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당정책과 자사주매입의 결합 효과: 배당 수명주기 가설과 자사주 신호이론에 기초한 분석

        김경순,이진훤,강유정 한일경상학회 2020 韓日經商論集 Vol.87 No.-

        This study examines the signal effects of treasury stock purchases by comparing whether future stock performance of a company that owns treasury stocks differs from those that do not buy treasury stocks. In particular, we focus on analyzing whether the signal effect of a share buyback is affected by the company’s dividend policy. The summary of the empirical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 company that buys back shares gains a positive cumulative excess return (1.9%) in subsequent years. In particular, companies that have announced their share buybacks for stabilization of stock prices have a greater positive cumulative excess return (6.8%).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hare buyback has a signaling effect in the Korean market. Second, we see positive excess returns (13.9%) when non-dividend policy firms buy back treasury shares, but we do not see excess returns in the following years when companies buy back shares using low dividend and high dividend policies. In particular, companies with a non-dividend policy and publicly purchased treasury shares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stock prices have a higher cumulative excess return (21.8%). Our results suggest that when non-dividend policy companies buy back treasury stocks, investors recognize the buyback as a positive signal. This studyshows that the signal effect of treasury stock purchases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vidend policy based on life cycle theory, suggesting that treasury stock signal and dividend life cycle hypothesis can be supported in Korean market. 본 연구의 목적은 배당 수명주기 가설에 기초하여 기업의 배당정책(무배당, 저배당 및 고배당 정책)과 자사주매입의 결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무배당 정책을 사용하면서 자사주를 매입하는 기업은 성장단계에 있는 기업이 자사주매입을 통해 미래 긍정적 성과에 대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무배당-자사주매입 기업은 자사주매입 이후에 양(+)의 초과수익률이 관측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배당성향이 영(0)보다 크지만 비교적 낮은 기업에서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은 쇠퇴단계에 있는 기업이 자사주매입을 통해 주가를 부양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저배당-자사주매입 기업은 자사주매입 이후에 음의 초과수익률을 경험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더불어 고배당-자사주매입 기업은 성숙기에 접어든 회사에서 나타나는 당연한 배당증가로 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자사주매입 이후 초과수익률의 변화는 약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03년부터 2016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자사주를 매입한 집단과 자사주를 매입하지 않은 집단 간에 t+1연도 초과수익률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배당정책별로 각각 조사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사주를 매입한 기업은 후속연도에 양(+)의 누적초과수익률(1.9%)을 보였다. 특히 다른 매입 사유와 다르게, 자사주를 매입 사유를 주가안정 목적으로 공시한 기업은 자사주매입 이후 양(+)의 초과수익률(6.8%)이 더 크게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가안정 목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한 기업의 자사주매입 동기가 경영자의 신호일 가능성을 부분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둘째, 무배당 정책을 사용하고 자사주를 매입한 기업은 후속연도 동안에 양(+)의 누적초과수익률(13.9%)를 보였고, 저배당 정책을 사용하고 자사주를 매입한 기업과 고배당 정책을 사용하고 자사주를 매입한 기업은 후속연도에 긍정적인 주식성과가 관측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장단계에 들어선 기업의 경영자가 좋은 투자안의 존재를 자사주매입을 통해 시장참여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투자자가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성숙기(고배당 정책)와 쇠퇴기(저배당정책)에 접어든 기업의 자사주매입은 투자자들이 긍정적 신호로 인식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주가안정 목적의 자사주매입 기업은 신호효과가 존재하고, 투자자는 자사주매입의 신호를 수명주기와 연결된 배당정책에 따라 차별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시장경쟁과 배당정책간의 규율작용

        손판도 ( Pan Do Sohn ),송영수 ( Young Su Song ),최임근 ( Lim Gun Choi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2

