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자녀관계문제 유아와 일반 유아의 어머니 상호작용 특성 분석

        임우경 ( Woo-kyung Lim ),이경숙 ( Kyung-sook Lee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4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문제 유아와 일반 유아 어머니간의 발화양 차이, 상호작용 빈도 차이, 상호작용 하위영역에서 나타나는 차이, 상호작용 하위영역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구조화된 상황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심리상담관련 기관에서 부모자녀관계문제로 진단받은 만 4-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7쌍, 일반 유아 만 4-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7쌍이었다. 연구도구는 협동구성과제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하위영역과 책읽기 상호작용 도구에서 선택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비디오를 1 차적 관찰 후 비언어적,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최종 평가도구를 만든 후 부모자녀관계문제 유아와 어머니 상호작용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자료의 통계처 리는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은 빈도와 백분율 등으로 살펴보았고, 차이분석은 t 검정을 이용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유아와 어머니의 집단이 발화양이 더 많았고, 유아그룹에서는 비언어적 상호작용이 후반으로 갈수록 줄어들었고, 모의그룹에서는 언어적인 상호작용이 후반으로 갈수록 줄어들었다. 또한 일반 유아와 어머니가 서로에게 비언어적인 상호작용인 얼굴표정-긍정적과 가리키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는 일반 유아의 어머니가 아동에게 강화/칭찬, 경험과의 연결을 하였고, 부모자녀관계문제유아의 어머니는 지시하여 언어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경우에는 일반 유아가 호칭사용, 강화/ 칭찬을 하였고, 부모자녀관계문제유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에 대한 질문 무반응을 보였다. 또한 일 반 유아어머니의 언어적 행동은 유아의 비언어적 행동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between mothers of children having problems with their mothers and mothers of normal children in terms of utterance volume, interaction frequency, sub-domains of interac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sub-domains of interaction. Subjects are 17 pairs of young children aged four to five year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problems with mothers and their mothers and another 17 pairs of normal young children aged four to five years and their mothers. Their mother-child interactions in the unstructured environment were analyzed. Scales included gazing from the mother-child cooperation task and the book reading interaction used by In-ah Chung(2005). Mother-child interactions videotaped were first reviewed and their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were added to make the final scale to measur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infants having problems with mothers and their mother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utterance volume, i.e., normal children made more utterances than children having problems with mothers. Second, children of both groups showed a lower level of non-verbal interactions in the second half of their interactions while mothers of both groups generated a lower level of verbal interactions. Third, mothers of normal children generated more reinforcement, praise, and experience roaming in verbal interactions while mothers having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showed more behaviors of commanding. Normal children used the word 'mother' more frequently and showed more behaviors of reinforcing and praising their mothers. Meanwhile, children having problems with their mothers did not respond to questions of mothers. Fourth, verbal behaviors of mothers of normal childre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children's non-verbal behaviors.

      • KCI등재

        “기독여성의 자기희생과 자기돌봄에 대한 고찰 : 바니 밀러-맥리모어의 ‘상호성’과 제시카 벤자민의 '상호주관성' 렌즈로 들여다보기”

