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 생태계 담론의 분석: 그 가능성과 한계의 탐색

        박시종 ( Si Jong Park ),오종명 ( Jong Myung 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2

        이 연구는 세계화와 지역화라는 상호 교차적인 거시적 변동의 흐름 속에서 한국사회에서 전개되는 사회복지 생태계 담론과 실천의 가능성과 한계를 점검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지역화와 사회복지 생태계 담론이 등장하는 배경을 살펴본다. 그리고 지역사회 수준의 복지 생태계 담론이 결국 세계화에 맞선 지역적 대항력의 발로라고 할 때, 그 가능성과 한계는 국가, 시장, 시민사회 간 권력자원의 분배 양상에 따라 달라진다는 가정 아래 이론적 자원으로서 권력자원 이론과 3차원적 시민권 이론을 검토한다. 그리고 복지 생태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현재 서울시를 비롯한 전국의 지방정부들이 추진하고 있는 복지 생태계 사업을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복지 생태계의 개념을 구성해볼 것이다. 또한 그 과정에서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위계적 환경체계들이 복지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들임을 확인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와 진단을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의 복지 생태계 담론이 두 가지 차원에서 긍정적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한다. 첫째, 복지 생태계 조성 사업이 지역주민의 자발적 동원과 협력, 참여를 복원하는 데 성공한다면, 그것은 자생적이고 자발적인 삶의 공동체이자 위험보장의 공동체로서, 그리고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의 공간적 연원으로서 지역사회의 가치를 복원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게 되리라는 것이다. 둘째, 복지 생태계 조성이 아래로부터의 자발성과 민주성을 전제로 한다고 할 때, 그러한 자발성과 민주성이 확장된다면 제도적 민주화와 형식적·절차적 민주화의 심급을 넘어 생활세계의 민주화로 나아갈 수 있는 긍정적 잠재력을 발휘하게 되리라는 것이다. 그러나 개인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체계들이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논리에 포획되어 있을 뿐 아니라, 시민사회 역시 국가와 시장의 지배연합에 의해 종속화되어 있는 현실이 극복되지 않는다면, 한국의 복지 생태계는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차원의 긍정적 잠재력을 발현하기가 쉽지 않으리라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and limits of social welfare ecosystem discourse which is being discussed in korean society under the cross-sectional macro-streams of the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For this, we will see the backgrounds of localization and social welfare ecosystem discourses. And, under the proposition that welfare ecosystem discourse in community level is eventually the appearance of local counterforce against globalization, we argue that its possibilities and limits are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power resources between the state, the market, and the civil society. Therefore, we examine the power resource theory and three-dimensional citizenship theor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discussing this theme. Then,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welfare ecosystem, we attempt to construct the concept of welfare ecosystem by seeing the welfare ecosystem projects implemented in Seoul and other local governments. And in doing so, we will identify that the diverse hierarchical environmental systems are the important elements of welfare ecosystem.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 and diagnosis, we try to evaluate that the welfare ecosystem discourse in korea has the positive potentials in two dimensions. First, if the projects of construct the welfare ecosystems succeed in restoring the voluntary mobilization,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people. it will realize the potentials of restoring the value of communities as the spontaneous and voluntary community of life and the community of securing the social risks. Second, under the proposition that the projects of constructing the welfare ecosystem depend on the voluntarism and democracy from below, if this voluntarism and democracy diffuses to the top levels, it can realize the positive potentials marching for the democratization of the life world beyond the instances of the institutional or formal and procedural democratization. But it follows that, if we will not overcome the situations of the environmental systems including the individual being captured by the logics of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as well as of the civil society being subordinated by the dominance-alliance of the state-market, it will not be the easy project that the welfare ecosystem in korea will realize the positive potentials of two levels mentioned above.

      • 서울시복지생태계의 비공식 네트워크 성과평가 연구 - 마을주민들의 응집력 형성을 중심으로 -

        우수명,정지윤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5 No.-

        복지생태계사업은 주민의 참여, 관계, 연대, 협력을 통하여 복지공동체를 구축해가는 전통적인 지역사회조직사업이다. 복지생태계사업의 성과는 주민들간의 응집력 형성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확대로 이를 통해 마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다. S복지재단 에서 지원한 복지생태계 구축 사업 중 3개 지역의 마을살이를 대상으로 주민들을 조직하는 비공식 조직들과의 네트워크 형성 정도를 2013년 및 2014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3개 지역 모두 주민 중심의 비공식 네트워크의 성장이 나타났으며, 그 유형은 초기 성장의 모습이었다. 앞으로 마을의 강점을 토대로 주민들의 지역사회조직의 수준을 성장시키고,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한 공식적인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It is make a welfare-ecosystem of villagers by a traditional community organizations that it make through participating,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to build welfare community. Outcome of welfare-ecosystem is expanding of villagers formed between cohesion and community network activity and the changes will appear in the village. 3 welfare-ecosystem communities supported by S welfare foundation is surveyed by network research of cohesion. The villagers were surveyed of network formation and organization of informal organization in 2013 and 2014. As a result, all three communities showed growth of informal networks of center villagers. The level of villagers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must be grown and It shall be able to enable the official network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uilding.

