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논술 교육의 주요 쟁점

        박정하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5 사고와표현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rrec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essay-writing education, which students, parents and policy makers have, through the issues that were not often discussed. These issues are divided into two classes. One is for the essay-writing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Here, two claims are presented as follows. (1) As a long-term, step-by-step approach is needed in the essay-writing education, public education is more appropriate subject than private education. (2) For the essay-writing education, it is desir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open-ended exploration activities in all subjects, rather than by the independent training curriculum. Another is for the methodology of the essay-writing education. Here, I present four claims as follows. (1) For creativity education there is no need for special programs. It is sufficient to use questions for the application ability cultivation in textbooks. (2) It is much more important to increase the ability to read accurately than to read a lot of texts. (3) For writing train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opportunities to write in a systematic schedule, and to furnish the ability to deliver his/her thoughts exactly in one paragraph. (4) For the essay-writing education, early education is unnecessary and harmful. In primary education emotional writing is much more important than logical one.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전제 조건이 되고 있는 고교 논술 교육과관련하여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쟁점들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생, 학부모, 교육 정책 담당자들이 논술에 대해 갖고 있는 잘못된 이해를 교정하는 것이다. 이 글은 논술 교육의 쟁점을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다룬다. 첫째는 공교육의논술 교육에 대한 것으로 두 가지 쟁점을 다룬다. 우선 사교육이 논술 교육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장기적, 단계적 접근이 필요한 논술 교육에서는사교육이 주체가 되기 어렵고 공교육이 더 적절한 주체임을 밝혔다. 그리고 논술을 독립과목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실증적 조사가 필요하지만 현실적 여건과 공교육 정상화를 고려할 때 독립과목으로 운영하기 보다는 각 교과에서 주관식 탐구 활동 문제를 활용하여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주장했다. 둘째 부류의 쟁점은 논술 교육의 구체적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먼저 창의력배양을 위해 특별한 전문 프로그램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그런 프로그램이 따로필요 없으며, 각 교과의 주관식 탐구 활동 문제 중 응용, 적용에 중점을 둔 심화문항들을 활용하면 충분하다고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많이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술에서는 읽기 능력과 사고 능력 배양이 중요하기 때문에 많이 읽기 보다는 정확하게 읽고 이를 바탕으로 토론, 논술하는 과정을 밟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 전문적 글쓰기 훈련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쓰는 기회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면서 한 문단 쓰기 훈련을 기초로 생각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수준이면 충분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논술 조기 교육과 관련해서는 초등 단계에서는 감상문 쓰기가 더 중요하며 논술은 제한적으로만 교육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 KCI등재

