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을 통한 이야기의 발견 : 이청준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허선애 ( Seon-ae¸ He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이 글은 이청준 초기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을 하고 있음을 밝히고, 이를 이야기하는 방식이 이청준 소설 의식과 연관성이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줄광대」는 타인의 죽음에 함께 함으로써 그 삶 또한 공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이야기를 취재하는 ‘나’는 그 공유 방식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나’의 고민과 주저함은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유보 상태로 남겨둔다. ‘나’는 그 이야기를 버리지도, 발화하지도 못하지만, 그에 대해 많은 생각이 필요함을 어렴풋이 인지하게 된다. 한편, 「바닷가 사람들」은 죽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이야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 작품이다. 어린 서술자 ‘나’는 타인의 죽음을 확인할 수 없지만, 그것을 사실로 인정한다. ‘나’에게 중요한 것은 그들의 죽음이 진실이냐 거짓말이냐의 차원을 벗어나 있는 것이다. ‘나’는 아버지와 형의 죽음을 은유하는 배에서 그들의 행동을 흉내냄을 통해서 그 죽음에 직면하고, 그 순간 타자를 위한 이야기 욕망을 자각한다. 나아가 「매잡이」는 「바닷가 사람들」의 어린 화자가 품은 이야기 욕망을 조금 더 구체화한다. ‘나’는 매잡이의 죽음에 함께 하는 민 형의 소설을 계기로 새로운 소설을 쓴다. 민 형은 매잡이의 운명을 예견하고 그의 죽음에 함께하는 것에 그쳤다면, ‘나’는 새로운 소설을 쓰며 그 죽음을 해명한다. 민 형의 죽음이 실패가 될 수밖에 없는 사회에 대한 진단과, 그리고 과거 이야기 속에서 배제되었던 존재를 발견하며 소설가의 시야는 확장된다. This article revealed that death is a important role in Lee Chung-joon’s early novel, and tried to establish that the way he talks about it is related to Lee Chung-joon’s novel consciousness. “Tightrope performer” shows that life can also be shared by sharing the death of others. But the “I” covering the story doesn’t accept the way it. The agony and hesitation of “I” leaves the story of death in reserve. “I” can’t abandon or ignite the story, but I vaguely realize that I need a lot of thought about it. Meanwhile, “People at the Seashore” is a work that determines how to understand and talk about death. The young narrator “I” cannot confirm the death of others, but admits it to be true. What matters to me is that their deaths are beyond the dimension of truth or lies. “I” faces the death by mimicking their actions on the ship where their father and brother went out, and at that moment, “I” realizes the desire to talk for the other. Furthermore, “Hawker” embodies the desire of the young narrator of the people by the sea. “I” is writing a new novel based on Min’s novel, which is joined by the death of a hawk. If Min foresaw the fate of the hawk and only joined his death, “I” explains the death by writing a new novel. It also discovers the diagnosis of society in which Min’s death is bound to fail, and the existence that was excluded from the past stories. By discovering the meaning of death and reflecting on one’s writing, the novelist’s vision is constantly expanding.

      • KCI등재

        소수자로서의 ‘장인’과 자기진술의 고유성 - 이청준 초기소설을 중심으로 -

        홍진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2 No.-

        한국사회에서 소수자란 그 사회적 범주는 다양하지만 대한민국 사회 일반에서 소외된 집단 혹은 계층이라는 개념 하에 논의되어 왔다. 이청준은 초기소설에서부터 광인, 예술가 등 당대의 사회적 소외자에 대해 주목해 온 작가이다. 그러나 이청준은 ‘소외된 인물’들에 대해 계층적 소외라는 측면보다는 이야기를 지닌 존재, 즉 자기서사의 욕망을 지닌 존재로 그려내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이청준 소설 속 인물들 중 장인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소수자문학으로서의 해석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청준 소설의 장인은 소수자라는 함의가 지닌 사회적 결핍과 주류사회로의 편입 욕망과는 달리, 고유한 자기서사의 완성을 도모하는 인물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인물을 탐구하기 위해 이청준은 자기서사의 존재 여부(「퇴원」)를 확인하고, 그것을 문자언어로 복제하는 문제에 대해 이의를 제기(「침몰선」)하며, 삶 자체로써 자기서사를 완성하는 주체와 그 주체를 탐구하는 시선을 동원(「줄광대」)한다. 다시 말해, 이청준은 문학적 언어로 환원되지 않는 자기서사의 완성주체로서 장인 인물을 그의 소설에서 호출하고 있는 것이다. In the society of Korea, minorities commonly have been discussed in the notion of isolated groups or classes yet they have actually various social categories. Lee Cheongjun, since his first work of literature, has been focused social minorities such as a lunatic, artists and more. However, he described ‘the figure of minorities’ as those who have uniqueness to their own stories in other words, being himself who desire to achieve epic of self not within dimension of hierarchial isolation. This briefing will confirm the possibility of which his literature is representative to minor literature by focusing the character of an artisan among other characters. In the description of Lee Cheongjun, the artisan can be interpreted as the figure who strives to complete unique to himself unlikely striving to get into social majorities followed by experiences of social deficiency. To explore this character, Lee Cheongjun confirmed himself the presence of existence (「discharged」), he raised an objection to the issue of such notion was reproduced in words of literature (「a sunken ship」) and he mobilized oneself who completes the epic of self as life itself and one’s gaze that explores the subject (「a tightrope walker」). In other words, Lee Cheongjun is calling the figure of an artisan as an completed subject for his epic of self that had not been restored to words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