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書誌學硏究」 게재 불교서지학 논문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김성수,황윤성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2 No.-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229 papers of ‘Buddhist bibliography’ published i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Seojihak Yeongu) from its first issue (1986) to volume 70 (2017.6). 1) It is evaluated that 62 papers on Tripitaka and Jejonggyojang established firmly a bibliographical foundation in studying Tripitaka and Jejonggyojang. 2) 119 papers on various individual Buddhist literatures and temple-editions are evaluated to investigate various aspects and bibliographical identity of Buddhist publications, especially in the field of analytical bibliography and textual bibliography. 3) It can be evaluated that researches on the culture of printing with wood blocks and metal movable types in Korea and the world with a focus on Mugujeonggwanggyeong․Jikji․Nammyongsongjeungdoga, accomplished a great academic achievement in purely bibliographical subjects, especially including the technology of casting individual metal movable types, respectively used for printing Jikji and Nammyongsongjeungdoga. 4) In diachronic terms, ① the early researches from the first issue to the issues of the late 20th century began with the general and essential investig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and Tripitaka in Korean bibliographical study and expanded the horizon of Buddhism bibliography. ② the mid- and late researches since the 21st century have actively dealt with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studies on various individual Buddhist scriptures’ and ‘gugyeol’ and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ures, Zen writings,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and other Buddhist scriptures, and achieve a remarkable outcome from lasting and various perspectives. 이 논문은 「書誌學硏究」 창간호(1986)부터 제70집(2017.6)까지에 게재된 ‘229편’의 불교서지학 논문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大藏經 관련 연구 62편’에서는, 大藏經과 諸宗敎藏에 관한 서지학적 基盤硏究의 성과가 축적되었다고 분석되었다. 2) ‘單位佛書 관련 연구 119편’에서는, 形態書誌學과 原文書誌學 영역에서 중점적으로 연구되면서, 佛書 간행의 正體性 및 여러 현상들을 연구하였다고 분석되었다. 3) 한국인쇄문화 관련 연구 분야에서는 「無垢淨光經」․「直指」․「南明頌證道歌」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목판인쇄 및 ‘金屬活字의 鑄造法’ 등 서지학 本然의 체계적인 연구 성과를 달성하였음을 파악하였다. 4) 통시적으로는, ① 창간호부터 20세기말까지의 초창기 연구에서는 한국서지학 연구에서 개괄적이고 필수적인 佛書 및 대장경 관련 연구부터 시도되면서 불교서지학의 地平을 차츰 넓혀 나갔다고 분석되었다. ② 21세기 이후의 중․후기 연구에서는, ‘개개 佛經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佛經의 口訣․寫經․禪書․密敎經典․기타 佛書’ 등 다양한 연구주제들을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지속적이고 다채로운 관점에서의 연구 성과들을 구축하였다고 분석되었다.

      • KCI등재

        타 전공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 동향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2 No.-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quantitative trend analysis of bibliographical researches with different majors. Firstly, th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re the professors and researchers who belonged to universities and auxiliary facilities. The researchers who belonged to the human science fields dominate this group and it is to be noted that persons majoring in oriental medicine of natural science fields also conducted bibliographical researches. Secondly, th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uthored average 3.28 articles and they include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istory,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fine arts. Overall, most of them conducted researches for themselves. On average, one in four of the total articles wer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bibliographical studies. Thirdly,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rticles were published at 107 types of various subject areas of journals and among them, the publication rate of research of bibliography was the highest. Fourthly,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bibliography has on the significant increase since mid-1990s, while being influenced by the change in internet environment and the construction of full-text DB. Fifthly, museums, as well as libraries and university libraries, were investigated as the possessors of the bibliographical documentations of research and it was found out that Japan is the largest possessor of documentation next to Korea.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ly, the expansion of research fields is expected, based on integrated research tre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Secondly, data basing of the possessors’ full text and more active information service on classical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research environment in internet or digital research are needed. Thirdly, the discovery of various documentations and possessors is expected as a result of studies by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Fourthly, it is expected that the bibliographical research of bibliographical researchers with different majors will be research field which is not confined to research methods as basic investigation. Fifthly,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position of ‘bibliography research’ which were found to record highest publication rate as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s, bibliography needs to be evolve into the integrated and fusion studies. 이 논문은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의 배경은 대학 또는 대학부속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교수와 연구원이다. 이들은 인문과학 분야 소속 연구자가 가장 많으며, 자연과학 분야의 한의학 연구자도 특징적이다. 둘째,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는 평균 3.28편의 논문을 저술하였으며, 국어국문, 역사, 중어중문, 미술 등의 전공자가 다수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대체로 단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의 전체논문 중 평균 4편 중 1편은 서지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107종의 다양한 주제 분야의 학술지에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그 중 「서지학연구」의 게재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1990년 중반 이후 타 전공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 논문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인터넷 환경의 변화와 원문 DB 구축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연구대상 문헌의 소장처로 도서관과 대학도서관 외에 박물관 등이 조사되었으며, 국가별로는 국내 외에 일본이 가장 많은 연구대상 문헌의 소장처임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 조사 결과 통합적 연구 경향이 다소 보이므로 연구 영역의 확대가 기대된다. 둘째, 인터넷 및 디지털 연구 환경 변화에 따른 원문 DB화 및 고전자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보서비스가 필요하다. 셋째,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으로 다양한 문헌과 소장처의 발굴이 기대된다. 넷째, 타 전공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는 기초조사로서의 연구 방법만이 아닌 연구분야로 조성되길 기대한다. 다섯째, 게재율이 가장 높게 조사된 「서지학연구」의 전문학술지로서의 위상 제고 외에 서지학 분야의 통합형 및 융합형의 학문으로의 전개가 기대된다.