        개별 논문 : 대학 논술 시험의 개념과 그 유형 분석

        노명완 ( Myeong Wan Noh )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3

        ``논술``이라는 이름의 독립된 대학입학시험이 채택된 것은 1990년대 중반이다. 이 시험이 대학입학시험의 하나로 채택된 배경 이유는 대학 학생 선발에 대한 정부와 주요 대학 사이의 주도권 싸움 때문이다. 당시, 논술이라는 생소한 이름의 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개념도 그리고 전형적인 글 유형도 확립되지 않은 상태였다. 따라서 당연한 결과로 초기의 논술 시험에서는 상당한 혼란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초기의 논술 시험은 주로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 중요하게 다루었던 당시의 시사성 있는 주제가 논술의 논제로 채택되었다. 시험이 시사성 주제에 의존하게 되니, 논술 준비 수험생들은 자연스레 시사적 이슈에 관심을 많이 기울이고 신문이나 잡지 읽기에 치중하였다. 대입 논술 시험은 이에서 진화하여, 고전작품의 이해와 요약, 감상을 묻는 유형으로 발전하였다. 물론 수험생들은 신문이나 잡지 읽기에서 고전읽기로 방향을 바꾸었다. 대입 논술 시험은 다시 내용이 다른 여러 글을 읽고, 각각을 요약하고, 공통적 주제를 찾고, 이 공통적 주제로 자신의 글을 쓰는 하이퍼텍스트적 읽기ㆍ쓰기로 변하였고, 다음에는 넓은 의미의 학문또는 교과영역 중심적 논술로 바뀌었다. 이 변화는 서울대학교에서 제안한 것인데, 당시 대학입시계에 상당한 파문을 일으켰다. 그리고 대입 논술은 최근에 이르러 여러 교과에 걸친 여러 편의 글을 읽고 그 내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전개하는 유형의 논술로 발전하였다. 이 마지막 유형이 최신의 논술유형이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대학 입학 논술 시험은 여러 유형으로 발전적인 변화를 거쳐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입 논술은 그 개념도 그리고 유형도 정립되지 않은, 현재 진화중인 글쓰기 유형이다. 아직 문제점이 많이 보이기는 하나, 꾸준한 노력으로 논술의 유형은 더욱 진화할 것이다. 그 진화 방향의 핵심은 학생들의 깊은 사고력 평가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적 발전 도모가 될 것이다. It was in the middle of nineteen-ninetieth that the so-called ‘Nonsul’ (special type of essay for college an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as adopted as one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The background reason of the this adoption was caused from the powerful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major universities concerning the governance of college student selection. Neither the name, the concept, nor the written discourse type of ‘Nonsul’ had not yet academically established at that time. As a natural consequence, there were quite big confusions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their teachers and parent, who were deeply related with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Korea. At the early period of Nonsul examination, the college and university professors, who were involved in the Nonsul examination, mainly selected the essay theme from the current issues of media. Student and teachers were quite naturally began to read the articles about the current major issues. Meantime by relizing that the current issues were not regarded as a good Nonsul theme, professors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classical texts, and selected Nonsul themes from the theme of the texts. It was asked for students to read one or two classical articles, summarize the main theme(s) of articles, find the common themes/topics among the texts, and write his/her own thoughts about the common topics. The concept, and the thematic content of Nonsul again changed from classical texts to various contemporary texts that were not beyond the limit of high school curriculum. It was a usual trend at that time that, in the Nonsul examination, students were asked to read, understand, summarize, find common theme, and write 4-6 middle-length articles of which contents were about either liberal arts, literature(poem or novel), social studies, or science. This new concept of Nonsul were developed and sugges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normalize the high school education in Korea. Nonsul examination changed more and more, and the most current Nonsul examination, students are asked to read several curriculum-related different articles, and answer 2-3 questions. These questions are generally very difficult and complex because of the inter-curricula contents. As we see from the above, Nonsul have changed a lot from the early appearance to till now. But the concept of, the ways to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 and the written discourse types are still under way. Nonsul is still expected to evolve more and more, toward the two directions, one is to normalize the high school education, and the other is to upgrade its evaluation tools.

      • KCI등재

        2차 영어 중등교사 임용 논술시험 문항의 탐색 : 예비교원과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중등교사 임용 영어 논술시험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험자의 목소리와 전문가의 의견을 같이 규합하여 타당도 있는 논술 문항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진지하게 논의하고자 기획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출제된 논술유형 중에서 부적합한 유형이 없는지를 검토하고, 각 논술 문항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로서는 영어교육을 공부중인 재학생, 졸업생, 교육대학원 학생 등 총 89여명의 예비교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인의 채점전문가, 그리고 영어학/영문학/영어교육학의 각 분야 2명씩 총 6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찬반논술형, 보고서형, 요약형, 실용문형, 다지문 통합형의 5가지 유형 모두 임용논술에 적합한 유형으로 판정되었으나, 찬반논술형의 난이도가 지나치게 쉬워서 다지문 통합형 같은 신유형이 출제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예비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이 가장 어려운 전공영역으로 영어학을, 가장 어려운 유형으로서 다지문통합형을 꼽았으며, 영어교육의 높은 배점에 공감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원들은 주로 지문의 복잡성과 길이, 난이도, 구인타당도와 같은 영역들에 걸쳐 심도깊은 비평을 남겼다. 전문가들의 비평에서는 일반영어와 영어교육 지식과의 관계 설정, 영어학 문항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기준, 영문학 논술문항의 바람직한 성격 등에 대한 논의가 담겼다.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논술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김선민 ( Kim Sun-mi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4 No.-