        본 논문에서는 1981년부터 2013년까지 거래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상품시장 경쟁이 배당정책에 대한 규율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최근 연구에서 산업 내 시장경쟁과 배당정책 간에 규율효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배당정책과 관련된 연구 중 La Porta, Lopez-De-Silanes, Shleifer, and Vishy(2000) 등의 연구에 따르면 기업 내 대주주의 착취로 인하여 소액주주들에 대한 보호가 낮은 국가에서 배당성향이 낮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대리인문제는 기업 배당정책에 매우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배당정책에서 이러한 대리인 문제뿐만 아니라 최근 시장경쟁의 규율도 대리인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배당정책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Allen and Gale(2000)의 연구에서 상품시장 경쟁이 기업 경영자의 기업재무정책에 유의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이들 연구에서 상품시장 경쟁이 기업 재무정책에 영향을 주는 이유중의 하나는 상품시장 경쟁의 규율효과로 인하여 시장으로부터 경쟁력이 떨어지는 경영자를 퇴출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투자자들, 즉 소유권자(소액주주 및 대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은 해당국가의 법률 및 기업 지배구조가 대리인문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제하며 기업 내부자, 즉 경영자 또는 지배주주들이 어떻게 현금배당을 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독점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혁신 및 경쟁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경쟁자의 부재로 인하여 경영활동이 매우 수동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Caves(1980)이 언급한 것처럼 나태는 경쟁의 적이라는 표현까지 하고 있다. 따라서 시장경쟁 정도는 배당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증거는 세 가지 가설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산출물효과가설로서 과잉투자 및 경영실패 등은 산업의 경쟁규율로 인하여 기업이 보다 더 많은 배당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산업집중도가 높을수록 배당성향이 낮으며 또한 대리인문제로 인하여 산업집중도가 높고 잉여현금흐름이 많을수록 배당성향이 낮다는 것이다. 대체효과가설에서는 배당정책이 산업경쟁의 대체 수단으로서 작용을 하기때문에 산업집중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보다 더 많은 배당(고배당성향)을 보다 많이 하며 대리인문제로 인하여 산업집중도가 높고 잉여현금흐름이 많을수록 배당성향이 높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약탈위험가설에서는 많은 현금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잠재적인 약탈위험이 발생하며 이러한 위험은 경쟁시장에서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산업집중도가 높을 때 배당성향이 낮으며 이러한 효과는 기업규모가 작을 때 확대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제시된 세 가지 가설이 한국기업에 지지되고 있는지를 검증하며 산업집중도 변수를 시장경쟁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여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업집중도와 배당정책간의 산출물효과가설, 대체효과가설, 약탈위험가설을 검증한 결과 회귀분석에서 시장이 상대적으로 경쟁수준이 낮을수록 배당을 증가시킬 유인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obit 분석 모형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결국 시장경쟁과 배당정책간 관계를 설명하는 산출물효과가설이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대리인문제와 관련된 시장경쟁과 배당정책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회귀분석 및 Tobit 모형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셋째, 기업규모와 관련하여 시장경쟁과 배당정책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회귀분석 및 Tobit 모형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즉 시장경쟁이 낮을수록 소규모 기업이 보다 더 배당을 낮추는 정책을 취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증거는 약탈위험가설이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증거의 의의는 결국 시장경쟁이 기업의 재무정책에 중요한 규율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업경영자는 시장경쟁이 재무정책에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market competition disciplines firm’s dividend policy and also there is the interaction effect of market competition in terms of agency problem and firm size using sample data listed in KOSPI over 1981 to 2013. Recent studies find the evidence that market competition in industry disciplines firm’s dividend policy. It is possible that product market interaction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agency conflicts may be an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decision to pay out excess cash to shareholders. La Porta, Lopez-de-Silanes, Shleifer and Vishny (2000) argue that product market competition can potentially have too opposing effect on payout policies. One possibility is that firms pay dividends because competition acts as an enforcement mechanism that exerts pressure on managers to distribute cash to their shareholders by increasing the risk and the cost of overinvesting. Allen and Gale(2000) suggest that market competition among firms may be a more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either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or monitoring by institutions. This evidence is explained in three hypotheses, which are an outcome effect hypothesis, substitution effect hypothesis, and predatory risk hypothesis. Outcome hypothesis suggests that overinvestment and management failure due to of discipline of market competition in industry induce the higher dividend payout propensity to firm. Also this hypothesis documents that firm with large free cash flow in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due to agency conflict between manager and shareholder has lower dividend propensity. The substitution effect hypothesis suggests that dividend policy is substituted by market competition and firm in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has propensity of higher dividend payout. Also firm with higher free cash flow in more industry concentration has higher dividend policy. Predatory risk hypothesis documents that firm with more cash has potential predatory risk from rival firms and this risk does not have power in competitive market and then firm in more industry concentration is more likely to have lower dividend payout. Additionally this effect is large in small firm. According to these hypotheses, we test three hypotheses using industry concentration as proxy for market competition and we find as follows. Using a large sample of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KOSPI market, we test the linkage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dividend policy by using the regression technique with firm and time fixed effect and also Tobit regression. We find that firms in less competitive industries pay more dividends than firms in more competitive markets. Furthermore, inconsistent with agency theory, we find that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free cash flow. Additionally, we find the evidence that there is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rket competition and firm size (small firm), which is consistent with predatory risk hypothesis. Overall,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idea that the disciplinary forces of market competition induce managers to pay out dividend and these evidences are a key implication to firm managers and stakeholders.

