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인셉션>과 문학치료학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2 No.-

        이 연구는 <인셉션>의 주요 발상이나 개념이 어떤 문학치료적인 함의가 있으며, 그에 대해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떤 접근이 이루어졌는지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영화의 `꿈`과 문학치료학의 `꿈`을 비교해 보았다. 영화에서는 공유하는 꿈과 그 속에서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인물의 생각이 변하였고, 그 삶의 계획이 이전과 달라졌다. 문학치료학에서도 남의 꿈이라도 자기 것처럼 여길 때 사람과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문학치료학은 꿈과 문학의 형성 원리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즉, 작가의 백일몽과 같은 문학작품도 심도 있게 체험하고 자기 것으로 삼는다면 독자 자신 및 독자의 삶이 변화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영화 속 인물의 서사적 삶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영화에서 인셉션의 표적 인물이 되는 피셔는, 순응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으나 아버지의 법이 너무 높아 자책하는 내향적인 인물이다. 피셔는 아버지가 죽은 후에 아버지의 뜻을 따라 회사를 경영해 보고자 하는 자기 기획을 품었다. 이러한 자기 기획도 넓은 의미에서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가 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은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되는 인지적, 정서적 방응이나 행동 방식을 자기서사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기초서사 영역으로 자기서사를 분류하여 문제적 상황이나 심리적 문제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게 해준다. 셋째, 영화의 `인셉션 과정`과 문학치료학의 `문학치료 과정`을 비교하였다. 영화는 인셉션의 대상이 되는 생각이 문학적 형상을 갖추어야 한다고 보는 한편, 문학적 감동과 내면화가 정신적 변화와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또한, 인셉션의 과정은 기존의 자기서사에 대해 의심하고(1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쓰기 위한 힘을 기르고(2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완성하는(3단계)로 구성되었다. 이는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 변화 과정, 즉, 다른 선택 가능성에 대한 이해, 자기서사와의 거리두기, 새로운 서사의 길내기 등의 단계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film, < Inception > and the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 two exist in different areas, but they share the assumptions that everybody has their own stories which direct and shape their decisions and acts. The film title, `inception` means that seeding the new idea which is formed as a story in a targeted one`s mind. Meanwhile, the literary therapy`s main process of treatment is to change the story which located in the mind and cause troubles in the real life. First, the dream is very important for the two. < Inception > uses dreams for changing one`s ideas. Dream experts, Cobe`s team plan, plot, and concrete dreams in various levels for successful inception. The literary therapy considers literatures as dreams which can make changes and substitute audience`s ideas and patterns of thinking. Second, the two have the assumption of existing stories in everybody`s mind. The literary therapy calls the stories `self-epic`, because it has the structure of `beginning, middle, and end`. And the theory provides the methods to analyze self-epics and the crucial problems of them. Thir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elf-epic` has structural homology. The process of inception start from the doubt about his existing self-epic(step 1), raising the power to write a new one(step 2), completing new self-epic by the catharsis(step 3)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literary therapeutic one: understanding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self-epic(step 1), putting some distance between his established one and new one(step 2), making new ways for fresh self-epic.

