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

        소신애(So, Shin-ae)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이 글은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북한의 문화어에 방언이 수용된 것은 1960년대 중엽 이래 말다듬기 사업 및 문화어 운동이 전개된 데 따른 것이다. 둘째, 문화어에 수용된 방언 어휘는 대체로 고유성, 통용성, 민족성, 인민성, 시의성, 수용성을 갖춘 토착어로서, 문화어의 어휘 구성을 풍부화하고 문화어의 민족적 특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들이다. 셋째, 문화어의 방언 수용은 우리말의 고유성과 다양성, 민족성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문화어로 수용된 방언 외의 지역 방언의 사용을 철저히 배제한 것은 근본적인 한계이다. In this article, I have discussed the acceptance of dialects in the North Korean standard language, Munhwa-eo. The key takeaways are presented below. Firstly, the acceptance of dialects in the North Korean standard language, Munhwa-eo, was a result of the speech refinement and Munhwa-eo movements that started in the mid-1960s. Secondly, the dialect vocabulary incorporated into Munhwa-eo is generally indigenous words that feature uniqueness, commonness, ethnicity, peopleliness, timeliness, and acceptability, which can enrich the lexical composition of Munhwa-eo and enhance its ethnic characteristics. Thirdly, the acceptance of dialects as Munhwa-eo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preserving the uniqueness, diversity, and ethnicity of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trictly excluding the use of regional dialects other than those accepted in Munhwa-eo is a fundamental limitation.

      • KCI우수등재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

        소신애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이 글은 북한 문화어의 방언 수용 양상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북한의 문화어에 방언이 수용된 것은 1960년대 중엽 이래 말다듬기 사업 및 문화어 운동이 전개된 데 따른 것이다. 둘째, 문화어에 수용된 방언 어휘는 대체로 고유성, 통용성, 민족성, 인민성, 시의성, 수용성을 갖춘 토착어로서, 문화어의 어휘 구성을 풍부화하고 문화어의 민족적 특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들이다. 셋째, 문화어의 방언 수용은 우리말의 고유성과 다양성, 민족성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문화어로 수용된 방언 외의 지역 방언의 사용을 철저히 배제한 것은 근본적인 한계이다. In this article, I have discussed the acceptance of dialects in the North Korean standard language, Munhwa-eo. The key takeaways are presented below. Firstly, the acceptance of dialects in the North Korean standard language, Munhwa-eo, was a result of the speech refinement and Munhwa-eo movements that started in the mid-1960s. Secondly, the dialect vocabulary incorporated into Munhwa-eo is generally indigenous words that feature uniqueness, commonness, ethnicity, peopleliness, timeliness, and acceptability, which can enrich the lexical composition of Munhwa-eo and enhance its ethnic characteristics. Thirdly, the acceptance of dialects as Munhwa-eo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preserving the uniqueness, diversity, and ethnicity of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trictly excluding the use of regional dialects other than those accepted in Munhwa-eo is a fundamental limitation.

      • KCI등재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안미애 ( Ahn Mi-ae ),홍미주 ( Hong Mi-joo ),백두현 ( Paek Doo-hye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6 No.-