        이정미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0 No.-

        This paper considers what Christian women need to create a healthier relationship of love and recognition. Bonnie Miller-McLemore's concept of "Mutuality" and Jessica Benjamin's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were appl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Christian women. Relationships are the most vital aspect of human life, and it is undeniable that someone's sacrifice and care frequently enrich such an important relationship. Sacrifice and care are crucial values in terms of relationships and communities. However, I question whether sacrifice and care are expected too fundamentally for Christian women, especially in motherhood. I also raise objections to care being provided in a one-sided form without Mutuality and Intersubjectivity in the form of service and care. Of course, some situations in life require that you have to temporarily take care of or help someone. However, excluding these exceptional situations, the "self" of the care provider should not be excluded for it to be considered a good sacrifice and care. In the realm of life or profession, if you just help or care for someone at your own expense without respecting and loving yourself, it can be love and service without a core. In addition, if this type of unilateral service and care is fixed and patterned, the existence of the one caring is already being denied in the relationship. A unilateral relationship without the expressions of Mutuality and Intersubjectivity between the subjects is bound to be exploitative in the end. It is time to break away from the stereotyped submissive Christian woman image that the church has repeatedly taught. It is necessary to try to establish a healthier relationship by applying Mutuality and Intersubjectivity to the relationships of Christian women. Christian women must be respected as people with independence and individuality, not as submissive followers in Christian communities and relationships. I think this change is important not only for the small relationships Christian women experience but also for Korean Christianity in general. For these important changes and values, I suggest that the home and church communities allow the time and psychological space for Christian women to think about their own Christian woman image and self-identify with i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for Christian women to have healthy relationships by applying Mutuality and Intersubjectivity to their relationships. 이 논문은 기독여성들이 더 건강한 사랑과 인정의 관계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해 생각해보는 글이다. 그 고찰의 과정에서 바니 밀러-맥리모어의 ‘상호성’ 개념과 제시카 벤자민의 ‘상호주관성’ 개념을 기독여성들의 관계에 적용해보았다. 인간의 삶에서 관계는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렇게 중요한 관계를 풍요롭게 하는 것은 누군가의 희생과 돌봄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희생과 돌봄은 관계와 공동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이다. 그러나 필자는 희생과 돌봄이 유독 기독여성에게 모성성과 더불어 너무도 당연하게 기대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섬김과 돌봄의 방식에 있어서 상호성과 상호주관성이 배제된 채 즉, 상호성이 결여된 채 일방적인 형태로 돌봄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물론 일시적으로 누군가를 집중적으로 돌보거나 도와주어야 하는 상황이 삶에서 상당히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외적 상황을 제외한다면, 궁극적으로 좋은 희생과 돌봄이 되기 위해서는 돌봄제공자의 ‘자기’가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생활이나 직업의 영역에서,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것이 빠진 채 자신을 희생하여 누군가를 돕거나 돌보기만 한다면, 그것은 알맹이가 빠진 사랑과 섬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런 방식의 일방적 섬김과 돌봄이 만약 고정적이고 패턴화 되어 있다면, 그 관계에서는 돌봄 주체의 존재는 이미 부정되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체간의 상호성과 상호주관성이 발현되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는 결국엔 착취적 성격일 수밖에 없다. 이제는 교회에서 반복적으로 가르쳐 온 고정화된 순종적 기독여성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기독여성들의 관계에 상호성과 상호주관성을 적용함을 통해 더 건강한 관계맺음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기독여성이 기독 공동체와 관계들에서 더 이상 순종적 팔로워(follower)가 아닌, 독립성과 개별성을 가진 하나의 주체로 존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가 기독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작은 관계들 뿐 아니라 나아가 한국 기독교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중요한 변화와 가치를 위해 기독여성들이 자신만의 기독여성상에 대해 고민하고 그것을 자기화 해나갈 수 있도록 가정 및 교회 공동체가 그녀들에게 이 과정을 해나갈 수 있는 시간과 심리적 공간을 배려해주길 제안한다. 본 연구는 기독여성의 관계성에 상호성과 상호주관성을 적용함을 통해 기독여성의 건강한 관계성을 지향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와 자치법제 이력의 변화와 발전(下)

