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회 성장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방안 모색

        김국환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Christian educational reform programs in the era of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As we know Korean churches have been grown amazingly for the last 100 years and have been appraised positively to do the prime role in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However, Korean churches are confronting huge crisis with society’s change to the pluralistic, specialized, and scientific on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 reasons of the Korean churches’s crisis and evaluate contemporary conditions. The author considers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comes from the decreasing of Christian members, dissemination of the anti-Christian group, and discontinuation of the spreading Gospel. To improve the contemporary Korean church’s spiritual trends this research did the case study of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Willow Creek church. Willow Creek church in America has been experienced continuous growing and has provided healthy matrix in the era of post-modern society. The Willow Creek church presents adequate suggestions through the seeking the spiritual changes of the church community, applying the effective religious education, and analyzing the church members’ spiritual conditions. Wit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author provided several practical applications to the Korean churches. This research presented Sunday school’s educational paradigm shift, ordered Christian nurture as an educational ministry’s suggestion, and change of curriculum to bring up professional Christian educators. This study expects significant result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hurch growing programs as well as connection of Christian educational research field and real spiritual church field.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현 상황을 위기적 현상으로 보고 이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개선방안을 모색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주지하는 대로 한국교회는 한국사회의 근대화에 주도적 역할을 하여 국ㆍ내외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아왔고, 선교 I세기만에 경이적 성장을 이룩한 교회이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사회가 다원화, 전문화, 과학화 되어 가는 현대사회 구조 속에서 위기현상에 직면해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본 논고에서는 한국교회의 위기발생 요인을 기독교 인구의 감소, 반기독교 세력의 확산, 복음계승의 단절현상 등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현 실태를 위기적 측면에서 조명해 보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처럼 이 같은 요인들이 무엇보다도 한국교회 성장에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선결요인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 한국교회의 영적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해 포스트모더니즘 영향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건강한 교회로서의 메트릭스(matrix)를 제공하고 있는 미국의 윌로크릭 교회의 성장 연구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는 기독교교육 현장인 신앙공동체의 지속적인 영적변화를 추구함과, 신앙교육 상황파악의 효과적인 방법의 적용과, 교회구성원의 영적상태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적용 가능한 방안을 유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연구가 교회교육 현장에 요구되는 것은 기독교교육의 역할이 한국교회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조력할 수 있는 학문적 성향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일교회학교의 교육구조 개선, 교육목회적 개선 방안으로서의 맞춤양육, 공적 신앙 형성을 위한 신앙지도 전문인 육성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연구가 구체화 될 경우 한국교회의 성장을 위한 방안수립 뿐만 아니라 기독교교육의 학문적 연구와 신앙교육 현장과의 관련성 모색에도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예견되어진다.

      • KCI등재

        교회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이해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29 No.-

