 여성적인 것」을 중심으로

        장은재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3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9 No.-

        본고에서는 모더니즘 일반과 러시아 상징주의에서 성(sexuality)의 담론와 형이상학적 원리로서의 여성성(femininity)이 부상하게 된 배경과 그 한계를 살피고, 시 「여성적인 것은 《없다》」, 「여자-성」, 「영원히 여성적인 것」을 중심으로 러시아 상징주의자 지나이다 기피우스에게서 나타나는 여성과 여성성의 문제를 살펴본다. 여성 작가로서 기피우스는 여성과 여성성에 대해 모순되는 태도를 취한다. 그는 여성과 여성성을 서로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육을 가진 성별로서의 여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기피우스에게 여성성이란 긍정적인 ‘영원한 여성성’의 원리와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원리를 동시에 담지하는 것이었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피우스는 긍정적 여성성은 성과 분리 가능한 정신적인 원리로, 부정적 여성성은 성에 분리불가능한 것으로 정립한다. 시 「여자-성」, 「영원히 여성적인 것」은 양극단의 여성성에 대한 기피우스의 서로 다른 태도를 보여주며, 그가 모순적 여성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방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여성적인 것은 《없다》」는 기피우스가 여성이라는 자신의 물리적/사회적 성별로부터 끝내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기피우스는 가부장적인 젠더 담론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했으며, 여성혐오적이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들은 지배 담론 속에서 확보되지 못한 여성과 여성성의 위치를 어떻게든 마련하고자 했던 20세기 초 ‘주류’ 문단에서의 시도들을 보여준다. This paper searches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a discourse of sexuality and the rise of femininity as a metaphysical principle in modernism and Russian symbolism, and focusing on the poems 「Feminine 《None》」, 「Womanness」, 「The Eternal Feminine」, examines problems of women and femininity in the poems of Zinaida Gippius, a Russian symbolist. As a female writer, Gippius takes a contradictory attitude toward women and femininity. She insists that women and femininit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he takes a negative attitude toward women with flesh. For Gippius, femininity embodies both the positive principle of 'eternal feminine' and the negative and destructive principle at the same time. The poems 「Womanness」 and 「Eternal Feminine」 show Gippius'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extremes of femininity and the way she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contradictory femininity. However, 「Feminine 《None》」 shows that Gippius could never be free from her physical/social gender as a woman. Gippius has not escaped from the patriarchal gender discourse and cannot be free from criticism that she is misogynistic. Nevertheless, her poems show attempts in the 'mainstream' literary circl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o secure a position for women and femininity that were not secured in the dominant discourse.

      • 논문(論文) : 계급해방 속의 창기(娼妓)해방 -1950년대 상해시(上海市) 금창사업(禁娼事業)-

        장수지 ( Soo Ji Chang )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구 중국근현대사학회) 2010 중국현대사연구 Vol.48 No.-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had implemented the nationwide work to prohibit prostitution since the founda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until the late 1950s. The CCP asserted that this work would destroy the savage institution, which had insulted women and injured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Local governments in every city closed brothel houses and arrested and punished brothel owners. They also helped prostitutes to return to society after treatment for venereal diseases and labor education. Works of prostitution prohibition were enforced from 1951 to 1958 in Shanghai city, which had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prostitutes in the world. Shanghai city government operated the licensed prostitution for two years and six months after the liberation and expected to restrict the prostitution business by controlling transactions of women`s sex through this public system. The city government declared it would execute such a radical policy as an education of whoremongers and help prostitutes with their job change. Although there is no way to confirm how many of these policies were carried out, it is certain that the city government concentrated more on regulating prostitutes and prostitute houses rather than it executed such radical policies. This operation of public prostitution, which laid stress on control policies, shows that the CCP`s policy of prostitution prohibition was not the one for women but a part of the works of purification of society. The regulation to prohibit prostitution overall carried out in Shanghai city in November 27th 1951 was applicable only to prostitutes and brothel owners, and such a trend to emphasize the reform of prostitutes continued until 1958.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reform of prostitutes was centered in the business of prostitution prohibition because the CCP saw prostitutes not only parasites which represented bad habits of old society and capitalist society but also their victims. The CCPas we can see from its experiment in the licenced prostitution, expected to solve the prostitution problem only by transforming "sellers of sex." Prostitutes who belonged to the class of drifting people were officially "liberated" when they became social workers after being educated in relocation camps. Such liberation was possible when the CCP was controlling the whole population and organizing women`s labor power. All the people who had the jobs related with prostitution were defined as the class of drifting people, which was understood as the laziest, parasitic, and breaking public morality. In the socialist country, therefore, it became urgent to correct such bad habits of this class. Moreover, it is because of this very understanding of drifting people that the CCP understood the reform of prostitutes` parasitic habits more important rather than the critique of social habits that made transactions of sex possible. Prostitutes were seen as the exploited in relation to their masters(brothel owners)who belonged to the same class of drifting people. This recognition of prostitutes as the exploited became clear since the overall enforcement of prostitution prohibition policy in November 1951 and strengthened when prostitutes were publicly complaining about the wrongdoings done by their masters. That is to say, prostitutes were understood as social victims because they became prostitutes to be exploited by their masters, but it was not understood that they became prostitutes because they were the women of the exploited class. In such an official discourse, therefore, not only discussions of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or their origins but also the critique of prostitutes` sufferings from transactions of sex or men`s habits to buy women`s sex were missed. The CCP could avoid the fundamental critique of contradictory recognition of sex, which was too strict about women and generous to men, although it destroyed the social habit of prostitution. The CCP`s definition of prostitutes as parasites and victims transformed the question of prostitution from women`s problem to the class issue. This transformation took away the sexual image of prostitutes by employing more vocabularies of class and weakened a social habit to evaluate women`s behavior by their chastity. People still criticized prostitutes for their "sexual decadency," however, while sexually discriminatory recognition was not fundamentally criticized. This example of the CCP`s prostitution prohibition policy tells that the work of "emancipation of women" avoided the fundamental critique of and transformation of sexually discriminatory society.