        최봉석(Choi, Bong-Seok)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1

        1949년 7월 4일 제정된 이후 현재까지 총61차에 걸쳐 개정되어온 「지방자치법」의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에 관한 규정은 크게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협력관계에 관한 규율과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갈등관계에 관한 규율로 대별될 수 있다. 그 중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관계 해소에 관한 지방자치법의의 규정은 주로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조정에 관한 규율이라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상하관계로 통칭되는 행정조직법관계가 아니라 법인격주체 상호간의 관계로서 대등당사자간의 수평적 관계이자 외부관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분쟁에 대한 ADR절차를 통한 조정 관계를 기관위임사무에 관한 행정조직법 내부관계와 등치시켜 그 이행확보 및 불복방식을 일치시키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분쟁에 대해 분쟁조정위원회의 심의·의결에도 불구하고 행정안전부가 최종적인 조정 결정을 하게 하는 것은 분쟁조정을 규정한 다른 법률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이례적인 입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입법적 대안으로서 다른 법률상의 분쟁조정, 즉 「저작권법」이나 「환경분쟁조정법」 상의 분쟁조정과 같은 방식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분쟁의 당사자가 분쟁조정위원회(민간참여형의 중립적·전문적 합의제의결기관)의 결론에 불응하는 경우, 직접 사법적 구제를 청구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분쟁조정의 경우 행정안전부의 결정이 아닌 지방자치단체분쟁조정위원회의 의결을 종국적인 행정결정으로 하고 이에 불응하는 경우,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에 기관소송을 통해 법원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사법적 구제방식을 개선안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Articles 117 and 118 of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which were amended in 1987, comprehensively delegate its important contents to the Local Autonomy Act. The Local Autonomy Act was enacted on 4 July 1949 and has been amended in a total of 61 cases. This Act consists of 12 chapters and 175 articles of condolence. Matter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shall be mainly prescribed in Chapter 8 of this Act. The contents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regulations on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gulations on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 discipline of the Local Autonomy Act on the conflict between local governments shall presuppose disputes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 provisions of the Local Autonomy Act on the conflict between local governments shall be centered on a dispute resolution organization called the Local Government Dispute Mediation Committee. Chapter 1 of this Act prescribes the contents of the border(line) change between local governments on the premise of the type of local governments. The contents of Articles 8-1 (Articles 165 to 167) of the general statutes concerning the mediation of disputes of local governments may be virtually complete. However, the 61st revision of the law in 2020 is being established as a new type of local government, called ,,Specific Local Government“. Conflicts and disputes between local governments are now subject to various relationships, including special local governments, beyond macro and micro local govern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is not a top-down relationship, i.e. a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w, but an equ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 and an exter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ntities. Therefore, dispute settlement between local governments should not be defined just like in internal relation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dispute settlement shall be determined by a resolution of the Local Government Dispute Mediation Committee, not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is should be an eventual administrative last decision. Therefore, if local governments do not comply, they can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in court through organ litigation.

      • KCI등재

        미국 재산법상 토지사용 제한 특약에서의 물권적 상호 관계에 관한 소고

        박완규(Park, Wan Q)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叢 Vol.37 No.-

        우리 개인과 기업에 의한 미국에서의 토지거래가 활발한 오늘날 미국의 특이한 토지제도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 재산법상 토지사용 제한 특약(real covenants)에 있어서 물권적 상호 관계(privity of estate)에 관한 연구이다. 토지 사용에 관한 약정(covenants)은 체결 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발생시킨다. 그 약정이 체결 당사자뿐만 아니라 토지의 권리 승계인에게도 효력이 미치려면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그 요건으로서는 체결 당사자의 약정의 효력이 승계인에게도 미친다는 의사, 약정의 토지 관련성, 체결 당사자와 승계인 간의 물권적 상호 관계의 존재가 있다. 이러한 요건이 만족되는 토지사용 제한에 관한 약정이 토지사용 제한 특약이다. 물권적 상호 관계는, 토지사용 제한 약정 체결 당사자 간의 수평적 상호 관계(horizontal privity)와 그 약정 체결 당사자와 승계인 간의 수직적 상호 관계(verical privity)를 말한다. 수평적 상호 관계는 토지의 임대인과 임차인, 양도인과 양수인, 그리고 동일한 토지에 대한 권리가 있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이 약정 체결 당사자인 경우 그 존재가 인정된다. 수직적 상호관계는 토지사용 제한 약정 체결 당사자와 동일한 토지 지배권(estate in land)이 승계되면 그 존재가 인정된다. 다만, 그러한 약정에 의한 권리는, 체결 당사자가 임대인과 임차인인 경우를 제외하고, 그 약정 체결 당사자의 토지 지배권의 일부만 승계한 경우에도 행사될 수 있다. 물권적 상호 관계, 특히 수평적 상호 관계는 그 기술적 복잡성과 형평성 문제가 있어 향후 그 요건의 완화나 폐지가 계속 진행될 것으로 생각한다. Today, many Korean enterprises and individuals engage themselves in transactions of real property in the United States. Successful investment in land requires understanding of peculiar real property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note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privity of estate. In general, real covenants are created to increase or maintain the value of the dominant tenement. By creating a covenant, the covenantor becomes obligated to do or not to do certain acts on his parcel of land. The question is whether the burden or benefit under the covenant runs to a third party to whom the estate in land has been conveyed by the original party. A covenant can be assigned to a successor of interest in land if the original parties intended so, the third party had notice of the covenant, the covenant touches and concerns the land, and there is privity of estate. Privity of estate refers to a horizontal privity or a vertical privity. In general, the horizontal privity exists between the landlord and tenant, the grantor and grantee, and the holder of an easement and the servient land owner. On the other hand, if the original party to the covenant conveys his/her entire estate in land to a successor, the vertical privity exists between the original party and the successor, and the burden runs to the successor. If the original party conveys less estate than he/she has, the horizontal privity does not exist between the parties, and the burden does not run to the successor. However, the benefit runs to the successor to whom less estate has been conveyed.

