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28년과 1848년 순원왕후의 진작기물 연구

        이아름,이은주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5

        Court banquet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Jinjak process to wish the honored host’s longevity. The articles arranged in this process differed along with the scale, purpose,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event. However, the event organizer’s intention was fully reflect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of toast and the organizer. During Muja Jinjak ritual in 1828 and Musin Jinchan ritual in 1848, conducted to celebrate 40th birthday and 60th birthday of empress Sunwon, the characteristics of Jinjak articles arranged in Sujujeong of the honored guest were as follows. First, Jinjak articles arranged in the honored guest, the empress’ Sujujeong,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King’s Sujujeong. Only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bottles were different, the other articles were the same. Also, Eunbanrugeumseon and Euniseon were arranged, which did not exist during Musin Jinchan ritual. They were arranged to visualize the user’s authority. Second, the glasses arranged in the honored host’s Sujujeong during Musin Jinchan ritual were different from the offerer, the King’s glasses arranged in Jujeong. Also, the glasses arranged in the process of offering total 3 drinks were 4 set, which were not used in Jinjak process, however there were Seobae arrang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honored guest. Third, during both two events, the participant, King’s bottle was more elaborate than the empress Sunwon’s bottle, the honored host. In Muja Jinjak ritual, the King used Okbyeong and the queen used Eundogeumbyeorabyeong, and in Musin Jinchan ritual, the King used Eunilwolbyeong and the great empress used Eunbyeong. Splendor of material and shape differred along with the user’s status, Okbyeong, Eunilwolbyeong, and Eunbyeong, accordingly. Particularly, the offerer used more elaborate bottle than the honored host in Musin Jinchan ritual.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절차는 주빈(主賓)에게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진작 과정에 초점을 맞춰 거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치되는 진작기물은 행사의 규모, 목적, 성격에 따라 다르다. 연향이 거행되는 시대적 상황과 맥락을 통해 해당 연향을 파악하고 배설된 기물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순원왕후의 사순과 육순을 경축하기 위해 거행된 1828년 무자 진작의례와 1848년 무신 진찬의례에 사용된 주빈과 진작자의 진작기물 비교를 통해 배설 내용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기물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시대적 상황에 대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첫째, 왕비 순원왕후의 탄일을 축하하기 위한 무자년 진작의례에서는 주빈 왕비 순원왕후의 수주정(壽酒亭)에 배설된 진작기물과 왕 순조의 수주정에 배설된 진작기물이 유사하였다. 주빈은 순원왕후였으나 주빈보다는 주관자의 권위를 드러내는 특징을 보였다. 왕 순조와의 진작기물을 비교해 볼 때, 잔과 받침은 왕과 동일하였으나 술병은 왕의 옥병(玉甁)보다 낮은 등급의 은도금별아병(銀鍍金別兒甁)을 사용하였고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기물과 비교해 보면 술병은 은도금별아병으로 동일하였으나 술잔은 순원왕후가 더 좋은 것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술병에 술을 옮겨 담기 위해 은반루금선(銀半鏤金鐥)과 은이선(銀耳鐥)이 배설되었는데 이는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하는 기간에 거행된 세 번의 진작에서만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무신 진찬의례에서 주빈 순원왕후의 수주정에 배설된 술잔은 진작자인 헌종의 주정에 배치된 술잔과 차이가 있었다. 특히 서배(犀杯)가 수주정에 추가로 배설되었다. 또한 총 3작을 진작하였으나 진작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여분의 잔이 있었다. 그러나 서배가 여분의 잔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두 행사 모두 주빈인 순원왕후보다 국왕의 술병이 더 화려하였다. 무자 진작의례에서 왕 순조는 옥병을, 왕비는 은도금별아병을 사용하였으며, 무신 진찬의례에서 왕 헌종은 은일월병(銀日月甁)을, 대왕대비 순원왕후는 은병(銀甁)을 사용하였다. 소재와 형태의 화려한 정도는 옥병, 은일월병, 은병으로 파악되었으며 행사 주빈과는 관계없이 사용자의 위상에 따라 화려한 순서로 배설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무신 진찬의례에서는 진작자인 왕 이하 중궁전 효정왕후와 경빈김씨 순화궁이 주빈보다 화려한 술병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두 번의 행사 모두 주빈의 장수를 기원한다는 표면적인 진작 의도는 동일하나 살펴본 진작기물은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제1작을 왕이 진작한 무신년의 경우 무자년의 진작 과정과 절차는 동일하였으나 진작자의 신분이 왕이었기 때문에 다음 서열의 진작 참여자들의 행위가 달랐다. 또한 주빈이 아닌 왕이 수주를 받는 대상으로 참석한 무자년의 경우 주빈의 수주정에 배설된 기물이 왕의 위상에 맞게 배열되어 왕비 순원왕후의 위상을 강화시켰다. 하지만 왕이 진작자로 참석한 무신년의 경우 진작자의 특정한 기물이 주빈의 것보다 화려하여 대왕대비 순원왕후의 위상은 위축된 것으로 표현된 반면 강화된 왕의 권위를 시각적으로 보여 주었다. 따라서 헌종이 본 행사에서 진작기물을 통해 순원왕후에 대한 내재된 의도를 표출한 것은 아닌가 짐작된다.