        논술이 교육현장의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대두되면서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논술 교육의 기반과 지도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논술 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혼란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현장의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이수가 논술 교육의 실천이기 때문에 별도의 논술 교육이 필요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으며, 학교 밖에서는 공교육의 보다 적극적인 논술 교육 실행을 요구하는 양극의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배경에는 양측의 생각을 포괄할 수 있는 논술 교육 내용과 방법의 부재라는 문제가 현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육청의 적극적인 논술 교재 개발, 보급, 연수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인식과 학부모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논술을 별도의 교과 독립이나 계획 시수 확보 등의 방향으로 몰아가려는 일방적 의지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반발과 교육과정 운영의 현실적인 문제를 감안하지 못하였다는 지적도 한몫을 하였다. 현재 진행형인 초등학교 논술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현행 교육 과정 내용의 재구성을 통한 논술 교육 내용의 구성과 지도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논술 교육은 현장 교사들을 배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없다. 현재로서는 교과 독립이나 시수 확보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행 교육과정 운영 범위 안에서 학교 밖의 요구를 수용하고 교사들의 반발을 최소화 하며, 교사들의 능력 범위 안에서 실천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는 것을 인식하여야만 한다. 여기 제안한 논술 교육 내용과 방법은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방향이다. 무엇보다 현행 교육과정 내용의 재구성을 통한 초등 논술 교육 내용의 구성과 논술 교육 내용 실천의 방법, 논술 능력 향상의 방법, 교육과정 실행의 방법을 학교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제안한 것에 의미가 있다. This study first examined actual problems of essay teaching in order to suggest appropriate guidance to the essay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The essay is one of the major issues that schools have to try to accept in positive manner. The teachers, however, think that extra essay teaching is unnecessary, as the normal completion of educational course means the practice of essay teaching, while there is a demand for more aggressive enforcement of essay teaching for public education outside of the school showing polarization into both ends. In the background, the problem was actually the absence of any contents or method of essay teaching that can embrace both parties. Such a problem couldn't satisfy teachers' recognition or parents' demand in spite of the struggle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uch as development and supply of essay teaching materials as well as its research study.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practical matters of curriculum had not been considered at all such as the teachers' repulsion for one-sided intention to make the essay teaching as independent subject as well as the intention to secure organized teaching hour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for on-going essay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the structure and teaching method of essay contents were discussed in the way of restructuring current curriculum contents. The essay teaching cannot be made without considering the teachers. Currently, there isn't any alternative to overcome actual problems of essay teaching such as being independent subject or securing class ho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best way is to accept the extra-school demand within the operational scope of current curriculum, to minimize teachers' repulsion, and to find practical ways that teachers can perform. The contents and method of essay teaching suggested here are practical direction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aggressively u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of all, it is meaningful that elementary essay teaching contents are configured by restructuring the current curriculum conten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methods of practicing essay teaching contents, increasing the essay ability, and practicing the curriculum are suggested within the scope of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대입논술고사의 개념과 변천

        이욱희 ( Wook Hee Lee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7

        이 논문은 대입논술고사의 도입 배경을 먼저 설명하고, 대입논술고사의 개념과 시기 구분 그리고 시행에서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논의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입논술고사는 학교교육과정과 유기적 관계를 맺지 못하고, 기존의 대입전형 요소가 갖는 한계에 대한 반작용으로 국가 주도로 대두되었거나 대학입시 국면에 대한 대학의 대응 차원에서 도입되었다. 둘째, 대입논술고사는 ‘글쓰기 논술’, ‘고전논술’, ‘통합논술’ 등으로 시기 구분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전논술은 ‘고전논술1’(1998-2005학년도)과 ‘고전논술2’(2006-2007학년도)로 구분된다. 셋째, 대입논술고사는 대학수학에 필요한 고차적인 사고능력 또는 비판적-창의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며, 텍스트에 대한 분석·독해력을 바탕으로 주어진 과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여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넷째, 대입논술고사의 변화 추이를 보면 세 가지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1998~2008(2009)학년도까지 정시모집에서 논술고사를 시행했으며, 통합논술기부터는 대입논술고사의 시행의 중심이 정시모집에서 수시모집으로 이동하고 있고, 최근 들어 학부 또는 계열로 구분하여 논술고사가 시행되고 있다. 그런데 서울대는 이와는 다르게 ‘나 홀로’ 행보를 하고 있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essay testing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in Korea. Its concept and change will also be addressed. Firstly, the essay test was introduced as a response to the existing college entrance process and as a countermeasure by universities without the tes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school curriculum. Secondly, the essay tes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 a free essay test, an essay test on classical writing, and an essay test on interdisciplinary writing. Essays on classical writing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 first (1998-2005) and second (2006-2007). Thirdly, the Essay test is an exam to test students` thinking power and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power. It can be defined as an exam to test students` ability to solve a problem creatively and express their argument logically based on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given text. Finally, looking into the development of the essay test, three tendencies were found. Essay testing was performed during the time of regular admission from 1999 to 2008(2009). Since the period of essay testing on interdisciplinary writing was introduced, more universities have been performing essay tests during occasional admission time rather than regular admission time. More recently, essay tests are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university course or department specifications. On the other h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performing its own essay test far removed from all these tendencies.