      • KCI등재

        탈근대주의의 목회상담과 상호적 관계 지향에 관한 연구

        정푸름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4 No.-

        이 시대의 목회상담의 역할은 자아가 확장되는 상호성을 지향해야 한다. 교회 또는 임상현장을 위한 목회상담은 상호적 관계의 내용을 담아내고 이를 위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기존에는 자아확장성과 상호성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았다. 자아의 확장만 강조되던지 아니면 자아확장성은 보장되지 않는 채 관계자체, 상부조직, 공동체만을 위한 관계가 존재해야 하는 형태였다. 그 속에서 개인과 그 맥락은 무시되었으며 더 큰 대의를 위해 희생되어 온 측면이 있다. 신학은 때때로 개인이 무시되고 자신의 목소리를 제시할 수 없는 상황을 합리화하는데 잘못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관계는 자아가 확장되지 않는 관계다. 자아가 확장된 관계는 상호적일 때 가능하다. 상호성이란, 서로의 주체성과 주관성을 존중하며 관계를 중심으로 사고하는 것이다. 누구의 희생을 담보로 형성되는 관계가 아닌, 상대를 존중하며 각자의 고유성이 관계를 더 확장시키는 요소라고 인식하는 관계가 상호적 관계다. 상대의 주체성과 독특성을 인정한다는 것은, 일방적인 수용이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 그것을 수용하는 자아의 확장도 함께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목회상담의 탈근대적 관점에서 자아확장과 상호적인 관계가 함께 존재할 때, 그 안에서 개인의 성장, 관계의 성장, 다양성의 확장이 일어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탈근대적인 관점만이 목회상담에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목회상담에는 성서적 전통, 그 위에 서있는 교회의 풍성한 의례들, 신학적 이해와 인문사회과학의 이해 등등, 모두가 요구된다. 하지만 사람들의 삶의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는 목회상담은 지배담론에서 벗어나 상황적 이해, 사회문화정치적인 이해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들이 포괄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자아와 관계의 상호성이 요구되어 진다. 이를 체계적으로 주장하기 위해 본론에서 우선적으로는 목회상담을 간략히 정의하고 설명하고 목회상담의 기준이 되는 관점들을 정리한다. 그 이후에는 목회상담에 대두된 탈근대적인 관점을 논의하며 비판적 상관관계방법과 Carrie Doehring의 삼중초점 렌즈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며, 상황과 권력의 주 개념들을 강조한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여성주의상담의 상호성, 목회상담의 상호성 그리고 Martin Buber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상호성에 관한 논의를 펼친다. The role of pastoral counseling in this era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mutuality in which the self expands. Pastoral counseling for the church or clinical field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the mutual relationship and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Prev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ansion of the self and mutuality was unclear. In relationships, only the self was emphasized. Or to an extreme, self was not even guaranteed a place, because relationship itself, community, and the system was superior to the self. The individual and the context have been neglected, and sacrifices have been made for greater causes. Sometimes theology has been misused to rationalize situations in which individuals are neglected and unable to represent their own voices. This relationship is one in which the self is not expanded. Expansion of self is possible when the relationship is mutual. Mutuality means being relationship-centered with respect to each other's subjectivity. Rather than a relationship based on someone’s sacrifice, mutual relationship respects the other person and recognizes each other in their own uniqueness and realizes that this is a factor that further expands the relationship. Recognizing the other's subjectivity and uniqueness is different from unilateral acceptance. It means the self is experiencing expansion through the process of mutuality. This paper argues that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when self-expansion and mutual relationship exist together, individual growth, relationship growth, and diversity expansion can occur. A post-modern perspective is not a requirement only for pastoral counseling. Biblical tradition, the rich rituals of the church,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tc., are all required for pastoral counseling. However, pastoral counseling, which is responsible for responding to the needs of people's lives, must move beyond the dominant discourse and include contextual and socio-political understandings. In order for these understandings to work comprehensively, the reciprocity of self and relationship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make this claim, this paper will first of all briefly define and explain pastoral counseling and summarize the perspectives that are the basis for pastoral counseling. Subsequently, the paper will discuss post-modern perspectives presented in pastoral counseling, using critical correlation methods and Carrie Doehring's trifocal lenses as examples and emphasizing the main concepts of situation and power. In the final part of the paper, the mutuality of feminist counseling, the mutuality of pastoral counseling, and Martin Buber’s concept of relationship will b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동양 음양법의 상호 관계론적 사색틀과 그 비판