        이 논문은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을 채용한 북한의 문화어 규범이, 국어사에서 일반적이었던 ‘두음법칙’을 위배하면서까지 남한의 어문 규범과 다른 방향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그 원인을 ‘언어적 차별화를 통한 언어 정체성의 구축’이란 관점에서 규명한 것이다. 본론에서 언어를 통한 정체성 형성의 의미, 문화어 규범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과 그 제정 배경 및 이 규정과 조선시대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세종 이래 나타난 조선시대 ‘正音’ 의식의 현대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은 남한 발음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면서 북한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어두 ㄹ, ㄴ 실현 규정을 도입하였다. 셋째, 북한이 시행한 언어 정책에 의해 현실 발음과 괴리된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이 북한 사회에 어느 정도 정착되었다. 넷째, 인위적 성격이 명백한 어두 ㄹ 규정은 역사적 전통을 가진 어두 ㄴ 규정보다 북한의 현실 발음에서 확고하게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조선시대에 평안방언이 ㄷ구개음화의 미실현을 통해 언어적 정체성을 드러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평안방언이 세종대왕이 세운 ‘正音’을 지향하며 그들의 언어 정체성을 형성하였듯이, 북한은 국가적 언어 정책 차원에서 문화어 규범에 어두 ㄹ, ㄴ의 표기와 발음 규정을 도입한 것이다. 북한에서 시행된 어두 ㄹ, ㄴ의 표기법과 발음 규정은 그 결과가 귀로 들리는 북한말의 특징을 형성하였고, 남한말과 쉽게 구별되는 북한말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북한 문화어 규정의 ㄹ, ㄴ 표기 및 발음 규정이 북한 지역의 언어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이것이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밝혀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y the phenomenon of ㄷ palatalization arises in contemporary Standard North Korean language despite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Pyeongan dialect spoken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nd to understand why spelling rules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have recently been included in language policy[in socio-linguistic aspects]. Previously, the language policy of Standard North Korean rejected unrealized ㄷ palat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 dialect. North Korean language policy has now introduced a new rule to realize ㄹand ㄴin word-initial position. Such a rule stands in marked contrast with the rule of word initials, one of the strongest rule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ive of North Korea for introduc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and ㄴas a rule is underpinned by one crucial extra-linguistical factor, namely the ‘linguistic discrimination to construct linguistic identity’. In other words, to establish its own linguistic identity, North Korea sought to diverge linguistically from South Korea. The motive for implement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 and ㄴ parallels the one for rejecting the realization of the ㄷ palatalization by the Pyeongan dialect speakers during Chosun dynasty. Thus, in order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such new rules, North Korea has repeatedly revised the rules of Standard North Korean since 1948 and consistently promoted their language policy.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emporary Munhwa-eo and Standard North Korean.

      • 문화어를 통한 한국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박영순(Park YoungSoon)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6 No.-

        이 글은 한국어교육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문화교육을 해야 하며, 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언어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요소 즉 문화어를 찾아 교육해야 함을 주장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는 문화를 생성하며, 반대로 문화가 언어에 투영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언어와 문화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언어교육에서는 문화교육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이 화두가 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문화교육의 내용이나 방법 면에서는 아직도 전범이 될 만한 연구나 이론이 별로 없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첫째로 문화는 워낙 광범위하고 복잡하여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로, 문화를 보는 관점에 따라 그 내용도 달라지고, 문화학습 목적이나 학습자 변인에 따라 교육방법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는데,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체계적인 문화교육 내용이나 설득력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교육 내용 선정의 기준과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여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을 보이고자 한다. 그러나 광범위한 문화 전체를 한국어교육에서 다룰 수도 없으려니와 본고에서 다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교육을 위한 문화만을 다루되, 그 중에서도 언어와 문화의 접점을 이루고 있는 문화어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특징, 한국문화의 정체성, 한국의 생활 특성, 한국의 독특한 풍속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여기서 문화어란 단어의 의미가 단순히 문자적 의미에 그치지 않고, 그 의미가 곧 한국의 문화를 나타내는 단어를 말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문화를 나타내면서도 현재까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문화교육방법에서는 목적에 맞게 교육하기, 문화유형에 맞게 교육하기, 과제학습을 통한 교육 등 12가지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교육 평가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문화교육 평가, 학습자의 문화인지도 평가, 문화교수법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앞으로도 이 분야에 대한 현장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rgue that Korean culture must be included i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ince there are so many instances in which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is necessary to capture the intended meaning of a sentence or a discourse of Korean. Of course this kind of phenomenon is not Korean-particular, but language in general. Therefore the key cultural words of a Language must be listed and the meanings of such words should be explained by linguists at least to some extent to help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aims, contents, methodology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help the student who study Korean as a second or a foreign language, the overall language-related Korean cultural elements are described such as Korean idealogical symbols such as symbolic favorites, values, institutional ident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etc., Finally Linguistic identifications of Korean language in terms of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Korean culture.