      • KCI등재

        「서지학연구」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2002-2022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

        감미아 한국서지학회 2023 서지학연구 Vol.93 No.-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trend of the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through a bibliometric approach. This study used 858 articles during the period from 2002 to 2022. This study analyzed the author, title, keyword, year of publication, citation information and references among the metadata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eriods. To conduct network analysis, various network mapping techniques such as simple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and Pathfinder network using cosine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17,286 bibliographic references and 2,850 cited articles were collected for reference and citation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a wider range of reference materials were being used compared to the past, with a particular increase in the use of online resources. The number of authors, papers, and citations showed a slight decrease, but the half-life of cited papers indicated that the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were being used for a longer period compared to other LIS journals. Through analysis of cited journals, it was found that there is interest in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literature, and art. In the future, collaboration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sharing of research materials, and fostering of the next academic generation were proposed, with the discussion of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Journal.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인 접근을 통한 「서지학연구」 게재논문의 동향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분석은 「서지학연구」가 KCI 등재 학술지로 선정된 2002년 6월 23호부터 2022년 12월 92호까지의 전체 총 858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메타데이터 중 저자, 제목, 키워드, 발행 연도, 피인용 학술지 등을 분석하여 시기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서는 단순 빈도, 동시출현분석 및 코사인․상관계수를 활용한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 매핑 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고문헌 및 인용 분석을 위해 「서지학연구」의 참고문헌 17,286개와 피인용 논문 2,850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 후 현 상황에 대한 파악을 기반으로 「서지학연구」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 대비 현재 다양한 유형의 참고자료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인터넷자원의 경우 증가하고 있었다. 저자 수 및 논문 수, 인용 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피인용 반감기를 살펴본 결과 타 문헌정보학 학술지에 비해 오래 이용되는 특성을 보였다. 피인용 학술지 분석을 통해서는 역사, 문학,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지학연구」에 관심을 보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러 학문 분야와의 공동작업 및 연구물의 공유, 학문 후속세대의 양성을 제안하여 「서지학연구」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서지학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 서지학회 발간의 [서지학연구]에 한정하여 -

        이란주,임지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새 천년과 함께 지식기반사회에서 한국의 서지학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장 최근자료인 2000년과 2001년도에 서지학회에서 발간한 ${\ulcorner}서지학연구{\lrcorner}$ 19.20.21.22집에 재된 51편의 논문과 그 논문에서 인용한 1,321개의 인용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변수는 논문의 주제와 저자관련사항, 참고문헌의 유형과 수, 학술지의 종류, 참고문헌의 발행국과 언어, 인용저자 사항 다섯 개의 분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이전의 관련 연구들과 크게 두트러진 점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많이 다루어진 주제 분야, 인용문헌수, 인용된 문헌의 형태에서 다소 차이점은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아직은 서지학의 인문학적인 성격은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학의 발전을 위하여 역사학 분야의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며 인용분석 방법론 외에도 질적인 연구방법론도 병행되기를 제안한다. 또한 서지학 외의 문헌정보학 분야와의 교류 및 공통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bibliography' in Korea. By utilizing citation analysis methods, total 1,321 cited references of the 51 articles published by ${\ulcorner}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lrcorner}$ in 2000 and 2001 are analysed. This analysis is focused on an article's subjects and authors'occupations, the numbers and journal categories of its cited references. Also, this study observes the nationalities and languages of cited references and various items related to authors of cited references. The most of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it could find that there are minor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s, in respect to subject areas, the number of cited references and the forms of cited refer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bibliographers's collaborative works with related fields such as history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eed to be strengthened, and that qualitative apaches as well as citation analysis methods might be beneficial for further expansion of academic scope of 'bibliography'.