      • KCI등재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배당정책이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지연,정경철 글로벌경영학회 202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9 No.4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high dividend payout policy on firm value according to the corporate life cycle.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conduct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the corporate life cycle and the dividend payout rate measured by cash flow patterns, on Tobin's Q measured by firm value. According to the life cycle effect of DeAngelo et al. (2006), we expect that the high dividend payout of the maturity stage will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than the dividend payout of companies in other life cyc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onfirm that the high dividend payout in the maturity stag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 value compared to the other corporate life cycles. In the analysis, which includes dummy variables in other corporate life cycles except for the maturity stage, the dividend payout in the introduction stage and the decline stage has a lower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than the dividend payout in other corporate life cycles. On the other hand, we find that the dividend payout in the growth stage has a higher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than the dividend payout in other corporate life cycles. As an additional analysis, we divide by market and find that the dividend payout at the maturity stag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 value compared to the other corporate life cycles in all markets. And the dividend payout at the introduction stage and decline stag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 valu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vidend payout by dividing it by various measurement methods(dividend to sales, net income, equity), we find that the dividend payout of the maturity stag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 value compared to the other corporate life cycles. This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alue relevance of the dividend payout policy according to the corporate life cycle. Through this, we expect that information of the dividend payout policy effects can work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rporate life cycle. 본 연구는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고배당정책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금흐름패턴으로 구분한 기업수명주기와 배당률의 상호작용항이 기업가치로 측정한 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eAngelo et al.(2006)의 수명주기효과에 따라, 성숙기에 있는 기업의 고배당정책은 다른 기업수명주기 기업의 배당정책보다 기업가치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결과, 성숙기의 고배당정책은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배당정책보다 가치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더미변수와 배당정책의 상호작용항을 각각 분석한 결과에서는 도입기와 쇠퇴기의 배당정책이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배당정책보다 가치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성장기의 배당정책은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배당정책보다 가치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으로 유가증권 상장시장과 코스닥 상장시장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성숙기의 배당정책은 모든 시장에서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배당정책보다 기업가치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입기와 쇠퇴기의 배당정책은이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배당정책보다 기업가치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당정책을 여러 측정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자기자본 대비 배당액으로 측정한 배당정책 모두 성숙기의 배당정책이 다른 기업수명주기에 비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배당정책의 가치관련성이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배당정책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이는 자본시장에서 배당정책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기업수명주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대리인 문제와 정보비대칭성이 배당유연화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진호,윤창현 한국재무학회 201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Lintner(1956)는 기업들의 이익의 변화 속도보다 배당의 변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늦는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배당유연화 현상 (Dividend Smoothing)이라 정의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주로 신호이론이나 혹은 대리인 이론의 개별적 관점에서 배당 유연화 정책의 결정요소들을 분석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론을 동시에 고려하여 배당 유연화 정책의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상장기업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배당 유연화 정도의 측정이 가능한 시계열 자료가 있는 155 개 기업을 대상으로 1997 년 1 월 1 일부터 2015 년 12 월 31 일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배당 유연화 결정요소들을 Leary and Michaely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기업의 평균 배당 조정 속도가 0.43, 모형의 설명력 평균이 40%정도로 나타나 국내기업들이 배당 유연화 정책을 평균적으로 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본기간 동안 분석 대상 기업의 장기목표 배당성향의 평균은 24%정도 인 것으로 나타나 이익의 약 1/4 을 배당으로 지급하는 것이 장기적인 기준이 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둘째, 소유-지배 구조 괴리도가 클수록 배당 조정속도가 빨라진다 (배당 유연화 정도가 약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대리인 문제가 심각한 기업일수록 오히려 배당유연화 경향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존의 국내 연구결과와 상충된다. 기존 연구결과는 주로 최대 주주 지분율을 이용하여 대리인 변수를 측정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이용되는 변수와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잉여현금 흐름 이나 혹은 종업원 지분율 변수 등에서도 유의한 관계를 발견할 수 없어 기존 연구결과의 해석에 주의를 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신호 변수만 고려한 분석 결과에서는 신호 변수 중 어느 변수도 배당 유연화 정책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발견되지 않아 정보 비 대칭성이 배당 유연화의 동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Kumar (1988)가 정보 비대칭이 큰 기업에서 배당 유연화를 통하여 신호를 전달한다고 주장하는 것과는 상충되는 결과이나 대부분의 국내연구에서 정보 비대칭과 배당 유연화가 서로 관련이 없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는 것과는 일치하는 결과이다. 넷째, 신호와 대리인 변수를 동시에 고려한 분석에서는 대리인 변수 중 소유-지배 괴리도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을 보여주고 있고 신호 변수 중 기업규모가 유의한 음 (-)의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 비대칭 정도가 높은 소규모 기업에서 오히려 배당 유연화를 할 신호 동기가 적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신호와 대리인 변수 그리고 통제변수를 모두 고려한 분석에서는 소유-지배 괴리도 변수 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을, 기업규모가 유의한 음 (-)의 값을 나타내고, 통제변수 중에서는 오직 이자율에서 유의한 음(-)의 계수 값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적 곤경을 초래하는 거시경제 환경하에서는 기업들이 배당 유연화 경향이 강해진다는 것으로 해석되어 거시 경제적 환경 변수들이 배당 유연화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공시수준이 기업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 :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을 대상으로