      • KCI등재

        대한제국 궁중연향의 진작 기물 연구

        이아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장서각 Vol.- No.48

        본고는 대한제국기 궁중연향의 진작 과정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진행되었고, 배설된 기물은 무엇이며, 그렇게 배치된 이유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다. 나아가 진작기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목록의 기물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기물의 특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진작은 주빈의 장수를 기원하며 술을 올리는 것으로 그 자체가연향의 목적을 달성하는 행위이다. 이를 위해 배설된 기물은 의식의 절차를 위해 용도에 맞게 배치하나 주관자의 의도를 가시화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빈의 기물을 중심으로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며, 주빈의 기물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진작자의 기물과 비교하였다. 특히 국가의 체제 변화가 궁중연향의 진작 기물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배설된진작 기물의 수용과 변용의 측면에서 규명하였다. 그 결과 이 시기 거행된 궁중연향의 진작 기물은 황제국의 위상을 가시화하기 위해 특정 기물의 색상에 변화를 주었고, 진작 기물의 관례적 보수성을 반영하여 19세기 궁중연향의 진작 기물을 수용하였다. 또한 고종을 위해 거행된 세 차례의 진연의례는 황제의 위상 정립뿐 아니라황실의 권위 제고를 위한 행사라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 KCI등재

        청대 器物 문화와 일상의 심미화— 《紅樓夢》 텍스트와 삽화 속의 기물 재현을 중심으로

        김수현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4 No.-

        This study analyzes the three layers of literature-images-papers as the subjects of the reproduction of the objects depicted in The Dream of Red Chamber texts and illustrations, and analyzes how the objects are reproduced in the texts and images as everyday aesthetic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ultural implications these descriptions share with contemporary cultures, and what are the literary and pictorial transformations of material culture of Qing dynasty. Firstly, the concept of aesthetic objects appearing in The Dream of Red Chamber,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objects for appreciation, daily necessities, and symbolic goods, and the effects of descriptions of articles as finished products on the aesthetic reading behavior, and the collection of the Qing royal family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hobbies and the descriptions of objects, I will analyze the reproduction of the objects in daily life and the aesthetics of everyday life. Secon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of the texts of The Dream of Red Chamber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culture of Qing dynasty, the problems of reproduction of objects on The Dream of Red Chamber ic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illustrations and paintings of The Dream of Red Chamber, which were drawn in the portraits of beauties in Ming and Qing dynasties. Compared with the description of antiquities,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image of intellectual women in the image with the combination of antique stationery and furniture. 본 논문은 《紅樓夢》의 소설 텍스트와 《紅樓夢》 삽화 및 畵冊 그림 속의 기물 재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청대 기물문화의 문학적 변용과 소설 속 일상의 심미화 현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일상의 심미적 대상이자 서사의 매개물로서 다양한 기물이 《紅樓夢》 속에서 서술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紅樓夢》 텍스트와 도상에 묘사되는 기물이 문인들의 골동기물 기호와 어떠한 문화적 함의를 공유하며, 청대 기물문화의 문학적, 회화적 변용은 어떠한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紅樓夢》 속 기물 묘사 양상을 소설 속 ‘物目’의 나열, 지위와 취향을 드러내는 규방과 서재 기물, 심미적 일용기물로 나누어 고찰하여, ‘기물’이 《紅樓夢》 서사에서 갖는 의미와 특징을 탐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조성호(Cho, Sung–,h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정밀주조법(精密鑄造, investment casting 혹은 탈납주조(脫蠟鑄造, lost wax casting))는 장신구와 금속조형 작업에 활용되는 주조법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진공주조(眞空鑄造, vacuum casting)도 정밀주조의 한 종류로서 주형 재료(molding material)에 따라 주조법을 분류하면 석고주형(plaster mold)법에 속한다. 진공주조는 다른 주조법에 비해 제작비가 저렴하나 설비와 관련해서 발생하는 제약이 많다. 그래서 일정 규모 이상의 기물의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은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큰 형태의 기물 제작에는 대부분 진공주조가 아닌 여타 주조법을 채택한다. 그러나 정밀하고 복잡한 입체 형태의 주물에 적합하고 일품생산과 대량생산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무엇보다 설비의 보급률이 다른 주조법과 비교해 월등히 뛰어난 진공주조로 다양한 기물을 제작할 수 있다면 여러모로 이득일 것이다. 이에 진공주조법의 기술적 특성과 발전 양상에 관해 선제적으로 분석하고 진공주조를 통한 기물 제작의 범위와 가능성을 확장시킨 두 작가인 유리지와 페터 바우휘스의 작품과 그 제작 과정을 연구하였다. 유리지는 돌이라는 자연물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큰 크기의 기물을 쪼갬 없이 제작함으로써 진공주조법의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였고, 페터 바우휘스의 경우 다양한 합금(alloy)을 주조에 사용함으로써 표면효과를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금속 기물 제작 시 진공주조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고, 나아가 주물의 크기에 대한 기술적 제약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nvestment Casting (Lost Wax Casting) is the most generally used casting method for jewelry and metal forming. Vacuum casting we are using, a kind of Investment Casting, is also classified as a plaster mold technique due to its molding materials. The production cost is lower than other casting methods but not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larger sized vessels due to the constraints arising from equipment issues. Therefore, other casting methods are chosen rather than using vacuum casting for various vessels beyond the appropriate scale. However, vacuum casting is suitable for obtaining precise and complicated results. Moreover, it can easily produce a single or even mass production. Above all, the distribution of vacuum casting equipment is remarkably superior to other casting; therefore if various vessels can be produced by vacuum casting, considerable gain can be expected. Accordingl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aspect of vacuum casting have been proactively analyzed and the works and making process of two artists, Lizzy Yoo and Peter Bauhuis, who have expanded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vacuum casting have been studied. Lizzy Yoo uses stone from nature as her motif and overcame the technical limits of vacuum casting by managing her works without any splitting of her object which is a significant factor in this research. In the case of Peter Bauhuis, he has used various alloys in casting outstandingly showing the maximized surface effects. It is strongly believ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in expanding possibilities of vessel making through vacuum casting and to free the technical constraints of size in casting.

      • KCI등재후보

        Research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Contemporary Chinese Kazuo Purple Clay Wares