      • KCI등재

        문학치료 관점에서 바라본 박인로의 <五倫歌> 연구

        김지은 한국시조학회 2023 시조학논총 Vol.58 No.-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al with Park In-ro’s (1561~1642) <Oryunga> from a literary therapeutic point of view. <Oryunga> is a series of stanzas created by yangban bureaucrats belonging to the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for the purpose of edifying the common people, thus following the Confucian morality denoted by ‘五倫’. However, Park In-ro's <Oryunga> captures something quite different from other 'Oryungsijo' as it is the expression of personal emotion, and it is worth noting this i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part of '君臣有義' rather than being revealed in the entirety of the 25 poems. This strongly suggest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opolitical position of the write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 of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Park In-ro's < Oryunga > by paying attention to his narrative. The writer’s self-narrative goes one step further in the method of literary therapy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ry therapy,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s about why a certain work had to be created and why people indulged in it. Therefore, this study will approach Park In-ro's <Oryunga>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but divide it into two aspects: personal and social literary therapy. First of all, the writer Park In-ro's life and self-narrative will be approached as literary therapy at the personal level, focusing on the confessional words revealed in the '君臣有義' item in <Oryunga>. Additionally, since this work is essentially a poem to edify the people, the study will also examine it as a tool for social literary therapy. Social literary therapy through <Oryunga> can be diachronically applied not only to Park In-ro’s society, but also to our contemporary society. This is because the Code of Five Rings can work as an important tool of literary therapy that can purify the pathological elements of our society. This study plans to expand the discussion on the status and value of Nogye's writing within the field of literatur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In short,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self-narrative of Park In-ro, and approach the creation of <Oryunga>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본 연구는 蘆溪 朴仁老(1561~1642)의 작품 가운데 <五倫歌>를 중심으로 이를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 시도이다. <오륜가>는 본래 조선조에 있어서 지배 계층에 속하는 양반관료들이 유교 도덕인 ‘五倫’으로서 피지배계층인 일반 백성을 교화하려는 목적으로 지어낸 일련의 연시조이다. 그러나 박인로의 <오륜가>는 다른 ‘오륜시조’들과는 사뭇 결이 다른 지점이 포착되고 있다. 개인적 정감의 표출이 그것인데 그 지점은 <오륜가> 25수 전면에 드러나기 보다는 특히 ‘君臣有義’ 부분에서 두드러지고 있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작가 박인로가 처한 정치적 · 사회적 입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 따라서 다른 ‘오륜 시조’들과 박인로의 <오륜가> 사이에서 발생하는 변별적 자질의 원인 규명은 곧 작가 박인로의 서사에 주목하게 되는 근거가 됨과 동시에 그의 자기서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문학치료의 방법에서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고전문학연구는 어떤 특정한 작품이 왜 창작될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사람들이 왜 탐닉하게 되었는가, 즉 다시 말해 작가 및 작자층에 대한 연구, 그리고 독자 및 독자층에 대한 연구가 그들의 동기 내지 효과에 주목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인로의 <오륜가>를 문학치료의 관점으로 접근하되 이를 다시 개인적 문학치료와 사회적 문학치료의 두 가지 국면으로 나누어 살필 예정이다. 우선, <오륜가> 중에서 특히 ‘君臣有義’ 항목에 드러난 자기 고백적 언사들을 중심으로 작가 박인로의 삶과 자기서사를 개인적 차원에서의 문학치료로 접근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이 본질적으로는 백성들을 교화하는 목적성의 시가라는 점을 염두할 때, 이 노래가 사회에 미치게 될 효과와 善의 가치추구 및 실천은 사회적 문학치료로서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오륜가>를 통한 사회적 문학치료는 박인로가 살았던 당대 사회뿐만 아니라 오늘날 현대 사회에까지 통시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오륜의 강령은 우리 사회의 병폐적 요소들을 순화시키고 정화할 수 있는 중요한 문학치료 기제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노계문학의 문학사적 위상과 가치 등에 대한 논의는 기존의 연구 성과에 기대어 이에 동의함을 전제로 논의를 확장시켜 나갈 예정이다. 박인로라는 한 인간의 자기서사와 내면에 천착하고 이를 <오륜가> 창작 동기와의 연관성 및 상호관계성을 문학치료 관점에서 접근해 보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손정희(Jeonghee Soh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etry/journal therapy on anxiety and ego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Faced with the transitio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university students often go through the so-called quarterlife crisis. They may suffer from various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anxiety, depression, stress, and confusion in ego identity. Poetry/journal therapy is an interactive therapeutic process that is guided by a facilitator, in which participants can be helped to experience change, growth, and healing. This is achieved by facilitating the participants to express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catalytic literary texts and to write their feelings using various techniques belonging to journal therapy and expressive writing. Through this process, poetry/journal therapy enables participants to resolve various psychological issues and gain health-promoting benefits in various aspects of their lif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19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9 students,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10.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0 sessions of 75 minutes. To obtain a more thorough resul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study’s quantitative analysis,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im J. T, 1978) and the KAES (Korean Adolescent Ego-identity Scale, Park, A, 2003)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etry/journal therap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reducing the level of anxiety.