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지학연구」 100집 간행(1986-2024)의 성과와 연구사적 의의
이혜은 한국서지학회 2024 서지학연구 Vol.100 No.-
이 연구는 한국서지학회가 간행하는 학술지인 「서지학연구」의 통권 100집 간행을 기념하여 우리나라 서지학 분야 학술단체의 성립과 학술지 발간의 연혁, 「서지학연구」 간행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또한 「서지학연구」 1집에서 99집에 수록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서지학회는 1947년 설립된 조선서지학회의 명맥을 잇는 학회이며 학술지에는 그동안 모두 298명의 연구자가 1,177편의 학술논문을 게재하였다. 이들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의 주제는 판본학과 목록학 분야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창간 당시 5개 분야 전공의 대학교 소속 서지학 전공자들이었던 저자들은 25개 분야의 다양한 소속과 신분을 가진 연구자로 확대되었다. 학문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서지학 연구의 대표 학술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학계를 선도하는 학술지로 더욱 발전해 나가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주제와 방법론, 유관 학문 분야와의 협력 연구를 통한 학문적 다양성 증진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memorates the publication of the 100th issue of the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by the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It explores the establishment and history of academic societies and journal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bibliography in Korea,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the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the first issue to the 99th issu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has inherited the legacy of the Joseon Society of Bibliography, established in 1947. Across these issues, 298 researchers have contributed a total of 1,177 academic papers. The research trend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rimary research topics are physical bibliography and systematic bibliography. Initially, the authors were professors from five major fields, including bibliographic scholars, but this has since expanded to encompass researchers from 25 diverse fields and institutions. As bibliography is fundamental to academic study, the study recommends enhancing the journal’s stature as a leading publication in bibliographic research and advancing its role as a core academic journal by promoting academic diversity through a variety of research topics, innovative methodologies, and collaborative efforts with related disciplines.
「書誌學硏究」 게재 불교서지학 논문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김성수,황윤성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2 No.-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229 papers of ‘Buddhist bibliography’ published i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Seojihak Yeongu) from its first issue (1986) to volume 70 (2017.6). 1) It is evaluated that 62 papers on Tripitaka and Jejonggyojang established firmly a bibliographical foundation in studying Tripitaka and Jejonggyojang. 2) 119 papers on various individual Buddhist literatures and temple-editions are evaluated to investigate various aspects and bibliographical identity of Buddhist publications, especially in the field of analytical bibliography and textual bibliography. 3) It can be evaluated that researches on the culture of printing with wood blocks and metal movable types in Korea and the world with a focus on Mugujeonggwanggyeong․Jikji․Nammyongsongjeungdoga, accomplished a great academic achievement in purely bibliographical subjects, especially including the technology of casting individual metal movable types, respectively used for printing Jikji and Nammyongsongjeungdoga. 4) In diachronic terms, ① the early researches from the first issue to the issues of the late 20th century began with the general and essential investig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and Tripitaka in Korean bibliographical study and expanded the horizon of Buddhism bibliography. ② the mid- and late researches since the 21st century have actively dealt with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studies on various individual Buddhist scriptures’ and ‘gugyeol’ and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ures, Zen writings,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and other Buddhist scriptures, and achieve a remarkable outcome from lasting and various perspectives.