        Xie Tianyao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8 No.-

        중국 랴오닝성 조양시 카좌지역은 자사문화가 농후하고 역사가 유구하며 풍부한 자사광물자원과 심원한 자사역사를 갖고있으며 북방 자사의 대표이기도 하다. 현지의 지역문화는 당대 자사기물의 조형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카좌지역의 자사공 예대사는 현지의 우수한 문화유물을 계승한 기초에서 자사기물의 조형면에서 이론과 실천상의 끊임없는 탐색을 하였다. 이것은 오랜 제작공예와 현대조형예술이 완벽하게 결합되여 카좌 지방특색을 띤 자사기물조형을 형성하였다. 비록 카좌자사산업의 발전은 비교적 늦었지만 그 자사산업의 기원은 일찍 홍산문화시기로 거슬러올라갈수 있다. 유구한 역사적배경으로 하여 카좌자사기물의 조형은 일정한 연구가치가 있다. 전체 문장은 주로 두개 방면으로 논술하였다. 제1 부분에서는 카좌지역의 각 시기 자사의 발전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제2 부분은 카좌 현지 문화유물이 카좌자사 기물의 조 형에 준 영향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각 시기 당지의 문화유물 을 주요원소로 하여 당대의 카좌자사기물조형에서 응용한 과정을 분석하여 카좌지역의 대표성을 띤 자사기물조형을 형성하였다. 또한 문물의 역사와 조형 방면에 대해 개술하고 조형요소를 응용한 자사기물이 대표하는 의의와 존재가치에 대해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몽골족을 주체로 한 현지 민족문화가 카좌자사 기물조형에 준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몽골족 특유의 옷고름 장식, 민족악기, 건축풍격 등 조형요소를 카좌 당대의 자사기물 조형에 응용하였다. 이는 카좌자사공예의 전시일뿐만아니라 몽골족의 민족특색을 전승하는 중요한 담체로서 자사공예와 민족문화가 완벽하게 융합되었다. The purple clay culture in Kazuo area, Chaoyang City, Liaoning Province, China is rich and has a long history. It has rich purple clay mineral resources and a profound purple clay history, and is the representative of northern purple clay. The local regional cultur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style of contemporary purple clay wares. On the basis of inheriting the local excellent cultural relics, the master of Kazuo purple clay has made continuous explorations in theory and practice in the style of purple clay wares, which is the perfect combination of ancient production technology and modern plastic arts, and has formed the style of purple clay wares with local characteristics of Kazuo. Although the development of Kazuo purple clay industry is late, the origin of purple clay can be traced back to the Hongshan culture period. The long historical background makes the style of Kazuo purple clay wares have certain research value. The full text is mainly discussed in two aspects. The first part briefly introduces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purple clay in different periods in Kazuo area.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influence of the Kazuo local cultural relics on the style of the Kazuo purple clay war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the local cultural relics as the main element in the contemporary Kazuo purple clay wares style in various periods, so as to form a regional representative of Kazuo purple clay wares, summary its cultural relics in terms of history and style, as well as analyze the meaning and value of existence of the purple clay wares using style elements. It also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local ethnic culture with Mongolian as the main body on the style of Kazuo purple clay wares, and applies the modeling elements such as the unique clothing and belt decoration, na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architectural style of Mongolian to the style of Kazuo contemporary purple clay wares, which is not only a manifestation of Kazuo purple clay technology, but also an important carrier for the inheritance of Mongolian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achieves the perfect integration of purple clay technology and national culture.