        박수연,문보영,채수준 한국회계정보학회 2018 회계정보연구 Vol.36 No.3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disclosure level on dividend by using the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as a substitute for disclosure level.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lower the agency cost due to the low disclosure level, the unfaithful disclosure designated company verified whether it changed the dividend policy toward the shareholders favorably. If the dividend payout ratio is high in a company designated as a unfaithful disclosure and the dividend payment amount for the year increas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ividend policy is used as an alternative means of corporate governance in order to lower the agency cost(substitution hypothesis). On the other hand, if the dividend payout ratio is low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anager wants to increase the free cash flow, which reduces the dividend and facilitates opportunistic decision making when the disclosure level is low(outcome hypothesis). In this study, we perform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hypotheses using listed companies from 2002 to 2015. Empirical analysis of the change in dividend policy when a company was designated as unfaithful disclosur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and the availability of dividends or changes in dividend payment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upport the outcome hypothesis, which implies that dividend policy is also determined against the shareholders. In addition, negative (-)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umulative penalty points and dividend payments or dividend changes.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evel of disclosure, the more serious the agent problem is, the more opportunistic the manager makes the decisio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ffecting the dividend policy. This study have an additional contribution to the relevant preceding study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an analysis that the manager's unfaithful disclosure would affect the company's dividend policy. Moreover,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uggest that low disclosure which may arise due to a manager's moral hazard and opportunistic behavior, may affect the decision of the dividend policy which directly infringes on the shareholders ' wealth. 본 연구는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불성실공시 지정여부를 공시수준에 대한 대용치로 사용하여 공시수준이 배당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경우 낮은 공시수준으로 인해 높아진 대리인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배당정책을 주주에게 우호적인 방향으로 변경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만약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배당성향이 높게 나타나고 전년도 대비 당해연도의 배당지급액이 증가한다면 낮은 공시수준으로 인해 높아진 대리인비용을 낮추기 위해 배당정책을 기업지배구조의 대체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substitution hypothesis). 반면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에서 배당성향이 낮게 나타나고 배당변동액이 감소한다면 이는 공시수준이 낮을 경우 경영자가 의도적으로 배당을 줄이고 기회주의적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잉여현금흐름을 늘리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outcome hypothesis).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정을 위해서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불성실공시 기업으로 지정된 경우 배당정책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성실공시 지정여부와 배당지급 여부 및 배당액변동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 기회주의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경우 배당정책 역시 주주들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누적벌점과 배당지급 여부와 배당액변동 간에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낮은 공시수준으로 대리인문제가 심각한 상황일수록 경영자는 기회주의적 의사결정을 하며 이는 배당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불성실공시 행위가 기업의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관련 선행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경영자의 도덕적 해이와 기회주의적 행동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불성실공시 행위가 주주의 부를 직접적으로 침해하는 배당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자로 하여금 성실공시를 유도할 수 있는 보다 강도 높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배당정책의 예측가능성에 관한 연구