      • KCI등재

        생태계서비스 기반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방향 설정

        박은하 ( Eun Ha Park ),최수정 ( Su Jung Choi ),오충현 ( Choong Hyeon Oh ),정부희 ( Boo Hee Jung ),이나연 ( Na Y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생태복지는 인간의 복지와 건강한 생태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이 생태복지의 최대 실현가능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립공원에 적합한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국립공원에서의 생태복지 실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워크숍과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복지’는 국립공원에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며, ‘국립공원 인간복지’와 ‘국립공원 생태계복지’의 조화를 지향하는 복지로 정의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 모든 항목에서 평균 4.00 이상, 내용 타당도(CVR) 0.37 이상, 변이계수(CV)0.5 미만으로 타당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생태복지의 바탕이 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요소들 중 국립공원에 적합한 주요 요소를 도출한 결과 공급서비스에서 먹이·식량, 물, 유전자원 3항목, 조절서비스와 기반(서식지)서비스의 모든 항목, 문화서비스에서 미적정보, 휴양관광, 심신치유, 지식체계ㆍ교육적가치 4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개념과 향후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단위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concept of Eco-welfare emerged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healthy ecosystem and human wellbe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for eco-welfare policy realization by conceptualizing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since national parks are appropriate places for eco-welfare to be optimally implemented. A pre-workshop and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 and the main elements to be included in ecosystem service.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Eco-welfare’ was defined as efforts to conserve the biodivers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ecosystem and create harmony between ‘National Park Ecosystem Welfare’ and ‘National Park Human Welfare’.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policy, we identified the main elements of ecosystem service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National Park. These are comprised of 3 elements (food, fresh water and genetic resources) from supply service, all elements from regulating service and supporting/habitat service and 4 elements (aesthetic information, recreation-based ecotourism, healing, and knowledge systems with educational values) from culture servic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Eco-welfare was established, and its policy objectives and scope were suggeste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action plans areand thereby realize the policy.