      • KCI등재

        1829년 기축진찬의례(己丑進饌儀禮)의 진작(進爵) 기물(器物) 연구

        이아름,이은주 국립문화재연구원 201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0 No.4

        Among the royal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era, the articles used in the Jinjak ceremony are symbolic icons of their value during the era.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e articles whose usage is ambiguous, by referring to various historical records. Moreover, it should be possible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al context of the article during this proc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examined the articles related to and used in the processes of Jinjak ceremonies of Outer Jinchan of Myeongjeongjeon and Inner Jinchan of Jagyeongjeon, which are part of the Gichuk Jinchan Ceremony performed in February of the 29th year of King Sunjo. Especially, the definition of Jinjak will not just be limited to the action of offering liquor, but will include the whole series of procedures in offering the liquor. This is because the specific action of offering the liquor expresses cultural concepts and values that have meaning within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context in the specific action of offering the liquor.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Jinjak process of Outer Jinchan and Inner Jinchan of Gichuk Jinchan Ceremony. First, the articles of Jinjak are ranked strictly exactly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rankings. Second, the Jinjak articles are arranged for their symbolic meanings rather than their purpose. Third, the articles of Jinjak are symbolic icons expressing the values inherent in the process of offering liquor. Recently, there are events reviving the royal court banquet and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royal culture. It such a situation, the systematic examination of articles of royal court banquets will be a process needed to restore the royal ceremony correctly in the future, and will be the foundation for studying the royal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era. 의례의 행위에 따라 배치된 물건은 의례적 행동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에 용이한 수단이 된다. 이는 어떤 문화적 관념과 가치가 의례적 행위에서 상징과 패턴으로 표현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각종 의례에서 사용되는 기물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는 문자와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기록되어 준용된다. 본 연구는 순조 29년(1829) ‘기축진찬의례(己丑進饌儀禮)’의 2월 행사 중 대표적인 행사라고 할 수 있는 명정전 외진찬과 자경전 내진찬의 진작(進爵) 과정에 사용된 기물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진작의 개념을 술을 올리는 행위 뿐 아니라 술을 올리는 일련의 절차를 모두 포함하였다. 술잔을 올리는 구체적 행동이 시대적 상황 안에서 의미하는 문화적 관념과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기축진찬의례’의 외진찬과 내진찬의 진작과정과 관련된 기물은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진작 기물은 신분의 위계에 따라 철저하게 서열화 되었다. 둘째, 진작 기물은 왕실의 권위를 시각화하기 위해 배설되었다. 셋째, 진작 기물은 시대적 가치를 실현하는 상징물이었다. 최근 왕실의 다양한 의례가 재현되고 왕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조선시대 왕실의례에 배설된 기물에 대한 체계 적인 연구는 향후 올바른 왕실의례의 복원을 위한 준비과정이며, 조선시대 왕실문화 연구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대 중국 기물(器物) 설계(設計)의 정신과 형상(形象)