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both state and trait anxiet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poetry/journal therapy positive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 participants’ ego identity. Third, the participants demonstrate a reduced level of anxiety and a greater level of positiveness and initiative in their ego identity-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monstrated that poetry/journal therapy positively affects the reduction of the anxie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ego identity. Additionally,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dispensable and invaluable human resources of the future society, are presently undergoing a critical psychological crisis. Within such a context,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basis for further studies that seek to verify whether poetry/journal therapy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cope with other psychological issues. Furthermore, this study contributes toward confirming that the active financial and systematic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implement poetry/journal therapy programs as a crucial part of counselling and 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본 논문의 목적은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대학생들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며 소위 청년위기를 겪고 있으며, 불안, 우울, 스트레스, 자아정체감 혼란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로 고통 받고 있다. 글쓰기문학치료는 참여자들이 촉진자의 안내를 받아 촉매로 사용된 문학 텍스트에 대한 감정 반응을 저널치료와 표현적 글쓰기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글쓰기를 함으로써 변화, 성장, 치유를 경험하게 되는 치료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연구대상은 9명의 실험집단과 10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된 대학생이다. 실험집단에만 글쓰기문학치료프로그램을 75분씩 일주일에 2회기, 총10회기로 진행한 후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시행했다. 측정도구로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김정택, 1978)와 한국형 자아정체감 척도(KAES, 박아청, 2003)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문학치료는 불안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대학생 참여자들은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모두에서 불안감소를 보였다. 둘째,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는 글쓰기문학치료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쓰기문학치료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태도와 행동에서 불안 감소와 자기 수용적 태도와 삶을 주도적으로 운용하는 능력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글쓰기문학치료가 대학생의 불안 감소와 자아정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국가의 핵심적인 미래 인력자원인 대학생들이 심각한 심리적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에 대처하도록 돕는데 글쓰기문학치료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앞으로 글쓰기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을 위한 상담과 치료의 핵심적인 부분이 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정부와 관련 기관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원초적 자기서사의 형성과 마더 텔러 -문학예방치료를 위한 시론-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한국문학연구에서 문학치료라는 개념이 구상된 지 20년이 지났으며, 정식으로 문학치료학회를 만들어 본격적 학문의 장을 형성한 지도 10년이 넘었다. 이론 구축과 진단 도구 개발 측면에서 이룩한 문학치료학의 성과는 상당하다. 문학치료학은 `문학의 본질이 치료`라는 점을 명시하고, `원초적 사건을 다시 경험하게 함으로써 경험을 반복 조정하는` 치료 과정을 제안하며, `자기서사의 발견과 개선`을 목적으로 삼는다. “자기서사를 온전하고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일”을 위해 `작품서사`를 핵심도구로 사용한다. 문학치료학의 핵심은 `변화`이다. 이 `변화`는 `현재 건강하지 않은 자기서사`를 전제로 한다. 지금의 문학치료는 건강하지 않은 마음을 관심의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제는 문학치료의 범주를 문학 예방치료로 확대할 때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초기 자기서사 형성에 작품서사가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서사적 지지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문학의 치료적 강점은 일반 사람들의 건강한 자기서사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원초적 자기서사 형성에 참여하는 작품에 대한 새로운 독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독법이 장르론적, 사회사적 시각에 경도된 것이라면, 새로 발견할 독법은 자기서사의 형성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준 높고 건강한 서사일 것이다. 이러한 서사의 발견을 위해 문학치료 연구자는 `부모서사`를 내면화해야 한다. 강한 `부모서사`를 내면화한 문학치료 연구자를 `마더 텔러`라 부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서사적 존재라는 사실에 공감한다. 인간이 그 자체로 하나의 `책`이 된다는 인식도 늘어나고 있다. 작품서사나 다른 사람의 자기서사는 나의 자기서사가 형성되고 성장하는 데 깊게 관여한다. 이제 자기서사 형성기에 작품서사가 가동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단계에 이른 것이다. 이것은 문학치료연구자의 자세를 치료자가 아닌 예방가로 넓히는 일이다. 문학치료연구자는 아이들이 접하는 작품에 대한 기존 해석을 성찰하고 아이의 자기서사에 유용한 새로운 독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연구자, 문학교육자와 연계하여 새로 발견한 독법이 실제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야기`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literary therapy was formulated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was formally established to shape the arena of study in earnest. Literary therapy has produced considerable results in terms of constructing theories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Literary therapy specifies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therapy” and it suggests a therapeutic process to “regulate experience repetitively by making one`s experience a basic event again.” Literary therapy aims to “discover and improve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work” is used as a key instrument to “[change] the epic of self to be complete and healthy.” The core of the literary therapy is a “change.” Such a change assumes “the epic of an unhealthy self today.” Literary therapy is mainly interested in the unhealthy mind. However, it is now time to expand its definition, to encompass literary preventative therapy, since the epic of work has a great effect on the initial human epic of self, in relation to “narrative support.” Moreover, the advantage of literary therapy is its ability to contribute to shaping a healthy the epic of self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ew reading should therefore be provided for works that participate in shaping a basic epic of self in childhood.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is biased toward the genre and social history of literary therapy, new literature should contain healthy narratives, in order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pic of self. To discover such narratives,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have to internalize the “Father and Mother epic.”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who internalizes a strong “Father and Mother epic” may be called a “Mother-teller.” Today, many people sympathize with a fact that humans are narrative beings. There is increased recognition that humans become books by themselves. The epic of work or the epics of others` selves are deeply influential on the shaping and growth of one`s own epic of self.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methods to operationalize the epic of work in the period of the epic of self. This would expand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roles from therapists to preventers.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should reflec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s to which children are exposed, and consider new useful readings for children`s epics of self. Additionally, literary researchers and educators should make an effort to actively “spread” these new readings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education.