이민희(Lee Min-Heu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7 No.-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1891~1968)는 시조시인이자 고전문학 연구자이기 이전에 고서 수집에 심혈을 기울이고 서지에 깊은 통찰과 혜안을 가졌던 서지학자였다. 고전문학 연구의 기초가 서지학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고 믿었던 그는 고서 수집과 거래, 그리고 서지 고증과 고서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그런 사실을 그가 남긴 『가람일기』를 통해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문헌사와 20세기 전반기 생활사를 대변하는 특별한 증거 자료라 할 『가람일기』를 중심으로 가람의 고서 거래 내용과 그의 생활상을 더듬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고서 수집가요 서지학자로서의 가람의 진면목을 재조명하는 한편, 20세기 전반기 고서 유통과 개인적 서적 거래의 양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사례 연구로 삼고자 했다. 『가람일기』에 나타난 가람의 고서 거래 방식은 대개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고서점ㆍ도서관ㆍ사가(私家) 방문을 통한 고서 열람, 2) 다른 사람 또는 기관으로부터의 증여, 무상 획득, 3) 빌려보기, 4) 직접 필사 또는 필사 부탁을 통한 고서 확보, 5) 고서의 직접 구매. 이 중에서 직접 책을 구매할 경우 고서점과 서적중개상을 통하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었다. 이런 고서 수집은 1920년대 중반~1940년대 중반에 가람이 휘문고보에서 교사로 재직하던 시기에 집중되었다. 아울러 일기를 통해 고서를 거래하며 가람이 만났던 이들의 면면과 인적 네트워크까지 확인할 수 있다. 어려운 시기에 고서 수집과 서지학 연구에 심혈을 기울인 이유는 가람식 애국하는 방법이자 후학을 위한 교육자로서의 사명의식 때문이었다. Garam(嘉藍) Lee ByongGi(李秉岐, 1891~1968) was a leading bibliographer and collecter of old books as well as famous Shijo(時調) poet. He was also leading scholar of classic literature who studied on the basis of bibliography. Nevertheless, there was insufficient to do deep study of Garam as a bibliographer until now. That is why this paper try to study of Garam not as a Shijo poet, but bibliographer and old book collector. Garam’s diary, which Garam had written from 1909 to 1964, is important and basic material to search for his dealing and collection of old book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ransaction & collection method of old book written in Garam’s diary is able to be classified as follows: 1) Reading old book by call at old bookstore, library or private house, 2) old book’s donation or gift from other person or library, 3) lending old book, 4) copying old book for oneself, 5) buying old book in old bookstore or purchasing old book through book-broker. It can be ascertained in Garam’s diary that Garam’s collection of old book was concentrated during his twenty years in Whimoon(徽文) high school. Garam gave his whole mind to collect old book in difficult period, because he wanted to devote to one’s country and people and to hand down to the descendants for future use.
근대 서지학자로서의 가람 이병기 연구 - 전집본 『가람일기』(전5권)를 중심으로 -
이민희 한국문학회 2025 한국문학논총 Vol.99 No.-
본 논문은 시조 시인․국학자로 잘 알려진 가람 이병기(1891~1968)를 근대 서지학자라는 측면에서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4년 완간된 전집본 『가람일기』(전5권)를 중심으로 가람의 고서 수집 및 거래 내역, 서지 연구 활동을 종합적으로 살폈다. 57년간 기록된 『가람일기』는 한문, 국문, 국한혼용문으로 시대에 따라 달리 작성되었는데, 이에 준거해 가람의 일기쓰기를 초-중-후기로 나누고 고서 및 서지에 대한 가람의 학문적 태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 논문은 가람을 근대 서지학자로 평가할 수 있는 이유를 네 가지로 제시했다. 가람은 1) 형태서지학에 대한 전문적 안목을 지녔고, 2) 서적의 판본과 서지 정보를 살펴 진본과 위작을 구별하는 능력(감식안)이 뛰어났으며, 3) 고전 문헌 연구 및 교주․주해를 통해 문헌사회사적 해석과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으며, 4) 귀중본과 각종 진서를 다수 수집한 전문 장서가였다. 이에서 근대 서지학 연구의 선구자로서 가람의 위치와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Garam(嘉藍) Lee Byeong-gi (李秉岐, 1891-1968), who is well known as a Sijo poet and scholar of Korean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a modern bibliographer. To this end, we comprehensively examined Garam’s collection and transaction history of old books and bibliographic research activities, focusing on the complete collection of Garam Diaries(嘉藍日記, 5 volumes) published in 2024. The Garam Diaries, which were written over a period of 57 years, were written differently in Chinese, Korean, and mixed Korean and Korean scripts depending on the period. Based on this, we divided Garam’s diary writing into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and examined the changes in Garam’s academic attitude toward old books and bibliographies.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ed four reasons why Garam can be evaluated as a modern bibliographer. Garam 1) had a specialized eye for bibliography, 2) had an outstanding ability (eye for discernment) to distinguish genuine from fakes by examining the editions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books, 3) attempted to systematically convey bibliographic information through the study of classical texts and the writing of commentaries and annotations, and 4) was a lifelong collector of valuable books and various authentic books, confirming his appearance as a modern bibliographer. This paper is merely the first step toward reestablishing Garam’s academic status as a modern bibliographer.
