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등장과 소멸, 무문토기의 종말

        이수홍(Soo Hong Lee)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6

        삼각형점토대토기는 최후의 무문토기이다. 영남지역에는 기원전 3세기 말에서 2세기 중엽 사이에 등장한다. 삼각형점 토대 자체는 점토띠를 단단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원형점토대를 누르는 과정에서 만들어지게 되었다. 삼각형점 토대토기와 공반되는 토기들은 여러 요소가 복합되어 등장하게 되었다. 삼각형점토대토기 문화의 등장은 철기문화의 영 남지역 확산과 관련된다. 삼각형점토대토기 단계에는 토기의 기종과 크기가 다양해진다. 이것은 생업과 조리법이 다양해졌다는 것인데 그만큼 생산력이 증대된 것을 의미한다. 잉여생산물의 증가는 ‘國’ 성립의 배경이 되었으며 이런 사회적 배경이 토기에서 기종과 크기의 다양화로 표출되었다. 기원전 1세기 와질토기가 등장하여 무덤에 부장되는데, 다호리유적에서는 기원후 1세기까지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부장 된다. 낙동강하류역의 생활유적에서는 기원후 2세기까지 사용되다가 적갈색 연질토기로 대체된다. 무문토기가 적갈색연 질토기로 대체되는 것이다.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시작은 본격적인 철기문화의 시작을 의미한다.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종말은 무문토기의 종말이다. 무문토기의 종말은 가내제작, 비전업적 생산체계라는 전통적인 생산체계의 종말을 의미한다.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종말 과 연질토기의 등장은 생활토기까지 회전판과 타날기법이라는 새로운 제도술에 의해 제작된다는 것이고, 그것은 구시대 의 종말,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의미한다.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is the last type of plain-pattern. In the Yeongnam region, it appeared at the end third century~middle second century B.C. Triangular clay stripes themselves were made in the process of pressing round ones to solidify the adherence of clay bands. Many different elements made complex appearances in the pottery that accompanied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the emergence of whose culture was related to the spread of the iron culture in the Yeongnam region. Pottery at the stage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became diverse in terms of type and size, which meant that the methods of occupation and cooking also became diverse based on the increased productive capacity. The increase of surplus products became the background of founding a “Kuk(國)”, and this social background was manifested in the diversification of pottery in type and size. In the first century B.C., grey pottery appeared and was buried in tombs.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was buried in tombs at the Daho-ri relic until the first century A.D. It was used at the living relics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until the second century A.D. and replaced with reddish brown soft pottery. It meant that plain-pattern pottery was replaced with reddish brown soft pottery. The beginning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meant the beginning of the full-blown iron culture. Its end meant the end of plain-pattern pottery, which signified the end of the traditional production system that was home-based and non-full time. The end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the appearance of soft pottery meant that even life pottery was made in the new ceramic art involving a pottery wheel and the beating technique. It means the end of an old era and the opening of a new era.

      • KCI등재

        삼각형점토대토기 제작의 특성과 함의

        구숙현,이창희 호남고고학회 2023 湖南考古學報 Vol.73 No.-

        점토대토기는 구연부의 형태적 변이가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삼각형점토대토기는 점토대를 기벽에 붙이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부분에 따라 다양한 단면형태가 나타난다. 지금까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과정과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부족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유물의 면밀한 관찰과 제작실험을 병행하면서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기술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공정 내 제작기술은 매우 다양한 경우의 수가 있고, 제작자에 따라 채택 및 조합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삼각형점토대토기 제작의 특성에 접근할 수 있는 속성을 추출하였다. 사천 늑도유적과 광주 신창동유적을 대표유적으로 선정하여, 양 유적에서 출토된 삼각형점토대토기를 대상으로 분류·분석한 결과 규범성을 가지며 제작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정형성의 정도와 경향성 등 유적 간 상사성과 상이성이 도출되었다. 삼각형점토대토기 제작의 특성을 고찰하고 본질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제작의도’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의도에 따라 구연부에 허용된 형태적 자율성은 제작기술의 다양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또한 제작행위의 전승 및 학습, 제작자 간의 상호작용 등의 정도에 따라 제작자 개개인을 아우르는 집단별 경향성으로 드러난다. 이것이 삼각형점토대토기 제작의 특성이며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본질적 성격을 정의하는 배경이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야말로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출현에 대해서도 새로운 시점(視點)으로 해석해 낼 수 있는 시점(始點)이 된다.

