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시장의 사적변천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김청열(Cheong-Yeoul Kim),조대훈(Dae-Hoon Cho) 韓國經營史學會 2013 經營史學 Vol.65 No.-

        본 연구는 다양한 고고학 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어시장의 사적변천과 발전과정을 경제 · 경영사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먼저 어시장의 사적변천 과정을 시대별로 개괄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공동어시장(釜山共同魚市場)의 개설과 발전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어업과 어시장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개항과 함께 일본의 어업 및 상업자본이 우리나라에 진출하면서부터라고 할 것이다. 특히, 조일통상장정(朝日 通商章程)과 조일통어장정(朝日通漁章程)이 체결되면서 일본어민들의 어업활동과 어획고가 증가하게 되자 일부 일본인들이 자국어민이 획득한 어획물의 판매를 위해 어시장을 설립하기 시작했는데, 이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어시장은 부산수산회사(1889.8.5)가 운영한 부산어시장이다. 그런데 부산수산회사가 부산수산주식회사로 흡수 합병(1907.5.1) 되면서 부산어시장은 부산수산주식회사 어시장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다가 해방으로 우리나라에서 일본인이 철수하면서 부산수산주식회사에서 운영하던 부산수산주식회사 어 시장은 부산어업조합이 운영하는 중앙어시장으로 전환되었다가, 1956년 9월 10일부터는 어시장의 운영주체가 부산어업조합 등 5개 수산단체로 변경되었다. 부산에 현대적인 어시장의 설립이 추진된 계기는 미국의 대외 원조기구인 국제협조처 (ICA)의 원조사업 중 어시장 설립을 위한 미화 25만 달러가 배정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957년 3월 13일 부산종합어시장 설립계획이 확정되고 1958년 6월 5일 부산지역 수산단체를 중심으로 부산수산센터 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1960년 10월 8일 부산항 제1부두가 어시장 부지로 확정되고 1961년 6월 15일 기공식을 거쳐 1963년 11월 1일 드디어 부산항 제1부두에 대지 1만 4천m², 900톤의 냉동 위판장과 기타 시설을 갖춘 부산종합어시장이 개장되었다. 그러나 1966년 부산항종합개발계획에 따라 부산종합어시장을 현재의 남항으로 이전하는 계획이 수립된 이후 1971년 10월 이 전공사가 시작되어 1972년 12월 29일 준공식이 거행됨으로써 어시장의 남항시대가 본격화 되었다. 한편, 부산종합어시장은 수산업협동조합법의 개정(1970.10)에 따라 1971년 1월 20일에 부산공동어시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종전에는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 제27조 제1항의 단서조항에 의하여 예외적으로 위 사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었으나 1970년 10월 13일 동시행령 개정에서 단서조항이 삭제되면서 신설된 수산업협동조합법 제65조 제 6항의 ‘공동’으로 사업을 한다는 규정에 따라 이 자구(字句)를 삽입하여 어시장 명칭이 부산종합어시장에서 부산공동어시장으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2년 말 현재 부산공동어시장은 총부지 면적 64,274m², 연건평 66,195m², 위판장의 총면적 43,134m², 위판능력 최대 3,200톤/일, 접안선 1,016m, 그리고 냉동공장 6,629m², 기타시설 등으로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주요 사업은 위탁판매사업, 보관수송사업, 냉동·냉장·제빙, 급유·급수, 수산물가공처리 및 기타 공동시설 이용사업, 수산업자 및 종사원의 후생복리사업, 정부업무의 대행 및 보조에 의한 사업, 기타 부대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운영주체는 대형기선저인망수산업협동조합, 대형 선망수산업협동조합, 부산시수산업협동조합, 경상남도정치망수산업협동조합, 서남구수산 업협동조합 등 5개 수산업협동조합이 맡고 있다. It is presumed that in Korea, fishing began earnestly in the New Stone Age. In some remains of the New Stone Age in the country, dead bodies of many different marine creatures, most of which were shells, were found. In the Dongsam-dong shell mound, which is one of the most famous New Stone Age remains in this country, fish spears and harpoons made of stone were excavated. Other similar relics were discovered in most regions whose geographic conditions are good for fishing. Presumedly, it is the New Stone Age when fish and shells began to be exchanged in earnest in this nation. There was the stage of food gathering economics before ancient farming started. It is not possible to presume that in that stage, fish and shells were transacted.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in the stage, some people began to take farming their main job and others, fishing as agriculture developed and, accordingly, the two groups of people who respectively needed grain and fish and shells made exchanges by barter, though might be just a little. And the fact that obsidian from Kyushu, Japan was found in some remains of the New Stone Age in Korea makes it very probable that there were already international trades at that time. This country has numerous ancient records about local markets. A number of ancient literature such as 「Samgukji」, 「Samguksagi」,「Gyerimyusa」, 「Koryo Dogyeong」,「Koryosa」and many different true records of the Joseon period support that it is a long time ago in this country when people of this nation began fishing and formed markets for exchanging various kinds of fish and marine product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tried to comprehensively discuss the opening and development of the Busan Cooperative Fish Market from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econom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on the basis of review on the historic changes and developments of local fish markets with reference to a variety of archeological materials and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부산포(釜山浦)와 부산진성(釜山鎭城)의 공간적 위치분석

        심봉근 ( Sim Bong Keun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4 文物硏究 Vol.- No.25