        배재권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7

        배당정책(dividend policy)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줄 배당금과 회사에 남겨둘 유보이익(retained earnings)으로 구분하는 의사결정을 말한다. 배당정책은 장단기투자정책, 자본조달정책과 더불어중요한 기업의 재무적 정책결정사항이다. 경영자는 전기의 배당가능이익에서 기업의 성장과 주주의 이해를고려하여 배당을 유보하거나 배당규모를 결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당금 증가 및 감소 등 배당정책영향요인을 추출하여 투자자에게 사전에 배당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의사결정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최근 2년간(2017.01∼2018.12) 코스피 및 코스닥 상장기업 중 현금배당 또는 주식배당을 실시한 기업의 배당정보와 재무정보, 그리고 신용정보 등을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배당금 감소 및 증가와 관련된 배당정책의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인공지능기법을 활용하여 배당정책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신경망에서는 신용등급을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판별하였고, 다음으로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증가율, 자기자본순이익률, 총자산증가율 순으로 중요도가 분류되었다. CART에서는 주당순이익감소여부가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선정되었고, 다음으로 총자산증가율, 매출액순이익률, 배당률, 매출액증가율 순으로 분류되었다. 평균예측력 성과(검증용데이터)로는 로짓분석이 가장 좋은 예측성과(69.78%)를 나타내었으나 실제 배당증가기업을 정확히 맞춘 모형은 신경망으로 나타났다. Dividend policy refers to a decision that divides net profit into dividends of shareholders and retained earnings to leave the company.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regarding decision-making problems, such as credit policy decisions through bankruptcy prediction and credit scoring, there is no research, to our knowledge, about dividend prediction or dividend policy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in spite of the significance of dividends. For dealing with the problems involved in previous literature, we suggest dividend policy prediction mode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neural networks and decision trees). This study collected dividend information, financial information and credit information of KOSPI and KOSDAQ listed companies that executed cash dividend or stock dividend during the past two years. As a result, neural networks identified credit ratings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CART, the decrease in earning per share (EPS) was select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 experiments show that neural networks always outperforms other models in the performance of dividend policy prediction.