        김영주 동양사회사상학회 2003 사회사상과 문화 Vol.8 No.-

        동양 음양법은 중국문화의 뿌리와 줄기에 굳게 자리잡고 있으며, 중국문화의 모든 분야에 깊고 널리 자리 잡고 있다. 음양법은 중국문화의 모든 것을 낳은 원천이라고 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 이러한 동양 음양법을 접근하는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필자는 서양 이분법의 핵심적 특징을 ‘대립 존재론적 사색틀’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에 상대적으로 동양 음양법이 보여주는 상호 관계론적 사고틀을 이슈로 논의하고자 한다. 동양 음양법에는 ‘수평적 상호 관계’를 보여주는 경우와 ‘수직적 상호 관계’를 보여주는 경우가 있다. 수평적 상호 관계는 상수학파象數學派의 8괘와 64괘 배열에 담겨있고, 수직적 상호 관계는 의리학파義理學派의 괘사와 효사 내용에 담겨있다. 8괘와 64괘가 배열된 모습을 가만히 보면서 생각해보면, 하루의 아침․낮․저녁․밤 그리고 일년의 봄․여름․가을․겨울이 오고가는 세월과 자연현상의 관계가 절로 느껴진다. 그 우주론적 깊은 의미를 매우 간결하게 담아낸 것이 바로 우리나라 국기의 태극 무늬의 원조인 ‘음양어태극도陰陽魚太極圖’이다. 음양어태극도는 음양의 수평적 상호 관계를 뜻하는 ‘음양의 대대유행’이라는 개념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 세상 만사와 만물에 수직적 서열이 존재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 급격하거나 완만한 정도가 다르고, 그 서열관계가 짜여져 가는 방법이 다르며, 그 대상과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다. 주역 64괘의 괘사와 효사에 담긴 수직적 상호 관계는 그 관계짓는 모습과 서열의 정도가 모두 다르다. 이렇게 8괘와 64괘의 배열 그리고 그 괘사와 효사는 수평적 상호 관계와 수직적 상호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서양 이분법은 ‘대립 존재론적 사색틀’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한 쪽으로 엄격하고 단정하여 분명한 개념을 가지고 짜임새 있는 논지를 펼칠 수 있으며, 다른 한 쪽으로 강한 편파성에 의한 독선적 개념으로 이데올로기적 성향이 강렬하다. 이에 반하여 동양 음양법은 ‘상호 관계론적 사색틀’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한 쪽으로 세상 만물과 만사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그 현실적 생생함을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다른 한 쪽으로 추상적인 기본개념과 추상적 사색틀이 분명하지 못하고 애매모호하다. 기초적인 추상적 개념의 애매모호함이 동양학문의 추상적 사색틀을 파악함에 큰 장애물이 된다 그래서 동양학문의 사상적 짜임새가 전반적으로 막연해져서 사색의 논점을 잡아내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그러나 서양학문에도 애매모호함이 있고, 동양학문에도 짜임새 있는 논지가 있다. 서양학문과 동양학문이 완전히 다르다기보다는, 서로 상대적으로 비교해 보면 그렇게 강조해서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상호주관성으로 본 매튜 폭스의 자비의 영성과 비온의 ‘O 되기’ 개념 고찰