      • KCI등재

        북부 방언의 어제와 오늘

        곽충구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남북 지역어 조사>의 북측 보고서 자료를 중심으로 북부 방언의 현재의 모습을 조감하고 또 이를 통해 북부 방언의 변화와 그 요인을 말하였다. 그리고 향후의 조사 및 연구 과제를 언급하였다. 음운 면에서는 체계의 변화가 현저하다. 모음체계에서는 후설모음의 변화가, 자음체계에서는 ‘ㅈ’의 조음위치 변화(=재음운화)가 두드러진다. 음변화에는 문화어 규범과 같은 언어 외적 요인도 작용하였다. 문법 면에서는, 격조사와 종결어미의 변화 및 문법화를 보이고 조사와 어미 그리고 비자동적 교체 어간들이 문화어 규범의 영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말하였다. 어휘에서는 고어가 많이 잔존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또 북부 지역의 역사, 사회, 문화, 자연지리 등이 반영된 계열어휘, 차용어, 지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말하였다. 그리고 북부 방언 자료, 북의 구술발화 자료, 북의 문학 작품을 통해서 볼 때, 다수의 북부 방언이 문화어에 편입되었고 또 이러한 문화어와 북부 방언을 바탕으로 북한어가 계속 생성되고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상황이 고립과 단절 속에서 지속되면 민족어의 이질화는 심화될 것이다.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reports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s surveys for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language, we described the current state of the dialects of northern Korea, and supplemented previous studies and described the factors of change and research tasks. There is a marked change in the phonological system, the back vowels merging(/ㅡɯ/ and /ㅜu/>/ㅜu/, /ㅓə/ and /ㅗo/>/ㅗɔ/ in the Pyeongan-dialect vowel system, and rephonemicization of 'ㅈ'(palatal>alveolar in Hamgyeong-dialect) in the consonant system.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rules of North Korean culture were also involved in phonetic changes. In terms of grammar, it was said tha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grammaticalization of grammar forms, and that case marker, ending and non-automatic alternation stems are gradually chang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rules of North Korean culture. w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borrowed words, geographical names, etc. reflecting the history, culture, and natural geography of the northern region, and said that research is needed. In addition, through data and oral narratives of the northern dialects and literary works of North Korea, the northern dialects have been made into a number of North Korean culture, and new North Korean words ​​are being created continuously based on North Korean culture and northern dialects. If this situation continues in isolation, the heterogeneity of the national language will deepen.

      • KCI등재

        북한어의 비어두 ‘ㄹ’ 발음의 전개 양상 - 규범과 사전을 중심으로 -

        허철구 배달말학회 2022 배달말 Vol.71 No.-

        북한어에서 비어두 ‘ㄹ’의 철자식 발음 정책은 어두에 비하여 늦게 본격화되었다. 「조선어 철자법」(1954) 제6항에서 ‘ㄹ’은 ‘어느 위치에서나’ 표기한 대로 발음한다고 하였으나, 『조선말사전』(1962)에서 [ㄴ] 발음을 채택하듯이 비어두의 [ㄹ] 발음은 규범으로서의 지위가 약했다. 즉 60년대 초반까지는 ‘원칙’과 ‘실제’가 모순되는 상황으로 소극적 정책의 시기였다. 「표준발음법」(1966)부터는 비어두에서의 철자식 발음이 전면적으로 시행된다. 다만 이는 현실음의 반영이 아니라 인위적 정책에 따른 것인데 1966년의 문화어 성립이 그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정책적 맥락은 이후 70년대의 문화어 발음의 이론화를 거쳐 『현대조선말사전』(1981. 2판)부터 『조선말대사전』(1992, 2007, 2017)에 이르기까지 철자식 발음이 일관되게 유지, 강화되는 데서도 확인된다. 이 비어두의 철자식 발음 [ㄹ]은 「문화어발음법」(2010)에서 [ㄴ] 발음으로 회귀하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오늘날 두 발음 간 경쟁 및 공존 상태로 꽤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표기에 맞추어 발음을 교정한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