        부산은 처음 富山으로 표기되다가 성종 즉위년 12월부터 同音異字인 오늘날의 釜山으로 되었다. 그리고 釜山이라는 명칭은『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각종 문헌에서 가마(솥)와 닮은 주위 산명에서 유래되고 그 아래에 釜山浦가 있다고 하였다. 釜山의 위치에 대해서는 동구 좌천동 뒷산인 甑山이라는 설이 대세를 이루는 것이 사실이지만 증산이라는 산명은 임진왜란 때 凡川甑山城(왜성)이 축조된 다음에 생긴 것으로 성종 초기부터 사용된 釜山과는 우선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다 하겠다. 이 부분에 대해서 각종 문헌자료를 통한 수치상 검토도 있었지만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또 증산설을 주장하면서 자주 인용하는 1643년 申濡의 「登釜山次螺山韻」의 “山勢亞如釜 城門臨水開…波濤拔地廻 使華留滯日 登眺共徘徊”라는 구절은 임진왜란 이후의 부산진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 임진왜란 이전의 진성과는 무관한 것이다. 오히려 도움이 되는 자료는 『海東諸國記』에 실린「東萊富山浦之圖」이다. 이 지도는 성종5년(1474)에 禮曹佐郞 南悌가 삼포왜호의 失火 내용과 항거왜인의 호구조사 결과를 함께 보고하면서 卷頭地圖에 첨가해서 올린 것이다. 지도에는 자성대공원과 범천하구를 중심으로 그 주변의 영청과 강, 산, 섬, 바다 등이 비교적 잘 묘사되어 있다. 특히 자성대공원 동북쪽의 見江寺, 동쪽의 照(?)月菴 그리고 그 주위 동천 하구까지 밀집된 건물배치, 동천교량과 다리 등은 임란 이전의 부산포를 묘사한 유일한 자료이다. 따라서 가마꼴 산 즉, 釜山 아래가 釜山浦라고 한다면 당시 부산포에는 현재의 자성대공원이 위치한 산 외에는 주위에 산이 없으므로 자성대공원이 곧 부산이라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1663년에 제작된 부산지역의 목장성지도에도 자성대공원 8부 능선과 그 아래 해안변에 각각 목책을 설치하고 그 주위 해안부에는 해자를 배치한 성곽을 표시하고 있는데 그 정상부에 묵서로 “釜山”이라고 표기하여 부산의 위치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고 있는 셈이 된다. 다음은 부산진성의 위치이다. 부산진성의 위치는 임진왜란을 경계로 그 이전과 이후로 지역이 구분된다. 즉 임진왜란 이전에는『해동제국기』에 영청으로 표기된 지금의 좌천동 봉생병원 북동쪽의 해안선에 근접한 계곡부나 저지대에 위치하였다고 생각되며, 현재 정공단은 북서쪽 경계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도에선느 대부분 정공단 위쪽의 증산 정상부까지 진성이 위치 하였던 것으로 표시하고 있어 수군진보 입지조건과는 맞지 않는 지형이다. 후대 에 제작된「부산진순절도」의 경우 증산에는 증산성을, 자성대공원 주위에는 성문을 포함한 성벽(후기 부산진성)을 각각 묘사하고 그 중간에 부산진성을 배치한 구도를 갖추고 있다. 선박이 집중한 해안선과 정상부 왜성, 그리고 해안의 성곽 등을 고려해도 전기한 예측과 대차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임진왜란의 발발로 부산성이 함락되고 왜인들이 좌천동 뒷산과 범일동 자성대공원 아래 해안선을 잇는 위치에 소위 범천증산성(왜성)을 축조하였다. 그러나 정유재란에서 패한 왜군이 물러가고, 조선에서는 범천증산성 가운데 해안부 자성대공원 주위의 왜성을 일부 수개축하여 부산진성으로 활용하였다. 왜관은 서쪽으로 이설되고 개운포진과 두모포진이 좌천동과 수정동으로 이설되었으며, 부산진성은 자성대공원 주위에 자리 잡게 된다. 「차路勝區圖」를 비롯해서 『眞宰畵帖』의 「永嘉臺圖」, 「朝鮮後期地方地圖」등에서도 하나같이 자성대공원 주위를 부산진성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부산진성의 평면이 일반적인 타원형이나 원형 또는 방형이 아니고 다각형인 것은 왜성을 부분적으로 이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자성대공원 주위의 성곽은 부산진성의 지성이 아니고 임진왜란 이후의 부산진성이 위치한 곳이라는 것을 분명히 해둔다. 종합해서 말하면 조선시대 富山의 原都心은 당시 富山浦가 위치했던 凡川(동천)하구의 현재 범일동 자성대공원 주위이다. 그리고 성종 초기 富山에서 釜山의 동음이자로 바뀐 유래가 된, 가마와 같이 닮은 釜山은 곧 자성대공원이 있는 산이다. 또 부산진성은 임진왜란 이전에는 좌천동 봉생병원에서 그 북동쪽 해안저지대에 위치하다가 훼손되고 정유재란 이후에는 현재의 범일동 자성대공원 주위에 위치하게 되었다. 따라서 부산의 원도심 재생 차원에서 현재 자성대라는 명칭은 본래대로 부산으로 복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Busan had been used to be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Busan(富山)”, but it has changed to “Busan(釜山)” since the first December under the rule of King Seongjong. According to many old documents including “Dongkukyeojiseunglam”, “Busan(釜山)” came from a cauldron-shaped surrounding mountain and Busanpo was located below it. Although the dominant view is that “Busan(釜山)” indicating “Jeungsan(甑山),” a hill located in Jwacheon-dong, Dong-gu, had been used after Beomcheonjeungsanseong Fortress(凡川甑山城) was constructed during Imjin War, it is not related to “Busan(釜山)” the name that has been used since the early King Seongjong period. Many numerical reviews were conducted on the relevant documents, but they weren`t a great help. In addition, the phrase “山勢亞如釜 城門臨水開…波濤拔地廻 使華留滯日 登眺共徘徊” of “Deungbusanchanasanun(登釜山次螺山韻)”, written by Shinyu in 1643, which has been widely cited for the Jeungsan theory, is useful material to understand Busanjin Fortress after Imjin War, but it is not relevant to the fortress before Imjin War. One of useful materials is “Dongraebusanpo map” of “Haedongjegukgi(海東諸國記)”. This map was attached to Yejojawrang(禮曹佐郞) Namje`s report for the fire of Sampoweho and the result of census of Japanese people living in Korea in the fifth year of King Seongjong(1474). The map is relatively well describing Youngcheong, rivers, mountains, islands and sea surrounding Jaseongdae Park and the mouth of Beomcheon. Especially, it is the only data that describes pre-Imjin War Busanpo including Gyeongangsa Temple(見江寺) located in the northeast of Jaseongdae Park, Jowalam in the east of it, buildings densely built around the mouth of Dongcheon and Dongcheon Bridge. Therefore, it indicates that Jaseongdae Park signifies Busan since there are no mountains, except the mountain in Jaseongdae Park, around Busanpo on the assumption that Busanpo is located below the cauldron-shaped mountain called “Busan(釜山)”. In addition, Mokjangseong Map made in 1663 showed that individual wooden fences were installed at Octuplicate Ridgeof Jaseongdae Park and the shore under it, and that the fortress with trenches was marked around the shore. “Busan(釜山)” is marked with Chinese ink on the top of it, which indicates the location of Busan again.Next is the location of Busanjin Fortress. The location of Busanjin Fortress is divided into the pre-Imjin War location and the post-Imjin War location.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Busanjin Fortress was located in the valley or the lowland adjacent to the coastline in the northeast of Bongsaeng Hospital on Jwacheon-dong which was marked as Youngcheong in “Haedongjekukgi” before Imjin War. The current location of Jeonggongdan would be the northwestern boundary. Although most of map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dicates that the fortress is located to the top of Jeungsan above Jeonggongdan, it does not satisfy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fortress of naval force. “Painting of the Battle of Busanjin Fortress” made later marks Jeungsanseong Fortress in Jeungsan and ramparts (Busanjin Fortress later) including the castle gate around Jaseongdae Park and shows Busanjin Fortress in the middle of it. It would be no difference with the prediction mentioned before, even considering the coastline crowded with vessels, Japanese fortress on the top and seaside fortress. Meanwhile, Japanese people constructed Beomcheonjeungsanseong Fortress (Japanese castle) in the hill of Jwacheong-dong and the coastline below Jaseongdae Park of Beomil-dong after Busan Castle had been fallen during Imjin War. However, since the Japanese forces who were defeated in Jeongyu War left, Jaseongdae was remodelled a part of Japanese castle in Jaseongdae Park which is in the middle of Beomcheonjeungsanseong Fortress and used it as Busanjin Fortress. Japanese residents were shifted to the west, and Gaeunpojin and Dumopojin were moved to Jowacheong-dong and Sujeong-dong. Busanjin Fortress was settled around Jaseongdae Park. The neighborhood of Jaseongdae Park is marked as Busanjin Fortress in Saroseungudo, Painting of Younggadae of Jinjehwacheop, Local Map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plane of Busanjin Fortress is polygonal instead of oval, round or square is the result of partial use of Japanese castle.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current rampart around Jaseongdae Park is not a small castle of Busanjin Fortress but the location of Busanjin Fortress after Imjin War.In other words,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富山) in the Choseon dynasty is the neighborhood of Jaseongdae Park of Beomil-dong at the mouth of Dongcheon which used to be the location of Busanpo. Moreover, the cauldron-shaped mountain Busan(釜山), the name changed from Busan(釜山) in the early King Seongjong period, is the mountain where Jaseongdae Park is located in. In case of Busanjin Fortress, it used to be located in the northeastern coastal lowland of Bongsaeng Hospital on Jwacheon-dong before Imjin War and its location changed to the current Jaseongdae Park on Beomil-dong after Jeongyu War. Hence, it is desirable that the current name “Jaseongdae” should be changed to Busan, its original name, in terms of restor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