        This study i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a new concept of Church education. Through the history of Sunday school in Korea, the concept of Sunday school has been changed to the concept of Church school. After 1980’s, church education in Korea has been gradually declined. In this situation, it is needed to find out the reasons of decline of church education and direction towards recovery and revival for that. Therefore,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church school and suggest theoretical foundations for new concept of church education. And then, it explains new concept of church education,“church” according to 7 components of teaching: teacher, students, aims of the lesson,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methods, and evaluation. The theories of faith community and people community of the Kingdom of God for the new concept of church education are suggested. They are applied to the concept of “church”. The teacher in this concept is a little minister who exists together as a person in the Kingdom of God, responds to God’s calling, and tries to establish each student to a person in the Kingdom of God. The students in this concept are precious people and are subject to respond in front of God. The educational contents have to be fully constructed of all resources in the church. The educational aim is to establish every member in the church for the subject of faith by responding to God’s call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means all educational contexts which transcend time and space and share common experiences of faith in the respect of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Sharing and participating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ommunity have to be used for educational methods. Considering the number of people in the Kingdom of God and their quality of changes in their liv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should be planned and performed in both aspects of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는 주일학교에서 교회학교로의 개념 변화를 주일학교의 역사를 통해 살펴보고,교회학교에서 교회로의 개념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과 이론적 고찰, 교육의 7가지 요소에따라 설명함으로 새로운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한국 선교 초기에 주일학교가 시작되면서 많은 부흥을 가져오다가 침체 및 쇠퇴의 시기를 겪으면서 주일학교의 개념에서 교회학교의 개념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90년대 이후교회교육이 위기를 겪게 됨에 따라 새로운 개념으로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지적하고, 교회학교에서 교회로 개념의 변화를 시도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개념의 변화를 위해 이론적 배경이 되는 웨스터호프의 신앙공동체 이론과 은준관의 하나님나라 백성공동체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어린이/청소년 교회로의 개념으로 교회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교육의 7가지 요소-교사, 학습자, 교육 목적, 교육 내용, 교육 환경, 교육방법, 교육의결과 및 평가-에 따라 새로운 개념에 대해 설명하였다. 교사는 작은 목회자로 학습자와함께 하나님나라 백성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해야 하는 존재로 자신뿐 아니라 학습자 한 사람 한사람을 하나님나라 백성으로 세우는 역할을 해야 하는 존재이다. 학습자는하나님의 소중한 백성으로 하나님 앞에 응답할 수 있는 주체적 존재이다. 교육내용은 교회의 여러 기능인 예배, 교육, 교제, 선교, 봉사의 자원들을 통전적이고 통합적으로 구성하여야 하며, 구성원 모두가 하나님의 임존과 부르심 앞에 응답하는 신앙의 주체로 세우는것이 교육목적이 되어야 한다.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벗어나 교육의 기관들이 분리되는것이 아니라 하나님나라의 확장이라는 면에서 통전적으로 연계된 신앙교육의 경험의 공동체로서 교육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학습자와 교사가 함께 공동체 안에 참여하고 나누는교육방법이 사용되어야 하고, 하나님나라 백성의 수와 그들의 삶의 질의 변화를 교사와학생들의 측면에서 양적 및 질적인 평가를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신앙교육의 장으로서 교회는 아동과 청소년들, 성인들에게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있다. 따라서 부흥과 회복을 위한 시도는 고통이 수반되더라도 실천해야 하는 기독교교육자들의 사명이다. 새로운 개념에 맞는 교사훈련의 내용과 방법, 교육 구조, 과정 등 과제들이 남겨진 과제들이다.

      • KCI등재

        교회 신앙교육에서의 사회봉사교육과 실천과제

        이은성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본 연구는 교회사회봉사의 당위성을 고찰해보면서 이러한 교회의 사역이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신앙공동체의 사회봉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사회봉사교육의 필요성과 근거 및 당면한 실천과제는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교회의 존재이유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신 일을 지속하기 위함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사회봉사는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도록 부름 받은 교회의 본질적 사명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회의 신앙교육 역시 이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고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사명을 담당하도록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회의 신앙교육은 그 내용에 있어서 사회봉사를 중심주제의 하나로 삼아 신앙공동체를 봉사의 실천적 삶으로 초대하는 통로역할을 다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 온 면이 있다. 성서는 교회와 사회가 하나님의 한 창조세계를 이룬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가 구현되는 사회운동, 전인적인 구원을 지향하는 하나님 나라 운동으로서 사회봉사의 필연성을 보여주고 있다. 교회의 신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표점으로서의 중심과제는 ‘성숙한 신앙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성숙한 신앙은 통전적 신앙을 추구해야한다는 관점에서, 신앙교육은 모든 신앙공동체에게 사회봉사적 삶을 의식하고 실천하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초대하는 교육적 사명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오늘의 한국사회에서 교회의 위상을 생각할 때, 교회의 신앙교육은 공동체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사회봉사의 가치관과 삶을 익히고 실천하도록 교육하는 사명이 얼마나 중대한지 다시 한 번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가운데, 본 연구는 교회가 지역사회를 향한 봉사를 보다 체계화시키고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토대로서, 먼저 교회 내에서의 교육적 실천노력이 중요함을 밝히고 그 가능성을 논의 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먼저 봉사공동체로서의 교회적 특성을 1) 샬롬 공동체, 2) 예수의 하나님나라운동 공동체, 3) 디아코니아 초대교회 공동체, 4) 영적성숙지향 교회공동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교회 사회봉사의 당위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교회의 사회봉사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생명 살리는 교육이라는 큰 틀 안에서 1) 이웃사랑 교육, 2) 평화교육, 3) 창조보전 교육, 4) 바른 문화 형성교육이라는 네 영역으로 분류하여 보았다. 또한 교회의 사회봉사교육과 관련하여 향후 해결되어야 할 실천과제로 1) 사회봉사교육 학습교재 및 커리큘럼 개발, 2) 교회기초조직 및 종교적 활동과 연계된 사회봉사교육 강화, 3) 사회봉사교육 전담부서의 활성화 및 전문 지도력의 양성화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social service education in the practice of church education. If the church exists in order to continue the work of Jesus in this world, social service is one of the essential vocations of the church which is called to build the kingdom of God on earth. In this respect, social service educ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one of the central educational themes in church education. However, the social service education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church education as a channel inviting faith communities into practical life of social services. This study reviews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ervice in biblical context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Christian social service education in the church. As the norm of life, the community of Israel attempted to achieve ‘Shalom’ by giv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hospitality. Jesus showed his vision of God’s kingdom in the ministry of serving others. The early church also cared f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through voluntary contributions and sharing as a natural form of expressing their faith. Nurturing a person into a mature is one of the central tasks of church education, and mature faith should pursue the holistic way of practicing Christian life including social service. When it comes to the phase of the Korean church in the today’s society, the educational mission of teaching and practicing social service has more importance. The research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of service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such as 1) shalom community, 2) Jesus’s kingdom community, 3) early churchlike diakonia community, 4) spiritual maturity-oriented community. Next, within the framework of life-saving education, four areas of educational contents are proposes such as 1) loving neighbor education, 2) peace education, 3) ecological preservation education, 4) right culture formation education. Three alternatives for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social service education in church education that are suggested are 1) developing proper learning curriculum, 2) utilizing church group activities and church rituals as a means of social service education, 3) organizing specialized social service agencies and nurturing professional leadership.