        이상옥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4

        I would suggest that I explain the characteristic and the formation of antique design illustration (ADI hereafter) in ancient Chinese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s and their deductive theories of spirit in ancient China. I would explain that the spirit and formation elements of ADI had been consisted of dao and qi, and xing and qi. It has long time been the tradition zhouyi classic that had established practical ADI theories. In ancient China design historical context, the thought of ADI had represented the supreme principle as dao, and in case of dao have had each things it would be qi. Dao would have the creative characteristic but it would have adapted itself for circulation movements of nature. So in aesthetic history, xing and qi have been the two important elements for ADI. In ADI formation stage, according the zhouyi classic, yang and yin were adapted to the qi and xing. In historical contexts, I inducted four historic development stages in ancient Chinese aesthetics thought: Xia, Shang and Zhou dynasties, Zhanguo(War period), Qin and Han dynasties, Tang dynasty, and Song,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as the whole Chinese ADI historical contexts. As the result, I inducted the ADI representatives of each dynasty ADI thoughts as follows. Man-face-animal-body type design had been the mainstream ADI in bronze antique in Xia, Shang and Zhou periods. In Zhanguo, Qin and Han period, qiqi has been the classic pattern of ADI and qiqi had has the black-and-red colors contrast characteristics. In Sui and Tang dynasties, sancai had have the 3D impacts and three colors beauty concepts in ADI thought. And in Song,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the china had have the climax of ancient aesthetics thought in technique, design patterns and drawings.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at first, the 'ADI thought' would be the contrast between dao and qi or metaphysical and physical dimensions. Second, the representatives of each dynasty had have the historical contexts in ancient Chinese aesthetics. And third,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adition of ADI had the clue to understand the Chinese aesthetics reality or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ADI through the whole ancient China period. 고대 중국의 대표적인 기물인 자기의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의 형상적 특징과 그 내재적인 디자인 정신, 그리고 구체적으로 이러한 디자인이 외재적으로 드러난 실제에의 적용을 통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본다. 연구방법으로는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의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중국 고대의 미학과 디자인 이론을 적용한다. 연구 범위로는 고대 중국의 기물을 통해 구현된 중국적 디자인 사상을 연역적으로 추출하는 것 등을 위주로 한다. 중국 고대의 기물설계사상은 ‘도(道)’를 최고의 개념으로 한다. ‘도’가 구체적인 형상으로 표출되면 그것이 ‘기’이다. ‘도’는 자연을 창조해 내지만 자연의 순행(循行) 원리에 순응하는 것이 도의 본체이다. 기물 디자인의 형식에서는 주역에 의거하여 양과 음, 기와 형을 대응되는 최고의 미학 가치로 본다. 고대 중국 기물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의 시대적 특성으로는 네 가지 시대적 단계의 맥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하, 상과 주대의 청동기 디자인이다. 디자인의 집약인 문양은 변형(變形) 동물 문양이 굵고 조잡한 선에서 세밀하고 밀집된 선으로 바뀌어 수면(獸面) 문양이 널리 쓰이게 되었고 수면(獸面)문(紋)이 출현했다. 둘째 역사 단계는 전국, 진과 한 대의 칠기 공예 디자인이다. 칠기는 칠(漆)의 색조(色調)는 홍(紅)과 흑(黑)색 위주이고 ‘붉은 색 그림을 안에 그리고 검은 색으로 밖을 염색한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했다. 다음 세 번째 역사 단계로 당대의 삼채(三彩)기(器)를 든다. 조형성의 특징으로 장식 제재의 정취화, 장식 수법의 다양화 및 독특한 풍모의 조형형식을 지닌 점, 그리고 조소와 회화로서 이들이 체적감과 은유의 심미 특징을 연출한다. 네 번째 기물의 역사적 단계로 송, 원, 명과 청대의 자기를 들 수 있다. 이 시기 자기의 디자인은 형식, 색채, 구도방식과 상징 의미 등을 집약하고 있는 총체적인 예술 심미 미학 체계를 표출했다. 결론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려 한다. 첫째, 형이상과 형이하의 대립된 개념으로 디자인의 존재와 그 기능을 파악했다. 둘째, 역사적 맥락을 따라 발전한 자기의 디자인 심미 사상은 각 조대(朝代)의 표상으로서 고대 중국 디자인 사상을 예시하고 있다. 셋째, 고대 중국 디자인 미학의 현대적 재창조와 계승의 측면에서 섬세한 기교와 문양의 취재, 그리고 화려하거나 소박한 조형 등의 자기(瓷器) 미학 요소를 해 내재적 정신을 해석하고 이를 중국적 디자인 미학 정신 이해의 중요한 계기로 삼을 수 있다.