      • KCI등재

        『서지학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5 No.-

        이 연구는 『서지학연구』를 대상으로 서지학 연구동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1986-2015년의 30년간의 논문수와 공저 논문을 조사 분석하고, 2006-2015년의 10년간의 주제영역, 저자수, 핵심저자, 저자의 신분, 소속기관, 전공의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이 연구 결과를 『서지학연구』 연구동향을 조사한 1992년, 1997년 및 2002년의 선행연구 내용 중 공저 논문, 저자의 직업, 소속기간, 전공 및 연구주제 영역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교 소속의 서지학전공 교수진에 의하여 단독으로 판본학과 목록학 위주로 연구되어 왔던 동향이 현재 대학교 소속의 교수 외에 일부 타전공 저자들에 의하여 일반 및 응용분야와 판본학 등의 연구가 주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저 현상과 연구기관 또는 다양한 정보제공센터 소속의 연구직과 대학원생 등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크진 않지만 저자 전공분야 다양화와 융합적 연구로의 발전 등이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s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bibliography research trend, based on the academic journal Bibliography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number of articles and the articles of single or joint authorship published for the past three decades covering 1986 to 2015, the number of authors, core authors, their profiles and organizations of the authors, change in their majors and subject areas of the past 10 years covering 2006 to 2015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of Bibliography Research conducted in 1992, 1997 and 2002 in the areas of previous studies of research trend, articles of co-authorship, occupations, service of affiliation with the organizations, their majors and research subject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ose of different majors as well as professors at universities are conducting researches in mainly general and applied areas or physical bibliography these days, while professors of bibliography major at universities conducted researches in the area of mainly physical bibliography and systematical bibliography with single authorship in the past. The phenomena of co-authorship and researches conducted jointly by research institutes, researchers of various information centers, and graduate students are on the increase. And diversification of authors’ major fields and advancement into integrative researches in the field of bibliography was found out, albeit not significantly.

      • KCI등재

        중국의 중의문헌학 교육 현황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6 No.-

        This paper was written with a view to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eduction, which is being educated in the area of basic medicine science of Chinese medicine. China’s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eduction was launched in 1950s when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Beijing opened the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course for the first time and when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Nanjing organized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research team which did not exist before. Afterwards, as ‘Regulation on Management of Research, Organization, and Publication of Old and Rare Books’ got legislated in 1980s,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earnestly became China’s new and unique study area, which began to be educated as part of China’s policy of training of Chinese medicine’s philology experts.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Beijing,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Shanghai,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Nanjing, and college of Chinese medicine of Shandong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In the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research center and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books and culture Institute of these universities are playing leading roles in teaching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to the undergraduate, graduate, PhD, and post doctorate students as part of the curriculum or major, while awarding degrees to them. As a result of review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philology of Chinese medicine, which is a course book planned on national level, it was found out that they educate the main contents on 543 kinds of Chines medicine books classified into 16 types (or 20 types) and bibliographical education of Chinese medicine records. Through the above review, this study propose the expansion of bibliographical study area,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amalgative study area of bibliography field, setting of foundation for bibliographical studies for researches by subjects, building of the union catalogue of nation-wide old and rare books and bibliography by areas of expertise. 이 논고는 중의학의 기초의학 영역에서 교육되는 중의문헌학의 교육 현황 조사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의 중의문헌학 교육은 1950년대에 북경중의대학에서 처음으로 교과로 개설하고, 남경중의약대학에서 최초로 중의문헌연구팀을 구성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1980년대에 ‘중의고적 연구정리출판 관리세칙’이 법제화되면서 중의문헌학은 전문가 양성의 한 시책으로 본격적으로 교육되기 시작한 중국특유의 새로운 학문분야라고 할 수 있다. 중의문헌학 교육기관으로 북경중의대학, 상해중의약대학, 남경중의약대학 및 산동중의약대학을 조사하였다. 이들 대학의 중의문헌연구소와 중의문헌․문화연구원 등이 중의문헌학 또는 중의의사문헌학의 교육주체가 되어 학사와 석․박사학위과정 및 박사후 연수과정의 교과목 또는 전공으로 교육되고 학위가 수여되고 있다. 국가급계획교재인 『중의문헌학』을 대상으로 교육내용을 살펴본 결과 중의문헌에 대한 서지학적 교육과 16류(또는 20류)로 분류한 534종의 의서류 문헌을 교육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지학분야 교육영역의 확장, 서지학분야의 융복합적 연구영역의 개발과 확장, 주제별 연구자를 위한 서지학적 연구 기반마련, 전국적 고문헌 연합목록과 전문분야별 서지구축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서지학자로서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연구