      • KCI등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장지현 ( Jihyoun Jang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최근 호남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문화 단계의 주거지, 수혈유구, 구상유구 등 생활유적에 대한 조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유적과 출토유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본고에서는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출토유물, 주거지의 구조적 특징,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값 등을 통해 크게 Ⅰ·Ⅱ·Ⅲ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먼저, Ⅰ기(기원전 5세기 전반~기원전 4세기 후반)는 A유형의 주거지에서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데, 점토대토기문화와 재지의 송국리문화가 만나는 시기로서 유적은 호남의 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Ⅱ기(기원전 3세기 전반~기원전 2세기 중반)는 점토대토기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기로서 A유형 의 주거지도 확인되나 B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게 된다. II기의 취락은 대부분 해발고도 34m 미만의 낮은 구릉 정상부나 사면 또는 말단부에 입지한다. 또한 대부분 2~5기 정도의 주거로 구성된 소규모 취락의 양상을 보이고, 전북 내륙지역, 특히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유적이 밀집·분포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조합 식우각형파수부호, 두형토기, 삼각형석촉 등이 확인되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유적도 일부 등장하기 시작한다. Ⅲ기(기원전 2세기 후반~기원후 2세기 전반)에는 C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며, 광주를 비롯한 영산강 유역에 취락이 밀집·분포한다는 점에서 II기와 대조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가 극히 소량으로 확인되고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비중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조합식우각형파수 대신 우각형이나 봉상형파수로 대체되며, 경질무문토기가 다수 공반되고 두형토기의 출토율이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시루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the Honam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 I, II, and III -- on the ba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s, stylistic observations of the excavated artifacts, and radiocarbon dating. In Phase I (early 5th to late 4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with circular bands emerged. This was the period in which the indigenous Songguk-ri culture first encountered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Phase II (early 3rd to mid 2nd century BC) witnessed the rapid spread of the Clay-strip Pottery culture across the Honam region. Villages are mostly located on low hilltops and slopes lower than 34 meters above sea level, are small-scale with only 2-5 houses, and are densely distributed in inland Jeollabuk-do. Artifacts of this phase include assembled cow-horned jars, mounted dishes, triangular stone arrowheads as well as clay-stripe pottery with either circular or triangular bands. In Phase III (late 2nd century BC to early 2nd century AD), villages were densely distributed along the Yeongsan River around Gwangju. The ratio of clay-stripe pottery with triangular bands increased. The amount of hard Mumun pottery also increased and assembled cow-horned jars were replaced by simple cow-horned or rod-handled jars. Steamers also began to appear in Phase III.

      • KCI등재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유입과 그 변화

        김규정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5 No.-

        만경강유역은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가 가장 융성했던 중심지로써 대규모 군집묘와 여러 유형의 분묘가 조사되었고, 다양한 청동유물과 이른 시기의 철기가 출토되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는 원형과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모두 확인된다.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대에서는 대규모 군집묘와 함께 祭儀와 관련된 수많은 溝들이 조사되었지만, 생활유적인 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점토대토기문화기 분묘가 가장 많이 조사된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원은 이른 시기의 점토대토기문화는 확인되지만, 만경강유역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송국리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송국리문화가 확산될 당시 혁신도시 일원에는 이미 점토대토기문화 집단이 선점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 유입 시기는 방사성탄소연대와 주거지 출토 유물로 볼 때 적어도 기원전 5세기 원형점토대토기가 처음 유입되어 송국리문화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일정기간 공존하다 점토대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원천·조촌천 일대에 대규모 (목관)토광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면서 만경강유역의 중심문화가 송국리문화에서 점토대토기문화로 대체된다. 기원전 2세기에는 준왕의 남천을 계기로 철기가 유입되면서 송국리문화는 완전히 소멸하고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하여 만경강유역에서 점토대토기문화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그 중심이 서남해안지역과 영산강유역으로 옮겨간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경남고성지역 청동기시대문화와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태동(胎動)

