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의 사회복지역사연구의 최근 동향과 연구방법

        오토모 마사코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9 사회복지역사연구 Vol.2 No.-

        본고는 1. 들어가며 2. 일본의 사회복지역사연구의 동향: 어떤 것이 연구되고 있는가? 3. 사회복지역사 연구방법: 관점‧틀‧이론 및 역사 데이터의 취급방법 4. 일본의 한국사회복지역사연구 5. 역사로 배우고 미래에 건다: 한국학술교류에 기대하는 것 등 5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근대 산업사회에 대응하는 호칭 으로 탄생한 ‘사회복지’란 복합적인 사회사상(事象)은 전근대에서도 ‘사회’에 있어 인간생활의 안정과 행 복추구를 영위하는 행위로서 그 역사를 따라갈 수 있다. 거기에는 사람들의 생활상의 효혜성, 부의 분배 구조가 있다. 또 일상적인 ‘사회’의 ‘복지=행복’을 추구하는 일과 행위에 대한 사람들의 의사와 신념은 가치와 이념, 나아가 사상으로 결집되어 발전해왔다. 오늘날 한국과 일본은 복지국가와 복지사회를 구축 하여 공통성이 높은 아시아문화권의 두 지역으로 함께 발전을 지향하고 있다. 나아가 사회복지전문직 및 사회복지학의 성립 등 사회적 상황에도 공통점이 있으며 관련 교육과 연구의 진전, 심화 등 직면한 공 통과제를 갖고 있다. 역사인식에는 각각의 주체, 즉, 국가와 정치정당, 지역사회 그리고 또한 가족과 개 인마다 다른 스토리가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역사적 스토리에 큰 차이가 있을 경우 혼란을 가져와 정 치적 문제로 전환된다. 우리는 양국의 복지사회의 진전을 공통목표로 사람들과 사회의 역사적 인식과 관 심에 과학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을 쌓아올리지 않으면 안 된다. The main subject is 1. Firstly, 2. The trend―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study of Japan, 3. The study method―point of view, frame, theory of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and historical materials, 4. Study of the Korean history of social welfare in Japan, 5. Hope for the academic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 and Japan have been built the welfare state and welfare society and aim at it’s development, and this 2 areas of East Asia have in common the cultural sphere. We have to make an effort for the progress of the welfare society of Korea and Japan together, and we must show to the people about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scientifically.

      • 한국 근대 민간사회복지 연구 동향과 과제 : 관련 저서를 중심으로

        이방원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0 사회복지역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한국 근대(1876-1945) 사회복지에 관한 심화된 연구서의 내용 분석 을 통해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대한 내용이 수록된 21종의 사회복지역사 개설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서구 중심의 선진국 사회복지 변화의 한 부분으로 한국의 사회복지 변천을 살펴보고 있어 한국 복지의 변천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 대상인 근대 민간복지 부분에 대한 서술은 한국 최초의 사회복지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구자헌의 한국사회복지사 이후 최근 출간된 사회복지역 사 개설서까지 서술 내용은 크게 발전되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각 저서에 소개된 민간복지 기관의 기 본정보가 잘못 서술된 것이 종종 눈에 띈다. 한국 사회복지역사 연구가 집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 용 보완 및 수정에 대해 앞으로 전면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관해 이전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차별되는 심화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 는 홍금자, 안상훈 외, 박정란, 오토모, 이방현 외의 저서 5개를 분석했다. 5종의 저서를 통해 한국 근 대 민간복지에 대한 시대구분 및 개관, 각 시기에 존재하였던 주체, 대상, 민간복지 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주요 기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활동의 내용과 그 평가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저자마다 활용 사료의 범주가 상이하고, 관점의 차이로 서술의 내용과 평가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앞으 로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주체별, 분야별, 지역별 연구가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져 연구자들 간에 존재 하는 차이의 간극을 메꾸어 나가고, 한국사회복지역사의 비어 있는 내용들이 채워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pening of the social welfare history and the in-depth research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1876-1945). First of all, the analysis of 21 types of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containing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in modern Korea showed that there was a limit to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welfare as it was part of the social welfare changes in advanced countries centered on the West. The description of the modern private welfare sec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greatly improved since Koo Ja-heon's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the first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book. It is also often noticeable that the basic information of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introduced in each book is misrepresented. In a situation that research on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is being concentra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pplementing and revising the contents. Next, five books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 written by Hong Keum-ja, Ahn Sang-hoon, Park Jeong-ran, Otomo, and Lee Bang-hyun which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were analyzed. The five books provided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and opening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subjects, and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that existed during each period, and detailed activities and evaluations of major institutions were read. However,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description and evaluation are seen due to differences in each author's perspective and each author using a different category of utilization feed. Through future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evaluation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by subject, sector, and region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