        이민희(Lee Min-Heu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7 No.-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1891~1968)는 시조시인이자 고전문학 연구자이기 이전에 고서 수집에 심혈을 기울이고 서지에 깊은 통찰과 혜안을 가졌던 서지학자였다. 고전문학 연구의 기초가 서지학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고 믿었던 그는 고서 수집과 거래, 그리고 서지 고증과 고서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그런 사실을 그가 남긴 『가람일기』를 통해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문헌사와 20세기 전반기 생활사를 대변하는 특별한 증거 자료라 할 『가람일기』를 중심으로 가람의 고서 거래 내용과 그의 생활상을 더듬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고서 수집가요 서지학자로서의 가람의 진면목을 재조명하는 한편, 20세기 전반기 고서 유통과 개인적 서적 거래의 양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사례 연구로 삼고자 했다. 『가람일기』에 나타난 가람의 고서 거래 방식은 대개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고서점ㆍ도서관ㆍ사가(私家) 방문을 통한 고서 열람, 2) 다른 사람 또는 기관으로부터의 증여, 무상 획득, 3) 빌려보기, 4) 직접 필사 또는 필사 부탁을 통한 고서 확보, 5) 고서의 직접 구매. 이 중에서 직접 책을 구매할 경우 고서점과 서적중개상을 통하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었다. 이런 고서 수집은 1920년대 중반~1940년대 중반에 가람이 휘문고보에서 교사로 재직하던 시기에 집중되었다. 아울러 일기를 통해 고서를 거래하며 가람이 만났던 이들의 면면과 인적 네트워크까지 확인할 수 있다. 어려운 시기에 고서 수집과 서지학 연구에 심혈을 기울인 이유는 가람식 애국하는 방법이자 후학을 위한 교육자로서의 사명의식 때문이었다. Garam(嘉藍) Lee ByongGi(李秉岐, 1891~1968) was a leading bibliographer and collecter of old books as well as famous Shijo(時調) poet. He was also leading scholar of classic literature who studied on the basis of bibliography. Nevertheless, there was insufficient to do deep study of Garam as a bibliographer until now. That is why this paper try to study of Garam not as a Shijo poet, but bibliographer and old book collector. Garam’s diary, which Garam had written from 1909 to 1964, is important and basic material to search for his dealing and collection of old book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ransaction & collection method of old book written in Garam’s diary is able to be classified as follows: 1) Reading old book by call at old bookstore, library or private house, 2) old book’s donation or gift from other person or library, 3) lending old book, 4) copying old book for oneself, 5) buying old book in old bookstore or purchasing old book through book-broker. It can be ascertained in Garam’s diary that Garam’s collection of old book was concentrated during his twenty years in Whimoon(徽文) high school. Garam gave his whole mind to collect old book in difficult period, because he wanted to devote to one’s country and people and to hand down to the descendants for future use.