      • KCI등재

        사회복지권 실현을 위한 공공복지포털의 지향점 -‘복지로’를 중심으로-

        강지선,배유진 사회복지법제학회 2022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3 No.2

        In the ideal of a welfare state,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social welfare. The use of the welfare resources of our community in the right plac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actually realizing the people's rights to social welfare. The public welfare portal is part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hich plays a role in providing inform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social welfare, and it is the public's responsibility to reorganize the entire delivery system so that the community's welfare resources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those who need it. Today, when the social welfare ecosystem is expanded onlin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ole of the public welfare portal as the center of the online and offline ecosystem and devise ways to streamline i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vamp the current delivery system to protect the rights of those who are more vulnerable amid changes in the welfare environment.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problem consciousness, we considered how the public welfare portal should be reborn in order to more actively realize the social welfare rights of the users. Among them, the direction of the public welfare portal was discussed, focusing on ‘Bokjiro’, which is currently functioning as a national public welfare portal. Chapter 2 examines the legal environment faced by the public welfare portal as a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social welfare rights and welfare informatization. Chapter 3 analyzes and presents factors that can affect the experience of using ‘Bokjiro’ at this point by dividing it into the surface area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public welfare portal users and the base area that forms the basis. The results of the fact-finding survey, including user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opinions presented in the survey to check the status of the use of ‘Bokjiro’, were analyzed and comprehensive problems were diagnosed through this. Chapter 4 proposed an improvement model for the public welfare portal by deriving the core implementation principles and functional requirements for continuous innovation, and the direction of ‘Bokjiro’ as a comprehensive online platform for social welfare based on the diagnosed details. Finally, Chapter 5 presents long-term and short-term tasks that the public welfare portal should focus on in the futu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hen the public welfare portal leads the improvement of the convergence welfare ecosystem, the prospect of substantial and procedural implementation of social welfare rights and matters to be considered were discussed. 복지국가의 이상 위에 모든 국민은 사회복지에 관한 권리를 갖는다. 우리 공동체가 가진 복지자원을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은 사회복지에 관한 국민의 권리를 실제 구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공공복지포털은 사회복지에 관련된 정보 및 서비스 제공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일부로서, 공동체의 복지자원을 이를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체 전달체계의 구조를 정비하는 것은 공공의 책무라 할 것이다. 사회복지 생태계가 온라인으로 확장되는 오늘날 그 온-오프라인 생태계의 구심점으로서의 공공복지포털의 역할에 관하여 고민하고 그 효율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복지환경의 변화흐름 속에 더욱 취약해지기 쉬운 이들의 권리를 더욱 두텁게 보호할 수 있도록 현재의 전달체계를 쇄신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공공복지포털이 이용자인 국민의 사회복지권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어떤 모습으로 거듭나야 할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 가운데 현재 대국민 복지포털로서 기능하고 있는 ‘복지로’를 중심으로 공공복지포털의 지향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사회복지권과 복지정보화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전달체계로서의 공공복지포털이 처한 법제적 환경을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공공복지포털 이용자가 직접 접하는 표층 영역과 그 기초를 이루고 있는 기층 영역으로 나누어, 현 시점에서 ‘복지로’의 이용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복지로’ 이용 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에서 제시된 이용자 애로사항 및 개선의견을 비롯하여 실태조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종합적인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제4장에서는 진단된 내역을 토대로 사회복지권 실현을 위한 공공복지포털 개선의 핵심 구현원리와 지속적 혁신을 위한 기능적 요건, 대국민 사회복지 종합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복지로’의 지향점을 도출함으로써 공공복지포털에 대한 개선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공복지포털이 향후 초점을 맞추어 나가야 할 장-단기 과제를 제시하였다. 공공복지포털이 융합 복지생태계의 개선을 주도해 나갈 때 사회복지권의 실체적‧절차적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전망과 이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 중심의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에 관한 서설적 연구

        안상훈,김수완,박종연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17 사회적기업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복지기술 산업을 활성화하는 전략으로서 기술기반의 사회적기업을 위한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기반의 혁신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재 한국 사회적기업들은 인력, 기 술, 자금, 연계기관의 지원 등 기술혁신을 위한 제반여건이 부실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 적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돌파기제로서 사회서비스 제공에 적용되는 복지기술의 확대와 산업화에 주목하 였다. 사회적기업과 사회서비스로서의 복지기술은 복지국가전략과 관련된 제도적 상보성(institutional complementarity)을 지니고 있다. 복지국가의 사회서비스 확대과정에서 복지기술은 사회적기업에 새로운 사업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은 시장에서 산업화가 지지부진한 복지기술의 공급주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을 공급자로 하고 다면적인 민관협력을 통해 재정 및 지식 자본이 수혈되며 소셜 리빙랩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가 연결되는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복 지기술 산업의 새로운 생태계 모델은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임팩트와 경제적 수익을 동시적으로 추구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또 사회적기업의 혁신에 관한 후속 연구들을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ocial-enterprise-centered ecosystem model of welfare technology.’ The discussion on the model is basedon the three dimensions - a review on Korean social enterprises technologicalinnovation capabilities, a study on the meaning of welfare technology in socialpolicy, and an examination on the possibility of linking welfare technology andsocial enterprise.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nterprise, it isnecessary for a social enterprise to develop innovative capabilities base ontechnology. However, many social enterprises have limitations of associatedworkforce, skills, funding, and support of related institutions. The technologicalinnovation of social enterprises could be driven by welfare technology which isapplied to the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Welfare technology can suggest newbusiness opportunities accompanying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socialenterprises can enable the industrialization of welfare technologies. It is neededto build the new ecosystem model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theplatform which connects consumers and providers, financial capital andknowledge capital. It will contribut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comitantgrowth of both social enterprises and welfare technology by connecting socialimpact and economic profit.

      • KCI등재후보

        녹색 디자인 교육 체험 프로그램이 청소년 녹색복지 활동 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청남도 천안시 중고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