      • 주식유동성이 배당정책에 미치는 효과

        김진우,안윤지 한국재무학회 2011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08

        본 연구에서는 1982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885개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주식유동성이 낮은 기업일수록 배당지급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배당의 유동성가설을 검증하여 주식유동성이 배당정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현금배당을 지급하였으면 1의 값을 가지는 더미변수를 종속변수로 한 횡단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거래회전율로 측정한 유동성변수가 모든 기간에 걸쳐 유의한 음의 계수값을 가져서 배당의 유동성가설이 지지되는 결과와 거래회전율이 1 표준편차가 변할 때 배당지급확률은 45%정도의 변동을 보여서 주식유동성이 배당지급 가능성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는 결과를 함께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2000년 이후의 최근으로 올수록 그 유의성이 더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규모, 수익성, 투자기회, 부채비율과 같은 기업특성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유동성의 미래 배당지급확률에 대한 예측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는 기업특성변수만을 설명변수로 한 횡단면 로지스틱 회귀분석모형으로 예측한 배당지급확률이 실체 배당지급기업비율과 평균적으로 23.62%의 예측오차를 보이는 반면, 기업특성변수에 거래회전율 변수를 추가한 회귀분석모형들의 예측오차는 23.62%보다 5.48%와 9.38%정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서 주식유동성이 중요한 배당결정요인임을 재확인하였다. 전체표본을 주식유동성과 배당지급 가능성에 따라 구분한 하위표본에 대한 분석에서는 주식유동성이 높은 기업들과 배당지급 가능성이 낮은 기업들의 배당정책에 주식유동성이 보다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거 5년간 배당정책에 따라 구분한 하위표본에 대한 분석에서는 과거 5년간 배당을 전혀 지급하지 않았던 기업들의 배당정책은 기업특성변수와 주식유동성 모두와 무관한 반면, 과거 5년간 계속적으로 배당을 지급한 기업들은 수익성과 부채비율이 중요한 배당결정요인이 되며, 주식유동성이 배당정책에 미치는 효과 역시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업지배구조, 배당정책 및 이익조정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권광현,주양효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수행한 지배구조와 배당정책과의 관계 그리고 기업의 지배구조와 이익조정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관점에서, 이익조정의 결과로 배당가능이익이 증가하게 된다면 이는 기업의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고, 이익조정이 일어나는 경우 배당정책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를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사외이사비율(OBOD)은 배당정책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외이사가 주주권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사회규모(BDSIZE)는 배당정책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특성변수들을 통제한 후 개별 기업지배구조변수들과 이익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사외이사비율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Beasley(1998) 등과 문상혁과 이효익(2006)의 연구결과에서 사외이사가 선임되면 회계의 투명성이 증가하고, 사외이사의 전문성과 활동성이 증가할수록 유동발생의 예측오차가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결과와 상반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사외이사가 경영자에 대한 효율적인 감시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기업지배변수 중에서 사외이사비율의 크기는 배당정책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사회규모, 내부주주 1인 지분율, 그리고 외국인투자자 지분율의 크기는 기업규모를 고려한 경우 배당정책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 배당정책, 그리고 이익조정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으나, 이익조정의 대용변수인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를 절대값을 취함으로써 배당정책의 대용변수인 배당률과의 관련성을 명확히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추후의 연구과제로 남겨놓고자 한다.

