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오브제 애니메이션 광고의 상징적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박원철,이상원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9 애니메이션연구 Vol.15 No.3

        Objet animation is a kind of stop-motion animation that creates movement of ordinary things using single frame filming. It makes lifeless objects to look alive, even though they appear on the screen as they are, and therefore it inspires an unique aesthetic sentiment. It is a peculiar feature that only objet animation has, and it makes an objet animation can be noticed among many video contents, as it evokes a nostalgic analog sentiment by using stop-motion techniques. Also, an objet in such an animation has a double meaning; one i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object, and the other is a symbolic one that is given to it in that animation. It can be used effectively in an advertisement, as it can deliver an implicative message in it. Not only to deliver the original meaning of the object, but also to embody such an implicative message in it, various effective processes of signification on the screen are necessary.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uch processes of the symbolic signification of objet animation advertising, and to do so, I analyzed advertisement cases by using semiotic analysis, based on Saussure’s binary opposition and Peirce’s semiotics of three-primary theory. Consequently, I found that, first of all, binary opposition was the most important to grant a new meaning to an object apart from the original meaning of it. Then, it made the symbolic signification of objet animation effective to make movement natural by using animation technique and the directing technique of video. From all of these processes, an objet could have an implicative message inits double meaning, while it kept its original meaning as well. I expect that to use the symbolic signification of objet animation is helpful to produce more creative and effective advertisements, when we understand its strengths and use them. 오브제 애니메이션은 일상적인 사물을 소재로 프레임 촬영을 통해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의 한 종류로, 본래 생명이 없는 사물이 화면에 실제 모습 그대로 등장하는데도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움직이게 되면서 느껴지는 고유한 미학적 정서를 유발한다. 이는 오브제 애니메이션만이 가질 수 있는 독특한 특 징으로, 스톱모션 기법이 만들어내는 아날로그적 감성이 더해져 수많은 영상 콘텐츠들 사이에서 주목도를 높일 수 있는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의 오브제는 그것이 가진 본래의 사실적 의미와 함께 애니메이션 을 통해 새롭게 부여되는 상징적 의미가 공존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오브제의 이중적 의미는 효율적인 커뮤 니케이션을 필요로 하는 영상광고에서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오브제 가 사실적 이미지로써 본래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상징적인 의미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화면 내에서 여러 가지 효과적인 의미작용 과정들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상징적 의미작용 과정을 알 아보기 위해 소쉬르의 이항대립론과 퍼스의 삼원적 기호론을 바탕으로 광고에 활용된 사례들을 기호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브제가 기존의 의미에서 벗어난 새로운 의미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이항 대립관계를 통한 의미부여가 우선시되었고, 애니메이션을 통한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영상 연출기법 등이 추가되 어 오브제의 상징적 의미작용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오브제 본래의 의미를 유지함으로써 두 가지 의 이중적 의미를 활용한 함축적인 메시지가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장점을 활용한 영 상광고를 제작함에 있어 이러한 오브제의 상징적 의미작용 과정에 대한 연구는 보다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연출에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 분석 연구