      • KCI등재

        부산지역의 소설과 매체에 관한 고찰

        정미숙(Jeong Miso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1

        이 논문은 부산지역 소설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지역문학 매체와 연관시켜 문학활동의 장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문학 활동의 장은 흔히 문단이라고 지칭되기도 하는 데 장을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문인, 문인단체, 매체라 할 수 있다. 부산 지역 소설 흐름과 매체 규명을 위해 1. 부산지역 소설의 발흥기와 이인 문단시대 2. 부산지역 소설가와 활동매체 3. 부산지역 소설의 중흥기와 매체 정체기 순서로 살펴보고자 한다. 1. 부산지역 소설의 발흥기는 요산 김정한과 향파 이주홍이 주축이 된 이인 문단 시대라 부를 수 있다. 요산과 향파의 초기 소설 발표는 중앙지 중심이었다. 「사하촌」 (1936, [조선일보])으로 등단한 요산은 [조선일보][조광][전선][한일신문][경남 공론]등 중앙지 중심에서 중기로 넘어서면서 지방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발표한다. 향파는 「가난과 사랑」(1929, 조선일보)으로 등단한 이후에 잘 알듯이 여러장르에 걸쳐 작품을 발표한다. [조선일보][여성지우][조선문학][중외시대][동 양지광][야담]그리고 [부산일보][태양신문]등 다양하다. 두 사람의 초기 명성은 중앙지에서 먼저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해방과 더불어 해방의 열기를 반영하고 새로운 민족국가를 만들기 위한 발언들을 담아낼 매체들이 부산지역에도 등장하게 된다. [인민해방보][대중신문][민주중보][전선][중성(衆聲)][자유민보][부산신문][문예신문][부산일보]등의 신문과 잡지가 그것이다. 한국전쟁으로 부산 지역문학이 두터워진 것이 사실이다. 두 번의 임시수도라는 위치에서 많은 문화예술가들이 한꺼번에 몰려든 형국이지만 휴전과 더불어 이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부산문단은 다시 전형기를 맞게 된다. 부산지역 소설의 발흥기가 완성되는 것은 윤정규의 등장으로 평가할 수 있다. 3. 1980년대에 부산소설가협회가 설립되고 다양한 매체로 등단한 회원의 대거 유입된다. 현재 전체 회원이 75명을 넘어섰으나 그들을 수용할 부산 소설 매체는 빈약하다. 부산문인협회의 기관지가 계간지 [문학도시]로 거듭난 것은 1995년이다. 1997 년 창간된 작가사회는 반연간지로 부산작가회의 기관지로 출발하여 현재까지 계간지 [작가와 사회]로 발간되고 있다. 2002년에 소설전문 계간지 [소설마을]이 창간된 바 있으나 곧 폐간되고 2007년에 창간해 오늘에 이르고 있는 계간지인 [좋은 소설 ]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해양문학가협회의 [해양과 문학]도 2003년 창간된 이래 해양소설을 싣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novels in Busan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ry activities by linking them with regional literary media. The chapter of literary activity is often referred to as a paragraph, but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chapter are largely literary, literary,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w of novels in Busan area and the media. First of all, the origins and mediums of the novels in Busan can be called the Jaejoen and Gyungpa Lee Joo-Hong literary period. The early novels of uric acid and oriental herb were centered in the central region. Josan (1936, Chosun Ilbo ), which has been in the middle of the central region, including Chosun Ilbo, Chohwang, Frontline, Hanil Newspaper, and Kyungnam Public Comment, . The incense maker announces his works in various genres as he knows well after his debut as Poverty and Love (1929, Chosun Ilbo ). Chosun Ilbo , Women s Zoo , Chosun Literature , Chugoku era , Oriental Landmark , Yadam , Busan Ilbo and Sun newspaper . The early reputation of the two men was first established in the central area. 2. With the liberation, media to reflect the heat of liberation and to create a new nation-state will appear in Busan. Newspapers such as People s Liberation Guard , Popular Newspaper , Democratic Intermediate , Frontline , Neptune , Freedom Minbo , Busan Newspaper , Literary Newspaper And magazines. It is true that the iterature of Busan was thickened by the Korean War. In the two temporary capital cities, many cultural artists are flocking together, but with the truce, as they descend like ebb tide, the Busan paragraphs are again hit. The completion of the boom of the novel in Busan can be evaluated by the appearance of Yun Jung Kyu. 3. The Busan Novelist Association was founded and the number of members who came to the various media increased so that the total number of members exceeded 75, but the Busan novel media to accept them were found to be poor. It was in 1995 that the Bronze Association of Pusan Association became the literary city of the periodical. The Writers Society, which was launched in 1997, has been published as a quarterly journal since the Busan Writers In 2002, a novel magazine novel village was launched, but it is followed by good novel which is a quarterly magazine which was launched in 2007 and is now closed. The Oceanographic and Literary Society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aritime Literature has also launched marine novels since its inception in 2003.