        심봉근 ( Sim Bong-geun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6 文物硏究 Vol.- No.29

        고성은 삼한시대 고자미동국의 중심지이며 그 태동기 문화는 고성지역 청동기 시대 후기와 삼한시대 초기의 고고학 자료를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태동기는 시기적으로 기원전 300년경 전후로 추정된다. 청동기시대 문화는 송국 리형 주거지 단계의 주거지, 지석묘, 환호, 마제석기 등이 주목되며 무선리와 율 대리 주거지와 환호, 함께 출토된 무문토기와 삼각형석도는 후기후반 자료로 평 가된다. 석관묘는 고성에서 이른 시기에 해당되는 묘제 중의 하나로서 가장 선행 하는 문화요소이고 마제석검은 청동기시대 해석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지만 전세 기간이나 재생해서 사용하는 경우 절대연대 추정에 장애가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삼한시대 초창기를 대표하는 유물은 한국식동검과 다뉴경, 원형점토대구연토기, 흑색장경호 등이다. 고성에서는 고성읍 성내리와 송학리 수 혈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와 함께 일본에서 중기로 편년하는 야요이식토기기가 출토되어 원형점토대토기 보다는 한 단계 늦은 시기의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고성에서는 고자미동국 초창기에 해당하는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유적이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이 하나의 극복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자료 증가를 기다릴 수밖에 없지만 청동기시대 무선리의 송국리 단계와 삼한시 대 성내리 삼각형점토대구연토기 사이에는 원형점토대토기 존속기간 정도의 일 정 공백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접한 사천 방지리에서는 원형점토대토기 단계, 원형점토대와 삼각형점토대토기 중복단계 그리고 삼각형점토대구연토기 단계로 시기 구분이 가능한 복합생활유적이 최근 발견되었다. 고자미동국의 태동 기에도 방지리유적과 마찬가지 단계를 거친 해당유적이 위치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심지도 청동기시대 율대리에서 삼한시대에는 성내리나 송학리가 있는 현 재의 고성읍내로 옮긴 것으로 짐작된다. 하이면 석지리 출토 동검과 하일면 송천 리 솔섬 석관묘와 철검, 무문토기, 회백색 연질 주머니호는 삼한시대 전기에 외곽 지역에도 청동기시대에 이어서 재지주민들이 정착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자료이다. 그리고 고성읍 동외동패총에서 수습된 청동기와 토기 등 국제성을 가 진 유물은 신문화 충격에 대한 흡수나 기온변화에 따른 재지주민들의 대응책을 반영한 결과물로 해석된다. and its culture during the quickening period can be identified only through archaeological materials during the late Bronze Age and early Samhan Period in Goseong Area. And the quickening period is estimated to be around 300 BC in time. In the Bronze Age Culture, polished stone tools, dolmens, moat, residence of the Songgok-ri type residence stage are highlighted and Museon-ri and residence, moat, patternless earthenware and triangular stone blade excavated together are evaluated as late materials. As one of types of tombs used in the earliest time in Goseong, a stone-coffin tomb is a preceding cultural element and a stone dagger is the material to help interpret the Bronze Age but its disadvantage is to present an obstacle to estimating absolute age when used through recycling or during Jeonse Period. As everyone knows, artifacts that represent the early Samhan Period include Korean type dagger and geometric-design bronze mirror, round clay stripe double-rimed pottery, long-necked pottery etc. In Goseong, Yayoi-style pottery chronicled as the first half of mid-term in Japan with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in Goseong-eup Seongnae-ri and Songhak-ri pit, indicating those are one stage later than round clay-stripe pottery. Therefore, no remains where round clay-stripe pottery corresponding to the early days of Gojamidongguk is excavated in Goseong have been identified so far and it may be one of the challenges to overcome. There is no choice but to wait for future growth of data bu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ertain gap as long as round clay-stripe pottery duration between Songguk-ri stage of Bronze Age Museon-ri and Seongnae-ri triangulated clay-stripe double-rimed pottery during the Samhan Period. In adjacent Sacheon Bangjiri, complex life remains were discovered recently and periods can be classified into round clay-stripe pottery stage, round clay-stripe and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duplicate stage and triangulated clay-stripe double-rimed pottery stage. The remains passing through the same stage as Bangjiri ruins are determined to be located also in the quickening period of Gojamidongguk. Also, the center is guessed to have been moved from Yuldae-ri during the Bronze Age to current Goseong-eup where there is Songhak-ri or Seongnae-ri during the Samhan Period. Bronze daggers excavated in Hai-myeon Seokji-ri and light gray soft pocket-shaped jars, patternless earthenware, iron swords and stone coffin tombs in Hail-myeon Songcheon-ri Solseom are the materials telling that local residents also settled in rural areas in the early Samhan Period following the Bronze Age. And remains with the internationality such as bronzeware and earthenware collected in Goseong-eup Dongoe-dong shell mound are interpreted as the result reflecting the response of local residents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or absorption of the new culture shock.