        김정아 ( Kim Jeonga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소비자의 기호와 감성이 다양화되면서 소비환경에서도 매장 공간환경 및 서비스 경험 등이 제품선택에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서는 차별화된 공간이미지 창출을 위해 오브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가능하고 작품 감상과 쇼핑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어 쇼핑 체류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는 유행에 민감하고 일탈의 분위기를 발휘하는 공간이므로 작가들의 실험적 시도가 비교적 자유롭다. 이에 본 연구는 오브제가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어떻게 표현되는지 그 특성을 사례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경쟁력 있는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수립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오브제,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오브제 표현특성을 도출한다. 오브제 표현특성을 상징적, 기능적 특성으로 구분하고 상징적 특성은 연상성/주목성, 소재는 자연물/인공물로 구분한다. 기능적 특성은 공간분할/행위유발, 요소는 공간구성/장치로 구분하여 분석기준을 제시한다. 선정한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를 사례 분석하여 오브제의 표현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결과) 사례분석결과 오브제 표현특성은 상징적>기능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고, 상징적 특성은 주목성>연상성, 소재는 자연물>인공물 순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특성은 행위유발>공간분할, 요소는 장치>공간구성 순으로 거의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사례공간의 모든 항목의 합계가 중간 이상으로 각 분석 항목을 고루 반영하였다. (결론)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오브제 표현특성은 파사드 쇼윈도우 부터 주제가 암시적으로 나타났으며, 내부공간에서 기대 이상의 스토리 구현으로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시도하고 있었다. 오브제를 공간 중심에 배치하고 사용자의 친밀도를 향상시켜 쇼핑경험이 오래 기억되도록 표현 되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오브제 감상과 쇼핑이 이루어지는 상업, 예술, 문화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더욱 집중적인 연구가 계속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growing diversity of consumers’ preferences in modern society, the spatial environments of stores and service experience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e selection of products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Fashion flagship stores induce users’ communication and deliver brand identities, installing objects to create differentiated spatial images. This can prolong the shopping time because users can participate actively, and they can appreciate objects and do the shopping simultaneously, in a satisfactory manner. Since a fashion flagship store is a space sensitive to fashion and exhibiting an atmosphere of deviation, artists’ experimental attempts are relatively freer there.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xample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of objects in fashion flagship stores and to present design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competitive fashion flagship stores, focusing on the results. (Method)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f objects and fashion flagship store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o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drawn. The o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symbol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associativeness and attractiveness, while themes could be both natural and artificial.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space division and affordance, while elements were divided into space composition and equipment for analysis. The cases of the selected fashion flagship stor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objec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n the o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symbolic ones were more than functional ones. In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attractiveness was more than associativeness, while in themes, natural ones were more than artificial ones. I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ffordance was more than space division, while in elements, the device was more than space composition. All numbers were similar. The sum of all items of the spaces in the case was above the average, which evenly reflected each analyzed item. (Conclusions) As for the o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flagship stores, the theme implicitly appeared from the fa□ade show-window, and by the implementation of stories beyond expectations from the interior space, it attempted to induce users’ active participation. Objects were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space, and the intimacy was enhanced so that the shopping experiences could be remembered for a long time. Hopefully, more intensive studies will continuously be conducted on the communications of commerce, arts, and culture in which the appreciation of objects and shopping will be achieved in fashion flagship stores.