      • KCI등재

        『옥원중회연』 한글 필사본의 서지학 고찰과 서사기법

        이정자(李正子)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韓文書法是昇華韓國文字成了文化遺産的. 考察這樣韓文書法話, 可能直到18世紀極發達國文小說. 在18世紀文學上一批出來的大變化是飜譯成韓文的小說. 這樣時代的變化形成國文小說的一些讀者, 而 出現了爲充足讀者的筆寫者. 到現在傳來當時筆寫國文本. 其中現在以韓文書法家爲範本小說是韓國學 中央硏究院藏書閣本的『玉鴛重會緣』. 因此對這小說要硏究幾個問題. 第一, 首先訪問首兒大學校奎章閣, 而考察了『玉鴛重會緣』的韓文筆寫本. 這筆寫本卷末有添記. 所以由這筆寫本能可知書名 · 書體 · 筆寫者 · 筆寫時期 · 分量 · 添記 · 連作有無 · 所藏處 · 圖書的大 小. 第二, 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本的『玉鴛重會緣』看不見添記和後人題跋. 因此參考所藏處的筆 寫本考察了書名 · 書體 · 分量 · 所藏處 · 圖書的大小. 第三, 在延世大學校所藏本『옥원재합』的標題同一首兒大學校奎章閣本『옥원재합긔연』的. 但 因相異內面題目, 而分別了首兒大學校奎章閣本是『옥원재합긔연』, 延世大學校所藏本是『옥원재 합』的. 『옥원재합』卷末有添記, 據添記內容可知筆寫時期, 而不知筆寫者. 還在添記中可知個紹自 身的內容, 而不知他的性別 · 職業 · 年齡. 因此對書誌學的側面來說, 只可知書名 · 書體 · 分量 · 所藏 處 · 圖書的大小而已. 第四, 梨花女子大學校所藏本的標題同一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本的『玉鴛重會緣』. 但兩本的 書體不一致, 卽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本是正書和行書, 而梨花女子大學校所藏本是混合正書和行書 的書體. 而且在梨花女子大學校所藏本『玉鴛重會緣』中看不見添記和後人題跋. 因此參考所藏處的韓 文筆寫本, 只可知書名 · 書體 · 分量 · 所藏處 · 圖書的大小而已. ?外判斷還沒發現的有異本下, 要搜輯在全國博物館 · 大學校 · 圖書館, 而到現在還沒發現的. 有 機會的話, 不斷要搜輯日本圖書館和俄國博物館等的韓文筆寫本. 若發現『玉鴛重會緣』的異本, 在韓 文書法史有意義. 第五, 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本的價値和影響. 在漸漸提高書法文化意識的當代, 現存朝鮮後期的韓文筆寫本是極感謝的事情. 特別直接能看到的事情是眞光榮. 雖然別時代而變文化, 當時筆寫者和現代韓文書法家皆通過韓文的筆?創造韓文美. 其中是韓文的好範本. 因 國文小說最高潮發達時筆寫本, 極端雅?勁, 分間布白勻麗. 但各異本有差, 而可能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本是最好範本. 本硏究主題的主要目的是在分別書誌學的資料. 因爲首先執筆前一定有對範本正確理解, 才可能正 活用範本. 한글서예는 우리글을 예술로 승화하는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한글서예의 원류를 살펴보면 국문 소설이 가장 활발하였던 18세기를 만날 수 있다. 18세기 문학에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한글로 된 소설이 대거 쏟아져 나왔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국문 소설의 새로운 독자층을 형성시켰고, 독자층을 충족시켜야하는 필사자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당시 필사한 한글 필사본들이 현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가운데 현재 한글서예인들이 가장 범본으로 삼고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옥원중회연(玉鴛重會緣)』을 포함한 5종류의 서지학과 서사기법의 특징 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이 소설에 대하여 몇 가지 주제를 가지고 연구 한 결과로 삼고자 한다. 첫째, 먼저 서울대학교 규장각을 방문하여 서울대학교 규장각본 『옥원재합긔 연』,『옥원전해』의 한글 필사본을 살펴보았다. 이 도서에는 권말에 첨기가 있다. 이에 소장된 필사본을 참고로 서명 · 서체 · 필사자 · 필사시기 · 분량 · 첨기 · 연작의 유무 · 소장처 · 도서의 크기 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옥원중회연』은 본 내용 어디에도 첨기나 후 인들의 글씨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소장처의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서명 · 서체 · 분량 · 소장처 · 도서의 크기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 연세대학교 소장본 『옥원재합』은 표제명이 서울대학교 규장각본 『옥원 재합긔연』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속 제목이 다르므로 서울대학교 규장각본은 『옥 원재합긔연』, 연세대학교 소장본 『옥원재합』으로 구분하도록 하였다. 이 소설의 권말에는 첨기가 쓰여 있었다. 첨기의 내용으로 보아 필사시기는 알 수 있었으나 필사자 자신이 누군지는 정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간단하게 자신을 소개한 내용이 첨기에 보이기는 하지만 성별이나 직업 또는 나이 등을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서지 적 측면은 서명 · 서체 · 분량 · 소장처 · 도서의 크기 정도만 알 수 있었다. 넷째, 이화여자대학교 소장본 『옥원중회연』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옥원중회연』과 표제명이 동일하다. 그러나 두 도서의 서체는 다르게 필사하였는데 한 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은 ‘정자’와 ‘흘림’이고, 이화여자대학교 소장본은 ‘정자’와 ‘흘림’을 섞어 쓴 ‘흘림’의 형태이다. 그리고 이화여자대학교 소장본 『옥원중회연』은 권두나 권말에 첨기나 후인들이 쓴 내용을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소장처의 한글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서명 · 서체 · 분량 · 소장처 · 도서의 크기 정도만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아직 발견되지 않은 이본이 있을 거라는 추측 하에 전국의 박물관과 대학교 및 도서관 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으나, 아쉽게도 같은 이름의 고서나 이본은 현재까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본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정 지을 수 없기에 일본 도서관이나 러시아 박물관 등에도 한글 필사본이 존재하고 있는지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생각이다. 이유는 한글서예의 범본으로 삼고 있는 『옥원중회연』의 낙 질이나 새로운 이본이 발견된다면, 이는 한글서예학에 큰 의미가 있는 일이 될 것이 기 때문이다. 다섯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권지십일을 선택하여 서사기 법의 특징을 몇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국문 소설이 가장 활발하던 시기의 정점에 필사되었기 때문에 가장 단아하 고 힘이 있으며 공간의 분배 비율이 아름답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이본들의 글씨 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과 조금의 차이가 있으므로 아마도 오랫동안 서체의 모본으로써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을 범본으로 삼고 글씨를 쓸 것 같다. 다음은 『옥원중회연』의 가치와 영향이다. 서예의 문화의식이 점차 가치를 높여 가는 이 시대에서 조선후기의 한글 필사본이 현존하고 있다는 것은 대단히 감사한 일이다. 그리고 그 필사본을 직접 살펴 볼 수 있다는 것은 진실로 영광스러운 일이 었다. 비록 시대는 다르고 문화도 바뀌었지만 당시의 필사자들이나 현대의 한글서예 가들은 한글의 필획을 통하여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예술의 도구로 한글을 채용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의 글씨는 본보기로 삼기에 훌륭한 범본이다. 이 글의 연구 목적은 서체의 모본으로 사용하기 전에 가장 기초가 되는 서지학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필법을 기술하였다. 왜냐하면 이는 가장 기본적인 연 구로 초학자들이 붓을 잡기 전에 먼저 범본으로 삼아야 할 교재에 대한 정확한 분별력이 있어야 비로소 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一山 金斗鍾의 韓國 書誌學的 位相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1 No.-