이정자(李正子)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韓文書法是昇華韓國文字成了文化遺産的. 考察這樣韓文書法話, 可能直到18世紀極發達國文小說. 在18世紀文學上一批出來的大變化是飜譯成韓文的小說. 這樣時代的變化形成國文小說的一些讀者, 而 出現了爲充足讀者的筆寫者. 到現在傳來當時筆寫國文本. 其中現在以韓文書法家爲範本小說是韓國學 中央硏究院藏書閣本的『玉鴛重會緣』. 因此對這小說要硏究幾個問題. 第一, 首先訪問首兒大學校奎章閣, 而考察了『玉鴛重會緣』的韓文筆寫本. 這筆寫本卷末有添記. 所以由這筆寫本能可知書名 · 書體 · 筆寫者 · 筆寫時期 · 分量 · 添記 · 連作有無 · 所藏處 · 圖書的大 小. 第二, 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本的『玉鴛重會緣』看不見添記和後人題跋. 因此參考所藏處的筆 寫本考察了書名 · 書體 · 分量 · 所藏處 · 圖書的大小. 第三, 在延世大學校所藏本『옥원재합』的標題同一首兒大學校奎章閣本『옥원재합긔연』的. 但 因相異內面題目, 而分別了首兒大學校奎章閣本是『옥원재합긔연』, 延世大學校所藏本是『옥원재 합』的. 『옥원재합』卷末有添記, 據添記內容可知筆寫時期, 而不知筆寫者. 還在添記中可知個紹自 身的內容, 而不知他的性別 · 職業 · 年齡. 因此對書誌學的側面來說, 只可知書名 · 書體 · 分量 · 所藏 處 · 圖書的大小而已. 第四, 梨花女子大學校所藏本的標題同一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本的『玉鴛重會緣』. 但兩本的 書體不一致, 卽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本是正書和行書, 而梨花女子大學校所藏本是混合正書和行書 的書體. 而且在梨花女子大學校所藏本『玉鴛重會緣』中看不見添記和後人題跋. 因此參考所藏處的韓 文筆寫本, 只可知書名 · 書體 · 分量 · 所藏處 · 圖書的大小而已. ?外判斷還沒發現的有異本下, 要搜輯在全國博物館 · 大學校 · 圖書館, 而到現在還沒發現的. 有 機會的話, 不斷要搜輯日本圖書館和俄國博物館等的韓文筆寫本. 若發現『玉鴛重會緣』的異本, 在韓 文書法史有意義. 第五, 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本的價値和影響. 在漸漸提高書法文化意識的當代, 現存朝鮮後期的韓文筆寫本是極感謝的事情. 特別直接能看到的事情是眞光榮. 雖然別時代而變文化, 當時筆寫者和現代韓文書法家皆通過韓文的筆?創造韓文美. 其中是韓文的好範本. 因 國文小說最高潮發達時筆寫本, 極端雅?勁, 分間布白勻麗. 但各異本有差, 而可能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本是最好範本. 本硏究主題的主要目的是在分別書誌學的資料. 因爲首先執筆前一定有對範本正確理解, 才可能正 活用範本. 한글서예는 우리글을 예술로 승화하는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한글서예의 원류를 살펴보면 국문 소설이 가장 활발하였던 18세기를 만날 수 있다. 18세기 문학에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한글로 된 소설이 대거 쏟아져 나왔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국문 소설의 새로운 독자층을 형성시켰고, 독자층을 충족시켜야하는 필사자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당시 필사한 한글 필사본들이 현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가운데 현재 한글서예인들이 가장 범본으로 삼고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옥원중회연(玉鴛重會緣)』을 포함한 5종류의 서지학과 서사기법의 특징 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이 소설에 대하여 몇 가지 주제를 가지고 연구 한 결과로 삼고자 한다. 첫째, 먼저 서울대학교 규장각을 방문하여 서울대학교 규장각본 『옥원재합긔 연』,『옥원전해』의 한글 필사본을 살펴보았다. 이 도서에는 권말에 첨기가 있다. 이에 소장된 필사본을 참고로 서명 · 서체 · 필사자 · 필사시기 · 분량 · 첨기 · 연작의 유무 · 소장처 · 도서의 크기 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옥원중회연』은 본 내용 어디에도 첨기나 후 인들의 글씨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소장처의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서명 · 서체 · 분량 · 소장처 · 도서의 크기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 연세대학교 소장본 『옥원재합』은 표제명이 서울대학교 규장각본 『옥원 재합긔연』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속 제목이 다르므로 서울대학교 규장각본은 『옥 원재합긔연』, 연세대학교 소장본 『옥원재합』으로 구분하도록 하였다. 이 소설의 권말에는 첨기가 쓰여 있었다. 첨기의 내용으로 보아 필사시기는 알 수 있었으나 필사자 자신이 누군지는 정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간단하게 자신을 소개한 내용이 첨기에 보이기는 하지만 성별이나 직업 또는 나이 등을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서지 적 측면은 서명 · 서체 · 분량 · 소장처 · 도서의 크기 정도만 알 수 있었다. 넷째, 이화여자대학교 소장본 『옥원중회연』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옥원중회연』과 표제명이 동일하다. 그러나 두 도서의 서체는 다르게 필사하였는데 한 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은 ‘정자’와 ‘흘림’이고, 이화여자대학교 소장본은 ‘정자’와 ‘흘림’을 섞어 쓴 ‘흘림’의 형태이다. 그리고 이화여자대학교 소장본 『옥원중회연』은 권두나 권말에 첨기나 후인들이 쓴 내용을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소장처의 한글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서명 · 서체 · 분량 · 소장처 · 도서의 크기 정도만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아직 발견되지 않은 이본이 있을 거라는 추측 하에 전국의 박물관과 대학교 및 도서관 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으나, 아쉽게도 같은 이름의 고서나 이본은 현재까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본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정 지을 수 없기에 일본 도서관이나 러시아 박물관 등에도 한글 필사본이 존재하고 있는지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생각이다. 