      • KCI등재

        문학치료에 있어서의 치료모형 모색

        박재현 ( Park Jae-hy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4 No.-

        본 논고에서는 문학이 가지는 치료적 개념을 토대로 문학치료에 대한 접근법과 연구방법에 대해 본원적인 검토를 해보고자 하였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이라는 개념은 의학적, 철학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개인과 사회를 모두 아우르는 병리적 현상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치료의 개념 또한 의학적, 철학적, 사회적, 종교적, 예술적 측면을 아우르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문학치료는 완치, 재활, 예방, 완화치료의 관점을 모두 포괄할 수 있으며,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자기서사를 성찰할 수 있게 하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다. 사회적 관점에서 볼 때 문학치료는 사회적 병리현상을 고치는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종교적, 예술적 차원에서 볼 때 문학치료에서는 문학이 가지는 위로의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학이 치료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문학이 독자에게 주는 치료적 효과를 다른 제반적 환경을 모두 고려하여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문학이 가지는 본래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문학치료의 연구방법은 치료적 기능에 대한 분석 연구, 질적 연구 등의 다양한 접근법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문학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심미적 가치에 대한 평가 또한 배제할 수 없는 영역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bout therapeutic function in the literac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state of illness is needed to be conceptualized in the medical, socio-medical, philosophical, psychological, social perspectives. From this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illness phenomenon should be understood with comprehensive view which encompass individual and society as well. Secondly, therapeutics should be approached with medical, philosophical, social, religious, artistic perspectives. From the medical perspective, literary therapeutics could encompass concept of full recovery, rehabilitation,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From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epic of self` could be compared with `a literary work` and gain the chance to introspect itself. From the social perspective, literary therapeutics could be understood to be the measure to fix the illness state of society. From the religious and artistic perspectives, the function of consolation could be emphasized. To maximize therapeutic function of the literacy, the therapeutic function of the literacy should be understood with reader`s environment comprehensively and the original function of literacy is need to be maximized. The literary therapeutics is need to encompass various types of research methodology such as analytic approach of therapeutic function, qualificative research method. And assessing the artistic and aesthetic value of literacy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 KCI등재

        교류분석 상담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상호보완 가능성

        권요셉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mplementary potential of literary therapeutics and transactional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imilarities are : First, relationships, especially family relationships, form the foundation of life script in transactional analysis and self-narrative Jeong Un-Chae describes narrative as ‘epic’ but here just narrative. in literary therapeutics. Second, symptoms of both life script and of self-narrative are generally caused by either too much or not enough repetition behavior and unconscious formation of emotion due to family relationships. Third, the essences of both parent ego and parent-narrative incorporate nurtur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directive nurture and protective nurture. Fourth, the essence of both child ego and child-narrative are adaptiv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free and adaptive. Fifth, therapeutic processes of transactional analysis and literary therapeutics are very similar. That is ‘➀ self-distancing from life script and self-narrative ➁ finding elements to be modified, and ➂ creating new possibilities for fresh self-narrative’. Despite of their similarities,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m : First, in transactional analysis, a counselor intervenes in the life script of his or her counselee and in literary therapeutics, works of literature and self-narrative are applied by the counselor to the self-narrative of the counselee. Second, adult ego in transactional analysis mediates between parent ego and children ego rationally but in literary therapeutics, there is no concept of an adult ego. ; rather, all narratives in literary therapeutics can be integrated into one ego. Third, according to the mode of human relations, literary therapeutics are classified into four narrative groups, dividing narrative, pushing narrative, recovering narrative, and protecting narrative. Transactional analysis does not include the concepts of pushing narrative or recovering narrative but focuses instead on dividing narrative and protecting narrative. Fourth, literary therapeutics includes the concepts of choice in man’s and women’s narratives, and the concepts of endurance in the narrative of wives and husbands. Transactional analysis does not include any similar concep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study of the existential aspect of transactional analysis can influence literary therapeutics and the study of the narratives of literary therapeutics can influence transactional analysis. 이 논문은 교류분석과 문학치료학을 비교 연구함으로 문학치료학의 실증성 및 보편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두 학문의 상호보완 가능성을 생각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류분석의 인생각본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와, 교류분석의 세 가지 자아 개념을 문학치료학의 네 가지 서사 개념과, 교류분석의 재결정이론을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길내기와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슷한 점으로는, 첫째, 교류분석의 인생각본도 문학치료학의 저기서사도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특히 가족과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생각본도 자기서사도 한정된 인간관계를 통해 습득된 과하거나 부족한 자기만의 행동과 감정이 삶에서 반복되어 증상을 유발하며 이렇게 반복되어 나타나는 인생의 시나리오 패턴을 스스로는 발견하기 어렵다. 셋째, 교류분석의 부모자아와 문학치료학의 부모서사는 모두 양육이라는 공통적인 주안점을 갖고 있으며 이 양육은 지시적 양육과 보호적 양육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진다. 넷째, 교류분석의 아이자아와 문학치료학의 자녀서사는 모두 순응이라는 공통적인 주안점을 갖고 있으며 순응하지 않으려는 시나리오와 순응하려는 시나리오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진다. 다섯째, 교류분석의 재결정 개념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길내기 개념은 모두 새로운 시나리오를 각각 인생각본과 자기서사에 만들어 가는 것을 치료의 개념으로 삼는다. 재결정과 서사의 길내기 모두 ‘자기 시나리오를 거리두고 보기–문제를 발견하고 수정요소 찾아내기–새로운 시나리오 만들어가기’의 순서를 갖는다. 다른 점으로는, 첫째, 교류분석은 상담자가 직접 내담자의 인생각본에 개입해야 하는 반면에 문학치료학은 작품서사와 상담자의 자기서사가 내담자의 자기서사에 개입한다. 둘째, 교류분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는 어른자아는 부모자아와 아이자아를 균형 있게 조율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자아이다.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른자아의 역할을 하는 개념이 없고 부모, 자녀, 부부, 남녀 서사가 한 자아로 형성되었다고 간주한다. 셋째, 문학치료학에는 인간관계 방식에 따라 가르기서사와 밀치기서사, 되찾기서사와 감싸기서사가 있다. 교류분석에는 가르기서사와 밀치기서사에 해당하는 개념은 있으나, 갈등하는 서사의 개념으로 나타난 밀치기서사와 되찾기서사에 해당하는 개념이 없다. 넷째,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 개념을 규정하는 의미로서 양육과 순응 외에도 선택과 지속이라는 개념도 필요하다고 보고 각각 남녀서사와 부부서사 개념을 사용하지만 교류분석에서는 선택과 지속이라는 개념에 해당하는 자아가 따로 없다. 비교한 결과, 두 학문의 유사성을 통해 문학치료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두 학문의 다른 점을 통해서는 서로 영향을 주며 상호보완할 수 있다고 보였다. 교류분석이 갖고 있는 존재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문학치료학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고 문학치료학의 지속과 상담자의 서사에 대한 연구는 교류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의사소통 교육에서 문학의 의의와 문학 치료의 활용 -자기 서사 쓰기에서 문학의 타자성과 문학 치료의 제한적 수용을 중심으로-