      • KCI등재

        장소특정적 미술을 통한 상징공간디자인 개발 -울산광역시 동구 슬도 소공원 -

        김철중 ( Cheol Joong Kim ),이주형 ( Joo Hyoung Y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장소성은 사람들과 공간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경험된 기억들이 축적되어 만들어진 역사적 산물이다. 지역고유의 장소성은 다양한 일상적 경험 속에서 형성되며, 장소의 이미지는 그 지역의 총체적인 현실의 반영이다. 장소 특정적 미술 (Site-Specific Art)은 장소의 맥락적 관계를 바탕으로 공간을 상징적인 의미로 작품화하고 지역의 아이덴티를 형성하는데 대표적인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에 본 디자인 개발에서는 울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슬도 소공원``을 의미 있는 장소로 재생하기 위한 요구를 반영하고자 디자인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슬도 소공원의 상징적 공간은 역사·문화적인 큰 맥락에서 장소 특정적 미술을 매개로 전개된 공간디자인으로써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생성함과 동시에 랜드마크적 성격, 그리고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 상징 문화 공원으로 공간을 재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 개발의 대상지는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에 위치한 슬도 소공원의 초입부로써 장소의 특성을 고려한 장소 특정적 미술을 중심으로 상징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디자인 진행 방법은 먼저 장소 특정적 미술과 장소의 상관성을 문헌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둘째, 대상지인 슬도 소공원의 입지적 현황과 자연환경 그리고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셋째,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상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공간의 개념을 설정하고 장소 특정적 미술로서 상징오브제를 중심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디자인 개발은 슬도 소공원을 개선하기 위한 장소 특정적 미술을 중심으로 장소의 의미를 재생하는 것이다. 현황분석을 통해 살펴본 슬도 소공원은 해안가의 공간적 특성과 선사시대 때부터 기록되어진 고래와 구멍 뚫린 바위섬에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가 전해 내려져 오는 장소였다. 이에 슬도 소공원의 상징적 이미지로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의 이미지와 구멍 뚫린 바위섬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징적 오브제를 디자인하고 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역사적 사실과 지역정서를 바탕으로 공간의 의미를 담고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함과 동시에 랜드마크적 성격을 가지게 하였다. 장소의 정체성은 지리적 위치나 외관상의 특성 뿐 아니라 사람과 공간의 다양한 활동적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디자인은 역사적·문화적인 큰 맥락에서 장소 특정적 미술인 상징적 오브제를 매개로 한 공간디자인이지만, 이는 장소성을 나타내는 한 가지 요소에 불과하며, 온전한 장소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향후 이곳에서 여러 가지 문화적 활동 프로그램이 복합적으로 연구되어 일상의 생활공간으로서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Placeness is a historical product which accumulates empirical memor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space. Unique placeness of the region is formed based on a variety of daily experiences and the image of place reflects the overall reality of region. Site-specific art symbolizes space based on contextual rela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regional identity. To regenerate Seuldo Island Park, located in eastern part of Ulsan, as a meaningful place, this study reflects demand and made design.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symbolic space of Seuldo Island Park is a spatial design through the medium of site-specific art and it forms regional identity and brings landmark aspect and regenerates the space for symbolic cultural park that harmonizes with surroundings. (Method)The target of design development was the entry of Seuldo Island Park located in Bangeo-dong, Dong-Gu, Ulssan and this study designs symbolic place based on site-specific ar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lace. The Method of design was, first, reviewing correlation between site-specific art and the place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drawing symbolic image of region based on location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fact of Seuldo Island Park. Third, setting the concept of space based on symbolic image after current condition analysis and designing symbol object as site-specific art.(Results)This design development is to regenerate the meaning of place based on site-specific art to enhance Seuldo Island Park. In light of status analysis, Seuldo Island Park has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and historical story that goes back to the prehistoric age referring to whale and rocky island with holes. This study designs symbolic object and space based on symbolic image of Seuldo Island Park such as whale carved in stone and rocky island with holes. This study allows regional identity as well as landmark aspects based on historic fact and regional sentiment. The identity of place is formed not only by geographical location or external characteristics but also diverse activities.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design presented by this study is a spatial design through the medium of symbolic object of site-specific art, however it is only one factor that represents placeness. Thus, diverse cultural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established as living space of daily life to fully realize placeness.

      • KCI등재

        모션그래픽에서의 오브제 활용을 통한 물성의 상징화와 조형성에 관한 연구

        김성혜 ( Seung Hae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모션그래픽에서 이미지의 시각화를 위한 재료와 요소로써의 물성과 오브제가 가지는 상징성과 조형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먼저, 파운드 오브제, 데페이즈망과 아쌍블라쥬 등과 같은 오브제의 기본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크게 네 가지 관점에서 물성과 오브제의 상징성과 조형성을 참고문헌과 선별된 작품의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첫째, 물성의 가시화와 시선의 주목성과의 관계이다. 물성의 의도적 가시화를 통한 미시, 거시적 관점의 선택 제시는 시선의 주목성을 높임과 동시에 이중적 형태와 의미를 함께 발생시킨다. 둘째, 오브제와 물성의 혼합이 가져오는 예측과 논리의 파괴는 정신적인 유머를 발생시키며 제3의 메시지와 스토리텔링을 만든다. 셋째, 재료로써 인식되는 물성의 변형은 형상의 정형화를 최소화시키고 재료자체의 물성을 극대화한다. 그러므로써 보는 이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을 확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메타포 강화를 위한 강력한 시각적 도구로써의 물성과 오브제의 가치와 활용에 관한 것이다. 오브제는 자연적으로 만드는 우연적 효과로 인해 그 본래의 용도나 기능을 상실하면서 현실을 물질적으로 환원시킨 원초적인 상태가된다. 이때, 오브제는 하나의 기호가 될 수 있으며 은유를 강화하는 대상으로까지 개념적으로 확장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igurative features and symbolism of materiality as a raw material and element for visualization of images in motion graphic design. For this, I took four different viewpoints to study figurative features and symbolism of materiality and objec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notions such as found object, displacement, and assemblage through analyzing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by selected films and reference. First, we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the visualization of materiality and visual attention. Selective suggestion of micro and macro angles through intentional visualization of materiality raises the level of attention and makes a double form and meaning as well. Second, the destruction of prediction and logic, brought by the mix of object and materiality, creates psychological humor, the third message and storytelling. Third, the transformation of materiality, perceived as materials for works, minimizes the standardization of form and maximizes the materiality of a material itself. Hence, it extends subjectiv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viewers. The final one is about the value and application of materiality and object as a powerful visual medium for strengthening metaphor. Due to the natural random effect, object loses its original use and function and becomes a raw state reduced from the reality in a material way. Then, object can be a symbol and conceptually extend to a tool for strengthening metaphor.