      • KCI등재후보

        R. H. Dave의 평생교육개념 특성에 의거한 교회평생교육의 성립가능성 탐색

        신성훈(Shin-Seung Ho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1

        UNESCO가 제시한 평생교육개념은 삶(Life), 평생(Lifelong), 교육(Education)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이들 용어에 부가된 의미와 해석은 평생교육의 범위와 의미를 결정한다. 이 연구는 Dave의 평생교육 개념 특성에 터하여 한국교회의 교회교육이 평생교육으로 성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ave의 평생교육 개념 특성과 고용수의 ‘교회와 신학’을 대비시켜 분석했으며, 이어서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전래된 이래 현재까지의 교회교육을 한국사회교육사에 의한 시대구분을 참조하여 한국의 기독교교회의 교회교육의 문헌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초기 기독교교육은 수직적으로는 영아교육, 유년교육, 청소년교육, 장년교육, 노년교육의 교육으로 통합되고, 수평적으로는 교회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등의 교육으로 통합된 것으로 나타나 평생교육의 전략인 수직적 통합과 수평적 통합 전략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독교교육 학자의 선행연구를 Dave의 평생교육개념특성에 비추어 분석하여 얻은 결과와 이와 관련된 교회의 모범사례로 실증해 본 결과, 상당부분 일치하여 한국의 교회교육의 평생교육 성립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교회교육의 사례들은 사실상 평생교육 형식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기독교교회의 대사회적 역할 영역인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와 접근은 기독교교육의 평생교육 개념적 교육영역을 넓힌다는 의미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proposed by UNESCO is formed around Life, Lifelong, and Education. The scope and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are to a degree determined by meaning and interpretation attached to these three term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how that South Korea church education can be approached in a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on the basis of Dave's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To this end, first,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elaborated by R. H. Dave. Second, this study tried to interpre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ypical church education proposed by Go-youngsu in terms of Dave's conceptual framework. Third, a focus was upon analyzing a case of church education. As a result, infant, childhood, youth, mature, senior education appear to be integrated vertically and church, school, community education appear to be integrated horizontally.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lifelong education strategy is oriented toward both vertical horizontal integration. The result obtained by comparing a leading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with lifelong education conceptual characteristics by Dave showed that both match to a considerable degree. So it is possible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church lifelong education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 교회교육 컨설팅에 대한 기독교교육 사역자의 인식 연구