        양가영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7

        Losing desire and motivation for self-sense an nd thought is rooted in the atrophy of the ego. Due to the atrophy of self-awareness and -confidence, students lose the motive for self-sensation and thought and remain closed and passive subjects. Therefore, learning that recognizes, expresses, and communicates with oneself, such as academic writing/practical writing, is regarded by students as unnecessary, that it is useless to try , or difficult for them to do, and as hindering their learning efficacy. To overcome such atrophy and closure of the ego to writing,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in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clarified that the self-narrative writing class that limitedly accepts literary therapy is required.Therefore, Chapter 2 confirmed that self-narrative writing related to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s more requir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narrative writing and literature's otherness and suggested a class plan for self-narrative writing related to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s presented. Through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t was shown that it wa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mpetence in communication education and analyze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an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accept the structure of the self and attempt to reconstruct it through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n self-narrative writing. It is revealed that the self is a form that can only be form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others and that this can explain the imperfection and lack of the self shown in the literature presented through discussions by Kim In-hwan and Balte Benjamin. In addition, through the otherness of the ego shown in literature, a class plan for learner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is otherness was presented. Consequently, we reconsider the core competencies emphasized in liberal arts education that have overlapping or unclear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demonstrate that literature is a decisive academic area for their cultivation. In addition, it was clarified that self-narrative writing is aimed at realizing the otherness of the literatur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limited literary therapy as a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significant of literature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literary self-narrative writing, In Chapter 3, on the premise of the otherness of literature and its importance in self-narrative writing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e limited acceptance of literary therapy in self-narrative writing was revealed, divided into class plans and pedagogies. Therapy aims to respond to and overcome resistance, but self-narrative writing needs to try relatively affluent literary detours in the resistance phase. At the same time, unlike passive participation in therapy, self-narrative writing limits and accepts literary therapy to intervene with students in all processes actively. Based on this, three methods of completing sentences, parodying works, and taking MMSS tests were presented as the process of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actively using group activities as class methods. As teaching methods, the technic to overcome resistance in Gestalt therapy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resistanc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literature and literary therapy in communi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re an essential and effective way to reconsider the possibility and interest of students in writing. Students can understand and learn the structure of the ego and reconstruct it through writing pedagogy using the otherness of literature and literary therapy. This has the significance of reconsidering the core competencies that are emphasized in liberal arts education, but whose relationship is overlapping or unclear, and confirms that literature is a decisive academic area for their cultivation. However, since their possibility of intervention in reali... 의사 소통 교육의 수업에서 많은 경우 학습자들은 자기 인식과 자기 신뢰의 위축으로 자기 감각과 사유의 동기를 갖지 못하고 폐쇄적이고 수동적인 주체를 보여준다. 자신을 인식하고 표현하여 소통하는 학습에서의 자기 감각과 사유에 대한 욕망과 동기의 상실은 자아의 위축에 연원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글쓰기에 대한 자아의 위축과 폐쇄를 극복하기 위해 의사소통 교육에서 문학의 의의를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문학 치료를 제한적으로 활용한 자기 서사 쓰기의 수업이 필요함을 밝히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2장에서는 자기 서사 쓰기를 통해 구현되는 문학의 타자성이 자아 구성을 이해할 수 있는 원리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자아가 타자의 시선을 통해 형성될 수밖에 없는 형식임을 밝히고, 이것을 문학이 보여주는 자아의 불완전성과 결여를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또한 문학이 보여준는 자아의 타자성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아의 타자성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자기 서사 쓰기가 문학성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쓰기임을 밝히고, 그런 이유로 문학 치료를 교수법으로 제한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3장에서는, 이와 같은 문학의 타자성과 자기 서사 쓰기에서의 그 중요성을 전제로, 자기 서사 쓰기에서 문학 치료의 제한적 수용을 수업 방안과 교수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문학의 타자성을 통한 우회로의 활용을 자기 서사 쓰기와 문학 치료가 서로 공유함을 확인하고, 양자가 구분 되는 지점이 쓰기와 치료에 있음을 밝혔다. 치료는 저항에 대응하여 그것을 극복하는 데에 목표가 있으나 자기 서사 쓰기는 저항의 국면에서 오히려 풍부한 문학적 우회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치료의 수동적 참여와 달리 자기 서사 쓰기에서는 모든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능동적 개입을 목표로 문학 치료를 제한하여 수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방안으로, 문장 완성하기, 작품 패러디 하기, MMSS 테스트 하기의 세 방안을 조별 활동을 적극 활용하는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의 전과정으로 제시하였고, 교수법으로는 게슈탈트 치료법에서 저항에 대한 대응에 집중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의사소통 교양교육에서 문학과 문학 치료는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대한 가능성과 흥미를 재고할 수 있는 필수적이고 유효한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은 문학과 문학 치료를 활용하는 글쓰기 교수법을 통해 자아의 구성을 이해하고 이를 재구성할 가능성이 자신에게 있음을 이해하고 익히는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 이는 교양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지만 서로의 관계가 겹치거나 명료하지 않은 핵심 역량들을 재고하고, 이들의 함양을 위해 문학이 결정적인 학문 영역이 됨을 확인하는 의의를 갖기도 한다. 다만, 이와 같은 학습자들의 자아 재구성의 가능성은 이들의 현실개입의 가능성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위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구조에 대한 인식과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개념 검토