      • KCI등재

        오브제의 상징성을 통한 미술교육과 감상 - 루이즈 부르주아의 작품을 중심으로 -

        박미화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2 No.-

        This article inquires into the art education and appreciation through the symbolisms of art objects by examining works by Louise Bourgeois(1911-2010) who invented the art category called ‘confessional art’. Contemporary artists tend not to adhere to an independent art form and are willing to defy the conventional definitions of art concepts or forms while reflecting the plural environment of the contemporary art scene which attaches emphasis to individuals' creativities and idiosyncrasies. One's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se circumstances in which contemporary artistic endeavorsunfold themselve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s of art education, which would lead to the extension of the range of choice in the practices of art education. In this aspect, this article will propose ways to understand and enjoy the works ofLouise Bourgeois who established a new artistic tendency of confessional art from an art educational perspective in order to grope for diverse methods of art education through which one can be helped to understand various artistic tendenc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further the ever-changing sentiments of the moderns as well as significances and meanings of works of art. This article attempts to suggest the art educational methods to understand the art of Louise Bourgeo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tists of today who explored her own artistic mode by creating an art form called ‘confessional art’. Having been registered in the art history as the pioneer of Cubism,Pablo Picasso has been one of the artists whose works are being necessarily studied and discussed in the art educational scene. Similarly, one needs to look into the art of Bourgeo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In this regard, an examination of her art needs to be included in art educational practices. Therefore, this article intends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Bourgeois's works and the ideas embodied by them by approaching her art objects one at a time so that her works can be utilized in the practices of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ince by doing so the article demonstrates that each individual art object with a certain symbolic meaning functions as a sign, and hence each art object as a sign can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certain criteria of interpretation for viewers. Bourgeois used a wide range of objects that were related to her memories and imbued them with symbolic meanings for the treatment of her psychological traumas. This is why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Louise Bourgeois by looking into the artist's autobiographical stories through which the symbolisms of such objects can be comprehended and further to examine the methods of art education and appreciation through those symbolisms. 본 논문은 ‘자기 고백예술’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미술사 속에 만들어낸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2010)의 작품세계를 오브제의 상징성을 통해 이해하는 미술교육과 감상에 대한 연구이다. 현대미술에서 하나의 공통된 형식이나 전통적정의 및 개념들은 196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해체되어 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을존중하는 다원적인 양상으로 펼쳐져 왔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큰 조류를 미술교육과정속에서 감상교육으로 이해하고, 향수하기 위해서는 미술교육적인 방법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어 교육현장에서 선택의 범위가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를 미술작품 속에 담아낸 현대미술의 거장 루이즈 부르주아의 작품을미술교육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향수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작품의 이해뿐만 아니라미술사조와 특성, 그리고 나아가 변해가는 현대인의 감수성에 대한 미술교육적 방법에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루이즈 부르주아는 자신의 정신적 외상을 치유하기 위하여 기억과 관련된 많은 오브제를 사용하였고, 그 오브제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러므로 부르주아를 미술교육과정에서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작가의 자기고백적인이야기의 이해와 이를 통해 오브제에 부여되는 상징성을 고찰하고 그 상징성을 통한미술교육과 감상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상징적 오브제(Symbolic Object)’와 기억