        1) The development of Korean bibliography has been led by physical bibliography. 2) Korean printing technology, especially typography, had marked unprecedented development in the world. 3)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Mugujonggwang dae daranigyong in woodblock edition and woodblock of Palman daejangkyung in the world. Korea invented metal type at least 200 years earlier than West and still retains the invented types. It had also printed the oldest existing metal type edition - Backwoon hwasang chorock pulcho chikchi simche yojol in 1377. Korea has developed more than seventy different kinds of types since then. In this regard, the status of Korean early printing culture is no less significant than that of 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4) Ilsan had laid the foundations for Korean bibliography by pioneering into the fields of cultural history in woodblock printing, type printing, printing technology, and modern printing as well as building up Ilsan collection. 1) 한국의 서지학은 판본학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2) 한국의 인쇄술, 특히 활자 인쇄의 발달은 세계에 유례가 없을 만큼 찬란하였다. 3)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목판본 「無垢淨光大陀羅尼經」과 「팔만대장경」의 경판을 보유하고 있다. 금속활자는 서양보다 200년 이상 앞서 발명하였으며, 그 발명작도 보유하고 있으며, 현존 最古의 금속활자본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을 1377년에 인쇄하였다. 이후 70여 종 이상의 활자를 조성하여 서적을 인쇄하였다. 이점에서 한국 고인쇄문화의 위상은 세계 어느 나라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4) 일산은 목판인쇄문화사, 활자인쇄문화사, 인쇄기술사, 근대인쇄 연구는 물론 일산문고를 구축함으로써 한국 서지학의 기반을 닦았다.