      • KCI등재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찬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8 東洋學 Vol.72 N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ctors that accelerate language heterogeneity in North and South Korea are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policy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s, and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because it can make communication difficult. Historically, the notion of standard language began in England in the 15th century, and France was influenced in England, which again influenced Germany. During the period from the 15th to the 19th century,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which was intended to strengthen the kingship in Europe and to increase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influenced imperial Japan through Germany and this led to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day, It became a nation that enacted a strong standard language policy. Comparing the languages of the two Korea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pell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erms of lexicon. It seems to be the result that North Korea has strongly promoted the use of cultivated standard language, and South Korea has also adopted strong standard language policy. The fact that the two Koreas have the standard language of each codified standard language can be a source of conflict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Communication is the most basic function of language. Historically, the standardization of language has helped communication until 19th century.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ensuring language diversity, activating creative function of language and securing the right of language equality’ has been strengthened in modern times, as a result, standard language is rather a factor preventing communication abundance. For that reason I suggest abolishing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If we abolish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we will use the most, the standard in broadcasting and media, and the way to educate students based on the languages included in the dictionary, and many other benefits, is a reasonable way. In this paper, instead of the concept of ‘alternative’ as the standard language,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Unified Common Korean’, which is a common language used by all Koreans. 본 연구는 남북한 언어 이질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성문화된 규정으로 제시한 북한의 문화어와 남한의 표준어에 있다고 보며, 포스트휴먼 시대를 맞이하여 표준어가 오히려 소통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이를 폐지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역사적으로 현대적인 관점에서의 표준어 개념은 15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프랑스는 영국에서 영향을 받았고, 이는 다시 독일에 영향을 미쳤다. 15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동안 유럽에서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 정부의 영향력을 높일 의도로 계획한 표준어 정책은 독일을 통해 제국주의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고, 이것이 일제 강점기의 한국에까지 이어져 오늘날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표준어 정책을 제정한 국가가 된 것이다. 남북한의 언어를 비교해 보면 맞춤법 규정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에 어휘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많은 것은 북한이 문화어 정책을 통해 말다듬기를 강력하게 추진해 왔고, 남한도 성문화된 표준어 규정을 통해 인위적으로 어휘의 표준을 정해 온 결과로 보인다. 남북이 각각의 성문화된 표준어를 가지고 있는 것은 향후 남북관계 평화 조성에도 갈등의 소지가 될 수 있다. 소통은 언어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근대까지는 언어의 표준화가 소통에 도움이 되었지만 향후 포스트휴먼 시대에는 ‘언어 다양성 보장, 언어의 창조적 기능 활성화, 언어 평등권 확보’라는 개념이 강화될 것이므로 표준어가 오히려 소통의 풍부함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어서 폐지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성문화된 표준어 규정을 폐지하면 언중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방송이나 언론 등에서 기준으로 삼으며, 사전 등에 수록된 언어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교육하는 방식이 합리적 방법일 것으로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 표준어라는 ‘선택적’ 개념 대신에 한민족 모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언어라는 의미에서 ‘한민족공동어’라는 개념을 제안하며, 이 공동어라는 개념 속에서 남북한이 함께 한민족공동어(韓共同語) 정립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기구를 통해 충분히 논의와 활동을 전개한 후 표준어와 문화어를 폐지하여, 가능한 다양한 한국어 방언들이 언중들 사이에서 유통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임화의 민족문학론과 언어론