        나지영 ( Na Ji 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이 글은 문학치료학이 인간을 문학적으로 이해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우리가 `서사`에 집중을 할 때 비로소 인간을 문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됨을 논하였다. 문학치료학에서는 문학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그 작품의 `작품서사`에 주목하며, 한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자기서사`에 주목한다. 그리하여 `자기서사`의 개념이야 말로 문학치료학의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독특한 특징이라고 하였다. 우선 2절에서는 그동안 문학치료학에서 자기서사의 개념이 정립된 과정을 살펴보았고, 3절에서는 지금까지 문학치료연구 에 제출된 여러 편의 논문들 중에서도 특히 `자기서사`의 개념을 다르게 이해한 논문들을 살펴보면서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의 개념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자기서사는 우리의 실제 경험과 관련을 맺기는 하지만, 경험 그 자체는 아니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갖고 있는, 우리 안의 문학이다. 따라서 실제의 경험을 그대로 진술한다고 하여 자기서사가 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가 꾸며낸 이야기, 만들어낸 이야기가 자기서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자기서사는 변할 수 있다. 사람의 인생은 문학 작품처럼 완결되어 있는 것도 아니며, 고정불변의 것도 아니기에 사람이 갖고 있는 서사, 즉 자기서사는 변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은 자기서사가 더욱 건강하게 변하면 우리의 실제 삶 또한 더욱 건강해 질 수 있다고 본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인생을 살아나가는 방식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기서사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또한 그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내가 갖고 있는 어떠한 삶의 태도나 방식이 특히 특정한 인간관계 속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다면, 나의 삶의 태도나 방식을 바꾸면 반대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도 얻게 되는 것이다. 셋째, 자기서사는 가치관 또는 사상과는 다르다. 하나의 공통된 가치관 내지 사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그 사람들의 자기서사가 같다고 할 수 없다. 서사가 `인간관계의 형성과 위기, 회복`에 관한 것이라고 할 때, 자기서사 역시도 인간관계와의 관련 속에서 구성될 수 있다. 우리는 자기서사를 통해 한 사람이 특정 인간관계에서 나타내는 경향성과 태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특정 인간관계 속에서 보이는 경향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In literary therapeutics, human is literature, human is epic. So when we try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 we should focus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the same manner, when we try to understand the human, we should focus on the epic of self. In chapter two, I examine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epic of self`, and in chapter three, I examine some written papers in Journal of Literary Therapy which were using the term of `the epic of self` in different point of view. As a result, I conclude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view. First, the epic of self is related to our own personal experience, but it isn`t experience it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epic of self is literature inside us, something operates and organizes our life, so the epic of self embodies our life. Therefore, speaking of our life isn`t necessary to be the epic of self, preferably the stories we make up is much closer to be the epic of self. A written confession or a narrative of one`s personal experiences are not the epic of self. Second, the epic of self can be changed. Our life isn`t fixed or completed, therefore, the epic of self also isn`t fixed or completed. In literary therapeutics, if the epic of self can be changed healthily, our life also can be changed healthily. Because the epic of self affects on the way we live, the epic of self makes problems in our life, but likewise it has the abi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Third, the epic of self isn`t a sense of values or an ideology. Suppose there is a group of people who share the same sense of values or ideology.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sense of values or ideology, it doesn`t mean they have the same epic of self. Each one of the group has their own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very important factor of epic is human relations. `Epic` is defined as `the story of a formation, a crisis, and a recovery in human relation`. Human relation is the core of epic. So, we focus on our `epic` when we have a problem in our life. The reason we have problem in our life is because of our epic. When the epic of self has a problem, it will affect our life too, expecially human rel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epic of self can help us to understand our life better.

