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세조대 모련위 정벌의 의미와 대명인식

        이규철(Lee Kyu Chul) 한국사연구회 2012 한국사연구 Vol.158 No.-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y Joseon executed Nangbarahan(낭발아한) to understand the cause of Joseon’s conquest of Moryeonwi in King Sejo’s reign. Joseon tried to eliminate strong Jurchen chiefs when they did not remain under its control. By doing so, Joseon sought to eliminate those who could serve as pivotal figures in Jurchen and to expand Joseon’s influence. Joseon’s conquest of Moryeonwi was not in revenge for invasion from Yain. There already was a consensus across Joseon that it should now take on a foreign conquest. A conquest means to exert extreme force on external powers. This requires not only a preparatory period but also careful consideration of aftermaths of the conquest and financial expenses. Particularly, its failure holds the risk of a heavy blow to the authority of Joseon and its king. In light of this, invasions from Abiguh (아비거) and others are seen to have been used as a justification for the conquest, rather than its direct cause. Sejo launched a conquest of Moryeonwi earlier than originally scheduled, and ordered that the envoy to Ming be brought to Pyeongyang, where his arrival was previously forbidden. Sejo also went on a patrol of northern regions. During his patrol. Sejo intended to meet the Ming envoy in Pyeongyang and receive his reports on the success of the conquest of Moryeonwi. Sejo wanted these three rituals to proceed in Pyeongyang simultaneously so as to strengthen his royal authority further. Joseon kept in touch with Yain in the following years. At the same time, its conquest had been more frequently discussed than before. Joseon was not damaged by neighboring forces at the time. It rather tried to control them with its overwhelming military force. Joseon’s conquest of Jurchen was not in response to invasions from Yain. Its purpose was to make Yain surrender to Joseon by exerting military force. Using the outcome of the conquest in his ruling of Joseon, King Sejo sought to expand his political influence and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Since King Taejong came to power, Joseon emphasized obedience and subservience to Ming. Joseon in the 15th century, however, often showed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Ming.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its relation with Jurchen, specifically its conquest. Obedience held important value for Joseon, but it could be taken advantage of at any time to consolidate the royal authority.

      • KCI등재후보

        세조대 신숙주(申叔舟)의 대여진활동(對女眞活動)과 비변대책(備邊對策)

        안선미 ( Ahn Sun Mee ) 청람사학회 2020 靑藍史學 Vol.3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세조대 신숙주가 ‘여진 전문가’로 인식되고 중용된 까닭을 분석하고, 양계 지방 체찰사로서 추진한 대여진활동과 다양한 여진 종족들을 상대하기 위해 건의한 비변대책을 구명하는 데 있다. 신숙주는 세조 4년 평안도 도체찰사로 활동하면서 진관체제를 개편하고, 자성군 폐지를 건의하여 4군의 폐지를 완성시켰다. 세조 5년과 6년에는 함길도 도체찰사로 세 번 연속 파견되었다. 세조 5년 여진족들의 화해를 핑계로 우디거를 적극 초무하여 향후 ‘이이제이’의 계책을 발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이듬해에는 모련위를 정벌하였다. 이후에는 체찰사로서 활동하며 쌓은 경험과 변경 지식을 토대로 다양한 비변대책을 건의하였다. 그는 니마차 우디거를 적극 초무할 것을 건의하였고, 건주위를 회유하면서도 그 세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신숙주는 끊임없이 여진 세력의 동향을 살피면서 조선에 유리한 방향으로 여진 관계를 이끌어 가려하였고, 때로는 중국의 명을 따르지 않고 국익을 위해 현실적인 길을 걸었다. 또한 새로운 진을 설치할 것을 건의하는 등 북방 개척에도 강한 의지를 보였다. 세조대 적극적으로 북방을 경영하여 그 결과 국경선을 지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신숙주의 여진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변경 지식, 그리고 사안이 있을 때마다 제시되는 적실한 비변대책이 있었다. Shin Suk-ju tried to lead the Jurchen relationship in a direction favorable to Joseon, constantly looking at the trend of Jurchen, sometimes taking a realistic path for the national interest without following China’s orders. He also showed a strong will to explore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by offering to set up a new camp while continuing his inspection of the Heo-Soo-Ra. Behind the active management of the northern part during King Sejo’s Reign, which resulted in the protection of the border, were accurate information on Jurchen of Sin Suk-ju, and the knowledge of border areas, as well as proper defence measures, which were presented whenever there was an issue.

      • KCI등재

        조선 태종 10년 女眞에 대한 “북정(北征)”의 역사적 맥락과 그 여파

        정다함 ( Chong Daha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우선, 태종 초반에서 태종 10년에 이르는 조선 내 권력구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태종이 1410년 3월 올적합·오도리·올량합 등에 소위 “정벌”을 강행하는 이유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태종이 부왕인 이성계를 밀어내고 권력을 차지한 것이, 태종과 여러 여진 세력 사이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본고는 기존 연구들과는 관점을 달리하여, 동맹가첩목아와 파아손 등 여말 이래 태조 이성계와 밀접한 관계를 명의 초무를 받아들여 명에 입조하게 된 오도리·올량합·올적합 등의 수장들이, 소위 “人臣無外交”라는 원칙과는 달리 명에 入朝하면서도 전처럼 조선에 대한 入朝도 계속하겠다는 제안을 했던 것에 착목한다. 여기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보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 이러한 여진 세력의 제안에 대해 태종이 어떤 입장을 취했는가 역시 비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태종이 1410년 2월 여진 세력이 경원을 침입한 것에 대해 강경하게 추진한 이 “정벌”이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과정과 이 전쟁이 가져온 결과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이런 전쟁이 짧게는 약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조선의 동북면과 두만강 유역 여진 세력 모두에 어떤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했는가를 보다 비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태종이 강행한 이 전쟁이 세종대 여진 관계에 어떤 후과를 초래하게 되는가를 살펴보고 이후 세종대 여진 관계의 추이도 전망해보려 한다. Going beyond the nationalist narrative of post-1945 South Korean historiography which has only essentialized Chosŏn's position in the relations with its neighbours as an innocent victim based on “hereditary victimhood”, this paper seeks to revisit and rethink Chosŏn’s First Zengfa(征伐) against Jurchen tribes in Tumen river regions in 1410. By taking a closer look at what King T'ajong has gone through in domestic politics and in his response to Ming’s attempt to subjugate those major Jurchen chieftains of Tumen river regions who have served his father King T'aejo since late Koryŏ before the war, this paper will first explain the dubious motivation of King T'aejong to take this drastic military action against those Jurchen chieftains. Then, secondly, this paper will delve into the details of the process of this war, tries to explain how this war ended up slaughtering many Jurchen chieftains who didn't seem to be involved with the Jurchen raid on northen border town Kyŏngwŏn which triggered King T'aejong to proceed Zengfa(征伐). Finally, going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s which have only substantialized this military action of Chosŏn as a righteous self-defense, this paper will take a closer look at the apocalyptic consequences this war has caused around the frontier societies of Chosŏn and Jurchen in Tumen river regions and talk about what the people of both frontier societies had to suffered from this genocidal war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