      • KCI등재

        지주회사 체제가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

        권해숙,오원정 한국국제회계학회 2022 국제회계연구 Vol.- No.103

        [Purpose]In previous studies, incentives affecting dividend payout policy were examined only within companies. In the holding company system, the holding company can be involved in the management decision-making of the subsidiary, which can affect the dividend payout policy of the subsidia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dividend payout policy of subsidiaries under the holding company system differs from general companies under the non-holding company system in the same industry, and verifies the incentives affecting the dividend payout policy. [Methodology]In order to verify the dividend payout policy of subsidiaries under the holding company system, this study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on non-financial companies listed companies between 2008 and 2018. Dividend payment level and dividend payout ratio were used as proxies for dividend payout policy. In order to verify that the incentives affecting the dividend payout policy were to signal future profitability, the future earning growth rate and the future sales growth rate were used as proxies for future profitability. [Findings]Subsidiaries under the holding company system we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dividend payment and dividend payout ratio than general companies under the non-holding company system in the same industry. In the analysis of subsidiaries under the holding company system, it was found that companies that paid dividends had higher future earning growth rate and future sales growth rate. [Implications]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existing studies related to dividends and holding company system. It is also believed that it can inform investors of the meaning of dividends of subsidiaries under the holding company syste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dividends of subsidiaries among government policies that are tightening regulations on the holding company system. [연구목적]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인을 기업 내에서만 살펴보았다. 그러나 지주회사 체제에서는 지주회사가 자회사의 경영의사결정에 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자회사의 배당정책이 상이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주회사 체제 자회사의 배당정책이 동일산업 내 비지주회사 체제 일반회사와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인에 대해 검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2008년~2018년 사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배당정책에 대한 대용치로서 배당지급여부 및 배당성향을 사용하였고,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인이 미래 수익성을 신호하기 위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미래 수익성에 대한 대용치로서 미래 이익성장률과 미래 매출액성장률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지주회사 체제 자회사는 동일산업 내 비지주회사 체제 일반회사에 비해 배당지급여부 및 배당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주회사 체제 자회사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배당을 지급한 기업일수록 미래 이익성장률과 미래 매출액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배당 및 지주회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투자자에게 지주회사 체제 자회사의 배당에 대한 의미를 알려주고 지주회사 체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정부 정책 중 자회사의 배당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자금조달결정, 투자결정 및 배당정책간의 상호관계

        신민식 ( Min Shik Shin ),김수은 ( Soo Eun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09 금융공학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1986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금조달결정, 투자결정 및 배당정책간의 상호관계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자결정과 배당정책은 자금조달결정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자금조달결정과 배당정책은 투자결정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며, 자금조달결정과 투자결정은 배당정책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자금조달결정, 투자결정 및 배당정책은 상호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제변수로 사용된 M/B 비율, 유형성 비율, 수익성 비율, 기업규모, 잉여현금흐름 비율 및 운전자본투자 비율도 자금조달결정, 투자결정 및 배당정책간의 상호관계에 선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강건성 검정의 차원에서, 3SLS 접근법을 적용하여 내생성을 고려하더라도 자금조달결정, 투자결정 및 배당정책은 상호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내생성을 고려하더라도, 통제변수로 사용된 M/B 비율, 유형성 비율, 수익성 비율, 기업규모, 잉여현금흐름 비율 및 운전자본투자 비율은 자금조달결정, 투자결정 및 배당정책간의 상호관계에 선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은 자금조달결정, 투자결정 및 배당정책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영자들이 자금조달결정, 투자결정 및 배당정책간의 상호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여 재무정책을 통합적으로 수립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interrelations among financing decision, investment decision and dividend policy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vestment decision and dividend policy both have negative effects on financing decision, financing decision and dividend policy both have negative effects on investment decision, and financing decision and investment decision both have negative effects on dividend policy. Accordingly, financing decision, investment decision, and dividend policy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simultaneous interrelations. In case of robust test using 3SLS, financing decision, investment decision, and dividend policy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simultaneous interrelations. Conclusively, managers have to considers simultaneous interrelations for financing decision, investment decision, and dividend policy, and carry out financial policies for maximization of value. However, this paper is only early study of the interrelations among financing decision, investment decision and dividend policy. It is necessary to expand sample firms and use more elaborate analysis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