      • KCI등재

        중부지방 원삼국 초기 토기문화의 계통

        유은식 중부고고학회 2022 고고학 Vol.21 No.3

        이 글은 중부지방 원삼국 초기 토기의 계통과 사용 집단의 성격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중부지방 원삼국 초기 토기의 원류 및 기원지로 지목되고 있는 북한지역을 서북한지방, 압록강 중상류지역, 동북한지방으로 구분하여 청동기 후기∼원삼국 초기의 토기문화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점토대토기와 타날문토기는 서북한지방과 압록강 중상류지역에 한정되어 출토되며, 기원전 1세기 무렵에는 동북한 북부지역을제외하고 전역으로 확대된다. 특히 대동강유역의 화분형토기는 동북한 남부지역(함흥 일대)에서 확인되지만, 인접한 서북한 북부지역(청천강 이북지역)에서 출토되지 않는 점이 주목된다. 중부지방 원삼국 초기의 토기는 기술유형과 계보가 다른 삼각형점토대토기, 화분형토기, 경질무문토기가 출토된다. 삼각형점토대토기는 원형점토대토기에서 계기적으로 변화한 것이고, 화분형토기는 기원전 1세기무렵에 서북한 남부지역에서 남하한 것으로 보았다. 경질무문토기는 크게 두 가지 계보 관계로 정리되는데, 서해안지역의 경질무문토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가 홑구연화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지만 영서·영동지역의 경질무문토기는 동북한 북부지역의 토기문화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동부지역의 재지계 토기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지계의 삼각형점토대토기와 한식계(漢式系) 분형토기가 공반된 운북동 유적군은 기존 이해와 달리 서북한 북부지역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여지가 많다. 화분형토기가 공반되는 대성리B지구 유적군은 서북한 남부지역에서 이주해온 집단으로 북한강유역 일대를 한시적으로 점유한 것으로 보았다. 중도유형문화는 동북한 북부지역의 중심으로 한 재지계 토기문화에 서북한지역의 문화요소들이 수용·융합된 것이며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고고문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alogy of earthenware types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using them.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has divided the North Korean region that is pointed out as the source and origin of earthenware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Proto-Three Kingdoms into the west North Korean region, the middle and lower Yalu River area, and the northeast region and then investigated the changes of earthenware culture from the late Bronze Age to the early period of the Proto-Three Kingdoms. Clay stripe pottery and beating patterned pottery are excavated only in the northwestern region and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Yalu River, and around the 1st century BC, they were expanded to the entire area except for the northern region of east North Korea.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pot-type pottery in the Daedong River basin is found in the southern region of east North Korea (the area of Hamheung) but is not excavated in the adjacent northern region of west North Korea (north of the Cheongcheon River). As the types of earthenware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Proto-Three Kingdoms, there are triangulated clay stripe pottery, pot-type pottery, and hard plain pottery of which type of technique and genealogy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riangulated clay stripe pottery was changed from circular clay stripe pottery instrumentally, and pot-type pottery is considered to have descended south from the southern part of west North Korea around the 1st century BC. Hard plain pottery can be arranged largely with two genealogical relations. Hard plain pottery in the west coast appeared in the process of Hotguyeon of triangulated clay stripe pottery whereas hard plain pottery in Yeongseo and Yeongdong areas is estimated to be Jeji-gye pottery grounded on earthenware culture in the northern area of east North Korea. Lastly, unlike the previous understanding of it, Unbuk-dong Archeological Complex where Jaeji-gye triangulated clay stripe pottery and Hansik-gye salver form pottery have been excavated has a lot to be investigated in terms of its relations with the northern area of west North Korea. Regarding Daeseong-ri District B Archeological Complex where pot-type pottery has been found, the group of Nakrang-gye people who migra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west North Korea is considered to have temporarily occupied the area of the Bukhan River basin. Jungdo type culture is a type of archaeological culture that has been establish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Jaeji-gye earthenware culture formed around the northern area of east North Korea was accepted and integrated into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west North Korean region.