        황동하(Hwang, Dong-Ha) 역사학연구소 2016 역사연구 Vol.- No.31

        이 글은 레닌그라드 봉쇄의 ‘상징적 오브제’를 통해 봉쇄에 대한 개인의 기억과 국가의 거대서사로서 신화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려는 것이다. 레닌그라드 봉쇄의 상징적 오브제는 125그램의 빵조각, 쿠소체크 흘레바, 부르주이카, 사노츠키, 사이렌, 메트로놈 등이 있다. 이러한 사물은 봉쇄 경험의 기억과 상징으로서 굶주림, 추위, 죽음, 위협 등을 뜻했다. 이러한 사물을 통해 레닌그라드 사람들에게 적의 이미지는 두 개였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도시를 포위한 독일 병사와 레닌그라드 사람들의 생존을 위협했던 굶주림, 추위였다. 그러나 그들은 ‘포위 봉쇄’ 속에서 독일병사와 마주치지 않았다. 그저 폭격 소리를 통해 위협을 감지했을 따름이다. 그들에게 적은 생존을 위협한 굶주림, 추위 등과 같은 실질적인 것이었다. 이런 경험은 레닌그라드 봉쇄에 대한 개인의 기억과 국가의 거대서사가 같으면서도 다르게 만들었다. My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memory and myth as the state’s master narrative of the Leningrad Blockade through the lens and language of ‘symbolic object’ in blockade’s days. The symbolic object of Leningrad Blockade are сто двадчать пять, кусочек хлеба, Буржуика, Саночки, siren, metronome etc. These items are a very important memory and symbol of the blockade experience. They are both icons, and their power lies in the fact that they not only give rise to thought, but force one to reflect upon the past. They are all symbolic of the fight with the enemy. They also suggest that the image of the enemy was not inform during the war, but was a dual image. It was perceived as both the German soldiers, who besieged the city, as well as the hunger and cold, which daily threatened people’s lives. These symbols, however, also infer that the memory of the war is much more complex than it would appear at first glance. For most of the citizens trapped in the city, the blockade meant they only thought of food. To them, days were not about committing heroic acts to save the Soviet Union, but rather about surviving another day and gaining a sense of normalcy amongst the rapidly deteriorating conditions.

      • KCI등재

        현대 미술에서 오브제로 사용된 신발의 상징적 의미

        조정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2

        연구배경 현대 미술에서 의상을 매체로 한 작품들에 대한 통합적 논의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많은 예술가들이 신발과 같은 특정 아이템을 오브제로서 채택하기 시작했지만, 신발이 오브제로서 가지는 조형언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미비하다. 연구방법 미술에서 오브제의 특성과 사용기법, 신발의 종류와 사회 심리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기초로 1910년대 이후 제작된 미술작품 중에서 신발이 오브제로서 사용된 작품을 문헌조사와 인터넷 자료조사를 통하여 조사하고 그것의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발은 다양한 예술 작품들에서 오브제로서 작가의 의도를 암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상징적 조형언어로 사용되고 있었다. 불특정 다수의 많은 신발들이 모여 운명 공동체 사회, 재난 현장의 사람들, 폭력의 피해자들을 대변하고, 삶과 죽음, 추억을 통한 치유를 이야기했다. 특정 신발은 커플, 결혼, 성교를 암시적으로 표현하였고, 심리적, 경제적, 성적인 탐욕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특히 여성의 하이힐은 매우 광범위하게 다루어졌다. 미술가들은 하이힐을 통해서 유린된 여성, 여성 신체의 이상화, 페티시즘, 페미니즘 등을 이야기했다. 결론 다양한 방법과 형식 속에서 미술가들이 신발이란 매체를 통해서 전달하고자 했던 것은 적나라한 현대사회의 특성과 시대적 속성이었다. 그들은 신발을 일상생활 속의 인간들로 의인화하기도 했다. 동종의 신발이라도 작가의 표현 의도나 형식에 따라 죽음과 삶, 성적 의미이거나 저항적 의미 등 다른 해석이 가능한 다양한 복합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 쁘티 오브제 a를 통한 실재로의 다가감 -김경주 「밀어(密語)」를 통해서 스쳐보이는 실재계