      • KCI등재

        논술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세 가지 영향 소외감, 두려움 그리고 방관하는 태도

        김지운(Kim Ji-wo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2

        대학 입시에서 논술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도 논술 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논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성과 및 실천 사례가 축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논술 수업은 현장에서 여전히 학생이나 교사에서 상당히 부담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현상이 왜 발생하였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논술 교육이 학생들에게 초래하는 몇 가지 부정적 영향들을 살펴보고 있다. 논술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번째는 학생들에게 소외감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대학 입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논술은 상위권 대학에 진학할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로부터 배제된 학생들은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두번째로 논술은 학생들에게 두려움을 줄 수 있는데, 이 두려움은 다음 두 가지 원인에 의해 생겨난다. 제시된 지문과 논술 문제 자체가 지나치게 어렵다는 점이 바로 첫 번째 원인이며, 논술이라는 글쓰기 상황 자체가 두려움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 두 번째 원인이다. 대학입학을 목적으로 글쓰기를 해야 한다는 논술의 본질적 특성은 학생들에게 글쓰기에 대한 적지 않은 부담을 주기 마련이다. 논술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세 번째 영향은 학생들에게 방관하는 태도를 조장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논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대척적인 두 입장 가운데 선택을 강요하는 논제가 많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첨예한 대립을 불러일으키는 문제들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기를 요구하는 논제들은 학생들을 양비론이나 양시론에 빠지게 하거나, 아니면 무책임한 글쓰기로 빠지게 한다. 또한 이는 학생들이 사회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길러주기 보다는 방관을 일관하는 태도를 조장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처럼 논술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볼 때 현장 교육에 필요한 것은 논술 교육의 강화라기보다는 학생들의 직․간접적인 체험과 결부된 자유로운 형식의 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As the essay has taken up an important part in the university entrance, the essay education is also being performed as various forms in the education scene. Despite the fact that various study results and cases of practice on essay are being accumulated, the essay lesson is still being accepted as something which is quite burdening to students or teachers at the scene. This thesis takes a look at several negative effects that essay education causes for students in order to clarify why this has happened. The effects of essay on students can be mainly summarized into three types. First is the fact that it causes a sense of alienation for students. Considering from the aspect of university entrance, because the essay is only being performed on some students who will enter top universities, the students who are excluded from this can only feel a sense of alienation. Second, while the essay can give a sense of fear to students, this fear appears out of the following two reasons. The very fact that the presented passage and the essay question itself are extremely difficult is the first reason and the fact that the writing situation called essay itself can only cause fear is the second reason. The essential nature of essay that one must write for the purpose of university entrance always causes quite a burden to students on writing. The third effect of essay on students is the fact that it promotes an indifferent attitude for students. This is causes by the fact that are many subjects of arguments forcing to choose between two opposite position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essay. in current Korean society, the subjects of argument demanding to express one's own opinion on problems arousing a sharp confrontation make students fall into antagonism or protagonism of both sides or fall into irresponsible writing. Also, this isn't advisable in the aspect that it promotes an attitude of consistent indifference for students rather than raising the attitude of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problems. Looking into these negative effects of essay on students, the thing which is necessary for education field could be called a free style writing connected wit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students rather than intensifying the essay education.