      • KCI등재

        구체제의 읍치 동래와 식민도시 부산진으로의 분화와 통합 : 부산의 근현대와 새로운 지역연구 성과

        손숙경 ( Son Suk-kyung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3 No.-

        이 연구는 부산의 근현대의 특성에 주목하여 부산의 근현대 형성의 배경과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역사상에 대한 새로운 경험적 연구 대신 이와 관련된 중요 연구 성과와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부산의 근현대는 1876년 개항 이후 부산진 일원이 식민도시 부산으로 변모하여 구체제의 중심지인 동래와 나누어진 후 해방 이후 양자가 부산으로 통합하여 한국 제 2의 도시로 성장하는 역사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단순히 제 2의 도시라는 위상을 넘어서서 부산이 해양 문명과 만나는 중요한 역사적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이다. 부산지역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면에서 많은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었다. 그럼에도 부산의 근현대 형성의 의미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새로운 논의와 대화가 필요하다. 먼저 동래지역에 하나의 사회 집단을 형성한 무임들에 대한 연구 성과는 한국사에서 주변부 지역의 인간집단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그렇지만 이 지역에 설치된 군사기지인 水營에 속했던 무임과 이서집단들에 대한 연구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동래지역의 무임 및 이서집단과 수영, 釜山鎭 소속의 이들 집단은 상호 연동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조사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못한 수준이다.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면 근대 이후 부산의 형성에 또 다른 배경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의 근현대 형성은 1876년 개항 이후 구읍치 동래로부터 주변부 지역인 부산진이 중심이었다. 부산진을 중심으로 초량 등지에 인구가 집중되고 상공업이 이루어지면서 식민도시가 형성되었다. 식민도시 부산의 형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부산지역에 최초로 근대병원이 세워진 사실과 이 지역 기독교와 상공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의 관점에서 근현대의 형성을 논의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식민도시의 성장과 배후지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변화의 수준이 늦은 지역에 대해서 시선을 확장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개항 이후 새로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배후지 향반의 중요한 경제적 동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발굴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이 계속 이루어지면 부산의 근현대의 모습을 한층 더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부산의 근현대의 형성과 특성을 몇 개의 주제에 집중하여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한 지역이 만들어가는 근현대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데 지역의 시점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reveals background of formation of modern-contemporary Busan and its meaning by focusing on a characteristic of modern-contemporary of Busan. For this research, instead of new experimental research about history of Busan, research discussed major research outcomes about Busan’ history and its problem. Busan’s modern-contemporary was differentiation of Busanjin from Dongnae, a center of old regime, as colonial city, and development of Busan to second city of Korea, after integration of both city follow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Busan was not only second city of Korea, But also played an important historical role of meeting with marine civilization. Plenty of researches about Busan has been accumulated in various aspects. Nevertheless, We still need new discussion and conversation about the meaning of formation of Busan’s modern-contemporary era. First, research outcome about military, which formed a social group in Dongnae, shows new historical images about Busan and suggests a new point of view about human groups of suburb area in Korean history. But the research outcomes about military belongs to Sooyoung, which was navy base founded at Dongnae, and clerk groups is few. Military and clerk groups were mutually related with these groups in Sooyoung and Busanjin, but research about this fact are not quiet enough. If research about this fact are advanced, it can suggest another background of formation of Busan after modern times. Next, the center of modern-contemporary formation of Busan was Busanjin, which was suburb of anceint county seat, Dongnae. Centering around Busanjin, population was concentrated on and commerce and industry was started in Choryang and like places. Despite various research outcomes about formation of colonial city Busan, the researches about the fact that the first modern hospital was established in Busan and relation between local christianity and commerce are insufficient.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e need of discussion about formation of modern contemporary in the view of local. Also, widening up views to areas, which had low level of development in spite of development of colonial city and extension of hinterland, will be needed. Finally, Because cases that show economical trend of local elites of hinterland who responded actively to changes after opening a port are being discovered, If these works are continuous,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shape of modern-contemporary Busan in deeper level. This research centrally discussed about research outcomes about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contemporary Busan focusing on several subjects. By this research, a writer emphasized a view of local area on looking into a subject about what is modern-contemporary era made by one local area.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skyungson@hanmail.net)