        배선윤 대한문학치료학회 2018 대한문학치료연구 Vol.8 No.1

        이 글은 김경주의 “밀어-몸에 관한 시적 몽상”이라는 산문집을 Lacan의 관점으로 분석해보려는 목적으로 쓰였다. 김경주는 반복적으로 Lacan이 말하는 실재에로 다가가기 위한 몸짓을 그리고 있다. 그에게 신체의 각 부분은 실재로 다가가는 징검다리 혹은 오브제 a가 된다. 이 글은 오브제 a가 어떻게 실재로 접근하게 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뺨에서 시작해서 그림자로 끝나는 김경주의 밀어는 끊임없는 환유의 미끄러짐을 반복한다. 하지만 상징 질서 내에 숨어 있는 환영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김경주는 실재에로 한 발 한 발 다가간다. 그에게 시는 실재로 가는 황도(黃道)이다. 김경주는 몸의 기표를 따라 가는 여정으로 증상을 생톰으로 변화시킨다. 그는 상징 질서를 넘고 실재 주변을 선회하는 궤도를 넘어 나아간다. 결론적으로 말해, 이 글은 김경주의 쁘띠 오브제 a의 흔적을 좇아 실재로 다가가는 여정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terpret Kim Kyoung-joo’s “Sweet Nothings: Poetic Fantasy of the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 Kim repeatedly attempts to come close to the Real that Lacan says. To him, each part of body is petit object a that gets close to the Real. This essay sees how each object a gets close the Real. From the cheek to the shadow, Kim repeated endless slip of metonymy. But without being trapped in symbolic order, he gets close the Real. To him, poem is the ecliptic to the Real. He travels along the signifiang of body to change the symptoms into the sinthome. He goes beyond the symbolic order and orbits around the Real. In conclusion, this essay is a travel getting close to the Real as tracing Kim’s petit object a.

      • KCI등재

        향보 박광호 작품론: 한국 초현실주의 사례로서 작가 자신의 연구를 바탕으로

        남인숙 ( Ihn-sook Na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8 No.-

        향보 박광호 한국에서는 보기 드물게 초현실주의 미술을 고집한 작가이다. 서울대 미대를 졸업하고 고향인 대구에 정착하면서 창작의 근원으로서의 리비도와 그 리비도에 운반되는 감정의 움직임을, 지성적인 방식으로 작품의 내용으로 삼으려 했다. 1970년대 후반, 1980년대 초 작가 자신이나 비평가들은 이러한 측면을 ‘생명감’이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박광호는 1959년에 조선일보가 주최한 현대미술작가 초대전에 초청되면서 현대미술가로서의 역량과 가능성을 인정받은 바 있고, 당시 초대작 ‘우상(偶像)’(1959년)은 진지하면서도 위트가 가미된 것으로서 그의 대상해석과 상상력이 우리 미술사에 매우 고유한 가치를 지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박광호가 발표한 여러 논문에서 파악되는 바, 그의 작업 태도와 방향에 영향을 미친 작가와 이론가는 마르셀 뒤샹, 조르조 데 키리코, 살바도르 달리, 허버트 리드, 어니스트 흄 등이다. 여기에서 추론할 수 있듯, 현실을 구성하는 원리로서의 꿈과 그 힘(프로이트 적인 리비도), 도시 산업사회의 새로운 기계미와 구성적인 미에서 박광호는 자기 작업의 토대와 지향점을 찾아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검토해 볼 때, 박광호는 우리 미술사에서는 매우 드물게 ‘한국적인 초현실주의’를 실현한 작가로 평가받을 수 있고 나아가 산업사회의 산물인 네오 다다적인 경향까지 아우르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는 고립되어 있던 ‘향보 박광호’라는 작가를 드러내는 것은 물론 그와 더불어 그의 작품을 소개하는 것이며, 한국적인 초현실주의를 실현한 박광호 작품의 특징이 무엇인지 해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연구를 통해 본 박광호의 작품의 특징은, ① 박광호의 평면작업은 ‘편집증적 비평 활동’으로서 환상의 오브제 혹은 상징기능의 오브제라고 말할 수 있다. ② 박광호의 오브제 작품은 ‘실행중인’ 운동감을 구현하는 것, 즉 변증운동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③ 변증운동의 직접적인 언어는 색채이다. ④ 구체성과 풍토성(지역성)에 대한 구현이 작업의 시종일관된 모티프였다. 이 점을 다시 요약하면 그의 작품은 편집광적인 비판 활동에 따른 변증 운동의 지성적인 구축과 감각의 활성화, 그리고 풍토의 고유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구체성과 풍토성의 구현이 그 작품의 시종일관한 주제이자 현실에서, 즉 항상 ‘지금 여기’에서 환기되는 그의 오브제 미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Park Gwang-Ho had three solo exhibitions (in 1967, 1971 and 1980, showing more than100 works) in his life time and wrote excellent papers on art. He is also recorded to have participated in several group exhibitions (such as “Engagement”) except for very limited public activities. It is also noticeable that he was invited as a contemporary artist to “Contemporary Artists Invitation Exhibition” hosted by Chosun Ilbo in 1959 (and selected as an invited artist in 1959), receiving public recognition his pursuit of modernity in plasticity. Park``s various contributions, writings(poems and essays), witty illustrations enable us to assume this background. His literary sense, ability, quick wit shown in his essays that clearly showed absurdity, articles on the prevailing states of the fields of industrialization or urbanization in those days, curiosity about cutting-edge technologies, experiments and culture, diagnoses of art circles, sufficiently corroborate what his son said. This is important because one of the grounds that led him to delve into the genealogy of Dadaism and Surrealism can be found in his biographical background. To summarize, Park Gwang-Ho``s work is marked by the intellectual construction of dialectical movement and the activation of the senses that were caused by paranoid critic activities, as well as the peculiarity of the vernacular. In other words, the embodiment of concreteness and vernacularity is a consistent theme and the key essence of his object aesthetics which is evoked by reality.