이유는 한글서예의 범본으로 삼고 있는 『옥원중회연』의 낙 질이나 새로운 이본이 발견된다면, 이는 한글서예학에 큰 의미가 있는 일이 될 것이 기 때문이다. 다섯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권지십일을 선택하여 서사기 법의 특징을 몇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국문 소설이 가장 활발하던 시기의 정점에 필사되었기 때문에 가장 단아하 고 힘이 있으며 공간의 분배 비율이 아름답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이본들의 글씨 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과 조금의 차이가 있으므로 아마도 오랫동안 서체의 모본으로써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을 범본으로 삼고 글씨를 쓸 것 같다. 다음은 『옥원중회연』의 가치와 영향이다. 서예의 문화의식이 점차 가치를 높여 가는 이 시대에서 조선후기의 한글 필사본이 현존하고 있다는 것은 대단히 감사한 일이다. 그리고 그 필사본을 직접 살펴 볼 수 있다는 것은 진실로 영광스러운 일이 었다. 비록 시대는 다르고 문화도 바뀌었지만 당시의 필사자들이나 현대의 한글서예 가들은 한글의 필획을 통하여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예술의 도구로 한글을 채용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 의 글씨는 본보기로 삼기에 훌륭한 범본이다. 이 글의 연구 목적은 서체의 모본으로 사용하기 전에 가장 기초가 되는 서지학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필법을 기술하였다. 왜냐하면 이는 가장 기본적인 연 구로 초학자들이 붓을 잡기 전에 먼저 범본으로 삼아야 할 교재에 대한 정확한 분별력이 있어야 비로소 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지학연구」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2002-2022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
감미아 한국서지학회 2023 서지학연구 Vol.93 No.-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trend of the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through a bibliometric approach. This study used 858 articles during the period from 2002 to 2022. This study analyzed the author, title, keyword, year of publication, citation information and references among the metadata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eriods. To conduct network analysis, various network mapping techniques such as simple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and Pathfinder network using cosine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17,286 bibliographic references and 2,850 cited articles were collected for reference and citation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a wider range of reference materials were being used compared to the past, with a particular increase in the use of online resources. The number of authors, papers, and citations showed a slight decrease, but the half-life of cited papers indicated that the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were being used for a longer period compared to other LIS journals. Through analysis of cited journals, it was found that there is interest in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literature, and art. In the future, collaboration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sharing of research materials, and fostering of the next academic generation were proposed, with the discussion of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Journal.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1 No.-
1) 한국의 서지학은 판본학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2) 한국의 인쇄술, 특히 활자 인쇄의 발달은 세계에 유례가 없을 만큼 찬란하였다. 3)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목판본 「無垢淨光大陀羅尼經」과 「팔만대장경」의 경판을 보유하고 있다. 금속활자는 서양보다 200년 이상 앞서 발명하였으며, 그 발명작도 보유하고 있으며, 현존 最古의 금속활자본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을 1377년에 인쇄하였다. 이후 70여 종 이상의 활자를 조성하여 서적을 인쇄하였다. 이점에서 한국 고인쇄문화의 위상은 세계 어느 나라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4) 일산은 목판인쇄문화사, 활자인쇄문화사, 인쇄기술사, 근대인쇄 연구는 물론 일산문고를 구축함으로써 한국 서지학의 기반을 닦았다.