      • KCI등재후보

        부산 1세대 서양화가 우신출 연구 -풍경화를 중심으로-

        이수현 ( Lee Sue-hyun ) 동아문화재단 2020 文物硏究 Vol.- No.37

        丹光우신출(禹新出, 1911~1991)은 부산지역 초기 서양화단을 대표하는 서양화가이다. 부산에서 서양화를 체득한 그는 부산 최초의 동인전 경남미술회를 시작으로 춘광회와 경남미술교육연구회, 후기전 등을 참가하며 화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한국전쟁기에는 종군화가로서 전쟁의 참상을 기록하였고, 전쟁후에는 13번의 개인전을 통해 끝없는 창작활동을 펼치며 부산화단의 맥을 이어 나갔다. 한편, 그는 생애 전반에 걸쳐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풍경화를 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아무리 악랄한 침략자도 향토의 풍물까지 떼어가겠느냐는 생각을 기저로 자연을 소재로 한 그림을 계속해서 그린 것이다. 따라서 본 논고는 우신출의 화가로서 생애와 풍경화를 대상으로 그의 화풍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종래 구체적으로 연구된 적이 없는 부산 1세대 화가 우신출의 화업 전반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사실을 기반으로 제작된 그의 풍경화는 소재 및 화풍을 기준으로 볼 때 시대별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1930년대에는 근대적 소재가 다수 발견되며, 전반적으로 인상주의 경향을 답습하고 있지만 표현주의 특징이 정형화되지 않은 채 혼재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1940년대 들어서자 전근대적인 향토적 소재가 새롭게 등장하며, 일본의 관전풍 아카데미즘을 따르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산의 일상적 풍경을 주제로 점묘적 특징이 가미된 새로운 풍경화로 전개된다. 즉, 40년대 보이던 향토적 소재의 연장선상에서 60년대는 일상적 풍경으로 확대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처럼 부산의 발전과 변모과정 속에서 화풍의 변화를 거친 우신출은 부산화단에서 크게 두 가지 역할을 지닌다. 첫째, 1930년대 초기 부산화단에서 활동한 작가들의 남아있는 자료는 매우 희소하여 당시 상황을 살펴보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런 가운데 부산 근·현대를 관통하는 우신출의 생애를 추적함으로써 부산근대미술의 형성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사례로써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경남미술교육연구회와 일요화가회를 통해 일반 시민들에게 보다 쉽고 친숙하게 미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미술대중화에 일조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의 사회적, 대중적 성장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서양화가 우신출은 부산미술사에 있어 주목해야 할 인물로 그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Dankwang(丹光) Woo Shin Chul(禹新出, 1911~1991) is an artist of Western painting representing the original Busan painting circle. As non-being studied abroad, he was accepted for a major competition without systematic education on Western painting and stood shoulder to shoulder with the mainstream painters of Busan painting circle of the day. Not only, as a painter, he carried out flourishing activities as leading various group exhibitions centered on Busan area, but also he spent his effort to educate juniors as working in teaching profession for 40 years. Meanwhile, he produced his landscapes of the whole place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Busan city throughout his life. Woo Shin Chul, who lived a life through modern and contemporary Busan as a painter, has two significances in the Busan painting circle. First, he led the original Busan Western painting circle in 1930s. Although he could not go to study abroad on account of difficult family reasons, he completely learned modern art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ester paintings in Busan. Therefore, it was able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original Busan painting circle through the process of Woo Shin Chul acquiring Western paintings. Second, he led the popularization of art in Busan. He took the initiative in the popularization of art as teaching art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Gyeongnam Art Education Research Society and the Sunday Artists’Club.

      • KCI등재

        (기획논문) 1980~90년대 부산 기업의 역외이전

        김대래 ( Dae Rae Kim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6 항도부산 Vol.32 No.-