        함영주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교육컨설팅 및 수업컨설팅은 일반교육계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과 수업의 질적향상을 꾀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교회교육의 영역에서는 컨설팅이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컨설팅은 조직이나 교육과정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건설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한 조직이나 교육의 과정 및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교회교육의 영역에서도 교육컨설팅을 시행하여 교회교육의 전반적인 사항을 점검하고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회교육 사역자들을 대상으로 교회교육 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교회교육 사역자들은 교회교육 컨설팅이 교회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컨설팅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교회교육 정책결정권자의 의지부족, 변화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교회교육 컨설팅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회교육 컨설턴트의 자질로 전문적 지식과 인격적 자질을 꼽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회교육 평가체계의 구축, 교회교육 컨설팅 진단도구 개발, 교회교육 컨설팅 인식개선, 교회교육 컨설턴트 양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교회음악의 교육적 기능과 찬송가 교육의 필요성

        하재송 ( Jae Song Ha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5 No.-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교회에서 교회음악이 과연 성도들의 신앙과 인격의 성장과 성숙에 기여하고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교회음악의 궁극적인 목적은 물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드리는 것이지만, 이웃 사랑의 견지에서 교회음악은 성도들을 세워주는 역할도 감당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교회음악의 교육적 기능에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기독교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교회음악은 본질적으로 기독교신앙을 전수하는 기능, 기독교인의 신앙과 인격의 성숙을 돕는 기능, 기독교적인 삶을 장려하는 기능 등의 교육적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교회음악 지도자는 그러한 교회음악의 교육적인 기능을 고려하여 모든 교회음악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교육적인 관점에서 오늘날 교회 현장에서 특별히 강조되어야할 것은 찬송가 교육이다. 찬송가는 기독교 신앙 교육에 있어서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교회 현장에서 찬송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점차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찬송가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는데, 이는 노래를 통한 교육은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방법이고, 기독교 신앙 교육을 위해, 기독교적인 삶을 장려하기 위해, 그리고 문학적, 음악적 유익을 위해 찬송가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회의 각급 교육부서와 찬양대에서, 그리고 그 외의 여러 기관에서 찬송가를 더욱 더 적극적으로 가르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찬송가를 함께 부르는 가운데 우리는 교회음악이 주는 영적, 신앙적, 문학적, 음악적 유익을 더욱 많이 누리게 될 것이며, 주님 안에서 하나님의 교회는 더욱 든든히 세워지게 될 것이다. This study starts with an awareness of the issue whether or not the church music in Korean churches contributes to the growth and the maturity of Christian people in their personality and Christian faith. Even though the ultimate goal of church music is to glorify God, it needs to also edify the people of God from the perspective of loving neighbors. Therefore, we should pay a special attention to educational functions of church music. Church music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hristian education essentially performs such educational functions as handing over Christian faith to the next generation, helping people to get mature in their personality and Christian faith, and encouraging them to live the Christian life. Consequently, church music leaders should carry out their church music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church music. Today, teaching hymns needs to be stressed in Korean churche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Hymns are of great value in Christian education, but an awareness of their importance is getting weaker in Korean churches. In this situation, the necessity of teaching hymns should be emphasized since teaching with a song is a method that God commanded and teaching hymns is helpful for Christian education, the encouragement of living the Christian life, and the instruction of literary and musical things. Therefore, we need to teach people hymns in graded choirs, Sunday schools, and other church organizations and to use them in various active ways. By singing hymns all together, we can get a lot of spiritual, religious, literary, and musical benefits and the church of God can be more strongly built in the Lord.