        박경란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0 No.89

        상호주관성이란 서로 다르게 조직된 두 주체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말한다. 요한복음 14장 말씀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상호 관계는 인간 차원의 모든 상호주관적인 원형이라 할 수 있다. 하나님의 형상의 모양을 따라 인간이 지음 받았고 성육신을 통해 하나님이 인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성만찬을 통해 살아계신 하나님을 받아들이고 그분과 하나 됨을 확인하듯, 상호주관성은 하나님과 인간, 엄마와 유아, 분석가와 내담자, 자연과 인간 등 모든 만물 안에서 경험되는 인간 삶의 본질이다. 본 논문은 매튜 폭스의 자비의 영성 개념과 비온의 O되기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영성과 정신분석이 인간을 이해하고 치유하는데 상보적인 가능성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정신분석 각 학파는 1990년대 이후 상호주관성 이론을 받아들임으로써 정신분석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고전주의 정신분석 이후, 대상관계이론과 자기심리학은 관계에 초점을 두고 정신분석 이론을 새롭게 조망했다. 비온은 관계의 신비에 대해 강조하며 담고 담기는 상호주관적인 경험이 한 개인의 진실에 도달하고 변형과 성장을 일으킨다고 보았다. 매튜 폭스는 영성 안에 담긴 자비를 실천하는 것이 상호 내주, 상호 순환, 상호 침투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일체로써 살아가는 것임을 강조한다. 하나님과 인간은 구별된 존재이지만, 성령으로 상호 내주하는 사랑의 공간 안에서 인간은 하나님과 하나가 되는 신비를 이룬다. 주님의 육화의 근본은 하나님 자신을 나누기 위한 하나님의 사랑이고 자비이다. 이는 분석가가 몽상 상태에서 자신의 무의식이 내담자의 무의식과 접촉하는 담고 담기는 관계의 신비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는 비온의 개념과 조화를 이루는 지점이다. 인간은 상호 침투하고 상호 창조하는 변증법적인 관계 안에서 ‘되어가는’ 존재이다. 병자와 약한 자들이 고통과 아픔으로 연결된 예수와의 신비적 연합의 경험과 정신분석 안에서의 상호주관적 만남은 고통을 변형시키고 성장을 동반한다. 타인과 연결과 분리를 반복함으로써 우리의 정신은 성장해 가고 또 기꺼이 타자의 고통에 참여함으로써 자비를 삶으로 실천할 수 있다. 두 주체의 만남이 각 주체에게 변형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존재의 지평을 넓히는 제3의 공간이 창출됨으로써 성장과 변형을 이루어 간다. 영성적 측면에서는 성만찬을 통해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는 것은 변화를 촉진시키는 신비 경험이듯, 정신분석적 치료는 해석과 새로운 관계 경험을 통해 내면세계의 변화와 성장을 촉진시키는 상호주관적인 신비라 할 수 있다. 예수를 만난 모든 병자와 약한 자들에게 신유의 이적이 나타난 것은 창자가 끊어지는 듯한 고통과 아픔으로 연결된 신비적 연합의 결과이다. 이러한 공감적 연결성은 초월하시며 내주하시는 성령의 적극적인 사역의 증거로 병 나음뿐 아니라 고통을 변형시킨다. 창조주 하나님이 자기 숨의 일부를 우리 안에 불어 넣어서 각 영혼은 모든 영혼을 지은 창조주 안에 자기의 근원을 둠으로써 다른 영혼과 연결되어 있다. 모든 피조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자비는 타자를 사랑함으로써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며 자기 사랑과 타자 사랑이 하나가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신분석 안에서의 상호주관적 만남 또한 새로운 대상과의 신비적 연합 즉 붕괴와 회복의 변증법적 순환 과정을 통해 분석적 쌍의 두 파트너가 각자의 정신적 측면들 ... Intersubjectivity refers to the constant interaction of two differently organized subjects. In John 14,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can be said to be the archetype of all intersubjectiveness at the human level. Just as humans were created in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God is connected to humans through the incarnation, and accept the living God and confirm oneness with Him through the Holy Communion, intersubjectivit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s, mother and infant, analyst and client. , It is the essence of human life experienced in all things, including nature and humans. This paper seeks to reveal that spirituality and psychoanalysis have complementary possibilities in understanding and healing humans by examining Matthew Fox's concept of spirituality of mercy and Bion's concept of becoming O. Each school of psychoanalysis has changed the paradigm of psychoanalysis by accepting the theory of intersubjectivity since the 1990s. After classical psychoanalysis,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lf-psychology took a new look at psychoanalytic theory with a focus on relationships. Bion emphasized the mystery of relationships and believed that the intersubjective experience of containing and containing reaches the truth of an individual and causes transformation and growth. Matthew Fox emphasizes that practicing mercy contained in spirituality means living as the unity of the Trinity, which is mutually indwelling, mutually circulating, and interpenetrating. God and humans are distinct beings, but in the space of love where they inhabit each other through the Holy Spirit, humans achieve the mystery of becoming one with God. The basis of the Lord's incarnation is God's love and mercy to share God Himself. This is a point that is in harmony with Bion's concept that the analyst must enter into the mystery of the containing and containing relationship in which his own unconscious contacts the client's unconscious in a state of reverie. Humans are beings who ‘become’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of mutual penetration and mutual creation. The experience of mystical union with Jesus, where the sick and the weak are connected through pain and suffering, and the intersubjective encounter within psychoanalysis transforms pain and accompanies growth. By repeating connection and separation from others, our spirit grows, and we can practice mercy as our lives by willingly participating in the suffering of others. The meeting of two subjects opens up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for each subject and creates a third space that expands the horizon of existence, thereby achieving growth and transformation. From a spiritual perspective, just as accepting Christ through the Holy Communion is a mystical experience that promotes change, psychoanalytic treatment can be said to be an intersubjective mystery that promotes change and growth in the inner world through interpretation and new relationship experiences.