      • KCI등재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조성호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Investment Casting (Lost Wax Casting) is the most generally used casting method for jewelry and metal forming. Vacuum casting we are using, a kind of Investment Casting, is also classified as a plaster mold technique due to its molding materials. The production cost is lower than other casting methods but not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larger sized vessels due to the constraints arising from equipment issues. Therefore, other casting methods are chosen rather than using vacuum casting for various vessels beyond the appropriate scale. However, vacuum casting is suitable for obtaining precise and complicated results. Moreover, it can easily produce a single or even mass production. Above all, the distribution of vacuum casting equipment is remarkably superior to other casting; therefore if various vessels can be produced by vacuum casting, considerable gain can be expected. Accordingl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aspect of vacuum casting have been proactively analyzed and the works and making process of two artists, Lizzy Yoo and Peter Bauhuis, who have expanded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vacuum casting have been studied. Lizzy Yoo uses stone from nature as her motif and overcame the technical limits of vacuum casting by managing her works without any splitting of her object which is a significant factor in this research. In the case of Peter Bauhuis, he has used various alloys in casting outstandingly showing the maximized surface effects. It is strongly believ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in expanding possibilities of vessel making through vacuum casting and to free the technical constraints of size in casting. 정밀주조법(精密鑄造, investment casting 혹은 탈납주조(脫蠟鑄造, lost wax casting))는 장신구와 금속조형 작업에 활용되는 주조법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진공주조(眞空鑄造, vacuum casting)도 정밀주조의 한 종류로서 주형 재료(molding material)에 따라 주조법을 분류하면 석고주형(plaster mold)법에 속한다. 진공주조는 다른 주조법에 비해 제작비가 저렴하나 설비와 관련해서 발생하는 제약이 많다. 그래서 일정 규모 이상의 기물의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은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큰 형태의 기물 제작에는 대부분 진공주조가 아닌 여타 주조법을 채택한다. 그러나 정밀하고 복잡한 입체 형태의 주물에 적합하고 일품생산과 대량생산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무엇보다 설비의 보급률이 다른 주조법과 비교해 월등히 뛰어난 진공주조로 다양한 기물을 제작할 수 있다면 여러모로 이득일 것이다. 이에 진공주조법의 기술적 특성과 발전 양상에 관해 선제적으로 분석하고 진공주조를 통한 기물 제작의 범위와 가능성을 확장시킨 두 작가인 유리지와 페터 바우휘스의 작품과 그 제작 과정을 연구하였다. 유리지는 돌이라는 자연물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큰 크기의 기물을 쪼갬 없이 제작함으로써 진공주조법의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였고, 페터 바우휘스의 경우 다양한 합금(alloy)을 주조에 사용함으로써 표면효과를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금속 기물 제작 시 진공주조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고, 나아가 주물의 크기에 대한 기술적 제약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퓨터의 판금기법과 활용 -기물제작을 중심으로-