      • KCI등재

        논술영재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연구

        김유선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5

        This study has an intention of collecting all of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discriminating instruments of Writing gifted students and guiding programs for them by finding a general idea and constitutions of Writing gifted students through literature and surveys and observing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Writing gifted students camp programs. A Writing gifted student is a person who has creative and superior accomplishment or potential to show it in essay writing which is a part of non-literature in Writing realm of verbally talent-person's expression domain. In this paper, I defined the Writing gifted students as students who held top 10% ranks in the Writing class among each genre which are diary, essay, poem, letter, expository writing, script of a play, rhetorical writing sponsored by Daejeon Ministry of Education regarding that the students who held the high ranks in Writing contest of various genre belong to verbally gifted students. The components of Writing gifted students are general intelligent capability, subordinate capability of Writing (sentence construction capability, talk composition capability, problem-solving capability, persuasive power, logical thinking skill), critico-creative thinking, environmental factor, opportunity factor, and non-intelligent capability. To define them, I researched components of general gifted students which are agreed in common from literatures on the gifted student. After that, I looked up datas of Writing instruction reports and precedent studies to search characters of Writing and ability for Writing from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I also extracted the components of Writing gifted students from synthesizing the results of surveys by experts who had been teaching Writing more than 5 years through the country. To observe characteristics of Writing gifted students, I held a Writing gifted students camp for those who were top 10% from Rhetorical Writing Contest. As a result, their intelligence and Korean grades were high, while there were both superior and short domains in aspects of subordinate capability of Writing.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y had excellent convergent initiative which is necessary for Writing from debate and reading programs. They had lots of conversations with parents, and they were exposed to lot's of reading environments since they were young, and had mote than one opportunity to experience success on decisive mo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과 설문을 통해 논술영재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찾고 논술영재캠프를 통해 논술영재의 특성을 관찰하여 앞으로 논술영재 판별도구와 논술영재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모든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논술영재는 언어영재의 표현영역인 쓰기 영역 중 비문학 영역에 속하는 논술문 쓰기에서 창의적이고 탁월한 성취를 보이거나 그러한 성취를 나타낼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사람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전광역시교육청에서 주최한 문종별글쓰기 대회에서 상위 입상한 학생들이 언어영재에 속한다고 보고 일기, 생활문, 동시, 편지글, 설명문, 극본, 논설문으로 이루어진 각 문종 중 논설문쓰기 부문에서 상위 10% 이내 입상한 학생들을 논술영재로 정의하였다. 논술영재의 구성요인은 일반 지적인 능력, 논술 하위 능력(문장 구성 능력, 담화 구성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설득력, 논리적 사고력), 비판-창의적 사고력((critico-creative thinking), 환경요인, 기회요인, 비지적 능력이다. 이를 위해 영재에 대해 논의한 문헌들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일반 영재의 구성요인과 한국교육평가원의 논술지도 자료, 논술관련 선행연구물에서 논술의 성격과 논술에 필요한 능력을 찾고, 전국에서 5년 이상 논술을 지도한 전문가집단에게 설문조사한 결과를 종합하여 논술영재의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논술영재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논설문 쓰기 대회에서 입상한 상위 10%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논술영재 캠프를 실시한 결과 지능과 국어성적은 높았으나, 논술의 하위능력 측면은 뛰어난 영역과 부족한 영역이 모두 존재하였다. 토론과 읽기 프로그램에서 논술에 필요한 수렴적 창의성이 뛰어난 것으로 관찰되었다. 부모와의 대화가 많고, 어렸을 때부터 책을 읽을 환경에 많이 노출되었으며 또한 결정적 시기에 성공을 경험할 한 번 이상의 기회가 있었다.

      • KCI등재

        논술 체계와 국어과 논술교육의 방향 연구

        김종률(Kim, Jong-ryul)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9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논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논술의 국어학적 의미 내용 체계는 선행 연구에서 밝힌 논술의 의미 내용 체계와 동일하며, 설득 텍스트의 내용 체계와도 유사하다. 이에 논술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밝히기 위해 고전논술의 양식 체계를 세우고, 고전논술의 문화적 변화 과정을 통해 현대논술의 양식 체계를 정립하였다. 그리고 현대논술의 양식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국어과 논술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ssay education. Korea linguistic semantic content system of essay is the same as the semantic content system of essay said existing researchers. And It is similar to the content system of persuasive text. So modality system of classic essay was set up to say in the right direction of essay education and modality system of modern essay was established through process of cultural chang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ssay education was set up based on stylistic content system of modern essay.