      • KCI등재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소은,김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and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67 father of 3, 4 and 5 years 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 Kenney(1986)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father's belief in father's role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Results First,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had biggest effect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and it was followed by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order. Second, parent-child relationship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on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This means that fathers need to recognize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more positively as well as admit their parental role & beliefs more actively in order to have more frequent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Conclusions In order for fathers to have active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cognize fathers' beliefs in parental roles. Active recognition of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can increase play interaction through mediating effect path in which fathers positively perce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목적 본 연구는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과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자녀를 둔 아버지 46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문지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편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중다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은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와 정적 상관이 있으며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부모자녀관계 순으로 영향력을 가진다. 둘째,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관계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아버지가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뿐만 아니라 그 신념을 바탕으로 유아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부모자녀관계가 향상될 때 유아와의 놀이상호작용이 활성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유아기 아버지의 자녀와의 놀이상호작용이 활발해지기 위해서는 아버지가 부모역할을 능동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부모역할신념의 인식은 아버지가 유아자녀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매개 경로를 통해 놀이상호작용의 향상을 가져올수 있다.

      • KCI등재

        판매원과 고객간의 상호의존성이 거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상호의존성 측정을 위한 방법론적 제언을 중심으로

        유애리,김상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6 마케팅관리연구 Vol.21 No.3

        In recent, the definition of interdependence has been elevated to the dyadic concept with the recognition that a salesperson's dependence on customer is relative to customer's dependence on it. Despite its importance for relationship marketing, the effect of interdependence between salesperson and customer in the service encounter remains elusive because of the unclear operational definition and validity in which it is the analytical methods to measure the interdependence. The research consists of two studies. Study 1 is to review of extant literature which indicates measurement of interdependence. And then researchers evaluate extant methods to measure the interdependence. Thus, we suggest the answer about that extant methods are valid and wha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each methods has over the other? Two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interdependence. First, the categorical approach keeps salesperson dependence and customer dependence separate and categorizes each as low or high. It creates a 2X2 interdependence matrix. Second, the dimensional approach algebraically manipulates salesperson dependence and customer dependence. In the dimensional approach, there are two dimensions of interdependence. Total interdependence is the sum of salespersons's dependence and customer's dependence, whereas interdependence asymmetry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lespersons's dependence and customer's dependence. Study 2 was focused on the effects of interdependence on customer attitudes. We propose that the degree of both total interdependence and interdependence asymmetry affect the level of customer's relationship quality(satisfaction, trust, commitment). Using survey data, we demonstrate that, with increasing total interdependence , the customer's relationship quality was increase. In addition, we found that interdependence asymmetry has negative effect on customer's relationship quality. According to researchers, customer's behavioral responses is no less important than emotional responses.