      • KCI등재

        서울·경기지방 점토대토기문화 試論

        박진일 중부고고학회 2006 고고학 Vol.5 No.1

        우리나라의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에 대해 한강유역 혹은 대동강유역에서 발생했다는 주장이 있었다. 하지만 원형점토대토기와 두형토기 등 출토유물의 유사성과 주거지, 노지의 구조로 보아 원형점토대토기문화는 중국요령 일대에서 파급된 것으로 보이며, 등장 시기는 최근 축적되고 있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치와 유물상을 고려하면 기원전 5세기경으로 볼 수 있다. 서울·경기지방은 이런 점토대토기문화가 한반도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정착된 곳으로, 파수의 형태와 유구석부·삼각형점토대토기의 공반을 근거로 네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4기부터는 철기가 함께 출토되며 하한은 파주 선유리에서 채집된 漢鏡片으로 미루어 보아 기원전후한 시점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강유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분묘에 부장되는 청동기 등으로 미루어 보아 호서·호남지방의 집단보다 성공적으로 재지사회에 적응하지 못하였으며, 철기문화가 등장한 이후에도 이 지역에서 주도적 위치를 점하지 못한 채 재지사회에 동화되어 간 것으로 보인다. The past days, several studies claimed that the culture of the bowl with round clay stripes of Korea had been born near Han river or Deadong river. However, mounted dishes and the structure of settlement or fireplace provide evidence to believe that the culture had evolved from Liaoning area of China. Also, judging from radiocarbon dating and complex of remains, this culture had sprouted since 5th B. C. The culture of the bowl with round clay stripes rod been settled for the first tim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n the basis of the form of handle of pottery, combination of the grooved-adze and bowl with triangle day stripes, the entire period of the culture of the bowl with clay stripes is divided into four major time periods. Among these time periods, iron ware in addition to day remains are observed from the last time period; a piece of Han mirror(漢鏡), found in Seonyu-ri Paju, offers the clue that the fourth time period was slightly before or after B.C. However, the evidence such as bronze ware buried in tombs tells us the culture of the bowl with round day stripes near Han river had failed to successfully adapt itself to the existing society. After the advent of iron ware culture, this culture seems to have merged to this new types of culture instead of dominating the respective area.