      • KCI등재후보

        近代日本文學における性 - 谷崎潤一郞の場合 -

        李平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4 일본학연구 Vol.14 No.-

        It is recognized that Junichiro Tnizaki is ‘唯美主義(aestheticism)’. Needress to say, it is decided by his works. But on the other hand he belong to ‘古典主義(classicalizm)’. He often discribe a man who can't pull out of the beauty of woman on the background of traditional theory of Japan. So he is criticized ‘惡魔主義(evilism)’, ‘封建主義(feudalism)’ and ‘贅澤者(a high liver)’. This essay mainly discass about a point of view of <sex> about “痴人の愛(The madmans love)”In the first place I analized about the class of charactors and the situation of the day and age in the work. In the second place I refered about the education of Naomi and the result. In the third place I discassed about troubles of Jeoge. In the last analysis I concluded that the sex conciousness of Junichiro Tanizaki is influenced by the theory of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That is to say the worship of woman of Junichiro Tnizaki is essentially made by traditional theory although his conciousness of beauty was influenced by the age of worship of the West.

      • KCI등재후보

        시민성교육의 개념 기반으로서 듀이 시민성 : 프래그마티즘의 흐름을 중심으로

        서용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3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ewey's citizenship as the base of citizenship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eam of pragmatism which becomes the background of Dewey's citizenship. Pragmatism can be classified as classical pragmatism and recent pragmatism all the before and after of Dewey thought. In classical pragmatism, Peirce makes problem-solv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inquiry based on the study of logic and scientific methodology. In psychology and philosophy of religion, James illuminates how important the varieties of individual citizen experience are. Mead insists on the origin of sociality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social self and community. Recently, in Neo-pragmatism, Rorty insists a maximum of creativity in the private sphere and a minimal amount of cruelty in the public sphere. In citizenship perspective, it may call it ‘petit-bourgeois citizenship'. In Critical pragmatism, Habermas points to emancipatory knowledge and interest, revitalizes public sphere with the communicative action, and rationalizes life-world. Accordingly, it regards his citizenship as 'emancipatory citizenship'. Before Dewey, Peirce, James, or Mead's pragmatism make up a germinal stage about his concept of citizenship. After Dewey, Neo or Critical pragmatism build a spread stage about that. From this, we confirm a wide spectrum of Dewey citizenship. His concept contains individuality and sociality, contents and methods. It requests that Dewey's citizenship concept must be reconstructed and be plentifully applied to citizenship education. 본 연구의 지향점은 시민성교육의 개념 기반이 되는 듀이 시민성을 정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 배경이 되는 프래그마티즘의 흐름을 검토하여 듀이의 시민성 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 흐름은 듀이를 전후로 한 고전 프래그마티즘과 현대 프래그마티즘이다. 먼저 고전 프래그마티즘에서 퍼스는 논리학과 과학적 방법론에 치중하면서 반성적 사고와 탐구를 통한 문제해결의 방법론에 영향을 주고 있다. 제임스는 개인 중심의 주관적인 심리학과 종교철학에 비중을 두면서 시민 개인이 갖는 경험의 다양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드는 사회적 자아와 공동체 논의를 통해 자아의 사회적 본원성과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고 있다. 현대 프래그마티즘에서 로티의 네오 프래그마티즘에서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을 구분하면서, 사적으로는 일상적으로 문학을 하고, 공적으로는 고통과 잔인성을 공감하는 수준의 얇은 인류애적 연대성인 ‘소시민적 시민성’을 상정되고 있다. 하버마스의 비판적 프래그마티즘은 시민들로 하여금 해방적 인식관심에 초점을 맞추면서 의사소통행위로서 공적 영역을 활성화하여 생활세계를 합리화하는 ‘해방적 시민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전과 이후의 흐름은 듀이 시민성 개념에 맹아로서 수렴되었다가 듀이로부터 해석되어 확산되어가는 흐름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로부터 개인 중심의 시민성과 사회 중심의 시민성이 공존하고 있고, 시민성의 내용의 측면과 방법의 측면도 나타나고 있어 스펙트럼이 넓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듀이 시민성 개념을 참여민주주의나 숙의민주주의로부터 ‘참여적 시민성’ 혹은 ‘숙의적 시민성’으로 부르는 것에서 나아가 더욱 풍부한 개념 구성과 시민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