        본 논문은 1970년대 말 이후 부산에 입지하였던 기업들의 역외이전에 관한 것이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1980년대 이후 부산경제 침체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지만, 정작 이전의 실태에 관해서는 거의 분석이 없었다. 그러한 연구상의 공백을 메움과 동시에 기업이전의 영향과 의미에 관해 파악해 보려고 하였다. 부산의 기업이 역외로 이전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였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과잉성장의 결과였는데, 부산이 감당할 수없는 속도로 팽창하면서 과잉성장 도시의 한계가 드러났기 때문이었다. 인구의 증가는 주택수요의 증가와 함께 지가상승을 가져왔고, 공업용지의 고갈은 기업의 투자를 저해하였다. 더욱이 부산은 서울과 함께 성장억제도시로 지정되면서 부산 역내에서의 공장 신·증축에는 높은 지방세가 부과되었다. 이러한 상황의 복합적인 결과로 1970년대말부터 부산의 기업들은 역외로 떠나기 시작하였다. 부산에서 상대적으로 비싸진 토지를 팔고 대신 부산 외곽지역에서 싸고 넓은 용지를 찾아 떠나는 것이 역외이전의 핵심이었다. 부산의 지가를 인근지역보다 낮추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윤극대화를 위해 입지를 결정하는 기업의 행동을 규제하기는 어려웠다. 용지의 확보가 이전의 가장 핵심적인 원인이었다는 것은 실태조사에서도 밝혀졌다. 부산을 떠난 기업들은 주로 대부분 양산과 김해에 자리 잡았다. 부산의 주력업종인 기계금속과 화학고무업종 등 주력업종 업체들이 역시 많이 이전하였다. 그리고 기업규모가 클수록 먼저 이전하였다. 1980년대까지 이전기업 숫자 자체는 많지 않았지만 정작 큰 기업들은 이 때 많이 이전하였다. 이전업체수가 급속히 증가한 것은 1990년대 이후였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체도 이전하기 시작하였다. 그와 함께 수도권으로의 이전도 늘어났다. 정보통신산업의 발전과 함께 더 넓은 시장을 찾아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난 것이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부산경제 특히 제조업의 침체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었다. 대기업이 떠나면서 제조업의 구조조정은 지연되었고, 새로운 산업을 받아들일 투자도 지체되었다. 대기업이 가지고 있는 혁신역량을 충분히 누릴 수 없었던 부산경제가 성장의 활력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웠다. 기업이전이 시작되었던 시기부터 제조업의 상대적 침체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부산제조업은 비중하락을 겪었다. 그 결과 전국에서 점하는 부산경제의 비중이 동반 하락하면서 일자리의 부족과 인구유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런 한편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부산경제의 광역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부산경제의 광역화는 반쪽 광역화였다. 중추관리기능의 집적이 상대적으로 약한 부산은 서울과는 달랐다. 대도시 성장억제정책의 주된 목표였던 서울의 집중현상은 해소되지 않고 오히려 부산의 성장만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서울은 제조업을 인근지역으로 보내고 중추관리기능을 중심으로 한 산업을 발전시켰지만 부산은 그러지 못했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과 함께 온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은 결국 산업용지의 확보를 통한 기업의 유치와 중추관리기능의 확충이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기업을 부산으로 유치하고 떠나간 기업까지부산경제의 순환권내로 끌어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부산으로의 기업이전이 많아지고 광역교통망이 확충되는 것은 부산기업의 이탈이 가져왔던 침체를 극복하는 새로운 경향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Busan companies migration since the late 1970s. This phenomenon has been attributable to downturn of Busan``s economy after 1980s,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the period prior to 1980s. This paper fills the gap in the current discourse on this issue. It also tries to analyze impacts and implications of migration of these companies. It was late 1970s that companies in Busan started moving out of the city. This movement was a result of overgrowth of Busan; an overly expanded city, Busan, exposed its own limitations of exaggerative growth. Growing population brought increasing price of lands with increasing demand on housing, thereby absorbing lands available for industrial sites. This hindered further investment on companies. During that time, as Busan was advised to control overgrowth, the government levied high council tax on newly built factories. Under such circumstances, firms started to leave Busan since the late 1970s. The main point of firms`` migration is to find cheap and spacious land while selling comparatively expensive Busan``s land. It was hard to prevent firms from leaving Busan for seeking higher profit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it was impossible to decrease land prices of Busan. A fact-finding committee also found that securing spacious land was a key point of moving out from Busan. Firms that had left Busan mainly relocated in Yangsan and Gimhae. Busan``s core businesses--machine metal, and rubber chemicals-- also transferred. The larger a firm was, the earlier it made its move. The absolute number of firms moving out of Busan was small until 1980s, but all the more most of big firms swiftly made their move first during this time. It was after 1990s that the number of firms moving out increased dramatically. From 2000s, not only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service industry started to move out from Busan. At the same time, transferring into the capital area also increased; that means, as IT industry developed, related industry began to move to the capital area, seeking out new markets. The migration brought downturn in Busan``s economy, especially manufacturing one. As big firms left, manufacturing industry``s restructuring was delayed, and investment on new industries was also deferred. Busan, incapable of enjoying big firm``s innovative capabilities, was difficult to maintain vitality in economic growth. As a result, Busan``s economy that once partakes larger part of national economy started forming smaller part of it, thereby bringing a jobs crunch and population outflow. On the other hand, Busan firms`` transfer widened the range of economic activities of Busan. However, this expansion was not completely successful in that, for example, Gimhae and Yangsan, main areas that firm transferred, did not operate primarily based on Busan network but on other cities. This means that Busan``s role as a core managerial function was much weaker than Seoul. Busan``s weakness could not resolve the over-dependency on Seoul-centered economic bloc, but also failed to stir Busan``s economic growth. Seoul successfully transferred firms to outskirts and continued to play its role as a core managerial function, but Busan failed to follow the same path as Seoul did. The way to resolve Busan``s economic depression following the migration of firms should lie in acquiring a core managerial function through alluring firms within Busan city by securing industrial sites.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o allure rising, new companies into Busan, and, moreover, to make companies that had left before come back to Busan``s sphere of influence. The recent trends including firms`` transfer into Busan and expansion o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 are to overcome economic downturn that was resulted from previous migration of firms.