        박미옥,구본학,서주영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9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een design training programs in increasing awareness and expanding activity capabilities of green welfare. Three research theories were set up and surveys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attending the program for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e experience program first explained the concept of green welfare to 105 teenager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eonan, Chungcheongnam Province. Then, an environmental healing program was carried out through an activity of creating of healing garden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green welfare terminology, green welfare targets and scope, diagnosis table of youth activity, ecological interest, protection, and need. The study found that the first hypothesis of promoting green welfare awareness through the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was adopted as valid, with 7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creasing awareness on green welfare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ecological experience. On the green welfare scope,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words such as conservation of ecosystems and forest cultivation came to mind, with some answering green services, forest of healing, and quality of life, respectively.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green design training experience program is effective for expanding youth activity capability, was adopted as it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level of effectiveness, and the verification results before and after confirmed that there is positive effect on respondents.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green design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in ecological interest, protection, and need, was adopted as the survey results showed significant levels of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ffects of learning green design and experiencing healing garden culture in the green welfare era will have great effect on youth stress, academic improvement, and increasing self-esteem, and many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spread awareness of green welfa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 people through continuous eco-experience education. 본 연구는 녹색디자인 교육체험프로그램이 녹색복지에 대한 인식과 활동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가지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프로그램수행 전후에 각각 설문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체험프로그램은 충청남도 천안시내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105명을 대상으로 먼저 녹색복지개념을 설명하고 힐링정원만들기를 통한 환경 치유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녹색복지 용어에 대한 인식, 녹색복지 대상 및 범위, 청소년 활동량 진단표, 생태흥미성, 보호성, 필요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번째 가설인 생태체험 교육프로그램을통해 녹색복지인식을 증진한다는 가설은 응답자의 79%가 생태체험 교육을 통해 녹색복지인식에 대하여 증진효과가 유의한 수준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첫 번째 가설은 유효한 것으로 채택되었다. 녹색복지범위로는 대부분 응답자가 생태계 보존과 숲가꾸기의 용어가 떠오른다고 대답하였으며, 일부는 녹색서비스, 치유의 숲, 삶의 질 향상 등으로 대답하였다. 두 번째 가설인 녹색디자인 교육체험프로그램이 청소년 활동역량에 효과가 있다는 가설은 유의한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증결과 응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번째 가설인 녹색디자인 교육체험프로그램이 생태흥미성, 보호성, 필요성에 효과가 있다는 가설은 설문결과 유의한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본 연구결과 녹색복지 시대에 힐링정원 문화를 통한 녹색디자인 체험학습 효과가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학업향상, 자존감 상승에 매우 큰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생태체험교육을 통해 녹색복지의 인식을 확산시키고 청소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많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참조생태계를 참고로 한 서남해안 섬숲 생태복원으로 산림복지 실현

        조계중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참조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서남해안 섬숲 생태복원을 통한 산림복지 정책실현을 위해 추진되었다. 서남해안 섬숲복원 대상지는 적절한 생물자원, 생물다양성, 경관자원이 필요하고 예기치 못한 섬 재해로 인한 생태관광자원의 보전 및 인명·재산보호에 필요한 장소이다. 참조 생태계를 토대로 식재지를 고려해 나무의 생육이 용이하도록 섬숲 생태복원계획을 수립하였다. 서남해안 섬숲 생태복원을 위한 참조생태계는 따뜻한 온대 상록수림과 아열대림으로이루어져 있으며, 우리나라 남서해안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현재 참고하려는 목표는 섬숲 조성 방향에 따라 환경 적응성을 바탕으로 참조생태계를 참고하여 수종을 선정하였다. 복원대상지에서는 서남해안권 섬숲 생태복원의 기능과 단기간에 생태적 효과를모두 달성하기 위해 향후 관리가 용이하도록 묘목(H0.5~2.0m)을 10,000~40,000/ha 로 밀식하여 심도록 하였다. 이번 연구의 의의는 인간생활의 조화와 생태보존의 중요성이 매우 큰 서남해안권 섬숲 생태복원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남도의 섬문화와 산림복지정책 실현이라는 점에서 서남해안지역의 섬숲 생태복원은 산림복원 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 Realization of Forest Welfare through Ecological Restoration of Island Forests on the Southwest Coast based on Reference Eco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Realization of Forest Welfare Policy through Ecological Restoration of Island Forests on the Southwest Coast based on Reference Ecosystem. Making up of Island-Forest Restoration on the Southwest Coast is the site needed for appropriate bio-resources, biodiversity, landscape resources, and for the conservation of eco-tour resources, and protection of human life and property from unexpected disasters on the Island. Based on reference ecosystem, the restoration of Island-Forest Restoration planning was developed to facilitate the growth of trees, while also considering planting sites. The reference ecosystem for the Island-Forest Restoration on the Southwest Coast consist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and subtropical forests, which are spread around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The target of the present reference was to select species of trees based on environmental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island forest formation and by referring to the reference ecosystem. To achieve both functions of Island-Forest Restoration on Southwest Coastal Area and ecological effect in a short time period, seedlings (H0.5~2.0m) were planted at the site with a high-density of 10,000~40,000/ha, in expectation of easy maintenance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guideline to create ecological IslandForest Restoration on Southwest Coastal Area, in which the harmony of human life and the ecological conservation is of great importance. Also, in terms of realizing forest welfare policy and Island culture, Island-Forest Restoration on Southwest Coastal Area should be developed further through the long-term monitoring, after the restoration of forest.