        하정일(Ha Jeong-il)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1

        임화가 언어 문제에 본격적인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는 것은 1934년 무렵부터이다. 이 시기는 카프의 볼세비키화가 일제의 파시즘적 탄압에 맥없이 좌절되면서 프로문학운동이 존립의 위기에 처한 때였다. 이에 임화는 볼세비키화론을 자기비판하면서 ‘근대적 의미의 민족문학’을 조선문학의 당면과제로 제시했다. 임화의 민족문학론은 코민테른 4차대회의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론과 ‘이중의 임무’론을 근거로 삼고 있다. 훗날 임화는 〈농촌과 문화〉에서 이를 이중과제로 명명한다. 임화는 부르주아 민주주의 단계의 문학이념은 민족문학이지만, 조선의 경우에는 토착 부르주아가 민족문학을 건설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새로운 민족문학은 프로문학이 ‘주류적 담당자’가 되는 민족문학이다. 새로운 민족문학은 근대적 과제와 탈근대적 과제를 함께 해결해야 하는 ‘이중의 임무’를 부여받은 민족문학이라고 임화는 주장했다. 언어의 문제 역시 마찬가지다. 임화는 식민지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부르주아가 민족어의 정립에 실패했고 그 과제를 프로문학이 떠맡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그래서 프로문학은 언어 문제에 있어서도 ‘이중의 임무’를 부여받았다고 임화는 말한다. 요컨대 부르주아문학이 이루지 못한 ‘언어상의 근대적 개혁’을 해결하면서 프로문학 고유의 ‘새로운 언어적 세계’까지 개척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새로운 언어적 세계란 민중어에 바탕한 문화어를 의미한다. 그러나 총동원체제와 3차 교육령은 상황을 전변시켰다. 일본어 상용이 제도적으로 강제되고 조선어가 정규과정에서 사라지면서 민족어의 일대 위기가 닥쳤기 때문이다. 이에 임화는 새로운 언어적 세계의 개척을 유보하고 민족어의 수호에 전념하게 된다. 총동원체제에 맞서기 위해 임화가 선택한 방책은 탈정치를 통한 정치적 저항이었다. 특히 임화는 일문(日文)으로 쓴 〈언어를 의식한다〉에서 세개의 은유를 적절하게 활용해 민족어의 존재 가치를 설파한다. 다만 이 시기에도 임화는 어문 정리가 ‘유행하는 문화풍속으로서의 조선열’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면서 민족주의로의 경사를 막으려 했다. ‘새로운 언어적 세계’의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두고 싶었던 것이다. This essay is a study on Limhwa's linguistic theory in late colonial period. His linguistic theory was based on the thesis of 'double burden' in 4th Comintern. This thesis was appeared not only in Limhwa's linguistic theory but also in his whole literary criticism. The thesis of 'double burden' meaned that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realize both accomplishing modernity and overcoming modernity. Double burden in language was that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realize both accomplishing national language and opening up new linguistic world. First of all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accomplish national language because bourgeois literature failed in this mission. Secondly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open up new linguistic world. This mission was a pecular project of proletarian literature. Limhwa thought that performance of double burden could build a new national literature, namely socialistic national literature. At the same time he believed that it was an effective resistance on colonialism.

      • KCI등재

        에피그람(Epigram)양식의 청각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이상의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의 ‘독선적 은유구조화’

        조영복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7

        근대문학 ‘초창시대’부터 제기된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의 ‘쓰기’를 둘러싼 논란은, 1930년대를 관통하면서 조선어의 문학어, 문화어로서의 격상 및 철학용어화, 술어화, 과학화가 가능한가에 대한 논의로 심층화 된다. 본고는 에피그람텍스트의 양식적 특성을 1)‘목소리현전성’의 개념으로 논증하고, 2)이상의 에피그람텍스트의 고유성을 논구하면서 특히 3)‘한글문자추구시험’이라 스스로 밝힌 「위독」 계열의 시와 에피그람문체와의 관련성을 논한다. 지적인 통찰과 반통념적 사유에 기반한 양식이 에피그람이고 그 시적 실현이 「위독」이라면, 이상은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로 지적이고 철학적인 사유를 담아낼 수 있는가의 질문에 대한 답을 「위독」 계열의 시를 통해 모색하고자 했다. ‘일상어로부터 자기의 언어를 격리시키고 지극히 기괴한 문장을 만드는 독선주의적 은유구조화’된 이상의 에피그람식 문체는, 조선어한글문장체의 ‘쓰기’의 진전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