      • KCI등재

        신앙공동체 교육모형에 기초한 순복음교회 평신도 교육과정 개발

        소태영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5 영산신학저널 Vol.35 No.-

        “What is the church?” This ques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hur ch curriculum as well as church. Without the deep theological and pastoral reflection on the church, many church curricula have been introduced and accepted in the Korean church. This dualistic distinction between ecclesiology and church curriculum has produced the church curricula without theological and pastoral reflection on the church.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reflects on the separation between ecclesiology and the church curriculum. In order to overcome the dualism, this study identifies the church curriculum with “the entire church life”as Didache, Kerygma, Koinonia, Leiturgia, Diakonia and develops the Full Gospel church curriculum based on Harris’church curriculum model.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ecclesiology and church curriculum and then, introduces and analyzes today’s church curricula in light of five curricula of Didache, Kerygma, Koinonia, Leiturgia, Diakonia. Finally this study critically reflects on the Full Gospel church curriculum and suggest the alternative church curriculum model for the Full Gospel Church on the basis of Pentecostal Pneumatology and ecclesiology. 이 연구는 교회의 존재 목적과 그것을 실현하는 교회교육과정이 이분법적으로분리되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교회교육과정을 “모든 교회 생활”이라고 진술한 해리스(Maria Harris)의 교회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하여 순복음교회 교육과정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첫째 목회철학(교회론)과 교회교육과정의 상호관계성을 살피고, 둘째 모든 교회의 생활에 참여하는 행위가 신앙공동체를 세우는 교회교육과정이라는 해리스의 주장에 기초하여 현대 교회교육과정을 디다케(Didache), 레이투기아(Leiturgia), 코이노니아(Koinonia), 케리그마(Kerygma), 디아코니아(Diakonia)에 따라 분석하고, 셋째 해리스의 신앙공동체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순복음교회 교육과정을 성찰하고 분석한 후 순복음교회 교육과정의 대안적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예비사역자들의 교회교육에 대한 인식

        이성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uggestion for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church education by examining the faith and education experience of prospective church workers, church school status of their attending church, and perception and opinions for church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a perception investigation that targeted students of department of theology an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at four-year-course colleges in G region. The responses of 231 students (college students: 130, graduate students: 101) were used, and using SPSS 27.0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experience of prospective church workers was insignificant compared with their experience of faith. A considerable number of prospective church workers were working as education evangelists. Secondly, in most of their attending churches, senior pastors served as principals of church schools. The number of churches with separate education pastor and education evangelist was very small. Thirdl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investigation of prospective church workers, church education was perceived as a way of church prosperity, and a critical mind for school education system of church school was not found. Fourthly, prospective church workers’ efficacy for church education was rather low. Fifthly, prospective church workers’ opinions on christian education gave weight to pastrol aspect rather than to educational as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education evangelists were working without experience, efficacy, etc. for church education. To heighten the quality of church education, it is necessary that a system for training church educational experts should be established, along with coming up with a plan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education evangelist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churches. And also, it is necessary that stipulation of the education evalgelists’ qualification and that management of the qualification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예비사역자들의 신앙 및 교육경험, 출석(또는 사역) 교회의 교회학교 운영 현황, 교회교육에 대한 인식 및 의견을 살펴봄으로써, 교회교육의 운영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G지역의 4년제 대학교 학부 신학과와 신학대학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231명(신학과 130, 신학대학원 101)의 응답을 활용하였고,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사역자들의 신앙경험에 비해 교육경험은 미미한 편이었으며, 예비사역자들 중 상당수가 교육전도사로 사역 중이었다. 특히 신학대학원 재학생의 과반수 이상이 교육전도사로 사역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사역자들의 출석(또는 사역)교회 대부분은 담임목사가 교회학교장을 담당하고 있었고, 별도의 교육전담목사와 교육전도사를 갖춘 교회 수는 많지 않았다. 셋째, 교회교육에 대한 예비사역자들의 인식조사 결과, 교회교육을 교회 성장의 방편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교회학교의 학교교육 시스템 활용에 대한 문제의식이 없었다. 넷째, 예비사역자들이 교회교육 사역에 대해 가지고 있는 효능감은 낮은 편이었다. 다섯째, 예비사역자들이 교회교육에 대한 의견은 교회교육의 교육적 측면보다는 목회적 측면에 보다 비중을 두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전도사들의 많은 수가 교회교육에 대한 경험, 효능감 등을 갖추지 못한 채 사역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회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교육전문 사역자 양성 시스템 마련과 함께 현재 교회에서 사역 중인 교육전도사의 역량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전도사의 자격 명문화 및 자격 과정 운영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 KCI등재