      • KCI등재

        ‘바칼로레아’와 ‘책문’을 통한 글쓰기 교육

        박정희(Park, Jung-Hee)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논술’(論述)은 다른 모든 학문들의 기반 위에서 출발한다. 논술은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요구하는 고도의 정신적 활동이기 때문에, 논술 능력은 인간의 총체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단편적인 지식 주입과 획일적인 답안을 요구하는 우리 교육의 맹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논술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바칼로레아(Baccalaureat)와 책문(策問)을 통해 우리나라 논술 교육과 논술 시험을 변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논술을 공부하는 궁극 목적은 세상과 삶을 이해하는 통찰력과 분석의 능력을 기르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기 위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전통시대의 논술은 그 사람의 인품과 폭넓은 교양, 그리고 능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척도였다. 전통시대의 논술은 지적 활동, 언론 활동 그리고 인재를 등용하는 방식으로서 교양인들의 삶에 필수적인 조건이 되었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한 사람의 식견과 사상, 도량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었던 전통시대의 논술 시험인 ‘책문’과 또한 세계를 아우르는 통합적 지식의 바탕 위에서 다양성을 존중하며 엄밀하게 사유하는 능력을 요구하는 프랑스의 대학입학자격시험 ‘바칼로레아’가 우리나라의 논술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점에서 책문과 바칼로레아는 서로 대립되고 대척적인 논술의 두 ‘유형’이 아니라, 서로 보완되고 통합되어야 할 논술의 두 ‘요소’로 보아야 한다. ‘Essay writing’(論述) starts on the basis of all other academic disciplines. Since the essay writing is a high degree of mental activity that requires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to allow students to detect and solve problems for themselves, the essay writing skills are said to be the overall ability of humans. In this regard, methods to change Korean essay writing education and tests were investigated through Baccalaureat and Chaek-Mun(策問) as an alternative against blind spots of Korean education aimed at injection of fragmentary knowledge and uniform answers. The ultimate goal of studying the essay writing is to develop an insight and analytical skills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life and learn how to express them logically. In that sense, the essay writing in the traditional era was a criterion to assess person"s personality, broad education and ability and served an essential condition in the life of sophisticates in such a way to promote intellectual and media activities and recruit men of ability. In this sense, ‘Chaek-Mun", the essay test in the traditional era which served as a criterion to assess one person"s insights, ideas and generosity as well as ‘Baccalaureat", the main diploma required to pursue university studies that respect diversity and require ability to reason strictly based on a comprehensive knowledge that encompasses the world has huge implications on the essay writing education in Korea. In this regard, Chaek-Mun and Baccalaureat need to be dealt with as ‘two elements" of the essay writing that should be integrated and complemented each other, not ‘two types" of an opposing and antipodal essay.

      • KCI등재

        논술교육이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영진 ( Young Jin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9 청람어문교육 Vol.39 No.-

        본 연구는 논술교육이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논술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간의 관련성에 대해, 실질적으로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논술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수능 결과에 있어 유의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다양한 이수 방법(목적, 경로 시작시기, 학습횟수, 논술 프로그램 유형 및 내용)에 따라 수능 성적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또한 학생들이 논술과 수능에 대한 어떠한 인식 및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학년도 수능에 응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논술교육 이수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통해 인문계열 학생들이 대입논술고사 준비를 목적으로 사교육 및 공교육을 통해 주 1~2회의 강의 및 첨삭 방식을 통한 지도를 받아 왔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논술교육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 결과에 따르면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은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수능의 전과목에 걸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과목별 최소 13점 이상의 평균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함께 논술교육의 이수방법에 대한 수능 성적의 일원분산분석 결과에 따르면, 목적, 프로그램 유형 및 내용에 대한 수능 성적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논술교육 이수방법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목적과 경로, 시작시기, 학습횟수, 경로와 시작시기, 학습횟수, 프로그램의 유형, 시작시기와 학습횟수, 프로그램의 내용 등에서 상관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흥미로운 점은 목적과 시작시기, 경로와 시작시기, 경로와 프로그램 유형, 시작시기와 프로그램 내용 부분에 대해서는 역상관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의 관계 속에서 주로 중심이 되는 부분은 시작시기인데 이는 시작시기가 언제부터인가가 아니라 얼마만큼 논술교육 이수방법의 요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 집중적으로 수행하느냐가 관건임을 보여주고 있는 자료이다. 논술과 수능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 논술교육은 대체로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논술교육은 특히 수능의 언어 영역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최근 논술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통합교과적 지식`의 습득, 이해분석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에 관련된 부분들이 수능과도 관계가 있음을 고려해볼 때 논술교육을 받는 것이 논술 능력 향상과 더불어, 수능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essay instructions on Korea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KSAT). The main focus is as follows: 1. whether the students who took an essay course show meaningful differences over those who did not 2. whether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essay course make differences in the SAT scores, depending on various methods: aim of essay learning, essay starting time, learning method of essay, type of essay program 3. perceptions and views of students towards the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I carried out a survey of 360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SAT in 2009 to analyze the above three things. After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I analyz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indicate that the students of liberal arts took essay instructions throug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once or twice a week for the S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ll areas of SAT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finished essay courses. The results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 essay instruction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scores. In a correlation analysis on essay instructions, there showed some 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aim of essay learning, essay starting time, learning method of essay, type of essay program. In a survey on cognition of studen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students mentioned that essay instruction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verbal section in the SAT. Given the fact that acquiring the `knowledge of integrated curriculum`, understanding analytical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are related to the SAT, we can see that essay instruc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AT scores as well as improvement on ess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