      • KCI등재

        초기 한국영화사에서 ‘부산’이 지니는 의의

        함충범 ( Ham¸ Chung-beom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2 No.-

        본 논문은 1920년대 중반까지의 ‘초기 한국영화사’에 있어 ‘부산’이 지니는 의의를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본고에서는 1900~1910년대의 활동사진 상영 및 촬영 양상, 그리고 1924년 설립된 조선키네마주식회사와 이곳에서의 영화 제작 활동이라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관련 내용들을 둘러싼 재검토 및 해석의 작업을 시도하였다. 먼저, 개항 이후 일본 거류민 문화가 형성된 부산에서는 인천, 목포, 마산 등 여타 지역들의 경우처럼 일본식 극장이 들어서며 활동사진의 상영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몇몇 기록영화의 제작 과정에서 로케이션 촬영이 진행되기도 하였다. 현전하는 당대의 문헌 자료들을 참조하건대, 전자와 관련해서는 늦어도 1903년 시점에 일본식 극장인 행좌(幸座)와 송정좌(松井座)가 운영 중에 있었고 1910년에는 부산 이사청령으로 흥행취체규칙이 공포되었으며 1914년부터는 욱관(旭館)을 시작으로 활동사진 상설관이 자리를 잡게 되었음이 확인된다. 또한 후자에 대해서는, 1908년 통감부의 의뢰로 요코타상회(横田商會)가 <한국관(韓国觀)>(별제:<한국일주(韓国一週)>)을 만들면서 부산항이 카메라에 담긴 바 있었고 1916년 미일 공동제작으로 기획·제작된 장편 기록영화 <해뜨는 나라(日出の國)>(총 12편) 속에 <부산 경성의 전경(釜山, 京城の全景)>(9, 10편)이 포함되었으며 1920년에는 김도산 일행에 의해 <부산 대구 전경(釜山 大邱 全景)>과 <부산 범어사(釜山 梵魚寺)>가 제작·상영되기도 하였음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그동안의 한국영화사에서는 1924년 부산에 세워진 조선키네마주식회사(朝鮮キネマ株式會社)가 ‘최초의 영화 제작사’로 인정을 받아 왔다. 그런데 이보다 앞선 1920년에는 조선활동사진주식회사(朝鮮活動寫眞株式會社)가, 1923년에는 동아문화협회(東亞文化協會)가 경성에 세워졌고 1920년대 초부터 조선총독부, 경성일보사 등의 통치 기구 내에도 활동사진반이 조직되어 영화 제작 활동을 펼치고 있었던 바, 조선키네마주식회사의 영화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으로, 조선키네마주식회사의 사적(史的) 가치는 그 활동의 중심이 영화 제작에 두어졌다는 점과 더불어, 특히 총 4편의 영화가 만들어지는 동안 윤백남, 안종화, 이경손, 나운규, 주인규, 남궁운 등 ‘한국인’의 역할이 컸다는 점에서 찾을 만하다. 즉, 이들 영화는 제작 및 배급, 상영 과정에서 동시기의 식민지적 특수성을 노출시키면서도, 192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인의 영화 활동에 활기를 불어넣었다는 지점에서 영화사적 의미망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the result of a stud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Busan” in “early Korean cinema history” until the mid-1920s. In this paper, I tried to review and interpret the related contents by dividing it into two main aspects: screening and filming of Motion pictures from the 1900s to 1910s, and the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Chosun Kinema Co., Ltd. in 1924 and film production activities there. In Busan, where Japanese inhabitant culture was forme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Japanese-style theaters were built and screening of motion pictures were carried out as in Incheon, Mokpo, Masan and other regions. In addition, during the production of some documentary films, Busan was used as a filming location. We can know these facts through the current literature sources. Meanwhile, in Korean cinema history, Chosun Kinema Co., Ltd. (Joseonkinemajusighoesa) established in Busan in 1924, has been recognized as the “first film production company”. However, in the early 1920s, several film production companies and agencies were established in Gyeongseong(Seoul), so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cinema history about Chosun Kinema Co., Ltd. On the one hand, in the process of making four movies at Chosun Kinema Co., Ltd., the role of “Koreans” played a large role, and they led film activities in colonial Joseon after the mid-1920s. At this point, we can see the cinema history value of Chosun Kinema Co., Ltd.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부 편입지역의 공업 동향과 입지

        선우성혜 ( Sunwoo Sung-hye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3 항도부산 Vol.45 No.-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부산의 공업 동향을 ‘부산부 편입지역’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먼저 일제강점기 부산의 공간적 범위를 고려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부산은 전통적인 동래부에서 출발하여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리되었다. 그 후 부산부는 동래군의 영역을 편입하여 확대되는 과정을 거쳤다. 또 공간적 범위와 함께 일제강점기 부산의 경제에서 주류는 부산부였던 점도 고려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부산부가 편입을 통해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각종 인프라 시설이 구축되거나 확대·정비 되었다. 부산부는 「부산시가지계획」을 통해 편입지역에 거주공간을 비롯하여 공업지역을 확대하고 도로 확장, 도로망·가로망도 정비하였다. 매축을 통해 각종 부지와 항만·부두 시설을 확대·정비하였다. 부산부의 원도심과 편입지역 간 연결성과 자원 이동의 편리성이 높아졌다. ‘해양-조선 내륙’을 잇는 관문 역할과 기능도 확대되었다. 일제 말기 부산부는 남항, 북항, 적기만을 비롯하여 현재 수영만 일대까지 아우르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부산의 공업에 대한 이해는 이와 같은 입장이 고려되었다. 일제강점기 부산부의 공간변화는 거주지 환경의 개선과 산업지대의 형성을 이유로 이루어졌다가 부산항의 경제적·군사적 역할이 강조되면서 「대동아국토계획」의 견지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것으로 보인다. 또 편입지역에는 상업 시설과 함께 화학, 금속기계기구, 방직, 연료, 요업 등 공업지대가 형성되었다. 특히 전시기에 존립하던 업체들은 전시경제에 편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경부선-동해남부선이 이어지는 결절지역에는 각종 군수업체 또는 군수지원가능 업체들이 설립되었다. 부산은 일찍부터 교통이 편리하고 원료수급에 유리한 결절지로서의 인식되었고 이는 부산부가 확장되면서 강화되었다. 전시경제 하 도태되는 업체들도 많았지만, 일부 업체들은 직간접적으로 전시경제에 편승하여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었다. 한편 조선 전통수공업의 근대화 노력과 좌절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dustrial trends of Busan,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the 'Busanbu incorporation area'. This first takes into account the spatial scope of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san started from the traditional Dongnae-bu and was divided into Busan-bu and Dongnae-gun. Since then, the Busan-bu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and expanding the territory of Dongnae-gun. In addition to the spatial scope, the mainstream of Busan's econom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Busan-bu. Various infrastructure facilities were built, expanded, and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area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the Busan-b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Busan-bu expanded industrial areas such as residential spaces, road expansion, road networks, and road networks in the incorporated area through Busan urban planning. Various sites, ports, and dock facilities were expand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landfill. The connection between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 and the incorporated area and the convenience of resource movement have increase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gateway connecting the 'Ocean-Chosun inland' have also been expanded.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san-bu covered all areas of Suyeong Bay, including Namhang, Bukhang, and Jeokgi Bay. It was a position considered to understand Busan's indust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patial change of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made by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orming an industrial area, but it seems to emphasize the economic and military role of Busan Port by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Daedong land plan. In addition, industrial areas such as chemicals, metal machinery, textiles, fuels, and ceramics were formed along with commercial facilities. In particular, companies existing in wartime tended to use the wartime economy, and various military companies and military support companies were established in the nodular area connecting the Gyeongbu Line and the Donghae Nambu Line. Busa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nodule with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favorable supply and demand of raw materials, but its position has been strengthened as the Busan department has expanded. There were many companies that lagged behind the wartime economy, but some companies directly or indirectly jumped on the wartime economy and operated their businesses. Meanwhile, efforts and frustration with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Joseon handicraft industry were also confirmed.

