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6-17세기 초반 퇴계 문인의 서원 건립 활동 =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59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퇴계 이황과 그 문인들이 조선시대 서원의 확산에 기여한 점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이황은 지방에서 성장하고 있는 의욕적인 신진사림들에게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시켜 성리학...

      이 논문은 퇴계 이황과 그 문인들이 조선시대 서원의 확산에 기여한 점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이황은 지방에서 성장하고 있는 의욕적인 신진사림들에게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시켜 성리학적 향촌질서를 구축하고, 이를 발판으로 다가올 사림의 시대를 준비하려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서원에 주목했으며 그의 문인들과 더불어 서원 보급에 노력하였다. 퇴계문인들은 출세주의ㆍ공리주의에 매몰된 관학에 대한 비판 위에서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위한 공간으로서 서원의 가치를 인정하고 스승인 퇴계의 서원 보급에 동참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모두 56명의 문인들이 43개소의 서원 건립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이들이 주로 활동하였던 임진왜란 이전까지만 보면 전국적으로 건립된 서원의 절반 이상에 이들이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방관으로 나간 문인들의 서원 건립이 두드러진다. 모두 17명의 문인들이 지방관으로서 22개 소의 서원 건립에 관여하였다. 초기 서원건립에 있어 지방관의 역할이 상당하였음을 고려하면 각 지역으로 부임해 나간 이들의 서원 건립 노력은 조선 서원의 확대ㆍ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분명하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는 광해군대까지 건립된 서원의 55.2%에 퇴계 문인들이 관여하였으며, 임란이전까지는 70%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경상도 지역의 서원 건립에 있어 퇴계문인들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음을 나타낸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경상도에 비해 퇴계문인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대부분 임란 이전에 관계한 사례였다. 이처럼 퇴계와 그의 문인들은 조선에서 서원제도가 도입되던 시기에 그 보급과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Seowon(書院)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退溪門人) involved in distributing Seowon based on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Toegye intended to prepare for the coming era of Sarim(士林) by teaching ...

      This study is focused on Seowon(書院)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退溪門人) involved in distributing Seowon based on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Toegye intended to prepare for the coming era of Sarim(士林) by teaching Sung Confucianism to new powers in Sarim and establishing Sung Confucian(性理學) order in the local areas. He considered Seowon system as a distinctive means for his intention and strove to distribute Seowon along with his fellow scholars. This study indicates that 56 students of Toegye's participated in Seowon establishment in 43 places. Thi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half of the total number founded nationwide before the Imjin War(壬辰倭亂).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eowon establishment in Kyeongsang area(慶尙道).
      Toegye's stdents made efforts to found Seowon not just at the very places where they lived but where they serv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latter, especially, came to remarkable results showing that 17 students as local officials founded Seowon in 22 places. They initiated the discussion about founding Seowon, encouraged local people to join the establishment activity , and provided them with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They kept on supporting after completing Seowon through taking part in academic trainings(講學) and engaging in running Seowon. These facts tell us that they did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and spreading Seow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conclusion,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 made its way to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which was aimed at the academic training and moral cultivation of Sari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臨皐書院誌"

      2 裵三益, "臨淵齋集"

      3 李珥, "栗谷全書"

      4 "列邑院宇事蹟"

      5 "藍溪書院誌"

      6 송긍섭, "한국의 철학" 경북대 퇴계연구소 1974

      7 경기대학교 소성학술연구원, "한국의 서원과 학맥 연구"

      8 정순목, "한국서원교육제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9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맥의 지역적 전개" 보고사 2004

      10 정만조, "퇴계학과 남명학" 지식산업사 2001

      1 "臨皐書院誌"

      2 裵三益, "臨淵齋集"

      3 李珥, "栗谷全書"

      4 "列邑院宇事蹟"

      5 "藍溪書院誌"

      6 송긍섭, "한국의 철학" 경북대 퇴계연구소 1974

      7 경기대학교 소성학술연구원, "한국의 서원과 학맥 연구"

      8 정순목, "한국서원교육제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9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맥의 지역적 전개" 보고사 2004

      10 정만조, "퇴계학과 남명학" 지식산업사 2001

      11 박양자, "퇴계학과 남명학" 지식산업사 2001

      12 정순목, "퇴계의 교육철학" 지식산업사 1986

      13 김종석, "퇴계문하의 인물과 사상" 예문서원 2000

      14 조준호, "퇴계 이황의 서원건립활동과 서원론의 실현" 2 : 2006

      15 이수환, "조선후기 서원연구" 일조각 2001

      16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시대영남서원자료"

      17 윤희면, "조선시대 서원정책과 서원의 설립 실태" 역사학회 (181) : 65-98, 2004

      18 정만조, "조선시대 서원연구" 집문당 1997

      19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20 황위주, "서울 京畿地域의 退溪門人과 그 性格" 퇴계연구소 (33) : 1-32, 2003

      21 이태진, "사림과 서원" 국사편찬위원회 12 : 1984

      22 송용재, "대전․충남의 폐원우"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3

      23 "국역 聯芳世稿"

      24 원영환, "강원지방의 서원연구-문암서원을 중심으로" 3 : 1998

      25 金誠一, "鶴峯集"

      26 奇大升, "高峯集"

      27 崔雲遇, "香湖集"

      28 趙光祖, "靜庵集"

      29 "雲谷書院誌"

      30 "陶山及門諸賢錄"

      31 李耔, "陰崖集"

      32 金宇宏, "開巖集"

      33 정순목, "退溪門下의 인물과 사상" 경북대학교퇴계연구소, 예문서원 1999

      34 李滉, "退溪先生文集"

      35 南致利, "賁趾集"

      36 柳雲龍, "謙菴集"

      37 權文海, "草澗集"

      38 曺好益, "芝山集"

      39 申活, "竹老集"

      40 吳澐, "竹牖集"

      41 이항복, "白沙集"

      42 成渾, "牛溪集"

      43 全用宇, "湖西士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16-17세기 湖西士族과 書院의 동향을 중심으로"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4

      44 "永嘉誌"

      45 琴輔, "梅軒集"

      46 李叔梁, "梅巖集"

      47 金玏, "栢巖集"

      48 權好文, "松巖集"

      49 金宇顒, "東岡集"

      50 "東國院宇錄"

      51 全用宇, "朝鮮朝 書院祠宇에 대한 一考察 : 建立 推移 및 祭亨人物을 中心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1985

      52 "書院可攷"

      53 申元錄, "晦堂集"

      54 "明宗實錄"

      55 "文獻書院誌"

      56 鄭經世, "愚伏集"

      57 金彦璣, "惟一齋先生實記"

      58 "德川書院誌"

      59 鄭逑, "寒岡集"

      60 "宣祖實錄"

      61 "增補文獻備考"

      62 朴承任, "嘯皐集"

      63 송준식, "南冥學派의 書院建立 運動" 경남문화연구원 15 : 8-, 2003

      64 權橃, "冲齋集"

      65 "俎豆錄"

      66 姜翼, "介庵集"

      67 "五峯書院實記"

      68 "中宗實錄"

      69 설석규, "16세기 전반 정국과 儒疏의 성격" 44 :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