      • KCI등재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문학치료연구 현황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문학치료연구 현황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학치료학 연구를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 별로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연구들을 개괄하면서 문학치료학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 방안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학치료학의 태동기에는 전통적인 문학론을 통해 문학의 본래적 기능이 치료에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리고 문학을 통한 치료는 뒤틀린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것과 관계된다고 하면서 올바른 관계 회복은 개인의 차원에서는 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사회 전체가 건강성을 회복했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는 것도 주목하고 있었다. 이로써 집단 전체의 외상이면서 구성원 간의 인간관계를 뒤틀린 결과이기도 한 역사적 트라우마와 같은 대사회적 문제도 문학치료학 연구에서 반드시 회복시켜야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성립기에서는 문학의 치료적 기능을 심리학의 용어를 빌어서 해석하는 것에서부터 작품서사, 자기서사와 같이 본격적인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세워가는 연구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들에서는 작품은 원초적 사건과 관련된 기억을 자초지종을 밝혀 재생시키는 것이기에 경험을 반복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해를 재조정하는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었다. 두 번째 연구들에서는 작품과 인생의 심층에는 작품서사와 자기서사가 존재하는 것처럼 특정한 역사나 사회의 근원에도 자기서사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트라우마도 인간 삶의 모든 활동처럼 서사적으로 구조화되어 운영된다고 보았다. 이에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은 사실을 밝히고 사실과 사실 간의 관계를 따지는 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특정 사실을 선별하고 서사화하는 일종의 트라우마서사의 실체를 드러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료적 활용을 위한 방법론 개발연구에서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심층에 자리한 서사의 전모를 밝히려면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상호 조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서사 16가지 영역에 대한 진단과 8종류의 이상 심리서사진단도구를 활용하게 되면 자기서사의 일반적인 특징 뿐 아니라 특수한 국면까지 짐작할 수 있다고 했다. 마찬가지로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을 활용하게 되면 역사적 트라우마 역시도 그것을 강화시키고 고착시키는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서사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변화를 위해서는 서사의 다기성이 활용 될 필요가 있는데 다른 선택 가능성들을 보여주는 작품서사를 구축하고 이해하게 되면 역사적 트라우마를 유발시키고 강화시켜 왔던 서사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는 했다. 이렇게 역사적 트라우마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문학치료학 연구 현황들을 점검한 것은, 문학치료학이 사회 변화에는 관심이 없이 오로지 개인의 문제해결에만 관심을 두는 학문이라고 생각하거나, 문학치료학은 문학을 치료에 이용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는 오해들을 풀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러기 위해 직접적으로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작품에 대한 연구 동향 대신 문학치료학의 핵심이론이 서사이론과 치료적 활용을 위한 방법론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들이 본질적으로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진단하고 극복할 수 있는 유효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밝히려 하였다. This paper aims searches Research Status on Literary Therapeutics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To this end, First, the Literary Therapeutic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Remarkable discussion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were examined for each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beginning period, therapy through the literary is to recover the twisted relationship. The correct recovery of relationships should go beyond the personal level. Correct relationship is completed when society is restored to health. Historical trauma is collective injury, and is that human relation is twisted. Historical trauma is a Literary therapeutic challenge. Historical trauma is a target that must be recovered. On Literary therapeutic,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in the work and life origin. Likewise, the epic of self is working in history or social origi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root cause of the historical trauma is epic related to the trauma. This is because the Epic is to be making by screening, structuring and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fact. In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treatment, the epic of self can be seen through interrelationship with the epic of literary work. Starting from the change in the epic of self know the Divergence of Epic. The historical trauma begins to be overcome when the road of Epic to move our society for a long time is emerged. The historical trauma can be overcome when the other turning point of Epic is found.