        어린이 예배 갱신을 위한 교육목회적 과제: A 교회학교 사례

        박진경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roblem of children's worship in A Church School a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pastoral task about worship renewal from the Christian educational viewpoint. The children's wo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ducation ministry of children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es. I present the concrete directions for the children's worship renewal by exploring by exploring educational pastoral practices, focusing on the case of A Church School. In this context, I explore the children's worship renewal of A Church School based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educational ministry of Young-Taek Lim. The reason I choose the worship model of Lim's educational ministry is as follows: 1) proposal for a worship model for the Methodist Church as a Methodist pastor; 2)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worship and Christia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al ministry; and 3) various constructive suggestions in liturgical and Christian education with the main worship component and structure of the church worship service. I investigate a variety of practical tasks focusing on Lim's educational pastoral worship model as an alternative model to revitalize the children's worship in A Church School. In doing so, I first examine a brief over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 Church School through the major dialogues with K student pastor. Second, I explore major liturgical, Christian educational terms of Lim as the educational ministerial norms for children's worship renewal of A Sunday School. Third, I propose major five educational ministerial tasks (the tasks of didache, leiturgia,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that K student pastor should practice in order to renew the children's worship service of A Church School. Finally, I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ministry of Korean churches, including A Church School, to go for the renewal of children's worship.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A 감리교회 교회학교 어린이 예배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배 갱신에 대한 교육목회적 과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교회 상황에서 어린이 예배는 어린이의 교육목회와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A 감리교회 교회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목회적 실천 과제들을 탐색하여, 어린이 예배를 갱신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임영택의 교육목회적 예배 이론과 실제를 기초로, A 교회학교 어린이 예배를 갱신하고자 한다. 임영택의 교육목회적 예배 모델을 선택한 이유는 1) 감리교 목회자로서 감리교회에 대한 예배 모델 제안; 2) 교육목회적 관점에서 예배와 기독교교육에 대한 간학문적 접근; 3) 어린이 예배의 주요 예배 구성 요소 및 구조 제안으로 다양한 건설적 제언들을 예배학적으로, 기독교교육적으로 제시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A 교회학교 어린이 예배를 갱신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임영택의 교육목회적 예배 모델을 중심으로 다양한 실천적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K 전도사와의 주요 대화 문구들을 통해 A 교회학교의 현재 상황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둘째, A 교회학교 어린이 예배 갱신을 위한 교육목회적 규범으로 임영택의 주요 예배학적, 기독교교육적 개념들을 제시한다. 셋째, K 전도사가 A 교회학교 어린이 예배 갱신을 위해 실천해야 할 주요 교육목회적 과제들을 크게 5부분(디다케적 과제, 레이트루기아적 과제, 케리그마적 과제, 코이노니아적 과제, 디아코니아적 과제)들로 나누어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A 교회학교를 포함한 한국교회가 어린이 예배 갱신을 위해 나아갈 교육목회적 방향을 제시한다.