      • KCI등재

        이어령 희곡에 나타난 연극성

        백소연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7 No.-

        1970-80년대 발표된 이어령의 희곡들은 당대 주요 신진 극단들이 공연화 하여 호평을 받으며 그 작품성을 충분히 인정받았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한국 연극에 대한 연구가 일정 정도 축적된 현 시점에도 그의 희곡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시피 하다. 그것은 이어령의 저술 활동이 특정 장르에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까지 다방면에서 왕성히 이루어졌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학계의 무관심과 달리, 그의 작품은 최근까지 여러 극단에 의해 무대화되면서 그 주제의식이나 기법이 여전히 공감할 만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어령은 현대사회에서의 인간의 보편적 삶의 조건, 그 자체를 등장인물로 현신화 함으로써, 시대를 뛰어넘는 상상력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그의 희곡은 1970년대 이후 도시화의 과정 속에서 나타난 개별성의 상실, 소통의 불가능성 문제 등을 표준화, 획일화된 주거 공간을 통해 지적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주로 무대 위 폐쇄된 실내공간을 간소화 된 무대로 구현하면서도, 잠재 공간을 활용하여 이러한 극적 상황이 외부 세계로 충분히 확장 가능함을 보여준다. 다양한 오브제들과 음향 역시 도구적이고 지시적인 기능을 넘어 상징적으로 활용되면서 그 주제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그의 텍스트에 내재된 다양한 연극성이야말로 새로운 연출을 계속하여 기획할 수 있는 동력이 되고 있다. 실제 그의 작품이 초연 당시 어떻게 무대화 되었는지, 또 현 시점에서 어떻게 재해석 되어 무대 위에 구현되는가에 대한 연구는 향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과제라 할 것이다. Lee O-young’s plays, which appeared in the late 1970s, proved their workability as they were performed by major theater companies of the time. However, as ye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Lee O-young’s plays so far. This is surely related to the fact that his activities were not limited to a single literary genre, and he was very active in various ways until recently. In spite of this academic indifference, Lee O-young’s work has continued to be staged by various theater compani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ubject matter can still be fully sympathized with at this point, with the themes such as human death, life, and the crises of modern civilization. Lee’s Department Store Selling Miracles showed universal imagination by expressing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characters. In addition, through a uniform residential space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that began in the 1970's, it points to the problem of the loss of human personality and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o this end, while implementing a closed indoor space on the stage as a simplified stage device, the dramatic situation expands to the outside world by utilizing latent space. Various objects and sounds are also devices that reveal major symbols and show a sense of the theme. In this way, the theatricality inherent in this text is the driving force for planning new productions. Going forward,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how this work was actually sta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