      • KCI등재

        「四庫全書總目提要」의 ‘凡例’와 ‘案語’ 연구 - 「凡例二十則」의 譯注를 중심으로 -

        조영래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3 No.-

        This paper is to analyze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the “Notes on the use of a book(「凡例」)” in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四庫全書總目提要」), and al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Comments(案語)”. The ‘Notes on the use of a book’ refer to the words that illustrate the selection standards, presentation style and content scope of the script, in front of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As the important part of “the analysis”, it account as a whole for the stylistic rules of the whole book, which shows its pros and cons. It conduce toward a better in-depth study on “the analysis” to analyse those pros and cons. In this paper, have interpreted the twenty kinds of “Notes on the use of a book” and translate with explanatory notes. “Notes on the use of a book” have a variety of functions, analysis and in many respects it was classified. “The Comments(案語)” illustrates, supplies and researches the departments of cases attached by rules which are not explained in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The Comments” lies here and there attached to in have important contents and valus of style, which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interpreting or supplying “Notes on the use of a book”, and interpreting or supplying “Writing ideas”, and supplying introductions to “Analysis and commentary of the book”, and introducing “Classification of an item proving”, and interpreting to “Scholar of the origin and changes”, and supplying introductions to “authenticity of a document”. “The Comments” had a role, such as blood vessels in the body, and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lso embodying the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in systematic in another way. 본고는 「四庫全書總目提要(총목)」의 ‘범례’의 역주와 함께 ‘案語’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총목」의 ‘범례’는 권두에 편재되었고, 「四庫全書」에 수록된 도서에 대한 수록의 원칙, 편목의 배열과 저록의 체례 등을 총체적으로 설명했다. 「총목」의 ‘범례’란 「사고전서」의 편찬과 도서 해제의 준거를 제시하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며 ‘서지통정(Bibliographic control)’의 청사진이다. 본고의 목적은 「총목」의 이해를 심화하고, “체계서지학”의 중국적 특성으로 불리는 “目錄學”의 특성과 핵심을 구성하는 문헌해제의 체례를 ‘범례’와 ‘안어’를 통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凡例二十則」을 상세한 주석을 통해서 완역하고, 「총목」의 편찬체례와 저록의 수집과 분류 방법, 그리고 서목의 배열방식과 편찬과정의 대강을 밝혔다. 「凡例二十則」은 「총목」 서두에 위치해 「총목」의 전체 체례를 설명하는 일종의 ‘일러두기’에 해당한다. ‘범례’는 전서의 체례를 총괄적으로 설명하면서, 동시에 「총목」에 도서의 저술원칙, 도서의 수록기준, 著錄과 存目, 類目의 배열, 子目의 설치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을 했다. ‘범례’는 중국 목록학 문헌 해제의 특성 외에도 原書의 流傳을 고증하여 善本과 足本 및 通行本을 엄선한 ‘원문서지학’과 ‘형태서지학’적 요소를 모두 보유했고, 이를 통해 종합적 성격의 목록 저술인 「총목」의 성격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안어’는 ‘범례’의 기능 중에 미진한 곳을 보완, 보충하면서 「총목」의 체례를 주석의 형태로 부연 설명했다. ‘범례’를 구성하는 ‘저술사상’․‘도서변위’․‘유례논증’․‘도서해제’․‘학술기원’의 범주를 소통을 통해 긴밀한 관계를 맺도록 기능했던 것이 바로 ‘안어’였다. 중국목록학의 구성 요소 중 ‘안어’의 역할이 다소 과소평가 되었던 원인은 아마도 고정된 체례나 사용 사례가 불규칙하고 정형적인 형식이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篇目․敍錄․解題․總序․小序 등이 커다란 바위로 비유한다면 ‘안어’는 이런 바위들이 더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돕는 모래와 자갈, 혹은 진흙으로 비유할 수 있겠다. 「총목」에서 구현되고 있는 考據學의 학풍은 실은 5가지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안어를 통해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안어’의 연구는 더욱 풍부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