이애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0 문화와예술연구 Vol.15 No.-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을 위한 규범서가 있다. 그 가운데 여사서는 영조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책으로 여성의 교육과 덕행 및 수 양 등을 기록한 책이다. 1736년에 간행한 초간본과 1907년에 간행한 중간본 그리고 이후 중간본을 토대로 19세기경에 한글로 필사한 필 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은 간행본과 달리 한글로만 필사되어 있고 한글서예가들이 범 본으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먼저 간단하게 서지학을 살펴본 후 이를 기저로 하여 필사본 ‘정자’에 나타난 결구와 서사기법의 특징 및 예술적, 서예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지학 연구는 『여사서』가 국내로 유입, 간행한 동기ㆍ시 대배경ㆍ언해자ㆍ내용ㆍ여사서의 종류와 서체 등을 살펴보았다. 초간본은 1736년(영조 12년)에 홍문관 제학 이덕수에게 4권 3책의 『여사서』를 언해하도록 명하여 간행하였고 출판된 번역본에 영조 가 직접 서문을 썼다. 언해 순서는 『여계』ㆍ『여논어』ㆍ『내훈』 ㆍ『여범』순이고 언해 방식은 원문에 독음과 구결을 단 후에 한 칸 낮추어 언해를 첨부하였다. 중간본은 1907년에 간행한 목판본 『여사서』가 있다. 이는 박만환 이 한글로 번역한 뒤 송병순이 서문을 쓰고 전우가 발문을 적은 것 이다. 순서는 초간본과 달리 『여계』ㆍ『내훈』ㆍ『여논어』ㆍ『여 범』의 순서로 실려 있다. 이 중간본은 언해가 초간본과 전혀 다르다. 한자음은 없고 한문 원문을 싣고 그 뒤에 언해를 붙였는데 이 언해 는 초간본에 비해 의역체인 점이 크게 다르다. 초간본의 판 사항은 활자본이고 중간본의 판 사항은 목판본이며 이후 중간본을 모본으로 삼고 필사한 필사본은 모두 년대와 필사자가 미상이다. 둘째,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여사서> 필사본 가운데 정자를 선택하여 서사기법의 특징을 결구와 기법으로 나누어 살펴보 았다. 초성과 중성에 접필하여 필사한 가로 점은 앙ㆍ평ㆍ부와 같이 3종류로 분류하여 부드럽고 우아함이 나타난다. 기필 부분은 45° 각 도의 노봉으로 꺾어 예리하고 굳세다. 가로획 수필 부분은 대체로 무 겁게 눌러 필획을 전환하면서 수렴 회봉하여 굳세고 온후하며 부드 러운 느낌이 나타난다. 필획의 굵기와 방향은 변화를 많이 주지 않았 고 자간은 붙이고 행간을 넓혀 시원해 보인다. 공간 배분은 비율이 같아 형상은 단아하고 아름다우며 엄숙함이 나타나 규범서로서 손색 이 없는 글씨이다. 셋째, 한글 필사본 자료의 가치는 예술적 가치와 서예적 가치를 함 유하고 있다. 먼저 예술적 가치는 한글이 가지고 있는 미적 조형의 규율에 따라 예술적으로 갖추어야할 법도가 충족 되고 우리글의 우 수성과 아름다운 글씨로서 손색이 없다. 서예적 가치는 범본으로 삼 고 있는 필법이 부합되어 한글서예 작품으로 가장 핵심적인 가치라 할만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에서는 <여사서>의 서지학과 서사기법에 대 한 이론을 연구하였다. 비록 문자의 결구와 기법에 대한 간단한 연구 이나 이후 한글서예의 이론 연구에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In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norms for women. Among them, “Yeosaseo” was introduced from China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ecording women's education, virtues, and discipline. Based on the first draft published in 1736, the interim edition was published in 1907 and manuscripts written in Hanguel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the interim edition, have been handed down. Among them, the manuscript kept at the National Hangeul Museum is written only in Hanguel, unlike the publications, and is used by Korean calligraphers as an example. In this paper, we first took a brief look at bibliography based on this manuscript with block letters ‘Jungja’, and then looked at not only the arrangement of the letters on one line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and calligraphic values of the manuscript ‘Jungja’.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bibliography study shows the motivation of the introduction and printing of “Yeosase”, the period background, narrator, content and the kinds and wring style of the book.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1736 (the 12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under the order of the King. Hong Mun-gwan interpretted 3sets of the four volumes of “Yeosaseo” and King Yeongjo wrote the preface to the published translation. The order of the translation is “Yeo-gye”, “Yeo-noneo”, “Nae-hun”, and “Yeo-beom”. and the method of the translation is to attach the meaning in Hanguel in the next line after writing the chinese sounds of the origin. The interim edition has a woodblock version of "Yeosaseo" published in 1907. After Park Man-hwan translated it into Hanguel, Song Byung-soon wrote the preface and Jun-woo wrote the postscript. Unlike the first draft, the order is in the order of "Yeo-gye", "Nae-hun", "Yeo-noneo" and "Yeo-beom". This interim book has completely different translation from the first edition in that it is a free translation compared to the first draft. There is no Chinese sound, but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re loaded. The first edition of the book is of type capital while the middle version of the book is of woodblock, and all the manuscripts that were copied from the middle version are unknown of the year and the scribe. Second, among the manuscripts of the “Yeosase” kept at the National Hangeul Museum, we selected block letters ‘jungja’ and examined them in terms of arrangement of the letters and writing technique. The dots written as the initial consonants and medit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Ang’, ‘Pyeong’, and ‘Bu’, showing a soft and elegant appearance. This also shows apparent brush tip with a 45° angle making it feel sharp and firm, and when the horizontal line finishes off, it presses heavily with the brush tip converging, creating a firm, mild and soft feeling. The thickness and direction of the handwriting have not changed much, and the spacing between the letters is attached and the spacing between the lines is widened to make it look cool. The space distribution is the same so the shape is graceful, beautiful, and solemn, making it a normative letter. Third, the value of the Korean manuscript contains artistic and calligraphic values. First of all, artistic value is fulfilled according to the rules of aesthetic sculpture that Hangeul has, and it is perfect for the excellence and beautiful handwriting. Calligraphic value is that it is consistent with the writing style used as an exampl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a work in Korean calligraphy.