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6-17세기 초반 퇴계 문인의 서원 건립 활동

        권시용 ( Kwon Shi-yong ) 한국서원학회 2019 한국서원학보 Vol.8 No.-

        이 논문은 퇴계 이황과 그 문인들이 조선시대 서원의 확산에 기여한 점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이황은 지방에서 성장하고 있는 의욕적인 신진사림들에게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시켜 성리학적 향촌질서를 구축하고, 이를 발판으로 다가올 사림의 시대를 준비하려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서원에 주목했으며 그의 문인들과 더불어 서원 보급에 노력하였다. 퇴계문인들은 출세주의ㆍ공리주의에 매몰된 관학에 대한 비판 위에서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위한 공간으로서 서원의 가치를 인정하고 스승인 퇴계의 서원 보급에 동참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모두 56명의 문인들이 43개소의 서원 건립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이들이 주로 활동하였던 임진왜란 이전까지만 보면 전국적으로 건립된 서원의 절반 이상에 이들이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방관으로 나간 문인들의 서원 건립이 두드러진다. 모두 17명의 문인들이 지방관으로서 22개 소의 서원 건립에 관여하였다. 초기 서원건립에 있어 지방관의 역할이 상당하였음을 고려하면 각 지역으로 부임해 나간 이들의 서원 건립 노력은 조선 서원의 확대ㆍ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분명하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는 광해군대까지 건립된 서원의 55.2%에 퇴계 문인들이 관여하였으며, 임란이전까지는 70%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경상도 지역의 서원 건립에 있어 퇴계문인들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음을 나타낸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경상도에 비해 퇴계문인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대부분 임란 이전에 관계한 사례였다. 이처럼 퇴계와 그의 문인들은 조선에서 서원제도가 도입되던 시기에 그 보급과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Seowon(書院)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退溪門人) involved in distributing Seowon based on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Toegye intended to prepare for the coming era of Sarim(士林) by teaching Sung Confucianism to new powers in Sarim and establishing Sung Confucian(性理學) order in the local areas. He considered Seowon system as a distinctive means for his intention and strove to distribute Seowon along with his fellow scholars. This study indicates that 56 students of Toegye's participated in Seowon establishment in 43 places. Thi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half of the total number founded nationwide before the Imjin War(壬辰倭亂).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eowon establishment in Kyeongsang area(慶尙道). Toegye's stdents made efforts to found Seowon not just at the very places where they lived but where they serv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latter, especially, came to remarkable results showing that 17 students as local officials founded Seowon in 22 places. They initiated the discussion about founding Seowon, encouraged local people to join the establishment activity , and provided them with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They kept on supporting after completing Seowon through taking part in academic trainings(講學) and engaging in running Seowon. These facts tell us that they did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and spreading Seow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conclusion,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 made its way to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which was aimed at the academic training and moral cultivation of Sarim.

      • KCI등재

        퇴계 문인의 서원 보급 활동

        채광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3 No.-

        This article is the study on how early Seowons dispersed and expanded through the activities of those Toegye writers. From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o King Gwanghae-gun, the Toegye writers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Seowon with the participation of a total of 56 persons in 43 places. Among them, Lee Jeong, Hwang Jun-ryang, Park Seung-im and Jeong Goo who had significant communication with Toegye is taken as the subject of review in this article. Lee Jeong undertook for establishment of Seoak Seowon in Gyeongju and Okcheon Seowon in Suncheon to process even for the finite parts in stipulation with his teacher. The former grew into Seowon that represented Bunam of Gyeongju and the later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e growth of Sarim as well as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 study order in the region. Hwang Jun-ryang worked as a local government officer and engaged in important roles in early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involving reconstruction of Sinryeong Hyanggyo (local school), establishment of Baekhak Seodang, repairing of Danyang Hyanggyo, leading major repairing of Youngbong Seowon of Seongju and establishment of Gonggok Seodang and Nokbong Jeongsa. The fact that he was mentioned the most with the outcome on education projects at the place where Toegye established may be attributable to such a foregoing situation. Park Seung-im was most passionate writer for the Seowon dispersion movement that he was in the same context with Toegye's view toward Seowon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n needs of Park Seung-im, such as, the interests on Sosu Seowon and Isan Seowon to manage the enshrinement of Toegye, establishment of Gicheon Seowon in Yeoju, provision of foundation to establish Jeongsan Seowon in Yecheon. After passing of Toegye, Jeong Goo who was the most enthusiastic to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orked hard for rebuilding and founding Seongju Cheongok, Hyeonpung Dodong, Eomseong Wungok, and Andong Imcheon Seowon. As such, the writers lead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ith Toegye actively supporting them generally showed in early time of Seowon expansion. Seowons enshrined and devoted for Toegye who had grea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Seowon in Korea were flourished to be 31 places nationwide. The core part of Toegye enshrining Seowon would be the most in the type of enshrining together with those writers. Such Seowon dispersion movement of Toegye has been handed down by his writers in a way of great contribution for Seowon to establish as one of the education and enshrining institution for the Joseon society. 본고는 초기 서원이 어떤 방식으로 보급・확산되었는지 퇴계 문인들의 활동을 통해 다룬 연구이다. 명종 대부터 광해군 대 까지 퇴계 문인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서원은 43개소에 총 56명이 참여하였다. 이중 퇴계와 소통이 많았던 이정, 황준량, 박승임, 그리고 정구를 본고에서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정은 경주 서악서원과 순천 옥천서원 설립을 추진하며 스승과 세밀한 부분까지 협의하면서 진행하였다. 전자는 경주 府南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성장했고, 후자는 지역의 성리학적 질서 확립은 물론 사림 성장에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황준량은 지방관에 나아가 신령 향교 중창・白鶴書堂 설립, 단양 향교 수리, 성주 迎鳳書院 중수 주도 및 孔谷書堂・鹿峰精舍 설립 등 초기 서원설립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퇴계가 지은 그의 행장에서 교육 사업에 대한 성과를 가장 많이 거론한 것도 이 같은 사정에 기인한다. 박승임은 서원 보급 운동에 가장 열성적인 문인으로 소수서원에 대한 관심을 비롯해 이산서원에 퇴계 제향 주관, 여주 沂川書院 설립, 예천 鼎山書院 창건 기반 제공 등 박승임의 서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퇴계의 서원관과 맥이 닿아 있었다. 퇴계 사후 서원 설립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정구는 성주 천곡, 현풍 도동, 음성 운곡, 안동 임천서원 중건 및 창건에 힘썼다. 이처럼 문인들이 서원 설립을 주도하고, 퇴계가 적극 지원해주는 모습은 서원 확산 초기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한국 서원 확산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 퇴계를 제향 및 추향된 서원은 전국에 31개소를 헤아린다. 퇴계 제향 서원의 핵심이 바로 문인들과 합향 된 형태가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이 퇴계의 서원 보급운동은 그의 문인들에 의해 계승되어 서원이 조선 사회에 하나의 교육・제향 기관으로 자리 잡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