        김동현 ( Kim Dong Hyun ),강연미 ( Kang Yeon M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우리나라 현대금속공예 분야의 판금기법에 의한 기물 제작에 있어 활용 가능한 재료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서구문화권에서는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기물 제작에 활용된 사례를 찾기 어려운 퓨터의 특성을 고찰하여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선행연구로 2장에서는 형태적인 연구와 기법적인 측면에 치중하여 재료적인 연구가 부족하다는 견해가 있어왔던 현대금속공예의 현황을 우리나라 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금속재료별 각각의 특징을 실용기물 제작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퓨터의 역사와 재료적 특성을 살펴보고 판금기법에 의한 기물 제작에 적합한 것인지를 고찰하였으며 퓨터의 역사에서는 납이 제거된 시기와 합금비율의 변화 및 국가에 의한 규제를 언급하였고 해외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퓨터 기물 제작의 시장 현황과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서구권에서 출간된 퓨터와 관련된 기법서적을 토대로 하여 샘플의 제작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샘플의 제작과 관련된 퓨터재료에 있어서는 영국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브리타니아 메탈의 성분 비율을 참고하였으며 각종 설비와 부자재는 우리나라에서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주로 사용되는 판금기법의 적용을 퓨터의 재료적 특징과 관련하여 각 과정별로 서술하여 실물 제작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퓨터는 판금기법에 의한 가공성이 우수하며 식기의 재료로써 보존성이 높고 심미적으로도 오랫동안 광택이 보존되어 기물의 제작에 적합한 재료이다. 또한 판금기법을 사용하는 한국현대금속공예 작가와 공방에 있어 기존의 설비와 기법의 응용이 용이하여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던 금속재료를 보완하여 재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재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selection of materials in silversmithing in the contemporary metal craft in Korea. Although pewter has been used as a superior material for tableware for a long time in the western culture, it is relatively rare in the silversmithing production in Korea. In chapter 2 of this study, the current usage of metal in Korean contemporary silversmithing, which had the view that material research is insufficient due to the university curriculum focusing on formal aesthetic and technical aspects, wa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 and usage of each metal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holloware. In chapter 3,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 of pewter is reviewed and whether it is suitable for silversmithing is investigated. In the part of history of pewter, the lead removal time, changes of alloy ratio and the national regulation were reviewed and also examined the market situation and possibility of pewter ware through examples from overseas. In chapter 4, based on the technical books related to pewter, I have searched for the applic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present situation in Korea through the sample making. Regarding these pewter samples, I referred to the composition ratio of Britannia metal, which is mainly used in the UK, and used various facilities and subsidiary materials that can be available in Korea. The application of the silversmithing which are mainly used was described for each process in relation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ewter, so that the data can be referred to in the actual making process. In conclusion, pewter is excellent in workability by the sheet metal technique, high preservation of food, and preservation of gloss for a long time, making it suitable for tableware production. In addition, pewter is material that can broaden the choice of materials by supplementing the metal which have been used so far by applying the existing equipments and techniques to Korean contemporary metal artists.