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briefly studied the theory of block letters 'jungja'. Although it is based on a simple study of the arrangement of the letters and writing technique. it will provide the basis for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Hangeul calligraphy later on.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2 No.-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quantitative trend analysis of bibliographical researches with different majors. Firstly, th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re the professors and researchers who belonged to universities and auxiliary facilities. The researchers who belonged to the human science fields dominate this group and it is to be noted that persons majoring in oriental medicine of natural science fields also conducted bibliographical researches. Secondly, th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uthored average 3.28 articles and they include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istory,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fine arts. Overall, most of them conducted researches for themselves. On average, one in four of the total articles wer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bibliographical studies. Thirdly,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rticles were published at 107 types of various subject areas of journals and among them, the publication rate of research of bibliography was the highest. Fourthly,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bibliography has on the significant increase since mid-1990s, while being influenced by the change in internet environment and the construction of full-text DB. Fifthly, museums, as well as libraries and university libraries, were investigated as the possessors of the bibliographical documentations of research and it was found out that Japan is the largest possessor of documentation next to Korea.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ly, the expansion of research fields is expected, based on integrated research tre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Secondly, data basing of the possessors’ full text and more active information service on classical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research environment in internet or digital research are needed. Thirdly, the discovery of various documentations and possessors is expected as a result of studies by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Fourthly, it is expected that the bibliographical research of bibliographical researchers with different majors will be research field which is not confined to research methods as basic investigation. Fifthly,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position of ‘bibliography research’ which were found to record highest publication rate as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s, bibliography needs to be evolve into the integrated and fusion studies.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5 No.-
This study conducts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bibliography research trend, based on the academic journal Bibliography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number of articles and the articles of single or joint authorship published for the past three decades covering 1986 to 2015, the number of authors, core authors, their profiles and organizations of the authors, change in their majors and subject areas of the past 10 years covering 2006 to 2015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of Bibliography Research conducted in 1992, 1997 and 2002 in the areas of previous studies of research trend, articles of co-authorship, occupations, service of affiliation with the organizations, their majors and research subject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ose of different majors as well as professors at universities are conducting researches in mainly general and applied areas or physical bibliography these days, while professors of bibliography major at universities conducted researches in the area of mainly physical bibliography and systematical bibliography with single authorship in the past. The phenomena of co-authorship and researches conducted jointly by research institutes, researchers of various information centers, and graduate students are on the increase. And diversification of authors’ major fields and advancement into integrative researches in the field of bibliography was found out, albeit not signific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