      • KCI등재

        정운채의 ‘문학치료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건강한/병든 개념을 중심으로 -

        유현성(You, Hyun-Sung),홍재범(Hong, Jae-Beo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8

        이 논문은 한국 구비설화를 매개로 인간의 병(리)적인 서사를 치료하여 건강하게 만든다는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건강한 서사’ 개념에 내재된 논리적 오류를 재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심리적 문제의 발생과 치료에 대한 정의를 문학치료학은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 제시하고, 문학치료학의 건강과 치료의 종결에 대해 논하고 이를 비판하였다. 정운채는 문학을 치료적인 입장에서 바라본다. 문학교육과 긴밀한 관련을 가진 정운채의 문학론은 보편적인 문학 개념들을 배제한 채 교육적 관점이 전제되어 ‘문학’을 보고 있다. 이러한 문학교육학적 입장의 문학론이 문학치료론과 결부되면서 치료적 과정과 그 종결이 ‘교육’과 ‘지도’로 점철되어 버린다. 이러한 입장은 확장되어 문학교육 현장을 ‘임상현장’과 동일시하는 오류를 낳게 되었다. 정운채 문학치료학은 건강을 담론화하여 ‘지도’의 의미를 갖는 담론 체계를 구사한다. 그것은 내담자를 학생의 위치로 배치하는 권위적 위계를 설정한다. 또한 그는 ‘문학치료학’의 정의에 있어서 심리치료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후반 연구에 들어서는 ‘심리치료’임을 부정하는 모순을 범한다. 그는 이러한 부정에도 불구하고 생리학과 의학의 비유적 비교를 통해 문학을 재영토화하려 시도한다. 그는 ‘좋은 문학’과 ‘나쁜 문학’의 구분 범주를 ‘학’, 즉 배움에 둠으로써 문학을 구분하며 문제는 이 구분이 ‘치료’와 접합되면서 ‘이상(오답) 문학’과 ‘정상(정답) 문학’이라는 결론을 도출한다. 그러나 중등교육 현장과 달리 치료의 영역에서 병리적인 것은 반드시 비정상적인 것이 아니다. This research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logical errors inherent in Jung Woon-chae"s literary therapy"s concept of "healthy narrative" which claims to treat and cure humans" pathological conditions through Korean oral tales as a medium. First, it suggests how literary therapy decides on the definitions of the occurrence and treatment of psychological problems, discusses the end of literary therapeutics’ health and treatment, and criticizes it. Jung Woon-chae looks at literature from a therapeutic perspective. Jung Woon-chae"s literary theory,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literature education, looks at "literature" presupposing an educational perspective while excluding universal literary concepts. Literary theory from such literature educational perspective is connected to literary therapy theory and therapeutic process and its end have been muddled into "education" and "guide." This perspective has expanded and led to errors equating literary educational field with "clinical field." Jung Woon-chae"s literary therapy discourses on health and uses a discourse system with "guidance" implicit in it. It establishes an authoritative hierarchy that places the client into the student"s position. In addition, in defining "literary therapy," he rules it as psychotherapy, but contradicts himself as he denies the claim in later research. Despite such denial, he attempts to reterritorialize literature through metaphorical comparisons between physiology and medical science. He categorizes literature by putting categorization of "good literature" and "bad literature" on "study," or learning, and draws conclusions that the problem is that this distinction joins "therapy" and is one between "ideal (incorrect answer) literature" and "normal (correct answer) literature." However, unlike the field of secondary education, what"s pathological is not necessarily abnormal in the field of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