      •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

        정일웅(Il-Ung Ju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This article is written on the theme of “Dr. Chang Sik Hye-am Lee, the theological educator of the Korean Church,” congratulating the birthday of Dr. Chang Sik Lee, the current director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at the age of 100. In this article, I wrote based on Dr. Chang Sik Lee s faith, personality, and academic enthusiasm that I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5 years, and based on his autobiography and self-introduction, which he has already written a long time ago. As a theological educator, Dr. Lee has been examined into seven topics. The sub-them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education and call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second, beginn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at a Korean theological university, third, preparing qualities as a theological educator and studying abroad; New theological studies and doctoral degrees, sixth, theological educator s activities at Keimyung University and Hanshin University, and seventh, Kenya missionary and theological educator. Dr. Chang Sik Lee served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for 36 years. In addition to the four years of teaching at Keimyung University, he was entirely engaged in theological education at Hanshin University for the remaining 32 years. As soon as graduating from Hanshin University as the first graduating class, he began to teach the theology as a lecturer while working in the administration of academic affairs at the seminary. The important mind that Dr. Lee showed as a theological educator was revealed when he taught at Hanshin University. Although it was stated as a theological education goal that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ology of academic and godliness, the early Hanshin University taught only many academic knowledge of difficult theological thoughts to students, but not a practical theological knowledge regarding the godliness and pastoral practice. He pointed out these problems and made great efforts to improve them. In particular, efforts to clarif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school as a denomination belongs to Presbyterian Church through lecture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confession of faith shows his identity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ddition, when he was in charge of the office of the Academic Affairs Office, he was not only responsi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academy, but also played a role in the training of godliness for students. For example, he encourag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hapel and the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in the dormitory, and trained their honesty by conducting the exam without proctor supervision. Especially, studying his Ph.D. dissertation at Aquinas Theological Seminary, which is a well-known Catholic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hows how broad the horizon of his scholarship in history theology is. Not only did he study Luther s theology as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but also Calvin s theology as Presbyterian theology. In addition, through studying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he gained insights to contribute to today s so-called Ecumenic theology. Dr. Lee is a great theological educator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he entire Korean Church as well as at Hanshin University. In particular, Dr. Chang Sik Lee always felt sorry fo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which was divided into progress and conservatives despite his age of middle 90s five years ago and founded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where he invited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heologians from the Korean church to have a theological dialogue and write a thesis through research. It is the fact that Dr. Chang Sik Lee, who has led these things, is not showing the role of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but a theological educator of the entire Korean church. 이 글은 현재 혜암신학연구소의 소장이신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생일을 축하하며, 기리는 마음으로,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라는 주제로 작성되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지난 5년 동안 혜암신학연구소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이장식 박사님의 신앙과 인품과 학문적인 열정을 근거로 그리고 그가 이미 오래전에 집필한 자서전과 자기소개서에 근거하여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 이 박사님을 일곱 가지 주제로 정리하였다. 기본적인 소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교육과 신학 교육자로서의 부르심, 둘째, 한국신학대학에서의 신학교육자로서의 시작, 셋째, 신학 교육자로서의 자질준비와 유학생활, 넷째, 한국신학대학의 교육이념실현과 신학 교수로서의 활동, 다섯째, 새로운 신학연구와 박사학위, 여섯째, 계명대학과 한신대학에서의 신학 교육자의 활동, 일곱째, 케냐의 선교사와 신학 교육자로서의 활동 등이다. 이장식 박사는 총 36년간 신학교에서 신학 교육자의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리고 계명대학에서의 교수 생활 4년을 빼고, 나머지 32년간은 전적으로 한신대학에서 신학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 한신대학을 제1회로 졸업하자마자, 신학대학에서 교무행정을 보며, 강사로 신학을 가르친 것에서 시작한다. 이장식 박사님이 신학교육자로서 보여준 중요한 정신은, 특히 한신대학에서 가르칠 때, 학문과 경건이란 이념으로 교육한다는 것을 신학교육 목표로 명시해 놓았지만, 초기의 한신대학은 어려운 신학 사상의 학문적인 정보를 학생들에게 많이 가르치고, 실제 경건에 관한 신학 정보와 목회 실천에 도움이 되는 실천신학에 관한 것들을 많이 가르치지 못했던 것을 지적하였고, 그것을 개선하려고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점이다. 특히 한신대학교가 기독교장로회에 속한 교단으로서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앙고백에 관련된 강의를 통해서 장로교회의 신학 정체성을 분명히 하려고 한 노력은 신학교육자의 모습이 분명하였던 것으로 이겨진다. 그리고 교무처장의 직분을 맡았을 때도, 교무행정만 책임진 것이 아니라, 역시 학생들의 경건 훈련에도 역할을 잘 감당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면 신학생들의 채플 참여와 기숙사에서 신학생들의 새벽기도회 참여를 직접 독려한 일, 그리고 무시험 감독으로 신학생들의 정직한 경건을 훈련시킨 일 등에서라고 할 것이다. 역시 이 박사님은 학위 과정에서도 교회 역사에 관한 부분을 주 전공으로 삼았으며, 특히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미국에 가톨릭에 속한 대학으로 이름나 있는 아퀴나스 신학교에서 공부한 것은 그의 역사신학의 학문이 얼마나 넓은 지평을 가진 것인지를 느껴보게 된다. 물론 프로테스탄트의 역사로서 루터의 신학을 공부했을 뿐 아니라, 특히 장로교회의 신학으로 칼빈의 신학을 연구하였고, 가톨릭교회의 신학까지 연구한 것은 오늘의 소위 에큐메닉의 신학에 기여하는 통찰을 갖게 되었으며, 역시 이장식 박사님은 한신대학에서의 신학교육뿐 아니라,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의 자질과 능력을 가진 위대한 신학 교육자였음을 생각하게 된다. 특히 이장식 박사님은 5년 전 구순 중반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하여 대립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안타깝게 여기고, 뜻을 같이하는 진보와 보수 신학자들을 혜암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그 곳에 모으시고, 대화하며, 신학의 학문을 계속 연구하게 하며, 신학학술지(「신학과 교회」)의 출판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한국교회의 신학을 대변해 온 것은 그가 한 신학교의 신학 교육자가 아니라, 이제는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날을 기념하며, 일생을 통하여 보여준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오래 기억하게 되리라 확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