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cusotmer's perceived relationship quality as emotional responses affect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as behavioral response. The empirical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relationships with greater relationship quality exhibit higher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cused on the interdependence between sales persons and customers as an essential element in dyadic relationships. Second, We apply various measurements of interdependence in the service encounter to sales person-customer relationships and contrast it with previous researches. Third, this study deals with customer's behavioral responses and emotional responses. These results provide that practical implications to manage interdependence between sales persons and customers. Finally, the results from study 2 imply that the company should keep focusing and managing on is finding ways of balancing interdependence in the service encounter. The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We collected data from only hair service among various service encounters for study 1 and 2. And we examined customers' perceptions of the sales persons' dependence in the service encounter. Although we believe this approach is appropriate for study, it is not fully obtained from the sales persons and customers sided of the dyad.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explore the range of study for generalization. Last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antecedent factors of interdependence for marketing practitioners. 관계마케팅은 거래관계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Win-Win 전략으로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판매원과 고객의 거래관계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상호적 관계 및 거래구성원들간의 의존적 성향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서비스접점의 거래관계에서는 판매원과 고객이 일방적인 거래가 아닌 쌍방향적인 거래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인식은 간과되어져 왔다. 이는 판매원과 고객간의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에 대한 고려와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최근 상호의존성 연구들은 실제 현상을 반영하여 기존의 의존성에 대해 더 정교화된 개념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비스접점에서의 상호의존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측정방법에 대한 정확한 조작적 정의나 타당성의 검증 없이 이를 연구에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연구과제 1에서는 상호의존성의 측정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다양한 측정 방법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기반으로 서비스접점에서의 판매원과 고객간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적절한 정의와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과제 2에서는 판매원과 고객간의 상호의존성이 고객이 평가하는 거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고객과 판매원간의 상호의존성이 관계의 질(만족, 신뢰,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양한 상호의존상황에 따른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서비스 접점에서의 상호의존성의 중요성에 대한 많은 언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확한 조작적 정의와 타당성을 살펴본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서비스접점에서 기업과 판매원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및 관리가 필요함을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 자기효능감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미라(Park Meera),윤지원(Yoon Jiwon),이하정(Lee Ha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 자기효능감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재학생들의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1월 19일부터11월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자는 G도 C시 소재의 C대학교 2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몰입은 평균 3.30점이었고, 교수-학생상호작용은 평균 3.34점. 교우관계는 평균 3.64점, 자기효능감은 평균3.32점이었다. 대학 몰입은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교수-학생상호작용은 교우관계와 순상관관계가 있었고(p<.001), 교우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순상관관계가 있었다(p<.016). 대상자의 대학 몰입에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학생상호작용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우관계였다. 이 결과는 대학 몰입이 교수-학생상호작용과 교우관계에 영향을 받으며 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과 교우관계가 중요함을 인식하고이들의 상호작용 경험을 활발히 할 수 있는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rrange a basic material to improve institutional commitment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teacher-learner interaction, friendship and self-efficacy.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9, 2020 to November 26, 2020 through online question, aimed 213 participants from C university in a C city in G province. As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score of institutional commitment was 3.30, the average score of teacher-learner interaction was 3.34, the average score of friendship was 3.32, and the average score of self-efficacy was 3.32.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friendship(p<.001).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level of friendship(p<.001), a level of friendship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p<.016). The most critical factor that affects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was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a level of friendship in order. The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institutional commitment is influenced by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friendship, and that the effort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of the college students is needed at the collegiat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