      • KCI등재

        근대 부산 교육과 도서관 - 개성학교와 일본홍도회부산지회 문고를 중심으로 -

        김경희 ( Kim¸ Gyoung-hee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2 No.-

        본 연구는 근대 부산 교육과 도서관의 설립, 변화 등 실체 인식 및 성격 평가를 하고자 개성학교와 일본홍도회 부산지회 문고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개성학교는 부산 최초 근대학교이고, 일본홍도회 부산지회 홍도문고(부산도서관)는 부산 최초이자 국내 도서관의 始原이다. 이에 실증적 자료 수집과 조사 및 현장연구를 통해 우리근대에 대한 성찰, 반성 및 극복과 미래발전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근대는 1876년 개항으로 시작되어 서당, 향교, 학당, 성균관 등에서 이루어진 성리학적 교육에서 학교, 도서관 등을 통한 이성 중심, 자연과학적·유럽중심적 교육으로 전환시켰다. 부산에서 박기종 외 4인은 아라나미 헤이지로를 학교장으로 세워 개성학교를 1895~1909년간 운영하였고, 부산을 중심으로 한 전국 일본인 유지들이 1897년 결성한 일본홍도회 부산지회는 홍도문고·부산도서관을 1901 ~1911 년간 운영하였다. 개성학교는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의 개화, 신문물, 근대문명을 학교장 아라 나미 헤이지로에 의해 교육되었고 마산, 밀양, 대구, 경주, 울산 등까지 지교 또는 보조교를 두었다. 천황제를 공고히 하고자 결성된 일본홍도회 부산지회는 修身·國民道德·忠君愛國 관련 도서 제공 및 순회 강연, 영사관·통감부 통계 등으로 부산과 조선의 지역정보를 파악하였고, 부산을 넘어 마산, 대구, 서울, 목포, 원산까지 그 영향력을 미쳤다. 부산과 조선에 있어서 개성학교와 일본홍도회 부산지회 홍도문고(부산도서관)는 근대로의 개혁기관이 아니라 근대인·시민으로 성장을 가로막고 황국신민화를 위한 교육기관과 도서관이었으며, 조선의 국권피탈 및 경제적 침탈을 용이하게 만들어 준 일제의 변용된 근대산물이었다. 일제의 강압으로 시작된 우리근대는 향후 방대한 실증적 자료수집 및 다학제간 조사연구와 기록·평가를 계속 축적하고 활용해서 온전히 찾아 바로 세워야 한다. 지역 및 국가의 미래발전 가치는 성공과 실패의 역사에서 배우기 때문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Gaesong School and the Japan Hongdo Association Busan Branch to establish, change and evaluate the modern Busan Education and Library. Gaesong School is the first modern school in Busan, and the Hongdo Library(Busan Library) of the Japan Hongdo Association Busan Branch is the first of Busan and the origin of a domestic modern library. Therefore, microscopic data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and field research reflect on our modernity. It was intended to be the basic data for reflection and overcoming and for future development. The modern began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and transformed from pedagogical education in Seodang, Hyanggyo, Hagdang and Sungkyunkwan to rational centered and natural science-oriented European education through schools and libraries. In Busan, Gaesong School was operated by Park Ki-Jong and 4 others with Heiro Arami as the head for 1895∼1909, The Hongdo Library and Busan Library were operated by the Japan Hongdo Association Busan Branch, which was formed in 1897 by Japanese people, mainly in Busan, for 1901∼1911 years. Gaesong School was educated through the successful Japanese modernization(?) of enlightenment, new product, and modern civilization through Principal Aranami Heijiro, and had branch schools or secondary schools such as Masan, Miryang, Daegu, Gyeongju, and Ulsan. Formed to consolidate the Emperor, the Japan Hongdo Association Busan Branch identified the regional information of Chosun through the statistical report of Consulate·統監府, as well as providing books and tour lectures on 修身· 國民道德·忠君愛國, and beyond Busan, Masan, Daegu, Seoul, Mokpo Even Wonsan had its influence. In the modern Busan education and library, the Gaesong School and the Hongdo Library(Busan Library) of the Japanese Hongdo Association Busan Branch were not a reform institution for the modern road in Busan and Joseon, but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library for Japanese Imperialism and hindering the growth of modern citizens and people and escaping from the sovereignty of Joseon. And it was a transformed modern product of the Japanese Empire that made economic aggression easier. In order to fully find our modernity, which began under the coerc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extensive empirical data collec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record and evaluation must be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information literacy. This is because the value of local and national future development learning from the history of success and failure.

      • KCI등재

        연구논문 : 거대 부산 전략 시론

        김덕삼 ( Dug Sam Kim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6 항도부산 Vol.32 No.-

        본고에서는 부산의 새 전략으로서 거대 부산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을 작은 부산으로 규정지으려 하지 말고, 주변 지역과 연계한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큰부산, 대부산 전략으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지정학적 위치와 시간적 변화로 구분하여 부산을 살펴본 뒤, 이를 토대로 하여 미래 발전 모델로서 거대 부산전략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부산 발전에 대한 대내외적 위기와 다른도시와 비교 등을 통해 부산의 위기감을 파악하였다. 또한 다른 대부분의 도시처럼 부산의 발전은 지정학적, 시간적 변화 속에 부산 자체의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준비와 계획에 의해서 이루어졌다기보다, 지정학적 위치와 시간적 변화가 가져다준 특혜 등에 힘입어 이루어진 점이 없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 부산의 새로운 전략은 트렌드나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장기적 기반 위에서 검토해 봐야 할 것이다. 또한 대내외적인 This paper is on the study that analyzed via serendipity Busan culture. We assumed the accidental factors in Busan cultures which evolved Busan could ratify the future development of Busan. To examine this, the study was tried from two major research directions. One is a structural chance that geopolitical position has brought as a spatial aspect, the other one, as the temporal aspect, is an existential chance that era came calling. In the former case, through narrow and broad meaning of Busan structural chances Busan has from geopolitical position are examined. In the latter case, through the era distinction such as the Japanese invasion, the Korean War, and the age of the industry we examine the existential. This research showed Busan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called resistance, marine, openness, we saw that he shoul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Development of these of subjectivity will contribute to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Busan ), now, and will giv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have a serendipity. Also, as was seen in geopolitical position, Busan will be brought up the forces that lead to success with the starategy of "large Busan" to cover the Busan and the surrounding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