      • KCI등재

        인간생태학의 필수 요소인 생물다양성의 보전

        강혜순(Hyesoon, Ka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30

        생물다양성 위기의 시대를 맞이하여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MA)는 2005년에 생물다양성, 생태계서비스, 인간복지 간의 기능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MA에 의하면 생물다양성은 다양한 생태계서비스-지원서비스, 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 를 창출하여 건강과 물자확보, 안정성, 선택과 활동의 자유와 같은 인간의 복지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의 정보를 확인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생물, 주로 식물의 반응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소실에 대한 연구와 보전방안이 시급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IPCC에 따르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생물다양성 소실의 최대 요인은 인간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이다. 지난 100년간(1912~2010년) 우리나라는 세계 평균(약 0.74℃)보다 2배 이상 기온상승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극한기후발생이 매우 빈번하고 국지적인 특징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유전, 종, 생태계 수준에서의 생물다양성 정보가 충분치 않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생태계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도와 교차이슈에 대한 전략이 미비한 상태이다. 2010년 제10차 CBD 당사국회의(Conference of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에서 결정된 Aichi Targets 체제를 따를 때에는 한국의 기후조건, 지형, 식생 등 상황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생물종의 공존 또는 상호작용이 생물다양성을 형성했고, 후자는 다시 우리 모두의 생존과 인간사회의 안정을 위해 필수적인 생태계서비스를 창출시켰다.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는 단지 과학의 일부분으로만 간주될 수 없다.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분야의 전문가들과 정책시행자들, 시민들 간의 소통과 협력이 필요하다. In an age of biodiversity crisis, the 2005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MA) provided a new paradigm regarding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biodiversity, ecosystem services, and human wellbeing. According to the MA, biodiversity not only generates diverse ecosystem services, which consist of supporting, provisioning, regulating, and cultural services, but it also ultimately contributes to human well-being, touching on issues of health, basic material for good life, security, and freedom of choice and a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attempt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biodiversity loss and climate chang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species responses (in particular plants) to climate change and to emphasize the urgency of further research and protective policies dealing with biodiversity loss due to climate change.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oints out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responsible for recent biodiversity loss is climate change caused by human activities. During the last 100 years (1912–2010) in Korea,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has not only been two times higher than the global average increase (0.74°C), but extreme weather events have also become very frequent and localized. In spite of such climate chang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genetic diversity, species diversity, and ecosystem diversity is insufficient. There is als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and a need for adequate strategies dealing with cross-cutting issues of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When we follow the Aichi Targets framework adopted at the 2010 CBD COP 10, the climate conditions, geology, and vegetation situations of Korea need to be reflected in the biodiversity plans. Species coexistence and interactions have shaped biodiversity,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ecosystem services that are crucial to our survival and societal stability.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loss cannot be treated simply as one part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scientists in various fields, policy-makers, and civilians are required to sustain our Earth ecosystem.

      • KCI등재

        사회적경제 기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사회적기업가의 결합을 중심으로

        김정원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22 동향과 전망 Vol.- No.115

        This study analyzed the dynamics of the process in which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creat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 focusing on the organic combination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social entrepreneurs. The case of analysis is <Korea Housing Welfare Social Cooperative>.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case, the contents and roles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the practice of social entrepreneurs that worked in the process were reorganized. <Korea Housing Welfare Social Cooperative> is a case in which the self-sufficiency project teams of housing repair sector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created as representative social economy enterprise in the field of housing welfare through a long organizational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is successful organization was possible because the resource provision of capital infrastructures and the positiv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two categories constituting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the innovative practices of social entrepreneurs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이 연구는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을 사례로 선정해서 사회적경제 기업의 조직화 동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와 사회적기업가의 유기적 결합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했다. 이를 위해 사례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본 후 그 과정에서 작동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및 사회적기업가의 역할을 재구성해 봤다. 연구 결과는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 전국 각지에서 빈민들의 자활사업단으로 등장해서 전국적인 사회적경제 기업이 되기까지의 과정은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구성 범주인 자본 인프라의 자원 제공과 환경 요인의 영향이 있었으며, 여기에 사회적기업가군의 혁신적인 실천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었기 때문에 가능했음을 확인해 주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