      • KCI등재

        郡谷里貝塚의 年代와 ‘경질무문토기-타날문토기’ 小考 -영남고고학의 입장에서-

        이창희 영남고고학회 2014 嶺南考古學 Vol.- No.68

        Kunkok-ri shellmound and Neuk-do shellmound are representative sites which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excavated in South Korea. Kunkok-ri shellmound became the standard of the chronology in Honam area, because layers are deposited for the continuation. Furthermore,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the Tanalmun pottery were excavated together, unlike Neuk-do shellmound. I gathered bones of deer and wild boar as sample and measured in radiocarbon dates to estimate the calendar date of Kunkok-ri shellmound. I understood that Tanalmun pottery appeared A.D.2c from result of radiocarbon dating in Kunkok-ri site. It had been recognized that Kunkok-ri and Neuk-do sites were parallel in terms of time, but it was revealed that Kunkok-ri site was formed after Neuk-do site. The various names of pottery by areas are a serious hindrance in the integrated study between different areas at this time. I clearly arranged names of the pottery and put up a pillar to recognize commonly in the South sea-coast. With that in mind, I grasped regionality and its cause to appear while taking place of the Tanalmun pottery/Yeonjil pottery from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estimated the date of turning point.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위치하는 군곡리패총은 사천 늑도패총과 더불어 삼각형점토대토기를 지표로 하는 양대유적이다. 늑도패총과는 달리 삼각형점토대토기부터 타날문토기에 이르기까지 층위적으로 연속하고 있어, 호남지역 일상토기 편년의 표준유적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토기의 역연대는 최근의 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을 둘러싼 격론(김장석 2009; 이동희 2010)에서 나타나듯이, 아직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필자는 군곡리패총의 각 기층별(Ⅰ~Ⅴ기층)로 해양리저버효과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없는 사슴과 멧돼지뼈를 복수로 채취하여 탄소14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Ⅱ기층에서 출토된 화천의 연대(A.D.14~40)와도 정합적이었으며, 타날문토기는 2세기에 출현하는 것을 알 수있었다. 또한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유행하던 시기의 늑도와 군곡리유적은 병행관계에 있던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늑도유적보다 후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군곡리패총의 탄소14연대는 비단 패총 자체의 연대를 추정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늑도와 군곡리유적을 중심으로 동서 교차편년을 확립할 수 있으며, 남해안 각지에 분포하는 일상토기의 편년틀을구 축할 수 있다. 나아가 남해안지역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연질토기 전환기에 나타나는 지역색 및 그 원인을 파악하고, 연대를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삼각형점토대토기/연질/와질/도질토기’와 ‘경질무문토기/타날문토기’로 대표되는 동서의 용어차이에서 비롯된 지역간 통합적 연구의 난관을 해소하기 위함으로, 영·호남에서 공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는 중부지역의 중도식토기 및 타날문토기와도 관련 깊은 사안이다.

      • KCI등재후보

        영남지역 三角形粘土帶土器의 성격

        李在賢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4 新羅文化 Vol.23 No.-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which appearanced with typical iron using in Youngnam region, had established by combination of the local Songukri type pottery together with myeongsari type pottery and rounded clay-stripe pottery, had formed the typical type during the end of B.C. 2C~the beginning of B.C. 1C. And then,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ies unearthed in the wooden-coffin burial had passed with change of three phases, solitary→coexistence with gray earthenware→disappearance. However, in B.C. 2C, there had predominated with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ies in the settlement site, and been getting with reddish earthenware by disappearance of the native proprieties of plain coarse earthenware. Therefore, we should not determinate age up to B.C. 3C appearance of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ies by a justment based on only section type of clay-stripe or as before B.C. 1C equally solitary site were not with gray earthenware. It is appropriate to relate to cultural, geographical, environmental contexts for each sites in age decis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