      • KCI등재

        2∼4세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位階와 時空的 변화

        윤온식 한국문화유산협회 2016 야외고고학 Vol.0 No.26

        무덤은 당시의 매장관념이 물질화로 표현된 것이며, 여기에는 집단과 집단 그리고 개인과 개인 간의 위계가 반영되어 있다. 그래서 위계의 연구는 당시 사람들이 무덤에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고자 했던 방법을 찾아내어 매장관념을 복원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무덤 부장품은 크게 착장형과 보유형 기물로 구성된다. 착장형은 특정 집단의 매장관념과 관계없이 무덤 주인공의 위계가 표현된 정치적 기물이었다. 보유형은 그가 가진 무력과 부가 과시적으로 나타난 것이었으며, 집단에 따라 선호한 기물이 조금씩 다를 수 있었다. 무덤의 규모는 상위의 위계일수록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었으나, 위계간의 차별화가 심화되는 것은 대략 4세기 후반부터였다. 착장형은 처음에 검(도)의 착장 유무와 수량이 중요한 기준이 되다가, 4세기 후반부터는 장식대도ㆍ帶冠ㆍ帶裝飾具 등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복식체계로 나타났다. 보유형은 철기류에서 무덤 주인공이 가진 무력과 부가 잘 드러났다. 철기류는 기본조합(철모, 철부+철겸 등)의 부장 유무와 수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특정 집단의 매장관념에 따라서는 재갈ㆍ삽날ㆍ쇠스랑 등도 위세품의 가치로 인식되었다. 3세기 말부터는 갑주ㆍ안교ㆍ등자, 4세기 후반부터는 금은과 유리 용기 등이 중요 위세품으로 추가되었는데, 이 기물의 소유관계는 시기가 내려올수록 확대되는 경향이었다. 3∼4세기 경주 지역에 축조된 각 고분군은 4세기 전반까지 5개 그룹(A∼E)으로 위계관계가 식별이 되었고, 4세기 후반부터는 앞 시기의 A그룹이 분화하여 한 그룹(S그룹)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王墓의 수준으로 평가되는 사라리 130호와 황남대총 남분은 특히 착장형 기물의 수량과 내용 면에서 S와 A그룹을 능가하는 상위 그룹(R그룹)이었다. 이렇게 하여 경주 지역 무덤의 위계는 4세기 후반을 기준으로 이전의 6개 그룹과 이후의 7개 그룹으로 식별되었다. R그룹의 무덤은 늦어도 목곽묘 등장기 이후부터, S그룹은 4세기 후반부터 경주 도심 지구에 한정되어 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3세기 이후에는 A그룹도 개별 고분군에 따라서는 축조되지 않은 곳도 있었으며, 4세기 후반 이후에는 대릉원 일원에 분포가 더욱 집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현상은 경주 지역에서 도심 지구 외에 있는 개별 집단이 급속하게 세력이 재편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었다. 특히 4세기 후반 이후 경주 도심 지구에 A그룹 이상의 무덤이 집중된 것은 기타 지구와의 구분이 확고해졌음을 의미하였다. 특히 S그룹은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진행된 권력과 부의 편중 현상이 극대화되어 나타난 것이자, 김씨 집단이 마립간이 되면서 기존 수장(A그룹)의 세력 기반이 붕괴되는 등 새롭게 권력이 재편된 결과물이였다. 이는 사로국이 이 즈음에 들어 초기 관료제를 갖춘 중앙정부를 구성하는 수준으로 질적인 변화를 도모했음을 말해주는 요소로 파악되었다. Funerary objects of tomb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according to their purposes: for wearing and for retention. Wearing-type funerary objects are funeral costume and accessories that directly represent the hierarchical status of the dead in tomb while the retention-type funerary objects are the tools to demonstrate his/her power and wealth. The higher hierarchical status of the dead is, the bigger the size of a tomb tends to b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hierarchical status became more serious around the late 4th century.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to classify funeral costume and accessories was whether the dead wore the sword or not in the beginning. Beginning around the late 4th century, the status became to be discriminated according to costume regulation system focusing on ornamentals word, crown, and belt ornaments, etc. Retention-type articles varied in type and quantity depending on hierarchical status of the dead and it tended to be to possess armed force and wealth such as plate armor, helmets, and gold crafts, beginning the late 3th century. The hierarchical status of wooden chamber tombs in Gyeongju during 2nd ~ 4th century are largely classified into 6~7groups(R, S, A~E grade). Beginning the late 4th century, Group A was segmented and one more group was added(Group S). Group Swhich newly emerged in the late 4th century was found to be central noble clas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executives. There are high possibilities that Group R tombs were built since the mid 2nd century and Group S tombs were built in the area restricted to the downtown of Gyeongju since the late 4th century. The Group S tombs built in the downtown since the late 4th century resulted in maximized unequal distribution of power and wealth, which have been continued to then. It was also the outcome of new shuffled power according to the fall of the existing force after Kim’s family had the power of Maripk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